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자율기간구조모형 설정의 유효성 분석

        박정민,김태형,조재호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8

        기존에 제시된 서로 상이한 수준효과를 가지도록 설정된 이자율기간구조모형이 얼마나 효 과적으로 확률변동성의 전형적인 특성을 포착할 수 있는 모형설정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 보기 위하여 수준효과의 강도를 파라미터로 포함하는 일반적인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모형 을 설정하고 이를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MCMC 베이지언 추론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이러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3개월만기 미재무부채권이자율, 1개월만기 및 3개월만기 유로달러이 자율 그리고 잔존만기3개월 한국의 국채수익률 주간 및 일간자료에 대한 단기이자율 확률 변동성모형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모형에 포함된 수준효과의 강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3개월만기 미국재무부채권이자율 분석에서 추정된 수준효과의 강 도는 ATSM에서 설정된 수준효과의 강도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월만기 유로달러 이자율 주간자료에 분석에서는 ATSM이나 QTSM에서 설정된 강도보다는 ISRM에서 설정된 수 준효과 강도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월만기 유로달러이자율 주간 및 일간자 료와 1개월만기 유로달러이자율 일간자료 분석에서는 ISRM에서 설정된 수준효과 강도보다 더 큰 수준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잔존만기3개월 국채수익률 주간자료 분석에서는 수준효과의 강도가 ATSM에서 설정된 값보다는 QTSM에서 설정된 값에 가깝지만, 일간자료로부터 추정된 수준효과는 AG모형(ISRM)에서 설정된 강도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의 국채에 대한 이자율기간구조 분석을 위한 모형으로 ATSM은 조건 부 2차적률의 동태적인 특성을 포착하는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ATSM을 이용한 기간구조 분석에서 이러한 모형설정 측면에서의 한계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觀光空間構造가 觀光需要에 미치는 效果 : 重力模型의 利用을 中心으로

        양광호 공주영상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5 No.-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중력모형이 학자들에 의하여 주목을 받기 시작한 이래, 연구자들의 관심은 주로 공간상의 상호이동을 설명하는 주요 인자로서 거리억제변수의 개선에 집중되었다. 이는 중력모형이 개개인들의 이동 행태를 거주지와 목적지들의 지역별로 집단화, 평균화하여 분석하는 대집단수준의 모형이기 때문에, 거주지와 목적지간에 변화하는 요소는 상대적인 거리요인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상의 이동현상을 절명하고자 하는 중력모형에서 이와 같이 중요한 거리억제파라메타가 편향되었다는 주장이 포더링헴 등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들은 이의 원인으로 기존의 전통적 중력모형에서 다양한 공간구조가 미치는 영향(곧, 공간구조효과)을 고려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적용지역간 안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심지어는 직관에 반하는 (+)의 계수가 산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공간구조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기존의 전통적 중력모형은 현실을 잘못 모형화하고 있어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모형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력모형에 있어서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이와 같은 주장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상의 이동현상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존의 연구결과와 모형의 현실적용에 있어 근본적인 수정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앞으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이동분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모형이 구성되고 분석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관광이동현상은 이주, 통근, 통학 등의 이동현상에 있어 본질상 이동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관광이동의 경우 이동목적 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 분야에서 고려된 공간구조효과를 관광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으며, 이를 향후 해결할 수 있는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관광이동현상의 경우, 이동의 대상이 되는 관광지의 명확한 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기회는 모형에서 고려하는 목적지 외에 다른 대안이 되는 목적지들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안 관광지를 어떤 범위로 한정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관광객들의 관광공간 분포에 대한 지각요소를 고려해 저야 한다. 이를 위해, 실제적으로 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의 관광공간의 지각수준에 따른 영향인자와 지각수준에 따른 연구를 통해 평균적 지각에 의한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일 것이다. 셋째, 관광공간 구조효과에 있어서, 기존의 목적지 입지적 분포정도에 따른 입지적 의존성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의 선호(preference)에 따른 경제적 의존성의 규명과 이들 입지적 의존성과 경제적 의존성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넷째, 목적지간의 상대적인 접근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접근성 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구조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석집단을 보다 세분화하여 모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 포더링헴과 김성일은 체재일수, 이동 목적 등에 의한 구분 없이 거시적으로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는 집단을 너무 대집단화 함으로서 연구자들에게 단편적인 행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보다 행태적인 이해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소집단수준의 공간상호작용모형(로짓모형 등)에 의한 형태적 원인 등에 대한 사전 연구와 결과의 축적이 요구된다. 공간상 이동현상간의 인과관계 파악과 예측을 위하여 중력모형이 폭넓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공간분포하에서 조사된 O/D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정책당국의 관심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Affine Nelson Siegel 모형을 활용한 금리기간구조모형 추정

        이성빈,이준희 한국생산성학회 2024 生産性論集 Vol.38 No.3

        금리의 기간구조에 대한 정보는 금융시장 및 경제 전체적으로 자산가격결정의 기본이 된다. 이론적인 비재정거래(no arbitrage)를 이용한 대표적인 기간구조모형으로 Affine모형을 들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모형은 이론적이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금리기간구조 반영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금리의 기간구조를 잘 반영하는 통계모형인 동적 넬슨-시겔모형을 결합한 Affine 넬슨-시겔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금리의 기간구조를 추정하고, 특히 위험성이 가장 낮은 국고채와 위험도가 점차 증가하는 AAA등급 채권과 BBB등급 채권의 이자율 기간구조를 추정하고 추정한 모수를 이용하여 수익률곡선의 예측을 실시하였다. 동적 넬슨-시겔모형은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수준(Level), 기울기(Slope), 곡도(Curvature)의 세 가지의 시간 가변적 요인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며Affine 넬슨-시겔 모형은 동적 넬슨-시겔모형에서 만기에만 의존하는 조정항을 추가되었으며 시장 내 차익거래 가능성을 배제한 모형이다. 동적 넬슨-시겔과 Affine 넬슨-시겔을 이용하여 이자율 예측성과를 비교하였다. 모형추정 결과 평균오차는 동적넬슨-시겔모형보다 Affine 넬슨-시겔모형이 더 낮았으며 예측한 이자율과 실제 관측된 이자율의 차이를 이용하여계산한 RMSE(Root Mean Squared Error)를 비교하여 채권의 이자율기간구조 예측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예측의 적합도는 RMSE를 통하여 계사한 결과 Affine 넬슨-시겔모형의 RMSE값이 더 작았으며 그 결과 Affine 넬슨- 시겔 모형의 이자율기간구조 예측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The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 had a pivotal role of asset pricing. The affine models, which are satisfying with no arbitrage condition, has been widely used in finance and economics. The model, however, has a drawback of fitting the real yield cur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pply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which has powerful for fitting for real yield curve, and the Affine Nelson-Siegel model to estimate and forecast the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 in Korea Bond Market(Treasury Bonds, AAA-grade bonds, and BBB-grade bonds).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describes the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using three time-varying factors: level, slope, and curvature. The Affine Free Nelson-Siegel model adds a maturity-dependent adjustment term in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and excludes the possibility of arbitrage in the market. In order to compare the interest rate prediction performances, the study applies both dynamic Nelson-Siegel and Affine Nelson-Siegel models. As a result, the study discovers that the average error is lower in the Affine Free Nelson-Siegel model than in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The suitability of the bond's interest rate term structure predic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calculat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interest rate and the actual observed interest rate.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that the Affine Free Nelson-Siegel model provides highly accurate predictions and can be used in various practical aspects of financial instruments and financial industries which highly depend on interest rates.

      • KCI등재

        한국의 월별 거시-금융 모형 추정

        조성훈 한국은행 2009 經濟分析 Vol.15 No.2

        This paper derives a monthly macro-finance model under No-arbitrage condition in a general equilibrium setup for the Korean Economy since 2001. What differentiates this paper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s that (1) the model is designed suitable for monthly data within a compact macro-finance framework and (2) it utilizes the overall term structure information not relying on yields of particular maturities.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wedge between the actual term structure and the model-implied counterpart, utilizing the frictional factors not embedded in the model. Our estim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under the Expectations-Hypothesis, the implied term structure matches the actual term structure remarkably well. Second, The average movement in the term structure is mostly accounted for by the expected long term inflation or inflation target. Third, the slope and the curvature of the term structure are influenced by the monetary policy, but not as important as the inflation target, which is in contrast to the empirical evidences observed in U.S. Forth,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implied term structure is small and it is partly correlated with transactions of individuals in the bond market and changes in foreign exchange swap rate. Finally, the weight of the monetary policy authority on inflation stabilization relative to output stabilization is smaller than that observed in U.S. or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potentially reflecting that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d sizable business fluctuation but quite stable inflation rates since 2001. 본 연구는 새케인즈 이론과 No-arbitrage 조건하에서의 이자율 기간구조를 접목시켜 월별 거시-금융(macro-finance) 모형을 도출하고 2001년 이후 한국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적인 것은 모형을 월별 자료에 맞게 구성하고 이자율 기간구조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추정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실제 이자율 기간구조와 모형에 의해 추정된 이자율 기간구조의 차이를 금융시장의 마찰적 요인과 해외 변수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첫째, 모형이 기대가설 (Expectations Hypothesis)을 가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율 기간구조를 매우 잘 설명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자율 기간구조의 평균적인 움직임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장기적 예측치, 또는 시장이 인식하는 인플레이션 목표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이다. 셋째, 장단기 이자율 스프레드는 주로 인플레이션 목표의 변화와 통화정책 충격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이다. 넷째, 실제 이자율 기간구조와 모형에 의해 도출된 이자율 기간구조의 차이는 채권시장의 개인의 순매수, 그리고 환율 swap rate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한편 한국의 통화정책은 외환위기 이후 인플레이션 경기 안정화에 기여해 온 것으로 판단되지만 안정화의 정도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무위험단기이자율 대용치의 안정성과 이자율기간구조모형과의 양립성 분석

        김태형(Tae Hyung Kim),박정민(Jeong min Park) THE KOREAN ECONOMIC SOCIETY 2015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단기이자율 확률과정의 안정성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단기이자율의 동태적인 안정성의 특성이 기존 이자율기간구조모형의 가정과 부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단기이자율 확률과정 안정성에 대한 Conley et al. (1997)의 연구를 확장한 수준효과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확률변동성모형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특징짓는 수준효과의 크기를 식별하고자 하였다. 기존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모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반적인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모형 추정을 위해 효율적인 MCML추정법을 이용하였으며, 안정성을 특징짓는 수준효과의 크기에 대한통계적인추론을위해보조파티클필터(auxiliary particle filter)를 통해 얻은 PIT(probability integral transform)를 표준정규분포로 역변환한의 사표준 예측오차를 이용한 모형진단과 모형적합성 비교를 하였다.다양한 단기이자율 대용치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3개월 만기 미재무부채권 수익률과 한국의 익일물 콜금리는 ATSM 및 QTSM 등의 기존 이자율기간구조모형과 부합하는 'drift-induced stationarity'의 특성을 가지는 반면, 1개월 만기유로달러이자율, 한국의 잔존만기3개월국고채, MMF 7일물, 91일물CD, 91일물 CP 수익률은 'volatility-induced stationarity'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기이자율 대용치의 안정성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drift-induced stationarity'를 가정하는 기존이론모형을 이용하는 경우 파생상품가격결정과 리스크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y building on the work of Conley et al. (1997), we investigate the stationarity of riskless short-term interest rate processes, analyzing generalized stochastic volatility models with level effects and examine the compatibility of stationarity of short-term interest rates with the popular dynamic term structure of models of interest rates, such as ATSM and QTSM. We extend extant stochas-tic volatility models with level effects crucial in characterizing the stationarity of a continuous time stochastic process, estimate the extended models using an ef-ficient simulation-based MCML(Monte Carlo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using importance sampling and implement model diagnostics using the inverse of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of the dynamic probability integral trans-form obtained via an auxiliary particle filter. Empirical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TB3M and Call1d exhibit drift-induced stationarity compatible with both ATSM and QTSM, and that ED1M, KTB3M, MMF7d, CD91d and CP91d are of volatility-induced stationarity. Consequently, the results imply that,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nature of stationarity of a short-term interest rate, indiscriminate application of theoretical models assuming the drift-induced stationarity of short-term interest rates may cause serious failure in derivative pricing and risk management.

      • SCOPUS

        구조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거시금융 기간구조 분석

        윤재호(Jaeho Yun) 한국계량경제학회 2012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3 No.4

        본 연구는 동태적 Nelson-Siegel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거시금융 기간구조 모형을 추정 및 분석하였다. 특히 동태적 Nelson-Siegel 모형의 상태공간 모형을 구조VAR모형으로 전환하여 경제이론에 기반을 두어 해석할 수 있는 구조 충격에 대한 금리기간구조의 반응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증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보면, 표본 외 분석 결과 거시금융 기간구조 모형이 국고채수익률만을 고려한 기간구조 모형 혹은 임의보행 모형보다 우리나라 국고채 기간구조 데이터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 VAR 모형의 충격반응 분석 결과, 거시경 제가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수익률곡선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보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익률곡선 팩터중 수익률곡선 기울기와 관련있는 팩터가 거시경제 구조 충격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고채 수익률을 기대부분 및 기간프리미엄으로 분해하여 분석한 결과, 단기 국고채수익률 변동은 주로 기대부분의 영향을, 장기 수익률의 경우 대부분 기간프리미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간프리미엄의 경우에도 만기가 길어질수록 거시경제상황보다 채권시장 수급상황 등 수익률곡선 자체 충격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the macro-finance term structure model for the Korean government bonds by using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We investigate the impulse responses of the term structure to structural shocks by converting the reduced-form VAR implied by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into the structural VAR representation. Our emprical analysis provides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in- and out-of-sample analysis, we find that the macro-finance term structure model provides a better fit than other models such as the random walk model and the yield-only model. Secon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from structural VAR model shows that the effect of macro economy on the yield curve is more statistically substantial than the effect of the yield curve on the macro economy. Among the yield curve factors, in particular, the “slope” factor of the yield curve sensitively responds to the macro shocks. Lastly, we decompose the bond yields with various maturities into the expectation and term premium components. We find that changes in the short rates are mainly driven by variations of the expectation component, while the long rates are mostly driven by variations of the term premium component. The longer the maturity of the term premium is, the bigger effect it receives from the shocks of yield curve factors rather than those of the macro economic factors.

      • 칼만필터/QML을 이용한 다요인 선형 이자율 기간구조모형의 추정 및 적합성 비교

        변석준,이진태 한국재무학회 200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05

        이자율 기간구조의 동태를 결정하는 확률모형은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을 집약하는 요소로서, 채권 및 관련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이나 채권 의 위험관리, 채권 포트폴리오 전략의 위험분석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채권투자에 있어서 모든 분석의 기초가 되는 것이 이 자율 기간구조의 추정이며, 이는 추정된 기간구조모형의 적합성이 분석의 정확성에 큰 영향을 끼 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완전 선형모형(complete model)과 필수 선형모형(essential model)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선형 기간구조 모형들을 대상으로 칼만필터/QM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모 형을 추정하고 상대적인 적합성 비교를 통한 최적 모형 선정 및 그 특성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 다. 비교분석 결과 1개의 요인(상태변수)이 단기이자율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 3요인 필수 선형 기간구조모형, A1(3)E 가 한국채권시장의 수익률 변동을 가장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최 적 선형기간구조모형으로 나타났다. A1(3)E 모형에 대한 예측오차분석과 단기이자율 추정을 통한 타당성 검증결과 높은 적합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추정과정을 통하여 구한 각 요인 (상태변수)들은 주성분분석을 통해서 구한 3가지 성분들(수준(level), 기울기(slpoe), 곡도 (curvature)) 중 하나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X2 - 수준(level), X1 - 기울기(slope), X3 - 곡도(curvature)). 더불어 A1(3)E 모형으로부터 추정한 시장위험가격 은 매우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경제와 금융시장의 환경변수들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자율기간구조모형의 유효성 분석

        박정민(Jeong Min Park),김태형(Tae Hyung Kim),조재호(Jae Ho Cho) 한국증권학회 2012 한국증권학회지 Vol.41 No.2

        대부분의 이자율기간구조 이론에서는 확률변동성(stochastic volatility)이나 평균회귀성향과 같은 채권수익률의 전형적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도록 모형이 설정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확률변동성이미관측 상태변수의 함수이므로 이자율의 조건부이차적률의 특성 중 하나인 수준효과(level effect)가 명시적이기 보다는 암묵적으로 특정한 값으로 고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자율기간구조모형이 수준효과를 내포하는 조건부이차적률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수준효과의 크기를 파라미터로 포함하는 일반적인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베이지언추론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3개월 만기 미재무부채권수익률, 1개월 만기 및 3개월 만기 유로달러이자율 그리고 3개월 만기한국 국채수익의 주간 및 일간자료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료별로 매우 상이한 확률변동성의 수준효과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주간자료 추정에서 미재무부채권수익률, 1개월 만기 유로달러이자율, 한국국채수익률의 사후표본평균이 각각 ATSM, ISRM, 그리고 QTSM에서 설정된 수준효과 크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이자율기간구조모형을 분석하고 활용함에 있어 각 모형의 2차적률 적합성 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함은 물론, 2차 이상의 조건부적률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이자율기간구조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Most of dynamic term structure models (DTSMs) of interest rates are specified in terms of latent state variables to capture the stylized facts observed in the real world such as mean reversion, persistence, and stochastic volatilities of bond yields. In these model specifications, however, the dependency of the conditional second moments on the interest rate, so called the level effect, is implicitly fixed rather than explicitly given. As such, we propose a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algorithm to estimate a general stochastic volatility model of the short-term interest rate, and examine the efficacy of the extant DTSMs in capturing conditional second moments which include both stochastic volatilities and the level effects. We find that the posterior distributions of level effect parame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a umber of short-term (weekly and daily frequencies) interest rate series. For example, posterior mean values of the level effect estimated from weekly T-Bill yield data and Korea T-Bill yield data are close to those of ATSM and QTSM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at when using DTSMs in applied works, we should keep in mind the limitation of each model, especially in terms of the ability to capture conditional second moment.

      • 이야기 구조의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명숙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이 논문에서는 이야기 구조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초등의 학습독자가 이야기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는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구조주의적 패러다임과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제3의 관점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문학교육이 학습독자에게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게 하는 도구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습독자를 심미적인 감상의 주체로 기르는 충실한 서사문학교육을 지향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논의의 기반으로서 먼저 개념태로서의 이야기와 이야기 구조의 의미를 살핀 후, 초등 문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이야기의 개념과 이야기 구조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이야기의 개념은 '허구적인 자아와 세계의 관계 양상이 작품외적 자아에 의해 구성된 또 하나의 허구 세계'로 정의하였다. 아울러 이야기 구조는 '자아와 세계가 이야기 속에서 형성하는 관계구조'라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이야기 구조의 구성 모형의 설계 과정에서는 우선적으로 이야기 구조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설정하였다. 그것은 허구적 자아의 정서, 인식된 허구 세계, 자아와 세계의 관계 해석이라는 세 가지 '구성소'이다. 텍스트 중심의 이들 구성소는 이야기 구조를 구성하는 과정에 각각의 '작용 기제'를 갖는데, 이 '작용 기제' 설정에서는 학습독자의 이원적인 정서 반응을 반영하였다. 이들 구성소 및 작용 기제를 중심으로 이야기 구조를 구성하는 데는 학습독자의 '감상위치'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거론하였다. '감상위치'는 이야기 속의 인물이나 사건 및 그 관계 양상 가운데 학습 독자가 특별히 마음을 기울이거나 특별한 반응을 생성하는 이야기 공간을 의미한다. 이 '감상위치'는 학습독자에게 '해석의 근거'를 제공하고, '해석의 신축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독자 중심의 이야기 구조 구성 모형은 각 구성소와 작용기제의 작동에 따라 8가지 이야기 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구성소로서 허구적 자아가 '충족 자아 / 결핍 자아'로 분화되고, 인식된 세계가 '행복 세계 /불행 세계'로, 자아와 세계의 관계가 '기쁜 관계 /슬픈 관계'라는 작용기제를 거침으로써, 이야기 구조를 구성한 결과이다. 먼저 충족 자아를 중심으로 하는 이야기 구조는 자아가 행복 세계 혹은 불행 세계와 기쁜 관계 혹은 슬픈 관계를 형성하는 구조적 양상이다. 이들은 각각 '협력구조', '배반구조', '해결구조' '긴장구조'로 도식화된다. 다음으로 결핍 자아를 중심으로 하는 이야기 구조는 자아가 행복세계 혹은 불행 세계와 기쁜 관계 혹은 슬픈 관계를 형성하는 양상이다. 이들은 각각 '극복구조', '갈등구조', '화해구조', '불화구조'로 유형화된다 이야기 구조 구성 모형은 아동서사문학을 해석하고 감상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전래동화뿐만 아니라 근대 이후에 창작된 동화의 이야기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모형이 될 것이다. 이 연구로서 이야기구조에 대한 체험이 이야기 감상 도구로서 기능을 하며, 독자가 이야기구조를 구성해 봄으로써 이야기 감상의 유연성과 역동성을 부여해 주어 자율적 감상을 통한 심미적 체험을 확보할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지향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ign the model for constructing of story structure within children's narrative literature. his study make reference to story about two aspects. One is treat of concept aspect, another is existence aspect. A story as concept aspect is except discourse of narrative. A story as concept aspect is defined that : Story is secondary fiction constructed by learned reader, in which the fictional character have relation with his environment. Story structure is relationship structure, in which the fictional character relates to his environment. Story structure as student's constructing style is relationship structure constructed by learned readers. Accordingly, this study is designed the model for constructing of story structure within children's narrative literature. The components of the model are three factors. One is emotion of characters. Other is environment of characters included other characters and all events and all backgrounds. Another is relationship that the character related t o his environment. These factors are called 'constructing factor' in this study. And that, these three factors have each operating mechanisms constructing story structure that : First, emotions of characters divide into satisfied aspect and unsatisfied aspect. Second, environments of character are divided into happy aspect and unhappy aspect. Third, relationships of character and environment are divided into pleasure emotion aspect and sad emotion aspect. These mechanisms are called 'operating mechanisms' in this study. Through this model for constructing of story structure, students have to construct story structures of eight types. These are collaboration structure, betrayal structure, solution structure, tension structure, overcome structure, confliction structure, compromise structure. discord structure in story. And these story structures are constructed by three constructing factors of story and each operating mechanisms and stance in appreciation of student. What is more, we have to teach story structure to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rts for the future. And we should intend to realize more effective educational experience of children's narrative literature. This study is t o serve as a guide for the realization effective education of children's narrative literature for students,

      •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구조적 측정 방법 고찰

        권숙진(Kwon, Sukji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조직 내 집단 지성 창출과 고차원의 문제 해결이라는 목적으로 팀 기반 학습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팀기반 학습은 비구조화된 혹은 복잡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주로 교육 만족도 확인이나 개인 수준의 지식 습득 및 활용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학습자들이 학습한 지식 및 기능이나 인식 수준 대한 개별적 평가와는 다른 조직 차원에서 학습 결과를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료 구성원과 협력 학습한 결과로 어느 정도 서로의 정신 모형을 공유하였고, 이 공유정신모형이 전문가의 정신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한지 측정할 수 있다. 정신 모형의 구조를 측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방법 중 하나는 학습자가 학습한 개념 또는 지식의 구조를 도식화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통하여 특정 영역의 개념들간 의미적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팀 학습의 결과 중 하나인 공유정신모형을 구조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유정신모형의 구성 요소와 이를 구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원리를 고찰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도구인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구조적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업 혹은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육 결과에 대한 대안적인 평가 방법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습 결과에 대하여 팀이 획득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측정 방법을 단계별로 제공하여 실무자나 연구자가 기반 원리를 이해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공유정신모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원리를 제공하였는데, 이는 후속되어 신규로 개발하거나 기 개발된 도구들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The focus of study is to review Pathfinder Networks(PFNETs) as one of methods on measuring shared mental model. Shared mental model is one of team effectiveness indicators. Because one of the purposes in corporate or school education is to enhance team effectiveness, measuring shared mental model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PFNETs provides data about coherence, similarity and correlation of cognitive network models among team members(shared mental model). This study reviews the data processing procedures and interpretation of output data in PFNETs. In general, shared mental model has been being stud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but it could be re-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it could provide alternative viewpoint apart from conventional evaluations such as measuring individual satisfaction or achievement. Secondly, it provides practical guide for practitioners or researchers. Finally, our theory driven approach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new and fully automated Korean-based tool for the assessment of team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