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빛을 사용한 설치작품에서의 그림자 활용

        이지희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회화의 시초가 벽에 만들어진 그림자를 따라 그린 실루엣이라고 전해지고 있듯이 그림자는 사물을 재현하는데 좋은 수단이지만 단순한 실루엣만으로는 그 안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단서를 주기 어렵 다. 그 부분이 관객의 상상력과 이야기로 채워질 때 비로소 진정한 작품으로 완성된다. 작가들은 왜 곡된 그림자로 불안감이나 심리적인 상태를 나타내기도 하고 전시공간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앞에 밝힌 여러 특성들이 그림자놀이나 그림자극처럼 유희와 연결되어 작업이 만들어진다. 비물질적 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그림자는 일시적이며 순간적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시대의 가상이미지와 유 사한 면을 지니고 있다. 미디어 작품에서는 그림자의 재현적인 특성을 실체를 모방하기보다는 오히 려 반어적인 어법으로 사용한다. 그림자와 실체를 함께 보여주어 지각과 시각의 불일치를 일으키는 인간의 불완전한 감각과 고정관념을 보여준다. 왜곡되고 가변적인 그림자는 심리적인 것을 표현하는 장치가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공간을 재해석하고 변화시킨다. 또한 그림자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여 관객에게 재미와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 미디어 작품에서는 프로젝션하여 직접 그림자를 만들 수 도 있고 촬영된 관객을 실루엣으로 단순화시켜 영상으로 투사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림자 가 단순히 오브제의 어둡고 단순화된 이미지일 뿐 아니라 그 자체로 또 다른 이미지의 근원이 될 수 있는 독립된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추상과 구상, 자아와 타자의 경 계선에서 이중적 속성을 드러내는 그림자의 모순적인 면을 미디어예술에서 오히려 활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술과 그림자에서 나타나는 가상성의 공통점을 통해 과연 실체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기도 한다. As suggested by the story that painting starts by outlining a shadow cast on a wall, a shadow is a good means to represent an object. A simple black silhouette, however, cannot provide sufficient clues about what is inside of it. It has to be filled by the imaginations of the viewers, and real artwork is completed only after this process. Artists often employ distorted shadows to express certain anxietie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Sometimes, the light and shadow transforms the entire space of the exhibition into an artwork. Such characteristics of shadows are also used in shadowgraphy and in shadow puppetry, where the playfulness of a shadow is emphasized. A shadow that has ‘un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mentariness and/or transitoriness, is similar to the virtual image in the digital age. In media art works, shadows are used not for imitation of an object but for ironical expressions. Often, objects inconsistent with a shadow are exposed together with a shadow. This allows people to recognize the imperfections of their senses and the discordance caused by their prejudices. On the other hand, distorted shadows reveal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reinterpret and transform the space. In media arts, the shadows of the audience become an interface for interactive artworks, and the viewer can play with them. A projector has two functions: to make the shadow of the viewer into the light source and to project a simplified silhouette of the viewer. Here, we can discover another important role of shadows as a source of an image, not just a dark and simplified image of an object. In media arts,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shadows – the abstract and the representational, the self and the other - are rather fully exploited by artists. They also raise the question about what is real,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virtuality in digital arts and the transitory nature of shadows.

      • 기독교상담자의 그림자 인식과 자기 통합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원영재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10 성결심리상담 Vol.2 No.-

        상담자는 문제를 가지고 온 내담자를 치유의 길로 인도해 주기에 앞서 자신의 문제에 자유로워야 한다. 상담자의 해결되지 않은 상처들은 내담자에게 투사되어 치유에 방해를 일으키고 상담자를 무력감에 빠지게 한다.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이 되는 그림자란 ‘나(自我)’의 어두운 면을 말하는 것으로써 무의식에 있는 또 다른 나의 분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자는 우리가 가지고 있으나 모르고 있는 인격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깨달아가면서 성숙해가는 과정, 즉 자기실현의 과정에서 처음으로 만나는 무의식의 요소이다. 그림자는 의식의 바로 뒷면에 있는 여러 가지 심리적 내용으로 열등한 인격과 같은 것이다. 그림자는 열등하고 원시적이며 적합하지 않고 어색하지만 결코 나쁜 것만은 아니다. 또한 그림자는 우리의 삶에 생명을 불어넣고 아름답게 유지하면서도 원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림자를 억압하는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열등감을 느낄 때 그것을 고칠 기회를 얻게 되기도 하고 계속 고쳐나갈 수도 있다. 그림자 투사 현상이란 나쁜 것은 상대방에게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괴롭고, 어두운 마음을 피하려고 하는 자기방어 수단이며, 자기의 무의식적 마음의 일부를 의식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위해 일어난다. 기독교상담자는 자신의 그림자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자기통합을 이루어나가야 한다. 그렇게 될 때 내담자의 그림자를 이해하고 품어줄 수 있으며 진실하고 성숙한 상담자로 설 수 있게 된다. A counselor needs to be free from his or her own problems before healing patients with their problems. A counselor’s unsolved wounds hinder healing patients when the wounds are projected on the patients, which makes the counselor feel helpless. The Shadow causing problems that people have is a dark side of ‘the self’ and one’s other self in the unconscious. The Shadow is a part of a personality that people have but people do not know about it. The Shadow is the first unconscious factor encountered on a course of self-realization; it is like an inferior personality of various psychological contents just behind consciousness. The Shadow is not always bad but inferior, primitive, unsuitable, and awkward; having a primitive character, the Shadow vitalizes and maintains our life beautifully. Suppressing the Shadow does not help healing. One can have a chance to heal and keep healing a feeling of inferiority when he or she feels it. The Shadow projection is a means of self-protection to avoid one’s distressed and dark mind by thinking the other has bad things; it occurs to have an opportunity to make a part of one’s unconscious into conscious. A Christian counselor needs to realize self-integration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his or her own Shadow to be a sincere and mature counselor who can understand and take care of patients’ Shadow.

      • 이미지 와핑을 이용한 실시간 그림자 생성 기법

        강병권,임인성,Kang, Byung-Kwon,Ihm, In-Sung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9 No.5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그림자는 장면의 사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경을 렌더링 할 때 그림자의 모양이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세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광원에 의한 부드러운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그림자 생성 기법들은 사실적인 그림자를 사실적인 실시간으로 생성해 내기에 어려움이 많다. 기존에 제안된 영상 기반 렌더링 기법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그림자를 생성해 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림자 지도의 크기가 지나치게 방대해지기 때문에, 텍스춰 메모리에 올리기에 무리가 따르게 되므로, 효율적인 압축기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그림자 지도의 크기와 압축의 부담으로 인해, 다양한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거나, 부드러운 그림자로의 확장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영상 기반 렌더링 기법을 적용한 방법에 이미지 와핑 기법을 응용하여 그림자 지도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에서는 물체가 움직이는 범위와 상관없이 매우 적은 개수의 그림자 지도만으로 그림자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그림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개발한 기법은 3차원 게임이나 가상 현실 등 관련 분야에서 사실적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해 내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Shadows are important elements in producing a realistic image. Generation of exact shapes and positions of shadows is essential in rendering since it provides users with visual cues on the scen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be able to create soft shadows resulted from area light sources since they increase the visual realism drastically.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the existing shadow generation algorithms still have some problems in producing realistic shadows in real-time. While image-based rendering techniques can often be effective1y applied to real-time shadow generation, such techniques usually demand so large memory space for storing preprocessed shadow maps. An effective compression method can help in reducing memory requirement, only at the additional decoding cos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mage-barred shadow generation method based on image warping. With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alistic shadows using only small sizes of pre-generated shadow maps, and is easy to extend to soft shadow generation. Our method will be efficiently used for generating realistic scenes in many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3D games and virtual reality systems.

      • 물체 및 광원 속성에 따른 그림자 크기의 수치해석적인 접근

        김태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8 No.-

        그림자 크기 및 속성은 광원, 물체 및 스크린 사이의 거리, 물체 및 광원의 속성에 의존한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서 물체로 탁구공 또는 작은 공과 같은 구형의 물체를 또는 평면 물체를 사용해 왔다. 더불어 광원으로 꼬마전구 또는 손전등과 같은 구면광원을, 이와 비교하는 실험 활동에서는 태양광과 같이 평면광원을 사용해 왔다. 그림자는 빛의 직진 속성을 반영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직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인 방법으로 물체가 구형인 경우, 크기가 있는 구면 광원에 의한 그림자 크기에 대한 수식을 유도하였다. 광원은 점광원이고 물체가 구면 물체인 경우, 1) 광원에서 나오는 광선의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2) 이 광선이 구면 물체의 표면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3) 광선이 구면 물체의 표면과 만나는 지점을 구하고, 4) 이 값으로부터 변경된 거리 A 및 물체의 크기 D를 얻는다. 점광원에 의한 구형물체의 그림자 크기 S는 S=S<sub>0</sub>*S<sub>A</sub>*S<sub>D</sub>이며, S<sub>0</sub>는 평면 물체에 의한 그림자 크기, S<sub>A</sub>은 변경된 거리에 의한 그림자 크기의 비율, S<sub>D</sub>는 변경된 물체의 크기에 따른 그림자 크기의 비율이다. 크기가 L인 구면광원에 의한 평면물체의 그림자는 본 그림자 S<sub>US</sub> 및 반 그림자 S<sub>PS</sub>가 생긴다. 본 그림자 S<sub>UM</sub> 은 같은 방향으로 광원과 물체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 방정식으로부터 S<sub>US</sub>=-(B/A-1)L+D B/A 와 같으며, 반 그림자 SPS는 반대 방향으로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으로부터 S<sub>PS</sub>=(B/A-1)L+D B/A와 같이 얻어진다. 여기서 A 및 B는 거리 요소이고, D는 평면 물체의 크기이다.

      • KCI등재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의 그림자 개념 변화

        최지영(Choi, Ji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들의 그림자에 대한 개념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N구에 소재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 14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31일부터 12월 16일까지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를 18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빛과 그림자 프로젝트 과정을 수행하면서 사물과 그림자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었고, 빛의 반대편에 생기는 그림자의 방향에 대한 이해와 빛과 사물의 거리에 따른 그림자 크기변화에 대한 이해가 나타났으며 빛의 통과와 그림자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에 기초한 빛과 그림자 활동은 유아들의 그림자 개념변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림자에 관한 유아 교수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young children s shadow conception in the course of light and shadow pro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young children, aged three years, attending S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N Gu. This study was implemented from Oct. 31. 2016 to Dec. 16. 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Young children showed more improvement in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hadow, the shadow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light, the shadow size along the distance of light and object. And young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sage of light and shadow.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roject approach based light and shadow activity is a useful way to the young children s shadow education. This study pursue to supply groundwork which is helpful to plan teaching by understanding young children s shadow conception.

      • KCI등재

        칼 융의 집단무의식의 그림자 이론을 적용한 한국형 괴물의 상징성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변민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본 연구는 칼 융이 주장한 집단무의식의 그림자 이론이 다양한 괴물 또는 귀신 이미지의 상징성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악의 상징이라고 생각되는다양한 그림자의 종류와 의미를 밝혀서 한국의 문화원형의 괴물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통과의례를 통해서 드러난어두운 그림자의 설화 또는 전설이 생길 수밖에 없는이유를 고찰하고, 조사를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결국 ‘그림자’는 다음의 세 가지의모습으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집단무의식으로서의 그림자의 상징이며, 이는 신화 또는 전설에서 영웅을 방해하는 괴물이며 악의 상징이다. 둘째는자기실현 또는 콤플렉스로서의 자아의 그림자다. 이는자기실현으로서의 자아의 그림자는 의식에 가장 가까이 있는 무의식의 상으로서, 열등한 인격이며, 어두운그림자의 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로 실제의 그림자상징으로서, 빛에 의해 생성된 그림자라고 할 수 있으며, 놀이의 기능을 수반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선조시대의 그림자로 여겨졌던 역신이나 천연두신, 재앙신의 이면에 치유의 신이 존재했던 것을 주목한다. 또한 선조들이 탈춤이나 그림자놀이 등을 통해서 역병이나 재앙을 물리치고, 축제로승화시킨 사례들들 주목한다. 현대 시대에도 사람 속에 내재 되어져 있는 그림자의 문화원형을 발굴해서, 미디어 콘텐츠의 창작을 위한 기반이론을 연구한다면, 콘텐츠산업에 많은 시너지효과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다문화 교육을 위한 그림자의 인식 과정과 두 그림책에서 교육적 의미 찾기-≪THE SHADOW≫와 ≪The Boy With Two Shadows≫-

        김상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ep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need to raise awareness of the shadow. And a shadow in the picture book compare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correct shad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process of recognition will be discussed. This allows the multicultural implications for today’s expansion can be obtained. Sleeter(1993) centered on the discus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divided into five different types of people in the shadow of the unconscious in connection with four ways to treat examined. And in the shadow of the shadow of books to deal with people in their process of how to accept more search to compare the shadow. The person who book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shadow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shadow simul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hadow should be able to recognize and correctly recognized. Here is his shadow does not avoid or suppress constantly strive to integrate. Finally, the shadow is in the process of his life with all you need to know that it exists as a positive attitude must be able to accept.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을 위한 첫걸음으로 그림자의 인식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리고 그림자를 소재로 한 두 그림책에서 그림자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살피고 다문화 교육을 위한 그림자 인식의 방법과 교육적 의미에 대해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다문화 교육에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Sleeter(1993)의 논의를 중심으로 다문화 교육의 접근 유형을 알아보고, 사람들이 무의식의 그림자를 대하는 네 가지 방식과 연계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그림자를 소재로 하는 두 그림책에서 인물이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고 이를 받아들이는 방식을 비교하여 살피고자 한다. 두 그림책에서 그림자를 인식하는 과정이 다문화 교육에서 그림자를 통합하는 과정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림자를 인정하고 바르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은 그림자를 회피하거나 억제하지 않고 자기 안으로 통합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그림자는 자기 삶의 모든 과정에서 함께 해야 할 존재임을 알고 이를 긍정적인 태도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그림자 원형 연구 -「남쪽 계단을 보라」, 「피아노와 백합의 사막」, 「에스키모 왕자」를 중심으로 -

        이신조 ( Lee Shin-j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8

        본고는 윤대녕의 소설에 나타난 ‘그림자’ 원형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윤대녕의 소설에 대한 해석의 폭을 넓히려 한다. 이는 또한 90년대 한국소설의 전반적 특징인 ‘무의식의 현현’을 새롭게 이해하는 방식인 동시에, 분석심리학의 이론 체계가 문학형식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기능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윤대녕은 ‘존재론적 질문’이란 소설적 화두를 정밀하게 지속하고 있는 작가이며, 90년대라는 시대의 징후를 가장 뚜렷하게 구현한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90년대는 80년대의 ‘대립항’으로 그 시대적 성격이 규정된다. 이는 역사적 측면에서나 문학적 측면에서나 논리적 타당성을 갖지만, 그러한 관점은 두 시대의 갈등과 단절을 지나치게 평면적으로 강조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본고는 90년대적 특징이 충실히 반영된 윤대녕의 소설을 분석함에 있어, 무의식적 원형인 그림자가 여러 작품 속에 다채롭게 형상화되어 있음에 주목했다. ‘무의식의 어두운 부분’, ‘제대로 받아들여지는 것에 실패한 개인 혹은 집단의 그늘진 측면’이라 정의할 수 있는 그림자는 그 출현 자체가 존재론적 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림자 출현을 위한 조건 조성과 의식화를 향한 통합 과정 역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남쪽 계단을 보라」는 그림자의 출현 과정이 ‘비현실적 경험’과 ‘뜻밖의 인물과의 조우’라는 모티프로 연견된다. ‘남쪽 계단’은 그림자가 등장하기 전 무의식의 세계로부터 모종의 메시지가 도착하는 상징적인 장소이며, 주인공은 그 비현실적인 전조를 통해 자신의 그림자가 인격화된 존재인 ‘옛 친구’와 갑작스럽고도 이례적인 만남을 가진다. 그림자와의 대면은 부정하고 억압했던 또 다른 자신과의 만남이다. 소설은 무의식적 진실의 인지가 동요와 혼란을 초래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심리적 지평을 경험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시킨다. ‘페르소나’는 그림자와 대척점에 위치한 무의식적 원형으로 ‘개인의 사회적 얼굴’, ‘인습적인 적응의 가면’을 의미한다. 「피아노와 백합의 사막」에서 주목할 점은 그림자 출현에 ‘페르소나의 압도’라는 현상이 선행한다는 점이다. 과거 순수했던 시절에 대한 ‘실낙원’의 경험을 가진 주인공은 ‘세속적 삶’이라는 페르소나의 지배 속에 그림자의 신호를 감지한다. 사막으로의 여행이란 설정은 그대로 무의식 세계에 대한 탐사로 기능한다. 그림자와 페르소나는 분명 갈등한다. 그러나 소설은 그 갈등의 성격이 대립적이라기보다 보완적이며 보상적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에스키모 왕자」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여정’이 기행 소설 혹은 판타지 모험담의 형태로 전개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그림자는 인격화된 타인이 아닌 ‘환상적 대상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무의식적 원형을 소설로 구현하는 가능성에 있어 새롭고 독창적인 상상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삶에서 벗어난 주인공이 마주하는 그림자의 실체는 과거의 치명적인 상처와 감당불가의 죄의식이다. 때문에 모종의 ‘애도 의례’를 실행하는 주인공은 그림자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을 상징적으로 경험한다. 분석심리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심리적 전체성은 완벽이나 완전이 아닌, 조화와 균형을 의미한다. 부정되고 억압된 그림자는 자아로 하여금 제 존재에 대한 인정과 해방이라는 의식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면적 요구에 대한 응답을 단순한 개인주의의 발현이라 치부하기 어려운 이유다. 윤대녕의 소설은 무의식에 잠재된 그림자를 형상화시켜, 지나친 편향성이 지배하는 페르소나를 극복하고 무의식적 통합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독자에게 개별적이면서도 보편적인 문학적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range of interpretation on Yoon Dae-nyeong’s novels by examining the archetype of ‘shadow’ seen in Yoon’s novels from analytical psychological perspective. This is also the method to newly understand the classic characteristic of Korean novels in the 9 0s, which is ‘unconscious manifestation’, and at the same time, an attempt to examine the possibility in how theoretical structure of analytical psychological can be utilized and function in literary form. Yoon Dae-nyeong is evaluated as the writer that precisely continues to raise the fictitious topic of ‘ontologistic question’ and most clearly realizes the timely signs of the 90s. Generally, 90s is stipulated as the ‘opposite’ of the 80s. This holds logical validity both historically and literarily, but such perspective may result in overly emphasizing the conflicts and severance between the two periods superficially. In analyzing Yoon Dae-nyeong’s novels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90s is faithfully reflec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hadow, unconscious archetype, was embodied variously in different works. Shadow, which can be defined as the ‘dark side of the unconsciousness’, or ‘the dark side of an individual or a group that failed to be properly accepted’, serves to erform its ontologistic duty just by appearing. In「Behold the Southern Stairs」, the appearing process of shadow connects to the motif of ‘unrealistic experience’ and ‘encounter with unexpected character’. ‘Southern stairs’ is the symbolic place where a certain message arrives from unconscious world before shadow arrives, and the main character has a sudden and exceptional encounter with the ‘old friend’, a personified existing of his shadow, through this unrealistic sign. Encounter with the shadow is the meeting with his another self that he avoided and suppressed. This novel confirms that while the recognition of unconscious truth causes disturbance and chaos, but at the same tim e, it leads to the experience of a new psychological prospect. ‘Persona’ is the unconscious archetype at the antipode of shadow, and signifies ‘individual’s social face’ and ‘conventional mask of adaptation’. What is notable in 「The Desert of the Piano and Lilies」is that the p henomenon of ‘overwhelming by persona’ precedes the appearance of sha dow. The main character, who has the experience of ‘lost paradise’ abo ut the pure days in the past, detects the signs of the shadow in the control of persona defined by ‘secular life’. The setting of trip to desert fu nctions as the exploration to the unconscious world. The shadow and persona clearly have conflicts. However, this novel shows that such conflicts are complementary and compensatory, rather than conflicting. In「Eskimo Prince」, the ‘journey of ritualizing the unconscious’ develops in the form of a travel log or fantasy adventure. The shadow that appears in this work is embodied as a ‘fantastic object’, rather than a personified figure. In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unconscious archetype into a novel, a case of new and unique imagination can be seen. The truth of the shadow that the main character, who escapes from the previous life, faces is the fatal wound of the past and unequal sense of guilt. Therefore, while performing some sort of ‘mourning ritual’, the main character symbolically experiences the integration of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through the death and revival of the shadow. The psychological identity that analytical psychology ultimately pursues is harmony and balance, hot perfection or completion. Denied and suppressed shadow demands consciousness raising from the ego, such as acknowledgement and liber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response to such internal demand can’t be regarded simply as the manifestation of individualism. By embodying shadow that is dormant in unconsciousness, overcoming persona that excessive bias dominates and showing the process of unconscious integration, Yoon Dae-nyeong’s novels offers individual yet general literary inspiration to his readers.

      • KCI등재

        영화 <완득이>에 나타난 그림자 인식과 승화

        이상란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8

        In diesem Aufsatz handelt es sich darum, wie der Hauptdarsteller Wandugi seinen Schatten erkennen und sublimieren kann. Teenager Wandugi hat sich gewachsen in der Ein-Eltern-Familie mit dem Vater, der bucklig und arm ist. Sein Vater hat im Club 'KKotmascha' als Tänzer arbeitet. Der Club war die ganze Welt für Wandugi, weil er die meisten Zeiten während seiner Kindheit dort verbracht hat. Der Film fängt mit dem Flashback an, in dem sein Vater im Club den Stepptanz tanzt. Wandugi nahmt nicht nur den Tanz nach, sondern auch sieht, daß die Betrunkene sich gewalttätig streiten. So ist er im Vergnügungsviertel für Erwachsene aufgewachsen. Dazu hat seine Familie unter der wirtschaftlichen Schwierigkeiten und der sozialen Vorurteilen wegen des köperlichen Behindernisses des Vaters gelitten. Dies sind den Schatten von Wandugi zu bilden. Nach Jung besteht der Schatten aus dunklen Charakterzügen und Minderwertigkeiten des Ichs. Der Schatten hat eine emotionale Natur, bzw. gewisse Autonomie. Wenn man den Schatten nicht bewußt macht, wird oft er in die außen projiziert. Einen Menschen seinen Schatten gegenüberstellen, heißt ihm auch sein Lichtes zeigen. Wenn man das einige Male erfahren hat, wenn man urteilend zwischen den Gegensätzen steht, dann spürt man unvermeidlicherweise, was mit dem eigenen Selbst gemeint ist. Wer zugleich seinen Schatten und sein Licht wahrnimmt, sieht sich von zwei Seiten, und damit kommt er in die Mitte. Immer wenn jemand den Vater höhnet oder dem Vater Gewalt antut, wird Wandugi automatisch mit starken Gewalt respondiert. Dies läßt sich als Projektion seines Schattens bezeichnen. Aber sein Lehrer Tongju stellt ihn seinen Schatten wiedermals gegenüber. Mit Hilfe seines Lehrers steht er langsam zwischen den Gegensätzen. Endlich findet er den Ausweg durch das Kickboxen. Durch nachhaltige Trainings kann er seine unkontollierbaren Affekten d.h. seinen Schatten sublimieren, wie ein Alchimist sein Lapis polieren kann. Endlich bei dem Wettbewerb mit dem starken Partner trifft Wandugi eigenen 'Selbst'. In dem Moment lacht er mit voller Freude trotz seiner Niederlage aus. Der Film endet mit seiner dynamischen Gestik beim Rennen. Dadurch können die Zuschauer ahnen, daß Wandugi trotz der verschiedenen Schwierigkeiten in der Zukunft sich Selbst verwirklichen könnte. Der Film läßt sich den Prozeß der Erkenntnis und der Sublimation des Schattens des Hauptdarstellers veranschaulichen und auch darstellen, wie wichtig ist in diesem Prozeß sowohl die Funktionen der Familie und Mentoren in der Gesellschaft z.B. des Lehrers Tongju und des Meisters des Kickboxens, als auch die alternative Gemeinschaft(z.B. die kleine christliche Gemeinde, die von Tongju eingerichtet wurde), die verbundeten Individuen und die unvollständigen Familie einschließen kann. 본고에서는 영화 <완득이>의 주인공 완득이의 그림자 인식과 승화과정에초점을 맞춰 논의하였다. 아버지만 함께 사는 한 부모 가정의 사춘기 소년 완득이가 사회적 편견,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심리적 고립감 등으로 좌충우돌하다가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고 출구를 찾아 승화해 가는 과정을 융의 분석심리학에 근거하여 천착하였다. 그림자란 자아의 어두운 면으로서 자아에 의해배척되어 무의식에 저장되어 있는 열등한 측면들을 일컫는다. 완득이의 그림자는 무의식적 교육환경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아버지의 신체적 사회적 약점들로 인해 형성된 부끄러움과 그에 대한 분노임을 분석해내었다. 그림자는 아버지의 약점을 공격하는 대상들에게 투사되어 격렬하고 통제할 수 없는 폭력으로 분출된다. 영화는 완득이의 그림자투사과정을 완득이의 시점샷과 격렬한팬의 흔들림, 슬로우 모션 등의 기법을 통해 관객들에 강한 인상을 남긴다. 완득이가 자신의 그림자를 그 스스로의 직시와 담임 선생인 동주의 자극과 격려에 의해 인식하게 되고, 그것을 승화시킬 출구를 찾아간다. 완득이는 그림자를 승화할 출구를 킥복싱에서 찾고 치열하게 자신과 대면한다. 결국 그는 고교 랭킹 3위인 대상과의 스파링에서, 자신의 빛과 그림자를 발견하여 자신의중심에 있는 보석을 발견해낸다. 이러한 완득이의 그림자 통합의 과정을 영화는 강조해서 보여준다. 특히 혼신을 다한 스파링 장면에서, 패배하여 쓰러지는슬로우 모션과 링 위에서 보여주는 완득이의 희열이 가득한 웃음이 클로즈업으로 포착되어 강조되는데 이때가 바로 그림자의 창조적 변환임을 천착하였다. 영화 <완득이>에서는 완득이의 자기실현과정이 그림자의 인식과 승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동시에 그를 지지하는 가족구성원과 사회 속의 멘토인이동주와 사범 그리고 그를 감싸줄 수 있는 대안적 공동체의 조력이 강조됨을분석했다.

      • KCI등재

        영화 < 완득이 >에 나타난 그림자 인식과 승화

        이상란 ( Sang Lan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8

        In diesem Aufsatz handelt es sich darum, wie der Hauptdarsteller Wandugi seinen Schatten erkennen und sublimieren kann. Teenager Wandugi hat sich gewachsen in der Ein-Eltern-Familie mit dem Vater, der bucklig und arm ist. Sein Vater hat im Club ``KKotmascha`` als Tanzer arbeitet. Der Club war die ganze Welt fur Wandugi, weil er die meisten Zeiten wahrend seiner Kindheit dort verbracht hat. Der Film fangt mit dem Flashback an, in dem sein Vater im Club den Stepptanz tanzt. Wandugi nahmt nicht nur den Tanz nach, sondern auch sieht, daß die Betrunkene sich gewalttatig streiten. So ist er im Vergnugungsviertel fur Erwachsene aufgewachsen. Dazu hat seine Familie unter der wirtschaftlichen Schwierigkeiten und der sozialen Vorurteilen wegen des koperlichen Behindernisses des Vaters gelitten. Dies sind den Schatten von Wandugi zu bilden. Nach Jung besteht der Schatten aus dunklen Charakterzugen und Minderwertigkeiten des Ichs. Der Schatten hat eine emotionale Natur, bzw. gewisse Autonomie. Wenn man den Schatten nicht bewußt macht, wird oft er in die außen projiziert. Einen Menschen seinen Schatten gegenuberstellen, heißt ihm auch sein Lichtes zeigen. Wenn man das einige Male erfahren hat, wenn man urteilend zwischen den Gegensatzen steht, dann spurt man unvermeidlicherweise, was mit dem eigenen Selbst gemeint ist. Wer zugleich seinen Schatten und sein Licht wahrnimmt, sieht sich von zwei Seiten, und damit kommt er in die Mitte. Immer wenn jemand den Vater hohnet oder dem Vater Gewalt antut, wird Wandugi automatisch mit starken Gewalt respondiert. Dies laßt sich als Projektion seines Schattens bezeichnen. Aber sein Lehrer Tongju stellt ihn seinen Schatten wiedermals gegenuber. Mit Hilfe seines Lehrers steht er langsam zwischen den Gegensatzen. Endlich findet er den Ausweg durch das Kickboxen. Durch nachhaltige Trainings kann er seine unkontollierbaren Affekten d.h. seinen Schatten sublimieren, wie ein Alchimist sein Lapis polieren kann. Endlich bei dem Wettbewerb mit dem starken Partner trifft Wandugi eigenen ``Selbst``. In dem Moment lacht er mit voller Freude trotz seiner Niederlage aus. Der Film endet mit seiner dynamischen Gestik beim Rennen. Dadurch konnen die Zuschauer ahnen, daß Wandugi trotz der verschiedenen Schwierigkeiten in der Zukunft sich Selbst verwirklichen konnte. Der Film laßt sich den Prozeß der Erkenntnis und der Sublimation des Schattens des Hauptdarstellers veranschaulichen und auch darstellen, wie wichtig ist in diesem Prozeß sowohl die Funktionen der Familie und Mentoren in der Gesellschaft z.B. des Lehrers Tongju und des Meisters des Kickboxens, als auch die alternative Gemeinschaft(z.B. die kleine christliche Gemeinde, die von Tongju eingerichtet wurde), die verbundeten Individuen und die unvollstandigen Familie einschließen kann. 본고에서는 영화 <완득이>의 주인공 완득이의 그림자 인식과 승화과정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였다. 아버지만 함께 사는 한 부모 가정의 사춘기 소년 완득이가 사회적 편견,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심리적 고립감 등으로 좌충우돌하다가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고 출구를 찾아 승화해 가는 과정을 융의 분석심리학에 근거하여 천착하였다. 그림자란 자아의 어두운 면으로서 자아에 의해 배척되어 무의식에 저장되어 있는 열등한 측면들을 일컫는다. 완득이의 그림자는 무의식적 교육환경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아버지의 신체적 사회적 약점들로 인해 형성된 부끄러움과 그에 대한 분노임을 분석해내었다. 그림자는 아버지의 약점을 공격하는 대상들에게 투사되어 격렬하고 통제할 수 없는 폭력으로 분출된다. 영화는 완득이의 그림자투사과정을 완득이의 시점샷과 격렬한 팬의 흔들림, 슬로우 모션 등의 기법을 통해 관객들에 강한 인상을 남긴다. 완득이가 자신의 그림자를 그 스스로의 직시와 담임 선생인 동주의 자극과 격려에 의해 인식하게 되고, 그것을 승화시킬 출구를 찾아간다. 완득이는 그림자를 승화할 출구를 킥복싱에서 찾고 치열하게 자신과 대면한다. 결국 그는 고교 랭킹 3위인 대상과의 스파링에서, 자신의 빛과 그림자를 발견하여 자신의 중심에 있는 보석을 발견해낸다. 이러한 완득이의 그림자 통합의 과정을 영화는 강조해서 보여준다. 특히 혼신을 다한 스파링 장면에서, 패배하여 쓰러지는 슬로우 모션과 링 위에서 보여주는 완득이의 희열이 가득한 웃음이 클로즈업으로 포착되어 강조되는데 이때가 바로 그림자의 창조적 변환임을 천착하였다. 영화 <완득이>에서는 완득이의 자기실현과정이 그림자의 인식과 승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동시에 그를 지지하는 가족구성원과 사회 속의 멘토인 이동주와 사범 그리고 그를 감싸줄 수 있는 대안적 공동체의 조력이 강조됨을 분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