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의 불교문화재 인식

        한상길(Han, Sang-Gil)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근대사회에서 문화재의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에 사용한 용어는 古蹟(故蹟), 古物, 寶物, 藝術등이었고 이 가운데 古蹟이 널리 사용되었다. 고적이라는 용어가 보편화된 배경에는 일제의 고적 조사사업이 있었다. 근대 이전까지 불교문화재에 대한 인식은 그저 신앙의 대상물에 지나지 않았다. 일상적으로 대하는 불상과 석탑, 전각이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재라고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일본의 영향을 받은 근대 이후의 일이었다. 식민지하에서 불교문화재를 통해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선양하고 보급하는 일은 곧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저항운동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었다. 본고는 불교계의 문화재 인식을 통해 근대불교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먼저 불교문화재의 보존 실태를 살펴보고, 불교도의 신앙 대상이었던 불상과 석탑, 전각과 경판 등이 점차 민족의 ‘문화재’로 확산되는 과정을 파악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노력이 근대불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이해하였다. 민족문화 말살정책이 자행하는 식민지하에서 민족의 정신적 주체성을 지키는 데 불교문화재는 매우 유효한 상징을 제공하였다. 특히 한국불교가 일본불교의 성립과 발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던 역사적 사실을 널리 선양함으로써 문화적 우월성을 강조하였다. 그 구체적 반증이 불교문화재였던 것이다. 근대기의 불교지성들은 각종 잡지를 통해 불교문화재를 소개, 보급하였다. 오랜 억불의 시대를 거치면서 파손되고 매장되었던 불상과, 석탑, 금석문을 세상에 끄집어내고, 그 문화적ㆍ예술적 우수성을 고양시켰다. 이러한 근대불교계의 노력을 통해 불교의 유물과 유적은 종교적 신앙의 대상에서 한 차원 격상하여 민족의 공공 문화재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Generally used historical sites in modern society, before the adopt a concept of cultural assets, It was that investigating historical sites this backdrop of became increasingly common. Buddhist cultural assets were just an object of religion before modern times. There was no awareness that symbolize national tradition and culture in routinely statue of the buddha, pagoda, and a buddhist palace. The purpose of this report to understand characters in modern buddhism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First, searched condition of preservation and understood gradually spread of statue of the buddha, pagoda, buddhist scriptures to national cultural assets. Finally researched what important meanings in modern buddhism. Buddhist cultural assets were very significant role protect a national emotional independence under the colonial Japan. Especially emphasize historial facts of cultural superiority in establish and advancement of Japan Buddhism. Buddhist cultural assets were solid evidence. modern buddhist monks and scholars introduce buddhist cultural assets to newspapers and monthly magazine. A result of modern buddhist hard work, buddhist artifacts and sites upgrade to national public assets.

      • KCI등재

        근대건축문화재의 보수공사를 통해 본 시방서 공종 및 항목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권순찬,김태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2008년 12월을 기준으로 근대문화유산은 총 648건이고 그 중에 근대건축문화재는 510건이다. 근대건축문화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지관리에 대한 지원,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증가 추세로 간다면, 앞으로는 한국전통 건축문화재만큼이나 근대건축문화재에 대한 보수공사의 건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근대건축물의 보수공사는 그에 대한 보수공사시방서가 나와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통건축물을 기준으로 한「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를 참고로 하여 공사시방서를 작성하고, 그에 맞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통 목구조와 흙벽으로 지어진 건축문화재를대상으로 만들어진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는 트러스나 적벽돌,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지어진 근대건축물의 보수공사에 맞추어 공사를 진행하기에 구조나 재료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건축공사표준시방서」의 조적, 콘크리트, 금속공사 등의 시방서를 보완하여 사용하거나 새로운 재료, 공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근대건축문화재의 수리보고서와 시방서 및 보수도면, 공사현장의 답사 등을 통하여 현재 수리공사의 기준이 되고 있는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공종 및 항목 분류체계내에서 보완될 수 있는 내용과 새로운 공종 및 항목이 요구되는 내용을 분류하고, 전통건축문화재에서 볼 수 없었던 공종과 공사기법 및 재료를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 등록문화재 현황과 등록 확대와 활용방안

        이은선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5 No.-

        Christianity entered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nd created various modern cultural heritages. These modern cultural heritages of Christianity belong to modern cultural assets in the cultural heritag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 Some of the Christian modern cultural properties belong to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ut most of them belong to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mplemented after July 2001. Currently, there are 81 registered Christian cultural properties, which is only a small portion of the total Christian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Christian community should build a database of non-designated modern cultural properties well and expand the registr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rough systematic research. Modern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preserved so far should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missionary work, maturation of faith, and tourism purposes. Christian modern cultural heritage should be well preserved and it should not only reveal the aspects that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but also contribute greatly to the expansion of Korean society’s tourism resources. 기독교는 개항 이후 한국에 들어와서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을 만들어왔다. 이러한 기독교의 근대문화유산은 우리나라 문화재 분류 체제에서근대문화재에 속한다. 기독교 근대문화재 가운데 일부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정문화재에 속하지만, 대부분은 2001년 7월 이후에 시행된등록문화재에 속한다. 현재 기독교 등록문화재는 81건으로 전체 기독교문화 유산 가운데 아주 소수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기독교계가 비지정 근대문화재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잘 구축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등록문화재 등록을 확대하여 나가야 하겠다. 현재까지 발굴되고 보존된 근대문화재들은 앞으로 교육적 목적과 선교와 신앙의 성숙을 위해 활용되고관광목적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보존과 활용을 통해 기독교근대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기여한 측면이 보존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관광자원의 확장에도 크게 기여해야 하겠다.

      • 사업 보고서 : 근대 문화재 등록의 문제점 -등록문화재 절차와 조사방법에 관한 보고

        동국대학교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4 전자불전 Vol.16 No.-

        우리나라에는 오랜 역사 동안에 수많은 문화유산이 전래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전란으로 인하여 소실되고, 유실되었으며, 해외로 반출된 경우도 많았다. 문화재에는 국가지정문화재와 시·도 지정문화재, 문화재 자료 등으로 구분하며, 이에 속하지 않는 문화재를 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물론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로도 구분한다. 여기서는 동록문화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런데 등록문화재는 지정문화재가 아닌 것으로 「문화재보호법 53조의 등록문화재법」에 의해 법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다. 등록문화재의 등록기준은 「문화재보호법 시행 규칙」 34조 1항에서 정하고 있다. 현재로 본다면 1964년 이전의 것으로 국가, 도시, 지방에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를 말하며, 혹시 아직 50년이 되지 못했더라도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는 등록할 수 있다고 한다. 이를 다루는 분과는 근대문화재분과에서 심의하고 있다. 여기에는 11명의 문화재위원(근대분과)와 22명의 전문위원들이 있다. 본 보고서는 불교계의 근대문화재에 대한 불교계의 인식의 문제점과 등록하는 절차에 대해서 살펴본 바, 먼저 법적인 근거를 밝힌 후 이해를 돕기 위해 사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들 주변에 보호하고 보존해 야할 문화유산이 있다면, 등록문화재로 신청하여 등록하므로 오래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역사성이 짧다고 하지만, 지금 등록하여 지정 받지 않으면 오래 보존되기 어려우며, 유실될 가능성이 많다. 지금 보존하여야 미래에 국보와 보물로 승격될 수 있으므로 불교계에서도 이러한 법을 잘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등록하고 많은 문화유산이 길이 보존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A large number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handed down during the long history in Korea. However we has lost a lot, because of war and many cases it is carried out abroad. Cultural assets, are classified as the country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nd city? province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cultural heritage materials, We are protected by specifying the cultural property that does not belong to this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Of course, I will be classified in 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here, We were looked around the registration cultural assets. However, registration cultural property, it is not a designated cultural assets, It is a legal basis by the "registration cultural property law of Law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rticle 53". If you look at the current, As in the previous 1964, Is not cultural property to a country or a city or province Though perhaps did not yet 50 years, the case of urgent action can register. Department to deal with this is a "modern cultural property subcommittee", Here, there are professional members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of 11 people and 22 people. This report is that describes problems and registration procedure of Buddhist community of recogni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of Buddhism, First, after revealed legal basis, was presented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Next, if we of protection around us, there is a cultural heritage if to be maintained, Was applied for registration cultural properties, it will be able to store longer if necessary to register. Currently, but is a short history of, now registered it is difficult to be stored longer if it is not received designated, can be lost in many cases. If you do not save now, so you can be in the future promoted to national treasure and treasure, With the help of such law well with Buddhism, actively participate, and is wishing that many of the cultural heritage is preserved in length.

      • KCI등재

        문화재 활용론 : 활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하여

        장호수(Jang Ho-Su) 인문콘텐츠학회 2006 인문콘텐츠 Vol.0 No.7

        문화재는 역사상, 학술상, 예술상 가치가 높은 것을 귀하게 여기며 보존가치를 중시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문화재의 사회적 효용성과 활용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의 역사와 함께 해온 것들은 지역정서를 살찌우고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윤택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또한 문화산업에서 새로운 가치 창조의 원천으로서 문화유산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가고 있다.이 글에서는 문화재와 관련된 최근의 동향과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재활용의 개념과 범주를 중심으로 다루며 활용 단계별 사례를 통하여 앞으로 확장 가능성 까지를 논의하려고 하다. 먼저 문화재활용의 개념을 “문화재에 담긴 가치를 찾아내어 새롭게 생명을 불어 넣거나 변용과정을 거쳐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라 정의하고 문화재활용이 우리 시대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른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문화재 가치에 따른 활용방법과 최적 활용을 위한 원칙을 제시하였다. 한편 문화재활용을 위한 작업은 발굴 단계, 생산 단계, 유통 단계, 소비 단계로 나누고, 단계별 사례를 살펴보면서 각 단계별로 국가 또는 민간이 담당해야 할 몫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하였다. 발굴단계는 기초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공공성이 중요하며, 생산단계에서는 시장원리를 존중하여 민간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특히 생산의 가장 적극적인 형태로서 전통만들기는 같은 소재라도 미디어 선택에 따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볼수 있었다. 문화재 활용의 각 단계별 생산물들은 유통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들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유통단계에서 공공의 역할이 중요하며, 마지막 수요자로서 소비자들은 생산품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한 품질 향상 등 소비단계에서 이용자들의 역할은 앞으로 더욱 더 중요하게 될 것으로 보았다. 문화재활용에 관한 현재 우리의 수준은 자료구축을 위한 발굴단계를 벗어나 생산단계로 접어들고 있다고 볼수 있다. 문화재활용에 관한 논의는 이제 시작단계에 지나지 않으며 활용 방법론에 대한 이론의 틀이 마련되지 않아 논리성이 부족하다. 활용의 적정성 또는 타당성과 이를 뒷받침할 논리는 아직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최적 활용을 위한 원칙을 세우고, 생산과 분배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활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 마케터 양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관련 학문 분야의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의 경쟁 양상 분석 : 군산시를 중심으로

        문예은(Moon Ye-eun) 역사문화학회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2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시작된 것은 낡고 오래되어 도시 곳곳에 버려져 있던 근대 건축물들이 문화재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부터이다. 식민지배 기간 동안 일제의 주도 아래 만들어진 근대 건축물은 수치의 증거물로 여겨져 철거되거나 재개발 아래 사라지기 마련이었다. 그러나 갑자기 근대건축물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문화재로 등록하고, 국가차원에서 장려하는 관광 상품으로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현상에 주목하여 근대건축물을 대하는 입장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 사회·정치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사회적 배경 하에 형성되는 담론을 민족주의론과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의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시대적인 변화와 이로 인해 형성된 세 가지 담론(민족주의론과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의 경합을 군산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해당 시기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군산의 근대문화유산 관광·산업화 전략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담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산의 사례를 집중 조명해서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싸고 나타난 위의 세 가지 담론 즉 민족주의론,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이 시대적 사건과 맞물리면서 경쟁해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국가, 지자체 그리고 군산 시민들 간에 근대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인식 차이가 크다고 하는 사실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hanges of discourse on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interests in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have been increasing since people paid attention to historical constructions that were built in the colonial period. Since liberalization they had been abandoned here and there in cities but recently they were recognized as cultural assets. It is no wonder that the historical constructions that had been built by Japanese imperialis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torn down or were demolished for the sake of development,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symbols of disgrace. But some strange phenomena occurred. The abandoned recent historical constructions were listed on the National Cultural Assets with great historical value and drew people's attention as the tourism purposes. After reconsidering these phenomena, the first step I took for the issue was to analyze the changes of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which led to these phenomena. For the detailed analysis, I categorized the discourses formed under social background into three types : Nationalism, Historicism and Culture Consumption. The Nationalistic discourse shows that all recent historical constructions buil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ll factors that had something to do with Japanese life styles, culture and history must be torn down. The Historical discourse insists tha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comes one part of our history, we should acknowledge it. The historical constructions must be left not to make the same mistake again. The Culture Consumption discourse acknowledges the historical value of recent constructions and goes with the historicism at this point. Furthermore, it shows that it tries to restore the buildings, use them for tourism,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and even establish a new tradition.

      • KCI등재

        등록문화재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의 역사성에 대하여

        송호상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등록문화재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가 가진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함에 있다.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로 지정된 광복로 일대는 도로 및 철도교통의 발달을 배경으로 전개된 영주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 공간이었다. 영주는 일제 강점기 초기 예천과 상주를 거처 경부선의 주요 거점인 김천으로 가는 도로가 개통되었고, 1930년대 죽령 개통이후 충북과 경북 울진·영덕을 연결하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주요 거점 도시로 성장하였다. 1941년 경경선의 개통은 영주 발전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해 영주는 강원도와 경북 북부지역의 광산물과 임산물 수송의 요충지로 부각되었다. 그 결과 1940년 10월 1일 영주면에서 영주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해당하는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에는 영주의 근대화와 관련된 건축물과 산업유산이 남아 있다. 이석간 고택이라고 알려진 근대 한옥과 더불어 철도관사, 영광이발관, 풍국정미소, 영주제일교회 등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영주의 근대화가 가진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래된 마을의 변화를 간직한 근대한옥과 철도관사, 그리고 근대화를 배경으로 성장하였던 이발관, 정미소, 근대 교육과 문화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던 영주제일교회 등의 역사성을 파악함으로써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근대문화유산의 활용과 역사인식 문제 - ‘근대’라는 역사인식의 행방 -

        제점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5 No.-

        한국의 ‘근대문화유산’은, 근대라고 하는 역동적인 역사인식을 담아내지 못한 채 대부분의 논의가 건축학적 측면으로써의 근대유산, 지역 활성화 도모를 위한 관광자원 활용이라는 측면으로써의 근대유산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또한 여전히 민족담론을 축으로 한 저항의 역사로써의 한국의 근대성을 강조할 뿐,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구축되어진 역사인식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채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역사학계는 한국만이 아닌 동아시아를 기반으로 메타히스토리,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라는 관점에서 포스트콜로니얼의 다양한 현상을 염두에 두고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은 국내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근대’라는 역사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제기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근대문화유산이 탄생된 경위와 특징, 그리고 지금까지의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최근 역사학계의 ‘근대’라는 역사인식의 연구동향에 대해 검토하면서, 이를 ‘명동성당’이라는 근대문화유산을 사례로 ‘근대’라는 역사인식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existing studies on the domestic ‘modern cultural heritage’ were about the role of the tourism resources for the artistry and promoting regional revitalization in the architectural aspect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 discussions about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must be the historical recognition issue as the ‘Modern era.’ If it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only without considering of the historical recognition issue enough as the modern era, the role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will be only the tourism resources for the economic value cre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of historical recognition issue as the ‘Modern era’ about the domestic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examined the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the research trends of historical recognition as the ‘Modern era’ of recently learned circles of history was conduct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historical recognition about the ‘Modern era’ was examined based on the modern heritage case of the ‘Myeongdong Cathedral.

      • 새 무형문화재법과 전통적기예·무예 조사방향

        심승구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a comprehensive nationwide survey of skills and martial arts according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6. The new law significantly expanded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viously confined to 'artistic talents and skills' into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daily customs'. As a result, the skills and martial arts field which have been broken or vulnerable to transmission came under attention. Some suggestions to prepare before the next nationwide comprehensive research into the traditional skills and martial arts aspec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as follows. First, set concepts and categories for the traditional skills and martial art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after defin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the present-condition research must take precedence over the events that were cataloged, up to the present among the skills and martial art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uch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Stat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ity/Provinc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Reserve List. Third, there is a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studies to extract new items in the field of skills and martial arts. Fourth, if there are some items which have been already included in oth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tor in the skills and martial arts,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on how to handle the issue. Lastly, in the case of skills and martial arts, there seems to be a nee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we designate Moder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sides designating the exis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protect and transmit them because there are lots of events which were restored and reproduced in modern times. 이 글은 2016년부터 시행된 무형문화재법에 따라 기예와 무예의 전국적 종합조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새 무형문화재법은 종래 ‘예능과 기능’에 국한된 무형문화재를 ‘전통지식과 생활관습’ 등으로 전승영역을 크게 확장하였다. 그 결과 그동안 단절되었거나 전승취약 종목에 해당하는 기예와 무예의분야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기예는 종래에 없던 새로운 분야로 설정된 것이다. 향후 기예와 무예의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에 앞서 준비해야할 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유산으로서 기예와 무예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는 일이다. 이 같은 작업은 해당 분야의 대상과범위를 조사하고 설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가 될뿐 아니라 사업 전체의 체계성과 적합성을 담보하는 조건이 되리라 여겨진다. 둘째, 개념과 범주가 정해지면, 현재까지 기예와 무예 가운데 무형문화재(인류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시·도무형문화재, 국가예비목록)로 지정되거나 목록화되어 있는 종목의 현황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같은 작업은 현재 기예와 무예 항목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조사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일정하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셋째, 기예와 무예 분야의 새로운 항목 추출을 위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기예와 무예 분야는 전승이 단절된 대표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현행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큰 비중을 갖지 못하였다. 하지만, 새 무형문화재법에 따라 조사 분야로 설정된 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종합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하리라 여겨진다. 넷째, 기예와 무예의 항목이 이미 타 무형문화재 분야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처리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예컨대 남사당놀이의 경우, 줄타기나 버나돌리기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줄타기와 버나돌리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종합연희의 경우에 포함된 기예 종목과 개별 종목(예, 버나 돌리기나 줄타기 등)사이의 구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이상의 작업은 마지막으로 무형유산으로서 기예·무예의 조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