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 (1)

        趙元任(Yuanren Zhao),姜雲和(번역자),沈小喜(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3

        ‘한어병음자모’는 중국어를 표기하는 로마자모이다. 로마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각 국가별 로마자의 음가가 달라서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발음 오류를 일으키는 단초가 되기도 할 뿐만 아니라 ‘한어병음자모’를 ‘발음부호’로 오인하여 중국어 학습에 심각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5⋅4 신문화 운동 후, 1923년 ‘국어통일회(國語統一會)’에서 ‘국어로마자철자법연구위원회(國語羅馬字綴字法硏究委員會)’가 조직되었고, 유복(劉復) 조원임(趙元任), 전현동(錢玄同) 여금희(黎錦熙) 등을 중심으로 ‘수인회(數人會)’가 결성되어 “국어로마자병음방식(國語羅馬字拼音方式)”을 만들어 1928년 “국음자모(國音字母第二式)”로 공포하였다. “수인회(數人會)”에서 전문적인 언어 문자 이론을 개진하여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 제정에 큰 역할을 한 조원임(1892-1982)은 <국어로마자연구>에서 국어로마자의 특성과 설계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는데, 그의 주장은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1928) 뿐만 아니라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1931)와 “한어병음자모(1958)”에 관철되어 중국어-로마자 병음 설계의 기본 체계로 제공되었다. 그러므로 “한어병음자모”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중국어 교수 및 학습에 이바지하기 위해선 조원임의 <국어로마자연구>를 숙지하여 한어병음자모의 설계 원칙과 및 활용 상황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Chinese Pinyin alphabet’ is a Roman alphabet that represents Chinese. The Roman alphabet is the most used in the world,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oman alphabet in each country is different, which can cause Chinese learners to make pronunciation error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Chinese Pinyin alphabet’ as a ‘phonetic code’ that assist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using serious confusion in Chinese learning. After the 5.4 Neo-Cultural Movement, a claim was made to abolish Chinese characters and adopt the Roman alphabet, which has been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as a font since then. The ‘數人會’ under ‘committee for the study of roman orthography in mandarin(國語羅馬字綴字法硏究委員會)’ was consisted of Liu Fu(劉復, 1878-1960), Chao Yuen Ren(趙元任, 1892—1982), Qian Xuan Tong(錢玄同, 1887—1939), Li Jinxi(黎錦熙, 1890—1978), etc. The ‘數人會’ created the “Romanization of Mandarin(國語羅馬字拼音方式)” and promulgated in 1928 as “Chinese characters(國音字母(第二式)”. Yuen Ren Chao(1892-1982),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enactment of ‘Gwoyeu Romatzyh(國語羅馬字)’ by developing a professional language character theory, described the design principle minutely in his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Not only ‘Gwoyeu Romatzyh(國語羅馬字)’ but also “Latinized Chinese Character(1931) and “Chinese Pinyin alphabet (1958) serv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Chinese-Roman Pinyin. Recognition of the design basic and true nature of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by Yuen Ren Chao is required to understand “Chinese Pinyin alphabet” correctly.

      • KCI등재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 (2)

        강운화,심소희 중국어문논역학회 202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4

        ‘Chinese Pinyin alphabet’ is a Roman alphabet that represents Chinese. The Roman alphabet is the most used in the world,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oman alphabet in each country is different, which can cause Chinese learners to make pronunciation error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Chinese Pinyin alphabet’ as a ‘phonetic code’ that assist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using serious confusion in Chinese learning. Yuen Ren Chao(1892-1982),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enactment of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 by developing a professional language character theory, described the design principle minutely in his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Not only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 but also “Latinized Chinese Character (1931)” and “Chinese Pinyin alphabet (1958)” served as a foundation for designing Chinese-Roman Pinyin. Recognition of the design basic and true nature of <A Study on Romanization in Mandarin> by Yuen Ren Chao is required to understand “Chinese Pinyin alphabet” correctly. “한자가 멸하지 않으면 중국이 망한다(汉字不灭, 中国必亡)”라는 한자에 대한 절체절명의 위기감으로 한자를 폐지하고 한자를 대체하는 표음문자를 모색하였던 시기에, 조원임 본고에서 중국인 인명은 한국한자음(한자)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趙元任, 1892-1982)은 「국어로마자 연구」에서 국어로마자의 특성과 설계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혁신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후, 그의 주장은 국음자모(제2식)였던 “국어로마자(國語羅馬字)”(1928)의 바탕 이론이 되었고, “라틴화 신문자(拉丁化新文字)”(1931)를 거쳐, “한어병음자모(1958)”의 정서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물론 조원임이 「국어로마자 연구」에서 제안하였던 내용이 ‘한어병음자모’에 모두 관철되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100년 전 조원임이 제안한 ‘국어로마자’의 제정 취지와 정서법이 어떻게 변모하여 ‘한어병음자모’에 구현되었는지, 그 변화 추이를 통하여 ‘한어병음자모’의 설계 원칙과 및 활용 상황을 파악하고 ‘한어병음자모’의 본질을 재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趙元任의 <國語羅馬字 硏究>(1)」에서는 ‘1장 로마자를 반대하는 10가지 질문(反对罗马字的十大疑问)’, ‘2장 국어로마자 초고(国语罗马字的草稿)’이 번역되었는데, 이를 이어서 본고에서는 ‘3장 국어로마자를 설정할 때 주의해야 하는 원칙(凡是拟国语罗马字的应该注意的原则)’, ‘4장 국어로마자에 대한 의문점(关於国语罗马字的未定的疑點)’, ‘5장 국어로마자의 추진 방법(国语罗马字推行底方法)’을 번역하였다.

      • KCI등재

        로마자표기의 규범과 현실 -회사명 표기를 중심으로-

        정경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Romanizaton of Korean and it's use in company names. Romanizaton of Korean is the one of the important means to introduc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foreigners who could not understand Korean language. For this reason Korea have established Romanizaton of Korean formally and have enlightened the Korean nation to use this writing system accurately for a long time. After 1948, the regulation of Romanizaton of Korean was amended for four times, most recently it had amended in 2000. Because of frequent amendment like these, most of Korean have not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norm and they use personal romanization system in place of formal system. So when considered the use of the regulation in real, I found that it was not been observed in a wide range, for example personal names, place names, group names etc. In company names the rate of full observation of the regulation was no more than 29.6%. I suggested three issues for this reason, issue of regulation itself, issue of social recognition and issue of policy about the regulation. In conclusion, I proposed that to settle down this regulation,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are the most important policy. 이 논문은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한국 사회에서 표기법의 준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사명의 로마자표기를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은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 하는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알리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의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정부는 공식적으로 로마자표기법을 제정하고 이를 정확히 사용하도록 계도하고 있다. 그러나 1948년 이후 4번에 걸친 로마자표기법의 개정은 오히려 한국 사회에 이 표기법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내용에 대한 이해 부족을 초래하여 현실에서의 표기 양상을 살펴보면 표기법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게 할 만큼 혼란스럽다. 회사명의 로마자표기를 살펴보면 전체의 29.6%만이 규범에 적합한 표기로 나타날 만큼 개별적인 표기가 주를 이루고 있고 이는 인명이나 단체명, 지명 등의 표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규범자체의 문제, 사회적 인식의 문제, 정책의 문제 등 세 가지 원인이 지적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규정의 개정보다는 일단 정해진 규정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로마자표기법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김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 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 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로마자 표기법의 언어정책적 현실

        정경일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0 No.-

        On July.2000. the government of Korea formally proclaimed its new system of Romanization. It was the fourth official Romanization since 1945 the establishment of Korea government. However actually most of Korean does not know about the content of romanization, what is worst some of them intentionally ignore it. This paper discussed that the reason why most Korean did not observe the standard of Romanization was the mistake and lack of the policy related education, publication, writing road sign, personal name etc. As a conclusion, I supposed that education of romanization would be started at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it would be included in English curriculum as well as Korean. When writing road sign, we ought to define newly that the fundamental notion what is the Roman letter. Because of most of korean consider Roman letter as English letter. Of course this is not only related with road sign but the basic point of romanization itself. Also when to register the trade name, it would be checked that the writing of the trade name coincide with the rule or not.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어문규범의 하나로 국어를 외국인으로 하여금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 규범은 현실적으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도로표지 또는 일부 문화재의 표기 등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국어 로마자 표기법이 준수되지 않는 데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표기법 자체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표기법에 관한 사회적 인식부족이다. 본고는 후자의 경우에 촛점을 맞춰 이러한 인식부족이 표기법에 대한 교육을 비롯한 언어정책적 차원의 문제에서 비롯되었음을 논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인 교육의 경우 그동안 정규 교과과정에서 공식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인식부족이 초래되었으며, 일상적으로 접하는 도로표지의 경우에도 정부와 지자체의 표기법에 일관성이 없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표기법의 개정과 교육의 강화, 도로표지의 일원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등을 논하고 이를 통해 로마자표기법의 조속한 정착에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인명 로마자 표기 사용 실태 조사

        이규범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ertain aspects of Romanized names that are conventionally us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ir usage. Accordingly, the aspects of “Romanization” of Korean names were investigated using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notation patterns of vowels were summarized centering on ㅓ, ㅜ, ㅡ, ㅐ, ㅔ, ㅚ, ㅟ, ㅕ, and ㅢ. “ㅐ (ae)” (95.0%), “ㅔ (e)” (83.3%), “ㅡ (eu)” (71.7%), and “ㅜ (u)” (53.3%) were preferred to be marked according to the current regulations rather than convention notation. However, “ㅓ (eo),” “ㅚ (oe),” “ㅕ (yeo),” and “ㅢ (ui)” were used as “u” (66.7%), “oi” (60.0%), “yu” (63.3%), and “ee” (53.3%), respectively. “ㅟ (wi)” had the highest regular notation among various notations, but as many as 13 distinct customary notations were observed. The frequent change in the Romanization system was indicated to be the cause of various Romanization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existing Romanization of company names and school names was found to be the cause. 본고는 인명 표기에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법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중심으로 인명에 대한 ‘로마자 표기법’ 의 실태를 조사하여, 모음 ‘ㅓ, ㅜ, ㅡ, ㅐ, ㅔ, ㅚ, ㅟ, ㅕ, ㅢ’에 표기 양상을 정리하였다. ‘ㅐ(ae)’(95.0%)와 ‘ㅔ(e)’(83.3%), ‘ㅡ(eu)’(71.7%), ‘ㅜ(u)’(53.3%)는 현 규정에 따른 표기가 선호되고 있으나, ‘ㅓ(eo)’는 ‘u’(66.7%)로, ‘ㅚ(oe)’는 ‘oi’(60.0%)로, ‘ㅕ(yeo)’는‘yu’(63.3%)로, ‘ㅢ(ui)’는 ‘ee’(53.3%)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였다. ‘ㅟ(wi)’는 다양한 표기양상 중 정표기(33.3%)가 가장 높으나 무려 13개나 되는 다양한 관습적 표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표기 양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잦은 로마자 표기법의 변화와 기업명, 학교명 등 통용 로마자 표기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영문표기를 중심으로 본 서구학계의 고구려 · 발해 연구와 성과 소통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서구학계에서 사용되는 고구려, 발해의 영문 표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의회도서관의 서지 분류와 JSTOR(Journal Storage)이라는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련 연구성과를 추출하고 표기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자를 통해서는 한국 성과의 서구학계 소개과정을, 후자로는 서구학계의 연구성과를 파악하였다. 양자 모두 관련 성과는 2000년대부터 급격하게 양적으로 성장하였는데 중국의 고고발굴 성과 공개 및 동북공정에 대한 관심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Goguryeo와 Balhae로 표기해야 하지만 서구학계에서는 Koguryo로 표기되는 사례가 90%에 상응할만큼 주류를 이루고 있다. Parhae의 경우는 이보다는 적지만 65% 내외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달리 일본이나 중국 발음의 표기 용어는 아직 소수에 한정된다. 서구학계에 고구려, 발해가 한국학의 대상으로 진입되어 이러한 표기가 선험적 지식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기용어는 용어 사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연구의 성과를 연계하고 학술 소통을 주도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초래하는 효과는 적지 않다. 그러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으로 2000년 이후 Goguryeo와 Balhae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때때로 이들 용어는 Koguryo로 표기된 데이터베이스에 Goguryeo가 부기되면서 혼란을 부추기도 한다. 더욱이 JSTOR상에서 확인되는 최근 연구에서 발해 표기 용어는 Parhae가 가진 기존의 선점권이 무의미해질 정도로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Bohai 사용이 증가되는 가운데 Balhae의 사용이 가세한 탓이다. 발해사를 둘러싼 한중간의 온도 차를 감안해 볼 때 이런 현상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현실에서 해당 표기용어를 굳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맞추어야 하는지 다시금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궁극적으로 영문 표기의 독자는 영어를 사용하는 서구학계의 연구자들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한국 관련 학술 정보를 용이하게 수용하고 기존의 인식 체계 위에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용어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treats on romanization of Goguryeo and Balhae used in Western academia. Related research results on the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of U.S. Congressional Library and JSTOR were extracted and the status of notation terms was analyzed. Through the former,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Western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achievements was identified, and the latter was cover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Western academic community. The related achievements of both databases have grown rapidly in quantity since the 2000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are due to interest in the resul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the conflicts of the Northeast Process in China. According to the current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it should be written as Goguryo and Balhae. But in Western academia, 90% of cases are marked as Koguryo and Parhae accounts for around 65%, although less than this. In contrast, the romanization terms in Japanese or Chinese pronunciation are still limited to a few. This shows that Koguryo and Parhae have entered the Western academic society as the subject of Korean studies and this romanization has already become a priori knowledge. Th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very high because the romanization term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terms, but also links the results of related research and leads academic communication. However, ‘Goguryeo’ and ‘Balhae’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the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at 2000. Sometimes these terms cause confusion as Goguryo is added to the database based Koguryo. Moreover, in JSTOR various terms of recent studies identified on are being mixed so that Parhae’s existing preemptive rights become meaningless. This is due to the addition of Balhae’s use amid the increasing use of Bohai. Considering the cognition’s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surrounding Parhae history, this phenomenon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In this situation, we cannot help but have a question whether these terms should be tailored to the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 Ultimately, the readers that romanization targets are researchers from Western academia who speak Engl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ptimal terms that allow them to easily accept Korean-related academic information and reproduce it on the existing recognition system. In addition,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flicting perceptions inherent in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Congressional Library. Koguryo’s bibliographies is classified in Korean history, while Parhae’s ones maintains the principle of including it as Chinese history. However, even in the case of Parhae, it is included in the Korean history classification when composed along with Koguryo, Silla, or North Korea. There is also a point to note about the recent trend identified through JSTOR. The situation in which ‘Parhae’ became mainstream has been chainging and it seems to be shifting to a similar quantity to Balhae and Bohai. Considering that ‘Balhae’ is mainly used by Korean scholars, it is more appropriate to maintain the superiority that ‘Parhae’ has unless ‘Balhae’ can substitute. Next, Western academia’s interest in Koguryo and Parhae tends to be treated as a world historical streams in the East Asia or Eurasia rather than as a single phenomenon or a single dynasty.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of Goguryeo and Balhae as a field of overseas Korean studies and attract attention, research approaching from a broader perspective needs to be published in English.

      • KCI등재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

        김선철(Seon Cheol Kim)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sit some issues on the choice of Korean Romanization Regulation in terms of graphemics and language policy, in order to present new things to be considered in evaluating or revising it. As a result, I propose the followings: Firstly, the term ``romanization``, not ``English-characterization`` is proper. Secondly, we`d better differentiate the main users of orthographical regulations from those of orthography. Thirdly, we should remind ourselves that the main function of a phonemic writing system is sufficient visual discrimination among words. Meanwhil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making orthographical regulation with other phonemic characters that are not one`s own: Firstly, transliterational orthography would be better than transcriptional one in terms of referential consistency(consistency of things to transcribe). Secondly, the owners name with personal right should be excluded as orthographical objects in case there exists possible intrusion of the right. Thirdly, excessive usage of hyphen like that in the current Korean Romanization Regulation is not reasonable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and morphophonemical principles. Fourthly, examples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regulation or should be given the exact status on account of the fact that their status could be debated whether they are fixed norm or not.

      • 훈민정음 28자 물리과학적 기호형태연구

        Seung Hwan, Kim 한국어정보학회 2016 한국어정보학 Vol.18 No.2

        본 硏究는 朝鮮王國의 世宗大王(1397-1450)이 創製한 訓民正音에 기록한 문자창제와 창제원리를 바탕으로 물리적 과학적 방법으로 문자 형상을 연구하였다. 훈민정음의 과학적 풀이의 통해 문자의 형태와 정음의 깊이를 현대과학으로 풀이하 였다. 새로운 정음의 과학적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그래픽 자료를 제안해서 정음의 깊이 를 이해하기 쉽게 하여 정음 사용자가 스스로 익혀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정음의 調音기관에서 정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과학적인 시각으로 설명하였고, 현대 言語學이론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과제의 결정은 로마자 알파벳 26자의 刑象이 소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짐을 예상 할 수 있고, 로마자 알파벳 대문자와 소문자의 형태가 사용 환경에 따라 형성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과제를 통해 훈민정음 28자의 위상을 세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현대적 기법으로 이미지 자료를 개발해서 보여줌으로써 정음자와 로마자가 동일한 규격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文化國家로써 국격을 向上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성대에서 발성한 음이 조음기관의 작용으로 공명음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조음기관의 요소가 다양한 조음을 생성하였고 조음의 규모를 정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전과학을 이해하고 현대과학을 접목하여 말소리를 규명하여 자모 음으로 정음을 定義해 보았다. 정음의 規格을 精密하게 提示함으로써 정음을 사용자 스스로 가르치고 배우고 익혀 쓸 수 있게 하였다. 정음의 구사는 자연의 소리를 사람들에게 바르게 듣고 말함으로서 情報傳達力을 높 이는 계기가 되고, 인간의 相互간 소통의 질이 보다 좋아질 것이다. 사람과 정보기기 간에 소통효율도 증대되어 정보기기의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 KCI등재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

        이상규(Lee Sang-gyu)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8

        This paper presents problems with foreign words that appear in the notation, and that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presented. Fundamental Law of languages provisions and language, particularly language based and foreign words that minimize the error between the provisions of conventions to which the “Dictionary of the standard language” would need to reflect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