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양악수술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윤정,손병화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5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위치설정은 수술 후 새로운 위치에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악교정 수술환자의 진단과 치료 계획시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한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 계획시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방법으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한 경우 교합평면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해서 고찰해 봄으로써 향후 악교정 수술의 진단 및 치료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 환자 중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방법으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하여 양악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25명 (남자 8명, 여자 17명, 평균 연령 23.2±3.17세)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수술직전(T1)과 수술직후(T2, 평균 15.4일), 수술 후 최소 1년 이상 경과후(T3, 평균 32.6개월)을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각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으며, 수술방법(SSRO, IVRO)에 따른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술후 교합평면의 변화는 수술에 의한 악골의 이동량이나 posterior impaction의 양, 수술후 경과시간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수술후, SSRO 시행군에서는 유의하게 하악골의 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IVRO 시행 군에서는 하악골이 후하방 이동하면서 genial angle과 하악평면각이 증가함으로써 하악 치아의 정출이 발생하였다. In patients with severe skeletal discrepancy, surgical orthcodontic treatment must be accompanied, and recently two jaw surgery has become a common procedure, resulting in improved esthetics and function. Choos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in this two jaw surgery is an important factor in postoperative stability. Therefore thi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In this study, among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occlusion, 25 patients(8 male, 17 female, average age 23.2±3.17) who have undergone two jaw surgery, setting the ideal occlusal plane according to Delaire's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al analysis. In comparing preoperative(T1). postoperative(T2, average of 15.4 days), and long-term postoperative(T3, average of 32.6 month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1.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the occlusal plane angle after the two jaw surger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rgical technique(SSRO and IVRO). 2.The postoperative changes of the occlusal plane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jaw movement, amount of posterior impaction, nor the time relapse after surgery. 3.After two Jaw surgery, in the SSRO group there was significant forward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in the IVRO group the lower incisors extruded as the mandible moved backward and downward which makes the gonial angle and the mandibular plane angle significantly increased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황충주,임선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골격성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조절이나 절충치료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악교정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환자의 대부분이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상하악 동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설정은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어지며, 바람직한 기능 및 심미적인 결과와 술후 안정성을 얻을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Ⅲ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직전(T₁)과 수술직후(T₂-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₃-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양악 수술 후 T₂와 T₃시기의 유의차를 보인 값은 교합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 이었으며 그외의 교합평면의 경사도에선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합평면의 술후 재발량은 SN평면과, FH평면에 대해서 각가 0.24。± 2.43。, 0.15。± 2.16。로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유지되었다. 2. A군과 B군사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3. A군 및 B군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술자 및 수술방법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₃-T₂)는 술후의 치아에 의한 변화 보다는 악골의변화(T₃-T₂)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하악골의 변화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5.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₃-T₂)는 수술에 의한 상악골의 impaction양, 하악골의 후퇴량(T₂-T₁)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for the skeletal Class Ⅲ patients with no remaining growth and too big a skeletal discrepancy for camouflage treatment, and two jaw surgery is needed in order to have maximum effect in such patients. In two jaw surgery cases, surgical alteration of the occlusal plane is necessary to establish optimal function, esthetics and postoperative stability,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occlusal plane is essential in diagnosis and treatmen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individual ideal occlusal plane based on the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sis of Delaires. Thu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patients who underwent two jaw surgery, and divided in two groups. Each group were composed of 24 patients, A group were operated with ideal occlusal plane and B group were not. 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average 4.3days), and long-term postoperative(average 1.3years)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occlusal plane angulation between T₂and T₃. Average long term follow-up changes of occlusal plane angle were 0.24。± 2.43, wiht FH plane and 0.15。± 2.16。 with SN plane in all 48 patient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occlusal plane after two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was stable. 2.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between A and B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depending on surgeon and operative method within each group. 4. The postoperative changes of occlusal plane were correlated to the postoperative changes of jaw rather than tooth position. 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ostoperative changes of occlusal plane and maxillary impaction and mandibular setback with surgery.

      • KCI등재후보

        Compensatory changes of occlusal plane angles in relation to skeletal factors

        Kim, Hyun-Sook,Kim, Seon-Young,Lee, In-Seong,Kim, Sang-Cheol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정상교합군과 부정교합군의 교합평면경사도와 부정교합군의 치료 전후의 교합평면 경사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골격관계에 따른 교합평면의 치아 치조성 보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정치료 시 교합평면 설정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61명의 정상교합자와 92명의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골격 관계에 따른 교합평면경사도를 비교하였다. 정상교합군은 전후방적 골격양상에 따라 골격성 Ⅰ급군, Ⅱ급군, Ⅲ급군으로 나누었으며, 수직적 골격양상에 따라서는 수평군, 정상군, 수직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계측치를 일원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치료전후의 변화는 paired t-test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교합군과 부정교합군간의 비교에 있어 일정한 값을 보인 계측치는 AB평면에 대한 교합평면 경사도이었다. 2. 치료 후의 AB평면에 대한 교합평면 경사도는 Ⅱ급 골격관계에서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Ⅲ급 골격관계에서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정상교합군의 값에 근접하였다. 3. 정상교합군에서 AB평면에 대한 하악 교합평면 경사도는 Ⅰ급 골격 관계에서 91.7˚, Ⅱ급 골격 관계에서 88.8˚, Ⅰ격 관계에서는 93.5˚ 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ensatory changes of occlusal plane angle in relation to skeletal factors. Lateral cephalograms of 61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and 92 adults with skeletal malocclusions were traced and measured to analyze skeletal factors and occlusal plane angles. In terms of horizontal relationships,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malocclusion group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of skeletal Classes Ⅰ, Ⅱ and Ⅲ, while in terms of vertical relationships, each group was also classified into horizontal, average, and vertical subgroups. Some measurements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by ANOVA and Post Hoc, and the others were reviewed by Paired t-tests. In this study, only the occlusal plane angle to AB plan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malocclusion group. After treatment, the occlusal plane angle to the AB plane of the malocclusion group was approximated to that of normal occlusion group. The LOP to AB plane angl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was 91.7 in skeletal Class Ⅰ, 88.8 in skeletal Class Ⅱ, and 93.5 in skeletal Class Ⅲ.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treatment changes of the occlusal plane in the malocclusion group, and to draw a comparison with the normal occlusion group in order to present a reference to establish a new occlusal plane inclination.

      • SCOPUSSCIEKCI등재

        전치부 개교를 동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 후 교합평면의 변화와 안정성에 관한 연구

        신수정,황병남,이정근,이승훈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1

        악골의 골격적 부조화를 가진 환자의 교정치료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고, 악교정 수술에 의해 교합평면각은 변화된다. 특히 전치부 개교를 동반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치아안면 기형을 치료하기 위한 교합평면각의 변화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교합평면각을 증가시키는 하악골의 시계 방향 회전(clockwise rotation)은 전치부 개교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으로 추천되어 왔고 하악골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counterclockwise rotation)은 하악지 고경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하악골을 회전시킨다는 개념으로 인해 재발(relapse)을 유발하는 불안정한 수술 방법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전치부 개교를 동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교합평면의 반시계 방향회전을 동반한 하악지시상분할 골절단술 시행 후 교합평면각의 변화와 술후 안정성과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과 rigid fixation으로 치료받은 환자 25명(평균연령 20.6세)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 작전(T1), 술후 2주내(T2), 그리고 술후 6개월 이후(T3)에 촬영한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을 통계분석한 결과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악교정 수술 후 (T2) 하악평면각은 2.9° 감소하였고 SN평면에 대한 하악 교합평면의 각도는 2.7°감소하였다. 술후 6개월경과 후 (T3)후안면 고경의 감소로 인해(P<0.01) 하악 평면각은 1.0° 증가하였으나 하악 교합평면의 경사도는 변화되지 않았다. 2. 악교정 수술 후 시간 경과(T3)에 의해 발생한 수평적 개발은 하악골의 전방 이동량이 B점에서 1.6mm로 수술시 전체 후방 이동량의 약 22%였다. 전안면 고경에서는 수직적 재발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후안면 고경은 감소하였다(P<0.01). 3. 수평적 재발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은 하악평면각 이었고(P<0.01) 수술 6개월경과 후 후안면 고경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로는 수술시 하악골의 후방 이동량(P<0.01), 하악지 고경의 증가량(P<0.01), 그리고 하악평면각의 감소량(P<0.01) 등이 있었다. 4. 수술시 하악 교합평면 경사도의 변화량과 술후 재발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o correct the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with anterior open bite. Twenty five skeletal Class Ⅲ open bite patients(mean age 20.6 years) who were treated by th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ies with rigid fixatio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for each patients preoperative (T1), early postoperative(T2), and late postoperative period(T3). Mean postoperative period was 8.0 months. Cephalometric analysis was done and data from T1, T2, T3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ndibular plane angle decreased 2.9° and mandibular occlusal plane angle related to SNplane decreased 2.7° after orthognathic surgery(T2). At 6 months after orthognathic surgery(T3), mandibular plane angle increased 1.0°, but mandibular occlusal plane angle did not changed. 2. The amount of horizontal relapse long time after orthognathic surgery(T3) was 1.6mm at B point and it was 22% of the total posterior movements. There was no vertical relapse in the anterior facial height. 3. The related factor with horizontal relapse at late postoperative period was mandibular plane angle(p<0.01). The related factors with decreasing posterior facial height were amount of mandibular setback(p<0.01), increasing of mandibular ramus height(p<0.01), and decrease of the mandibular plane angle during operation(p<0.01). 4.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hanges in mandibular occlusal plan angle during operation and the amount of relapse after surgery.

      • SCOPUSSCIEKCI등재

        성인 Ⅱ급 환자의 안면 수직고경및 교합평면의 특징에 관한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남동석,정미향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Ⅱ급 부정교합자의 교합평면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안면의 수직고경과 연관지어 정상교합군과 비교하여 교합평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골격성, 치성요인의 기여정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성장과 연령군의 변이를 배제하기 위해 성장이 완료된 성인만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정상교합자 50명과 서울대학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한 50명의 Angle class Ⅱ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Ⅱ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크게 관찰된 교합평면의 경사도는 다음과 같다.; SN-FOP, FH-BOP, MP-BOP, AB-BOP, AB-FOP, Facial plane-BOP, FP-FOP 2. Ⅱ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후안면 고경, 특히 후하안면고경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교합평면과 상하악 전치가 이루는 각은 Ⅱ급 부정교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고, 대구치와 이루는 각은 상악대구치와 해부학적 교합평면이 이루는 각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교합평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중에서 하악절치에서 하악평면에 이르는 거리만이 Ⅱ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컸다. 5. Ⅱ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수직피개도와 교합평면 경사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정상 교합군에서는 수직피개도와 교합평면 경사도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difference of facial height and occlusal plane inclination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The subjects consisted of 50 normal occlusion(male 25, female 25) and 50 class Ⅱ(male 25, female 25) malocclusion patients. All subjects are adult. lateral cephalogram was taken with standard method, traced, and digitized for each subjects. The computerized statis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t from normal occlusion group were as follows; SN-FOP, FH-BOP, MP-BOP, AB-BOP, AB-FOP, Facial plane-BOP, FP-FOP. 2. In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the posterior facial height -especially posterior lower facial height-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P<0.05) 3. In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the angles between occlusal plane and upper and lower incisor, the angle between upper molar and bisected occlusal plane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normal occlusion group.(P<0.05) 4. L1 to Mandibular plane(mm) was a unique factor of occlusal plane position that showed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5. The correlation between overbite and occlusal plane inclination existed in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but the correlation didn't exist in normal occlusion group.

      • 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정우준,김성식,손우성,김용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치교정지 2007;37(4):260-71)

      • KCI등재

        수직적 안모유형에 따른 치료 후 교합평면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정은,차경석,이진우,정동화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본 연구는 수직적 안모유형에 따른 치료 후 교합평면 변화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적절한 치료계획과 기전의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골격성 1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비발치로 치료받은 성인 60명(남자 28명, 여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Ricketts법의 facial axis,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angle, lower face height, mandibular arc의 5개 항목을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정상교합자 통계치의 기준에 따라 short face type (1군), average face type (2군), long face type (3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치료 전, 치료 종료, 종료 후 1년의 측모두부 방사선사진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1군은 치료 종료 시와 비교하여 유지기간에 일반적 교합평면각, 기능적 교합평면각, L6/L1, MP-L6 항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1) L1-FOP 항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군은 유지기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3군은 유지기간에 기능적 교합평면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기능적 교합평면각의 치료 후 변화량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1군과 3군 간에 매우 큰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치아의 압하, 정출 및 치료 후 전치부 피개 등에 있어 유지기간 중 교합평면각 변화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hanges in the occlusal plane related to different vertical facial patterns and suggest treatment goals and conduct possible treatment mechanisms. Methods: 60 adult patients (28 males, 32 females) who had been diagnosed as Class I skeletal malocclusion and treated without extraction were selec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hort face type (group 1), average face type (group 2) and long face type (group 3), using the data on normal occlusion of Korean adults. Results: The results were achieved by analyzing cephalometric tracings of each group at pre-treatment, end-treatment and post-treatment (about 1 year recall check). The inclination of the occlusion plane tends to gradually increase as the face becomes longer. In group 1, COP-X, FOP-X, L6/L1, MP-L6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L1-FO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T3-T2). Group 2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group 3, FOP-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T3-T2). During the retention period, FOP-X showed significant change among each group, especially between group 1 and group 3.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anges of occlusal plane inclination according to facial vertical pattern need to be consider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for intrusion, extrusion, and incisor overbite.

      • KCI등재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과 수직고경 감소를 동반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교합평면 회복을 통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조영은,이성복,이석원,최조셉준석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3

        The loss of posterior occlusal support leads to further complications such as collapsed occlusal plane and reduced vertical dimension, and it may cause problems such as facial appearance change, reduced chewing efficiency,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such case,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occlusal plane and vertical dimension properly through accurate diagnosis and predictable treatment plan. This case report presents a 71-year-old female, whose occlusal plane was collapsed and posterior restorative space was insufficient. To perform a patient-friendly full mouth rehabilitation, proper vertical dimension and occlusal plane were decided by evaluation of interocclusal space at her physiologic mandibular rest position, swallowing, pronunciation, facial appearance, and the average length of anterior teeth. And then, the fixed provisional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with the new occlusal position, and evaluated for 5 months with checking adaptation of masticatory muscles and any kind of clinical symptoms occurs or not. After confirmation of functional stability and esthetic satisfaction with the newly established occlusion, final definitive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and inserted in the mouth.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treatment result was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actory.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면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되면서 대합치의 점진적인 정출과 전치부 치아들의 전방 돌출을 초래하게 되고 결국 교합평면이 붕괴됨과 아울러 안모의 변화, 저작 효율 저하, 그리고 측두하악관절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확한 진단 과 예지성 있는 치료계획 수립을 통한 교합평면 재설정 및 수직고경 회복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71세 여성 환자로, 교합 평면이 붕괴되고 구치부 보철 수복 공간이 부족하여,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을 계획하였다. 생리적 하악안정위, 연하, 발음, 안모, 전치부 평균 길이 등을 평가하는 임상적 과정을 통해 적절한 수직고경 및 3차원적 교합평면을 재설정하여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약 5개월 간 임시 보철물 상태로 악관절 및 저작근의 적응 여부를 관찰하고 교합을 안정화하였다. 기능적, 심미적 임상증상이 없음을 확인한 후 최종 보철 수복하였다. 이러한 환자친화적 완전구강회복 과정을 수행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황충주,임선아,문정련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 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서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으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1)과 수술 직후(T2-평균 4.3일), 수술8개월 이상 경과 후(T3-평균 1년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3에 T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In orthognathic surgery to obtain proper functional and esthetic form after skeletal discrepancy treatment,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e are essential. Especially in two jaw surgeries that have serious upper and lower jaw problems, maxilla and mandible are arranged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maxillary rearrangement, mandibular sagittal and transverse positions are determined, and thus new occlusal plane is establish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individual ideal occlusal plane based on the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sis of Del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patients who underwent two jaw surgeries, and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 and B. A group was operated with ideal occlusal plane and B group was not.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verage 4.3days), and long-term postoperative (average 1.3year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S was lower than that of PNS for both A and B after the surgery. That is. maxilla and mandible are rotated in posterior and superior direction. 2.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T2 and T3 for both A and B are HRP-Me at vertical measurements,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and Mn. plane angle(p<0.05) at angular measurement. Mn. plane angle is increased at HRP-Me is decreased for both A and B. 3. There is no significance in skeletal stability after the surgery between group A and B. 4. Horizontal movements of B and Pog by surger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with horizontal relapse of B and Pog. and vertical relapse of PNS. as well as Mn. plane angle, and gonial angle after the surgery.

      • KCI등재

        기준면이 다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전방시상과로각과 교합평면경사각에 대한 연구

        김효중,이성복,최대균,백진,Kim, Hyo-Jung,Lee, Sung-Bok,Choi, Dae-Gyun,Bak, J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4

        연구목적: 기존의 교합기들은 서양인의 악안면구조와 하악운동 평균치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다. 이에 현재 임상교육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반조절성 교합기 (KaVo PROTAR, Hanau Modular)를 한국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적절한 기준을 구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4{\sim}41$세 한국인 성인 59명 (남41명, 여18명)을 선정하였다. 피검자 일인당 두쌍의 상하악 모형을 제작, KaVo PROTARevo 7과 Hanau Modular 반조절성교합기에 facebow transfer하여 교합기에 부착 후 전방시상과로각, 교합평면경사도, 교합기 상의 하악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연구성적: 1. 평균 전방시상과로각은 KaVo PROT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33.75^{\circ}$(표준편차 $12.46^{\circ}$)였고, Hanau Modul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40.72^{\circ}$(표준편차 $12.09^{\circ}$)였다. 2. 평균 교합평면경사각은 KaVo PROT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2.76^{\circ}$(표준편차 $3.63^{\circ}$)였고, Hanau Modul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11.87^{\circ}$(표준편차 $3.63^{\circ}$)였다. 3. 하악치열의 중심은 교합기의 중심에서 평균 $5{\sim}7$ mm 범위내에 있었으며 KaVo PROTAR 반조절성 교합기에서는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 교합기의 상하적 위치관계에서 중앙에 위치하였고, Hanau Modular 반조절성 교합기에서는 교합기의 중앙높이에서 전치부는 하방 5 mm, 구치부는 상방 3 mm에 위치하였다. Statement of problem & Purpose: Articulators are very important for education and overall clinical situation in the field of prosthodontics, however preexisting articulators are designed and built based on maxillofacial structures and mean values of mandibular movement of Western peopl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 adequate basis for applicating these articulators, presently used for clinical education, for Korean. Material and methods: 59 Korean adults (41 males, 18 females), aged between 24 to 41, wh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pairs of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models were made for each examinee. These models where attached to both KaVo PROTARevo 7 and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s by using facebow transfer, than sagittal condylar inclination, occlusal plane inclination and position of mandibular on the articulator where measured. Result and conclusion: 1. Mean sagittal condylar inclination for KaVo PROT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was $33.75^{\circ}$(standard deviation $12.46^{\circ}$) meanwhile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showed $40.72^{\circ}$(standard deviation $12.09^{\circ}$) for mean sagittal condylar inclination. 2. Mean occlusal plane inclination for KaVo PROT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was $-2.76{\circ}$(standard deviation $3.63^{\circ}$) meanwhile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showed $11.87^{\circ}$ (standard deviation $3.63^{\circ}$) for mean occlusal plane inclination. 3. On the average center of the mandibular dentition were in the range of 5 to 7 mm of the central position of the articulator. Both anterior and posterior dentition we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rticulator vernacularly for KaVo PROTAR semiadjustable articulators, meantime for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anterior dentition was positioned 5 mm downwards and 3mm upwards for posterior dentition from vertically central position of the articul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