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거리 사진측량의 다중영상시스템을 이용한 인체형상계측

        최경미,조기여 경북실업전문대학 1996 慶北實業專門大學論文集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multi image restitution system using close range photogrammertry in the measurement of human body shape for clothing design. The semi-metric camera for the data acquisition has less lens distortion and better film flatness than the existing camera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body shape. This camera also requires the outline approximate in base line, photographing place and angle. As this camera has more convenience in movement, it has a feature that even amateurs are able to photograph for a short time. Photographic exposure surveyed columnal model and ligament using the semi metric camera, As the result, the multi-image restitution system gives the full satisfaction in the accuracy which is required in the measure of human body shape. This system showed the superiority in the reproduction of shape and also found 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in the measurement of human body shape.

      • KCI등재

        수치사진측량에 의한 문화재 해석 - 신세동 7층 전탑을 중심으로

        신동윤(Sin Dong Yun),김진수(Kim Jin Soo) 한국지적학회 2006 한국지적학회지 Vol.22 No.2

          고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는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에서 널리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진측량 장비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밀도가 많이 향상되었고 컴퓨터를 이용한 정밀한 3차원 재현 기법이 가능하게 되었다.<BR>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3차원 정밀 측위와 이의 분석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정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의 보존 및 복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정밀 측위기법과 수치 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국보 제 16호인 신세동 7층 전탑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표준오차 1㎜이내의 정확도로 3차원 수치정보를 구축하여 공간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정확하게 3차원 모델링 가능하였고 면적 산정 및 각 단면의 가하학적 해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으며 중심축의 위치와 기울기 등도 도출할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안전진단은 물론 3차원 지적측량 등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igital high resolution cameras are widely available, and are increasingly use in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And photogrammetry instruments are developing rapidly and the precision is improving continuously. The reproducible technique of precision 3D using computer are possible.<BR>  It h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to study of 3D precision surveying and analysis system for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e study is about to efficient precision surveying methods and analysis of digital information data for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e acquire the photos and construct 3D digital information in 1㎜ accuracy, and carry the spatial analysis to seven story pagoda at Sinsedong temple site of National Treasure No. 16 of Korea. In result, we carry the 3D modelling accurately and the efficient geometrical analysis of section, calculation of the area, and position and slope of centric axis. So, we expect efficient use of as well 3D cadastral surveying as safety diagnosis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문화재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연구

        문두열,이봉재,신문섭,오상용 동의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소 2005 産業技術硏究誌 Vol.19 No.-

        고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는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에서 널리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진측량 장비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밀도가 많이 향상되었고 컴퓨터를 이용한 지형공간정보체계기술의 발달로 더욱 정밀한 3차원 지형의 재현과 면적 및 토공량 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가 간편하고 수치영상의 자체저장능력을 지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조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위치오차를 분석하였으며 광속조정을 통하여 높은 정확도의 화소 좌표를 획득하여 3차원 지형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근거리수치사진측량기법의 국부지역모형생성과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수치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봉분의 3차원 구현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Digital high resolution cameras are widely available, and are increasingly use in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And photogrammetry instruments are developing rapidly and the precision is improving continuously. The building of 3D terrains of high precision are possible and the calculation of the areas or the earthwork volumes have high precis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using computer. Using the digital camera which has capacity of keeping numerical value by itself and easy carrying, we analyze the positioning error according to various change of photographing condition. Also we try to find a effective method of acquiring basis data for 3D monitoring of high-accuracy in pixel degree through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with bundle adjustment for local terrain model generation and 3D embodiment of tumulus. In the study is about to efficient analysis of digital information data for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비측량용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형상 해석

        정수(Jeong S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2

        지형공간정보 분야에서 대상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자료는 기본 자료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공간에 관련하여 계획, 유지, 관리 등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리적 형상 정보가 필요하다. 종래의 사진측량은 고가의 측량용 카메라와 숙달된 전문가가 운용하는 해석도화기를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수치사진측량의 발달로 인하여 저가의 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컴퓨터 환경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근거리 사진측량에 의해 신속하게 3차원 형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지형공간정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형공간정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3차원 형상에 대한 정보의 취득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목적하였다. 비측량용 카메라 중에서 보급형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고 대상물 내의 단 하나의 길이 성분만을 관측하여 대상물의 3차원 형상을 해석한 결과 1화소 이하의 정확도로 대상물의 크기를 해석할 수 있었다. In the field of geospatial information, 3D shape inform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frame data for GIS. Many kind of physical shape information is, especially, required for the works related with space, such as planning, maintenance, management, etc. Conventional photogrammetry was implemented under the conditions with expensive metric cameras and analytical plotters operated by experts. Nowadays, however, the metric cameras and analytical plotters are replaced by low price non-metric digital cameras and personal computers by virtue of the progress in digital photogrammet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y to easily and promptly produce 3D shape information required i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with non-metric digital camera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3D shape of an experimental object was made out with a common compact digital camera and only a known length of a line component in the object and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 of 3D shape was analyzed to be less than one pixel.

      • 콤팩트형 디지털 카메라와 기선을 이용한 근거리 사진측량 결과 분석

        정수(Jeong Soo),김기홍(Kim Gi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스냅사진 촬영 용도의 저가의 콤팩트형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사진측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1개의 기선만을 기지값으로 하여 3차원 형상정보를 생성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화소 이하의 정확도로 대상물의 제원을 해석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지형공간정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소규모 대상물의 3차원 제원에 대한 측량을 사진측량에 의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SCOPUSKCI등재
      • 회전체 진동 측정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검보정

        박주언(Park, Jueon),이창노(Lee, Changno),이창희(Lee, Changhui),이차빈(Lee, Chabin),한유경(Han, Youkyung)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최근 구조물의 진동 변위 측정을 위해 전통적인 방법인 구조물에 직접적인 센서 장착 방법이나 고가의 비접촉식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 영상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진동 변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센서의 성능 향상과 영상 처리 기법의 발달에 따라 측정용이 아닌 비측정용 상업카메라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진동 측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측정용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구조물을 대상으로 스테레오 영상을 취득하였으며, 회전체의 진동 변위 측정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카메라 자체검정을 수행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