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Photoelastic evaluation of Mandibula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정원중,장성호,윤영주,김광원,Jung, Won-Jung,Jang, Sung-Ho,Yoon, Young-Jooh,Kim, Kwang-Won The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에 의해 하악 제2대구치의 치근단과 그 주위의 치조골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악의 치조골을 재현하기 위해 PL-3 형의 epoxy resin과 PL-3 보다 경질인 레진치아를 사용하여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를 광탄성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광탄성 모현상에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하고 힘을 가하기 전과후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원형편광기 를 사용하여 모형의 전후방에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설측 치조정과 치근첨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나타났고 회전중심이 치근 협측면의 중간 1/3부위와 치근첨 부위에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 2대구치에 협측으로의 비조절성 경사이동 및 회전력이 발생하였다. 2. 하악 제2대구치의 설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에는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보다 치근첨에 더 많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치근하방의 치조골 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으며 치근의 협측면과 치근첨 부위의 회전중심도 없어져 이로 인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 이동 및 함입력이 관찰되었다. 3.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이나 설측에 힘을 가한 경우, 고정원인 제1대구치의 치근첨 부위는 힘을 가하기 전의 초기 응력상태와 비교할 때 응력의 증가는 보이지 않아 구치부 협측 반대 교합의 개선시 하악의 설측 호선은 효과적인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구치부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할 때, 제2대구치의 협측면보다는 설측면에서 힘을 부여하는 것이 교합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는 비조절성 경사이동과 구치의 회전을 피하면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 및 함입력을 적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e forces in the mandibular alveolar bone generated by activation of the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in the treatment of buccal crossbite caused by lingual eruption of mandibular second molar. A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model was fabricated using a photoelastic material (PL-3) to simulate alveolar bone. We observed the model from the anterior to the posterior view in a circular polariscope and recorded photogtaphically before and after activation of the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lingual alveolar crest and root apex area. The axis of rotation also was at the middle third of the buccal toot surface and the root apex, so that uncontrolled tipping and a buccal traction force for the mandibular second molar were developed. 2.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the lingual surface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more stress was observed as opposed to those situations in which the force application was on the buccal surface. In addition, stress intensity was increased below the loot areas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was lost. In result, controlled tipping and intrusive tooth movements were developed. 3. When the traction forte was applied on either buccal or lingual surface of the second molar, the color patterns of the anchorage unit were similar to the initial color pattern of that before the force application. So we can use the lingual arch for effective anchorage in correcting the posterior buccal crossbite. As in above mentioned results, we must avoid the rotation and uncontrolled tipping, creating occlusal interference of the malpositioned mandibular second molar when correcting posterior buccal crossbite. For this purpose, we recommend the lingual traction force on the second molar as opposed to the buccal traction.

      • KCI등재

        구치부 반대교합의 조기치료에 대한 치험례

        이은미,강동균,김태완,김영진,남순현,김현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구치부 반대교합은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종종 나타나는 부정교합으로서,유병율은 7∼23%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상악 치아의 협측 교두가 대합되는 하악 치아의 협측 교두의 설측에 교합하는 상태이며,하나의 치아 또는 한 치아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구치부 반대교합의 경우, 보통 자발적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견되는 즉시 치료해주는 것이 추천된다. 치성이나 기능성의 경우 성장함에 따라 골격성으로 이행하여 악골의 변형을 초래하고 교정적인 수단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상태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며,이러한 반대교합의 치료 방법으로는 하악의 변위를 유발하는 조기접촉을 제거하기 위한 교합조정,협소한 상악궁의 확장,치열궁내 비대칭을 치료하기 위한 개개 치아의 배열 등의 방법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유치열기와 초기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구치부 반대교합이 관찰되어 치아의 선택적 삭제와 상악궁의 확장으로 반대교합을 교정한 후 정기적 검진시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osterior cross-bite is a relatively frequent malocclusion in primary and early mixed dentition and the reported prevalence of posterior cross-bite varies from 7% to 23%. It has been defined as a transverse discrepancy in arch relationship which the palatal cusp of the upper posterior teeth do not occlude in the central fossa of the opposing lower teeth, and can be manifested in a single tooth or in a group of teeth. Posterior cross-bite does not often self-correct and therefore immediate treatment is recommended. Occlusal adjustment to eliminate premature contact that causes mandibular deviation, expansion of narrow maxillary arch,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teeth to treat asymmetry within the dental arch are the methods of treating cross-bite. In the present case, functional posterior cross-bite was observed in the primary and the early mixed dentition children. The children were treated by the slow maxillary expansion and occlusal adjustment. The outcome of periodic examinations after the correction of cross-bite was favorable.

      • SCOPUSSCIEKCI등재

        Photoelastic evaluation of Mandibual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Jung, Won Jung,Jang, Sung Ho,Yoon, Young Jooh,Kim, Kwang Won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에 의해 하악 제2대구치의 치근단과 그 주위의 치조골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악의 치조골을 재현하기 위해 PL-3 형의 epoxy resin과 PL-3 보다 경질인 레진치아를 사용하여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를 광탄성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광탄성 모형상에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하고 힘을 가하기 전과후의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원형편광기를 사용하여 모형의 전후방에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설측 치조정과 치근첨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나타났고 회전중심이 치근 협측면의 중간 1/3부위와 치근첨 부위에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 2대구치에 협측으로의 비조절성 경사이동 및 회전력이 발생하였다. 2. 하악 제2대구치의 설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에는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보다 치근첨에 더 많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치근하방의 치조골 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으며 치근의 협측면과 치근첨 부위의 회전중심도 없어져 이로인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 이동 및 함입력이 관찰되었다. 3.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이나 설측에 힘을 가한 경우, 고정원인 제1대구치의 치근첨 부위는 힘을 가하기 전의 초기응력상태와 비교할 때 응력의 증가는 보이지 않아 구치부 협측 반대 교합의 개선시 하악의 설측 호선은 효과적인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구치부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할 때, 제2대구치의 협측면보다는 설측면에서 힘을 부여하는 것이 교합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는 비조절성 경사이동과 구치의 회전을 피하면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 및 함입력을 적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e forces in the mandibular alveolar bone generated by activation of the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in the treatment of buccal crossbite caused by lingual eruption of mandibular second molar. A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model was fabricated using a photoelastic material (PL-3) to simulate alveolar bone. We observed the model from the anterior to the posterior view in a circular polariscope and recorded photographically before and after activation of the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lingual alveolar crest and root apex area. The axis of rotation also was at the middle third of the buccal root surface and the root apex, so that uncontrolled tipping and a buccal traction force for the mandibular second molar were developed. 2.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the lingual surface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more stress was observed as opposed to those situations in which the force application was on the buccal surface. In addition, stress intensity was increased below the root areas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was lost. In result, controlled tipping and intrusive tooth movements were developed. 3.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either buccal or lingual surface of the second molar, the color patterns of the anchorage unit were similar to the initial color pattern of that before the force application. So we can use the lingual arch for effective anchorage in correcting the posterior buccal crossbite. As in above mentioned results, we must avoid the rotation and uncontrolled tipping, creating occlusal interference of the malpositioned mandibular second molar when correcting posterior buccal crossbite. For this purpose, we recommend the lingual traction force on the second molar as opposed to the buccal traction.

      • SCOPUSSCIEKCI등재

        Photoelastic evaluation of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Jang, Sung-Ho,Yoon, Young-Jooh,Kim, Kwang-Won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협측 이소맹출된 상악 제2대구치의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에 의해 상악 제2대구치의 치근단과 그주위의 치조골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악의 치조골을 재현하기 위해 PL-3형의 epoxy resin과 PL-3보다 경질인 레진치아를 사용하여 협측 이소맹출된 상악 제2대구치를 광탄성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광탄성 모형상에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하고 힘을 가하기 전과후의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원형편광기를 사용하여 모형의 전후방에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악 제2대구치의 구개면에 힘을 가한 경우, 협측과 구개측 치근첨에는 무늬차수 0.6차와 치경부에는 무늬차수 0.9차의 응력이 집중이 되어 나타났고 회전중심이 구개측 치근은 치근첨에, 협측 치근은 치근 1/4부위에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2대구치에 구개측으로의 비조절성 경사이동 및 회전력이 발생하였다. 2. 상악 제2대구치의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에는 구개면에 힘을 가한 경우 보다 협측과 구개측의 치근첨에 더 많은 무늬차수 2.2차의 응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치근하방의 치조골 부위에 응력의 발생과 함께 구개측 치근의 회전중심은 사라지고 협측 치근은 치근첨으로 이동하여 이로 인해 구개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 및 함입력이 발생하였다. 3. 상악 제2대구치의 협측이나 설측에 힘을 가한 경우, 고정원인 제1대구치는 치근첨부위에 소량의 응력이 발생하였고, 편측의 제2대구치에만 힘을 가한 경우보다 양측의 제2대구치에 동시에 힘을 가한 경우에서 더 많은 양의 응력이 제1대구치에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협측 이소맹출된 상악 제2대구치의 구치부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할 때, 제1대구치의 고정원 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편측의 제2대구치를 먼저 개선시키고 그후 반대측 제2대구치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개측면보다는 협측면에서 견인력을 가하여 제2대구치에 함입력과 구개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구치의 정출 및 회전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교합장애를 방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e forces in the maxillary alveolar bone generated by the activation of the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in the treatment of posterior buccal crossbite caused by buccal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A photoelastic model was fabricated using a photoelastic material (PL-3) to simulate alveolar bone and ivory-colored resin teeth. The model was observed throughout the anterior and posterior view in a circular polariscope and recorded photographically before and after activation of the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rom this investigation : 1.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the palatal surface of the second molar, stresses were concentrated at the buccal and palatal root apices and alveolar crest area. The axis of rotation of palatal root was at the root apex and that of the buccal root was at the root 1/4 area. In this result, palatal tipping and rotating force were generated. 2. When the traction force was applied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second molar, more stresses than loading on the palatal surface were observed in the palatal and buccal root apices. Furthermore, the heavier stresses creating an intrusive force and controlled tipping force were recorded below the buccal and palatal root apices below the palatal root surface. In addition, the axis of rotation of palatal root disappeared whereas the rotation axis of the buccal root moved to the root apex from the apical 1/4 area. 3. When the traction force was simultaneously applied on the maxillary right and left second molars, the stress intensity around the maxillary first molar root area was greater than the stress generated by the only buccal traction of the maxillary right or left second molar. As in above mentioned results, we should realize that force application on the palatal surface of second molars with the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produced rotation of the second molar and palatal traction, which may cause occlusal interference. That is to say, we have to escape the rotation and uncontrolled tipping creating occlusal interference when correcting buccal posterior crossbite. For this purpose, we recommend buccal traction rather than palatal traction force on the second molar.

      • SCOPUSSCIEKCI등재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의 적용시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연구

        정원중(Jung Won Jung),장성호(Jang Sung Ho),윤영주(Yoon Young Jooh),김광원(Kim Kwang Won)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6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xture exhibited on interproximal enamel surface with each different stripping method and the susceptibility of proximal enamel to demineralization after stripping and the application of a topical fluoride gel and sealant, one hundred human premolars, which were previously extracted for orthodontic reasons were evaluated by means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laser fluoresc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matter what the initial stripping instrument was the furrows that resulted from all the stripping methods were not completely removed by careful polishing. 2. Among the enamel surfaces that were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initial abrasive instruments, followed by they same polishing method (Sof-LexJ disks), the enamel surfaces that were treated with 700 crosscut carbide bur show(.d the smoothest surfaces. 3. The stripped teeth, no matter what the initial stripping instrument was, were less resistant to initial demineralization than untreated teeth. But no difference in caries susceptibility according to differently stripped methods was found (p (0.001). 4. Teeth treated with APF-gel or sealant were more resistant to demineralization than those treated without other treatment after stripping (p <0.001). 5. Comparing groups treated with APF-gel to groups treated with sealant, the former was more resistant to demineralization than the latter (p (0.05). In conclusion, enamel surfaces that were stripped interproximally were less resistant to demineralization even though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produce smooth, self-cleaning enamel surfaces. Therefore, additional treatment-sealant or calcifying/ fluoridating solution to the stripped enamel surfaces is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