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리더의 피드백이 구성원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준희(Kim, Junhee)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2

        급변하는 조직 환경에서 구성원들은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확실히 알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바로 잡아줄 수 있는 것 이 피드백이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피드백은 개인과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연구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연구에 관련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을 조직 생활 중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리더와 구성원 사이의 피드백을 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으로 구분하여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군 조직에서 리더의 피드백을 통해 구성원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리더의 긍정적 피드백은 구성원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지지되었으며, 리더의 부정적 피드백은 구성원의 회복탄 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지지되었다. 이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등을 통해서 예상했던 결과와 일치한다. 회복탄력성과 자기 효능감 모두 개인심리자원의 핵심으로 피드백과 같은 인지적 요소를 통해 개인이 반응함에 따라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리더십 연구 측면에서 리더의 피드백이 구성원의 심리적 자원에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긍정적 피드백이 구성원의 심리자원을 높이고, 부정적 피드백이 구성원의 심리자원 을 낮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리더의 긍정적 피드백을 장려하고, 가능하다면 부정적 피드백의 제공을 줄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se days, lots of CEOs struggle to find the wa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Feedback can suggest the solution of these concerns. Because feedback has a variety of functions. For examp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job or task, subordinates can fi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feedback can improve the confidence of subordinates. Consequently,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can be raised effectively. The resilience is the core of private resources which can overcome a difficult circumstance, especially like as a battlefield. It is not a fixed concept, so can be changed by being given feedback. The self-efficacy is the conviction of doing the task successfully. It is also the important concept of explaining private resourc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leader’s feedback effects on the subordinates’ resilience and self-efficacy. For the study, 294 of survey was conducted from officers, petty offices, seamen of battleship, supplying ship, and supplying forces. This study suggests that positive feedback increase the subordinates’ resilience and self-efficacy, but negative feedback decrease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it is the importance of positive feedback. Working in an organization, it is difficult to give only positive feedback. However, you had better provide positive feedback rather than negative one. Nevertheless, sometimes we have to give negative feedback, so for the future research, we need to find the moderator to relieve bad effects of negative feedback.

      • KCI등재

        긍정적,부정적 피드백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골프퍼팅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 ( Sung Woon Kim ),김한철 ( Han Cheol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부정적 피드백 제공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골프퍼팅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D구 B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남자 청소년 30명을 부모님의 동의를 받아 선정한 후 무선할당에 의해 긍정적 피드백 집단 10명, 부정적 피드백 집단 10명, 및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어졌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습득단계에서 집단과 분단(4분단)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3×4(집단×분단), 그리고 파지단계에서는 3×2(집단×분단)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 긍정적·부정적 피드백 정보제공 모두가 습득단계에서의 절대오차(운동 정확성)와 가변오차(운동수행의 일관성)에서 지적장애 청소년의 골프퍼팅 수행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본 연구의 파지단계에 대한 절대오차에 대한 분석결과, 1분단과 2분단에서 긍정적 피드백집단이 부정적 피드백집단 보다 오차가 적게 나타났고, 부정적 피드백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오차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변오차에 대한 분석 결과, 긍정적 피드백집단과 부정적 피드백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오차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긍정적 피드백 제공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운동기술 수행과 파지에 매우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운동기술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부정적 피드백 제공도 지적장애 학습자에게 어떠한 피드백을 주지 않는 것 보다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운동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한 가지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가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ositive feedback and the negative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golf putting task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rt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se ages ranged from 14 to 16 years (M=15.27)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1) positive feedback group (n=10), (2) negative feedback group (n=10), (3) control group (n=10). Subjects performed 40 acquisition trials followed by 20 retention trials.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were performed on the various dependent variables: absolute error (AE), constant error (CE), and variable error (V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teraction effects for Groups and Trials on the absolute error (AE) in the retention phase significantly. An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Groups on variable error (VE) in the retention phase. Participants in the positive 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negative 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absolute error (AE) in the retention phase. And the participants in the positive feedback group and the negative 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variable error (VE) in the retention phas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positive feedback may be a more effective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교양 체육 수업 교수자의 피드백이 교수자 만족, 긍정적 감정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목기침,정승훈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2 No.2

        이 연구는 교양 체육 교수자의 피드백이 교수자 만족, 긍정적 감정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자 만족과 긍정적 감정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교수자 만족, 긍정적 감정, 운동지속의사를 높일 수 있는 교수자 피드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교양 체육 수업이 진행되었던 8곳의 지역 대학에서 학교별 40부씩 총 320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311부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26.0을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체육 수업 교수자 피드백 중 긍정적 비언어, 긍정적 일반, 수행지식 피드백 순으로 모든 구성 요인이 교수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 체육 수업 피드백 중 긍정적 일반, 수행지식, 긍정적 비언어 피드백 순으로 모든 구성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 체육 수업 교수자 피드백 중 긍정적 비언어, 긍정적 일반피드백 순으로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 체육 수업 참여자의 긍정적 감정과 교수자 만족은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instructor’ feedback that can increase instructor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effects of instructor's feedback on instructor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to provide basic data accordingly.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40 copies per school, from eight universities where libera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held. The final 311 copies were used for result analysis. As a data processing method, SPSS 26.0 was used to analyz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eedback of instructors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actors in the order of positive non-verbal feedback, positive general feedback, and performance knowledge feedback were found to affect instructor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feedback of instructors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actors in the order of positive general feedback, performance knowledge feedback, and positive non-verbal feedback were found to affect positive emotions. Third, among the feedback of instructors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actors in the order of positive non-verbal and general feedback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motion and instructor satisfaction in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fected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 KCI등재

        시간 제약 상황에서 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이 과제 특성에 따라 중학생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진성조(Seongjo J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3

        피드백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해보면, 긍정적 피드백이 더 나은 수행을 보이는 결과와 부정적 피드백이 더 나은 수행을 보이는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혼재된 결과가 나타나게 된 원인으로 과제 특성과 시간 변인에 주목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피드백 효과를 학습자가 문제를 풀기 위해 시도하는 정도, 문제 푸는 데 걸리는 시간, 제대로 문제를 풀지 않고 반응하는 임의 반응 행동 등 학습자의 과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강동구와 전북 전주에 재학 중인 중학교 2학년 346명이 참여하였고, 컴퓨터를 통해 빈칸 채우기 과제와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하였다. 조작 체크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은 학생을 제외하고 총 323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적 조건의 학습자들은 수행 시간이 길어지자 문제를 풀지 않고 빠르게 응답하는 임의응답 반응의 빈도가 부정적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후, 다수의 임의 반응 행동을 보인 불성실 참여자 44명을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 긍정적 피드백 조건의 학습자들은 부정적 조건보다 시간이 제한된 수행 상황에서 문제를 푸는 평균 시간이 빠르고 문제를 풀기 위해 더 많은 시도를 했다. 또한 수행 후 더 높은 동기를 보고했으며, 수행 결과도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과제 특성에 따라 피드백 효과가 달라지는 결과도 나타났다. 시간이 제한된 상황에서 과제 특성에 따라 정답을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피드백 조건에 따라 달라졌는데, 단순한 빈칸 채우기 과제에서는 정답을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피드백 조건 간 차이가 없었고 수행 결과의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지만, 복잡한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할 때는 긍정적 피드백 조건의 학습자들이 부정적 조건보다 정답을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았으며, 제한된 시간에 수행 결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논의가 제시되었다.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feedback effects revealed confounding results, that is, positive feedback increased task performance in some studies, whereas negative feedback increased task performance in othe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confounding results, focusing on time constraints and task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hich may significantly influence feedback effects. Addition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feedback effects on task performance wit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learner’s behaviors: numbers of trials, the response time for an item, and rapid-guessing behavior which reflects a decline in motivation level during task performance as well as in performance outcome. A total of 346 eigh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fter performing the manipulation check, 32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types of feedback provided affected learners’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actual performance outcomes differently when conducted under time-constraint conditions. Students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were shown to solve problems faster under time constraints, and were able to make more attempts in solving the problems, than the students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Further, the students in the positive feedback reported higher motivation levels for test-taking and achieved higher performance outcome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egative feedback. However, the students in positive feedback showed higher frequency of rapid-guessing behavior than those in the negative feedback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long task, which reflected a decline in motivation level. Meanwhile, performance outcomes differed according to task characteristics under time constraint conditions. In a simple “fill-in-the-blank” task, no differences in reaction times for correct answers were see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formance outcomes between the two feedback. In contrast, in a complex ‘problem solving task’, the students in the positive feedback responded with correct answers more quickly than those in the negative feedback, and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ose in the positive feedback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egative frame feedback under time-constraint condi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 피드백 화법의 전개 양상 분석

        김주영 ( Kim Joo-young ),박창균 ( Park Chang-gyoo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대화에서 피드백 기능을 중심으로 교사 피드백 화법의 전개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 피드백 화법은 학생 반응이 교사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는 정도에 따라 긍정적 피드백, 부정적 피드백, 보완적 피드백으로 구분하여 전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교사 피드백 화법의 전개 양상에 따른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평가 발화로 화제가 마무리되는 경우는 주로 긍정적 피드백에서 나타나고, 부정적, 보완적 피드백에서는 평가 발화로 화제가 완결되기보다 이어진다. 둘째, 교사가 평가와 함께 후속 조치를 제공하는 방식은 모든 유형의 피드백에 나타나는 가장 전형적인 경우이다. 셋째, 교사는 의도적이고 전략적인 교수행위로써 평가를 유보하고 후속 조치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기도 한다. 넷째, 교사가 평가 발화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고 후속 조치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피드백 화법은 피드백 발화에 한정하지 말고 피드백 기능을 중심으로 폭넓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의 피드백 발화는 하나의 피드백 기능으로 대별해서는 안 된다. 셋째, 교사 피드백 화법에서 평가 기능뿐만 아니라 후속 조치 기능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교사의 준언어적 요소나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한 피드백 화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eacher feedback by paying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feedback through class conversation analysis. The Teacher’s feedback was divided into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and complementary feedback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er’s expectations and demands. Teachers’ evaluations When the topic is finished by utterance, mainly positive feedback appears. Negative, complementary feedback leads to evaluation speech rather than completion of topic. The way in which evaluations and follow-ups are provided is the most typical of all types of feedback. Teacher withhold evaluations as an intentional and strategic teaching activity and provides feedback follow-up. Teachers intentionally omit evaluation speech and provide follow-up feedback.

      • KCI등재후보

        교사 첨삭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

        이은자 ( Eun Ja Lee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9

        ‘과정 중심’이 글쓰기 이론의 패러다임으로 정착되면서 학생들 간의 협동 활동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교사의 첨삭피드백의 역할이나 중요성이 감소된 것은 아니다. 글쓰기 지도에서 교사의 첨삭 피드백은 특정 이론과 결부된 선택적 방법이 아니라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는 글쓰기 지도에 있어서 교사가 하는 첨삭 피드백의 원리를 모색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 지도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사의 첨삭 피드백의 기본 원리는 다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먼저 개별성의 원리는 교사의 첨삭 피드백이 학습자 하나가 온전히 교육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질 만큼 개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글쓰기 단계와 수준을 고려한 첨삭 피드백이어야 한다. 대화성이란 필자와 독자 간의 소통과 의미교섭 과정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하는 피드백을 의미한다. 교사는 권위를 드러내지 않는 전문독자로서 학생과의 대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어야 한다. 구체성은 첨삭 피드백의 내용이 정확하고 간결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교사는 구체적인 시범을 통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지속성은 첨삭 피드백이 연속성을 갖고 학생의 수준과 단계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피드백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의 글이 최종 결과가 아니라 과정 중에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축적된 모든 활동이 포트폴리오식 평가로 반영되어야 한다. 자발성이란 교사의 첨삭 피드백이 궁극적으로는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고유한 학습 특성을 존중하고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들은 각각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교사의 첨삭 피드백에 종합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기본원 리를 바탕으로 교사는 첨삭 피드백의 구체적 방법을 선택하고 전략적으로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적인 첨삭 방법이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떠한 관점에서 피드백의 방법을 선정하고 또 어떻게 배열하느냐에 따라 피드백의 교육적 효과도 매우 달라진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내용 중심의 첨삭 피드백과 형식 중심의 첨삭 피드백을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과 단계에 맞게 적절한 비중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것, 첨삭 피드백 표현에 있어서 직접적인 명시적 피드백과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암시적 피드백 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비평 중심의 부정적 피드백과 강화 중심의 긍정적 피드백도 단계와 수준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한다는 것등이다. 이밖에 교사의 첨삭 피드백 스타일을 결정짓는 여러 방법도 교사 개개인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동시에 수업 환경과 학생의 글쓰기 과정을 세심하게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교사의 첨삭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들은 과정 중심, 혹은 학생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이제 교사의 첨삭 피드백은 단순히 학생의 글을 읽고 평가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생각할 수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교사의 첨삭 피드백이야말로 학생들로 하여금 글쓰기 능력을 내면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about written feedback performed by teachers in instructing writing and to suggest the concrete teaching metho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eachers` written feedback can be summarized into five factors ? individuality, conversationality concreteness, continuity, and spontaneity. First of all, individuality means that teachers` written feedback guarantees learners to be accepted entirely as an educational subject. In order to achieve it, written feedback should reflect students` level and step of writing. Secondly, conversationality is feedback making communication and meaning negotia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smooth. Teachers should lead a conversation with students as a professional reader who does not revealing authority. Thirdly, concreteness means that contents of written feedback have to be exact and concise. In addition to that, instructors should be able to suggest alternative plan through giving an actual example. Fourthly, continuity is that written feedback should constantly rea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students` level and step. Also, all activities accumulated in the process should reflect as a portfolio assessment. Finally, spontaneity represents that teachers` written feedback eventually makes students` self-leading writing skill develop. Therefore, teachers should respect students` learning trait of their own and offer feedback to increase self-efficacy. These factors operate synthetically upon teachers` written feedback with close relation each other. The ideal way to written feedback does not exists separately, bu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feedback can change depending on what kind of perspective select feedback and how it arrange. In other words, meaning-based feedback and form-based feedback should be appropriately given to students fitting their individual trait and level, explicit feedback and implicit feedback should be properly used, and negative critic-based feedback and positive intensification-based feedback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regard to their level and stage. Other factors deciding teachers` style of written feedback should mirror class circumstances and students` writing process while showing teachers` ability sufficiently. As mentioned as I above,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teachers` written feedback are the most elementary matter in practicing process-based writing or students-oriented education.

      • KCI등재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피드백 유형이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숙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 피드백 유형이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 집단에게는 동료의 모의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강화 중심의 피드백을 제공토록 하였고, 또 다른 집단에게는 교정 중심의 피드백을 제공토록 하여, 이 두 집단 간의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교직 희망 의지 정도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동료피드백 유형에 따른 효과가 교직 희망 의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64명의 예비교사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동료 피드백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피드백과 교정적 피드백 모두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되려는 확고한 의지를 지닌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피드백 유형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희망 의지가 강한 예비교사들에게는 교정적 피드백이 교사효능감 향상에 더 효과적인 반면, 교직 희망 의지가 강하지 않은 예비교사들에게는 긍정적 피드백이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상사의 피드백이 판매원의 판매-고객 지향적 판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인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1

        판매원의 판매행동은 개인 영업성과의 선행요인으로 판매관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판매행동은 개인의 성과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모형에서의 판매행동은 적응적 판매행동과 더불어 판매행동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는 판매-고객 지향적 판매행동(SOCO)이다. 이러한 판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영업조직 내 상사의 피드백 행위에서 찾고자 하였다. 상사의 피드백은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SOCO가 판매원 개인의 영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해서 판매원 300명의 유효샘플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피드백은 판매원의 고객 지향적 판매행동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부정적 피드백은 고객 지향적 판매행동뿐만 아니라 판매 지향적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그리고 판매원의 판매행동(SOCO) 모두 영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 연구 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the study field of sales management, salespeople’s selling behaviors have been importantly recognized as an antecedent of sales performance. These selling behavior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personal performance. The author deals with SOCO(sales oriented-customer oriented selling behavior) as a key variable in this research model, it corresponds with adaptive selling behavior. The author tried to figure out antecedents of this selling behavior within the intra-organizational perspective in search for supervisors’ feedback. And I empirically tes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O and sales performance. The author tested hypothese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effective 300 samples. At research results, I found that positive feedback had an positive effect on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 This result showed that negative feedback had positive effects both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 and sales-oriented selling behavior. And both of selling behaviors positively influenced sales performance. These findings reconfirmed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is theme. Finally I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Eff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r on Employees’ Subjective Career Succ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Framing

        Li, Yue(이열),Chung, Soo-Jin(정수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조직 구성원의 피드백 추구행동은 적극적 행동으로서 그 주관적 경력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피드백추구행동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피드백추구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의 긍정적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의 이론들과 연구결과들을 검토하고 연구의 필요에 의해 가설과 연구모형을 도출하였고 조직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4.0과 AMOS 23.0 통계분석프로그램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가설검증 결과 피드백추구행동은 직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왔으며 자기효능감은 피드백추구행동과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긍정적 프레이밍과 피드백추구행동의 상호작용 효과는 자기효능감과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독립변수인 피드백 추구행동, 조절변수인 긍정적 프레이밍 및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직원의 주관적 경력성공 실현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이론모형을 제공하였다. 동시에,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능동성을 발휘하도록 장려하고, 직원의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고, 직원이 주관적 경력성공을 달성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피드백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Purpose] Feedback-seeking behavior is a kind of proactive behavior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feedback-seeking behavior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framing. [Methodology]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e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made 4 key research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of Chinese companies via survey. Programs SPSS 24.0 & Amos 23.0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Findings] Through research analysis, feedback-seek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Self-efficacy 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positive framing as the moderating variable affect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a new research direction and theoretical study model for employees to achieve subjective career success.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companies could encourage organizational members to stay motivated, improve employees’ self-efficacy, and create a good feedback environment to help employees achieve subjective career success.

      • KCI등재

        동료 피드백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들의 발표에 대한 사전 지식

        오현진(Oh, Hyeon-ji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69 No.-

        이 글에서는 대학생들에게 본격적인 발표 교육을 하기 전, 학생들이 발표에 대해 어떤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현재 대학 발표교육이 학생들이 받아온 이전 학교 교육 내용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 채 이루어져, 유사한 이론적 지식을 반복적으로 제시하거나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실제 발표 기회를 제대로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대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의 발표를 듣고 난 뒤 작성한 자유서술형 동료 피드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재미있고 참신하며 진솔한 내용이나 주제를 선호하였고, 큰 목소리와 보통 빠르기의 속도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시선을 청중에게 골고루 주면서 대화하듯 이야기하는 것을 좋은 발표라 평가하였다. 학생들의 동료 피드백은 국어 교육에서 자주 활용되는 분석적 평가표와 다르게 ‘언어적 표현’보다는 ‘비언어적 표현’에 대해 주로 이루어졌으며, ‘태도적 측면’ 역시 분석적 평가표에 제시된 항목 이외의 것에 주목하고 있었다. 이는 교수자에 의해 제공되는 평가 기준표의 항목들이 좀 더 상세화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대학생들이 발표를 준비하거나 듣는 과정에서 좀 더 주목해야 할 지식이나 전략 등이 있다는 것을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기존에 받았던 화법 교육에서 발표와 관련된 내용들을 어떻게 학습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대학 발표 교육의 내용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분석한 동료 피드백의 양이 적어 일반화하기 어렵고, 학생들의 동료 피드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러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남아 있다. Before providing undergraduates with genuine presentation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what sort of prior knowledge students have, related to presentations. This research begins by asking whether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related to presentations simply presents and stresses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in a repetitive manner or properly reflects the content of students’ school education, providing them with essential opportunities to give presentations. After analyzing students’ peer feedback, which was freely described after listening to their fellow students’ speech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undergraduates preferred content or themes that were fun, original, and honest;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a loud voice and a regular speed of delivery; and they positively evaluated speakers who looked at their audience evenly and spoke in a conversational tone. Students’ peer feedback was mostly related to “non-verbal expressions,” as opposed to “verbal expressions,” unlike the analytical evaluation often used in Korean education. With regard to “attitude,” students paid attention to certain categories not included in the analytical evaluation. This implies that items in the table of evaluation criteria provided by instructors need to be more precisely specified or indeed modified; it has been found that certain existing knowledge and strateg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undergraduates prepare for, or listen to, a presentation. By confirming how students have learned about speeches and related presentation skills previous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content of presentation education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This study was limited, however, in that the quantity of peer feedback used for the analysis was too small to be applied more generally. Another limitation was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analyzing students’ peer feedback was not reviewed by different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