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탐색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3

        본 연구는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 개정안에서 도입된 환경 역량을 이해 및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에서 역량을 도입하게 된 취지와 환경 교육과정 문서체계에 나타난 환경 교과 핵심 역량에 대한 특징과 종류를 살펴본 다음, 각 지역사회와 학교 수준에서 학생들의 역량 함양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과 성취기준,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서 환경 역량을 구체적으로 넣고자 하였다. 특히 성취기준은 내용과 기능이 결합한 형태로 환경 교과 핵심 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담겨 있었다. 앞으로 환경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학교, 교사, 학생 단위에서 함양되도록 환경 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환경 교과 내용의 핵심 개념의 명료화 및 계열화, 환경 핵심역량이 각 지역사회와 학교 수업에서 구현되기 위한 보편성과 일반화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또, 핵심 역량과 환경 내용이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교육과정 실행 구조에 대한 연구, 실제 환경 문제 상황을 어떻게 교실 상황에 끌어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 등이 후속 연구로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remind and discuss environmental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major fe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he ‘Environment’ subject and explores the issues that should be included for development of these competencies at the level of the school and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subject implicates concrete competencies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bject,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Specifically,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stated as conjunctive forms both with the content and skills for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Through this effort, the curriculum suggests strong pedagogical implication as aspec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an exploration such as clarification and sequencing in key environmental knowledge for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as well as universality and generalization f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through the environment class.

      • KCI등재

        ‘교육’을 본위로 한 ‘역량기반 교육’ 개념의 이론적 확충

        허지원(Jiwon Heo) 한국교육원리학회 2022 교육원리연구 Vol.27 No.1

        기존에 이루어진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 체제는 주로 ‘역량’의 의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에 함축된 ‘교육’의 의미를 간과하는 개념상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직업 현장에서 출발하여 다소 산발적으로 전개되어 온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 체제를 다각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역량기반 교육’에 함축된 ‘교육’의 개념 체제가 갖추어야 할 이해의 기본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을 본위로 한 기존의 ‘역량기반 교육’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하고, 그 대안으로서 교육 본위의 ‘역량기반 교육’을 제시하여 대비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역량기반 교육’이 소홀히 다룬 교육의 의미를 본격적인 이론적 토대 위에 정립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에 관한 논의를 보다 견실하게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existing conceptual system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meaning of ‘competence’ rather than ‘education,’ Thus, it results in a conceptual imbalance that overlooked the meaning of ‘education’ implied in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from various aspects the conceptual system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which began from the workplace and has been deployed somewhat sporadically, and to explore the basic conditions for understanding that the conceptual system of ‘education’ implied in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have. To this end, the existing ‘competence-based education’ based on ‘competence’ was review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as an alternative, ‘competence-based education’ based on ‘education’ was suggested and presented and also compared. It is expected that these discussion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olidify the discussion on ‘competence-based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meaning of ‘education’ neglected by ‘competence-based education’ on a full-fledged theoretical foundation.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 과제별 역량 분석 연구: 순위합법을 중심으로

        이슬아(Seul A Lee),한은정(Eun Jung Han)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2

        요약: 이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의 추진 과정에서 각 시도교육청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보다 실제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지방교육자치 추진 과제별로 필요 역량과 이들 중 중요 역량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계와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전문가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순위형 다중응답분석 방법 내 순위합법 방식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방교육자치 과제 추진을 위해 지방교육행정기관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과제별로 다양하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 조직, 개인 차원의 역량이 모두 필요하지만 특히 개인의 역량이 보다 많이 중요 역량으로 분석되어, 선행연구에서 개인 단위의 역량이 강조되어 온 것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법령 및 재정과 관련한 일부 특수한 과제를 제외하고는, 지역과 학교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을 바탕으로 정책을 기획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방교육자치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체별 역량을 규정하는 접근이 아니라, 각 추진 과제별 중요 역량에 초점을 두고 이를 계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방교육자치의 추진 방향이 학교나 지역교육의 자율화와 다양성 제고에 있으며, 지방교육행정기관이 이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면서 이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order to examine the competencies that each provincial and local education office should possess in the context of promoting local education autonom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for each task associated with advancing local education autonomy. The survey of experts' perception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ranking method within the ranking multi-response analysis metho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carry out tasks related to local educational autonomy vary by task. While competencies at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are all deemed essential, individual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as particularly crucial. These results align with previou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competencies. Furthermore, with the exception of specialized tasks related to laws and finances, the ability to plan and support policies throug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with regions and schools was highlighted as vital. Thes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key competencies for each initiative to promote local educational autonomy. They also indicate that local educational autonomy involves bolstering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schools and local education, with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ies assuming a pivotal role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 advance these objectives.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사회정서역량 기반 교육의 가치와 실천방안 탐구

        허진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정서역량 교육이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서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밝히고,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고찰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사회정서역량과 도덕 교육과의 관계를 밝히고, 도덕과 교육과정 총론에서 등장하는 사회정서역량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도덕과와 연계한 사회정서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사회정서학습의 특성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 사회정서역량의 내용을 접목하는 방안과 실제 수업 시간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교육방법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도덕과 교육과 사회정서역량 교육은 지식과 실천의 연계성을 중요시한다는 점,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의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한다는 공통점에서 양쪽 교육에 대한 연계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사회정서역량 교육은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교육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도덕 교과 또한 정서적 측면의 교과 내용을 사회정서학습의 방법을 통해 전문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결론 사회정서역량 교육이 도덕과 교육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덕과 교육내용에 적합한 사회정서역량의 하위기술과 도덕 수업 때에 적용 가능한 교육 방안이 양쪽의 교육 모두를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 줄 것을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need fo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to be utilized within the moral curriculum and to consider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Method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moral education was revealed, and the rol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at appears in the general theory of morality and curriculum was investigated. Moreover the need for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moral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emotional learning. Lastly, the researchers examined ways to incorporate the conten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into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classes. Results: The need to connect both moral education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was revealed as was the value of establishing th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setting an educational goal for cultivating practical capabilities. When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i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ral curriculum, the continuity of education can be secured, and moral subjects will have the further advantage of professionally delivering emotional content through social-emotional learning methods. Conclus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ub-skill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moral classes and appropriate for moral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will lead educational practitioners in a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백남진 ( Nam Jin Paik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국가 교육과정에서 일반 역량 및 교과 특수 역량을 포함하여 역량이 어떻게 제시되는 지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에서 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일반 역량이 어떻게 교과 특수 역량과 관련되고 교육내용을 통해서 학습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특수 역량을 규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과의 지식뿐 아니라 교과를 통해 할 수 있어야 할것을 의미하는 교과의 기능을 구체화해야 한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에서 교과의 지식, 기능의 관련 영역 간,영역 내 지식과 지식, 기능과 기능 간 연결성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각 일반 역량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반 역량과 교과 내용의 지식 및 기능 영역의 연결성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일반 역량을 중심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전 영역이 통합되어야 한다. 예컨대 일반 역량은 교육과정 내용뿐 아니라 범 교육과정 주제와 함께 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by examining how general competency is reflected and presented in the Australian national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we looked into a history curriculum to see how general competency is related to subject-specific competency, and is designed to be taught through curriculum content. The results of analysi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subject-specific competency should be determined. For this, both knowledge and subject-specific skills, meaning w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do through a subject, should be identified. Second,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skills across and within areas should be explicitly presented. Third, the organizing elements of each general competency should be specified. Fourth,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competency and the knowledge and skills of each subject should be revealed. Lastly, general competency can be designed to be taught throughout the curriculum,for instance, in combination with cross-curricular themes.

      • KCI등재

        한자와 어휘 자료에서 한문과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구현 사례

        정효영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2 No.-

        과거 지식 중심 교육과정에서는 많이 아는 것이 중요하였다면,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는 무엇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각국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개인적으로는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등을 강조하고, 사회적으로는 협동, 배려 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핵심역량 은 역량 가운데 학교교육을 통해 누구나가 길러야 할 기본적이고 보편적이며 중요한 성격의 것이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는 역량을 중심으로 학습목표를 진술하여야 하고, 교수・학습 방법 또한 이러한 역량을 신장시키는 융합 수업, 프로젝트 수업 등을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평가의 방법 역시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통해 어떻게 역량을 길러내는지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 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을 한문과 핵심역량으로 설정하였다. ‘한자와 어휘’ 자료를 통한 문자도 그리기 수업, 한자 자르기/만들기 수업, 이름 한자로 이야기 만들기 수업, 동음 이의어로 짧은 글 짓기 수업, 상형문자카드로 문장 만들기 수업 등은 한문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교과와의 융합 수업 모델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한문과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In the past knowledge-based curriculum, it was important to know a lot, but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at we are capable of is important. The common ground of the curriculum from all over the world is that they underline both individually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ly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etc. Core competency is of fundamental, universal, important thing for anyone to be cultivated through school education in other competencies.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eachers have to state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competency and also teaching-learning method actively utilizes convergence and project classes, etc. to improve the compet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focused on how students develop competencies with their knowledge through process-based performance assessment.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cuses on training creative and convergent type of person by building the core competency demanded in the future. The curriculum of Chinese characters subject revised in 2015 set up communication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personality competency, and esthetic sensibility as its core competencies. The core competencies of Chinese characters subject will be able to be cultivated through the classes such as the class drawing the combined picture of character and drawing through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materials, the class making/cutting Chinese characters, the class making stories with Chinese characters of name, the class writing a short essay using homonym, and the class making sentences with pictographic cards, etc. The model of convergence class with other subjects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and the development of tool to measure competencies of Chinese characters subject is need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이광우 ( Kwangwoo Lee ),백경선 ( Kyeongsun Beak ),이수정 ( Soo J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2

        2015 개정 교육과정이 2015년 9월 23일 개정 고시되었으며, 이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방향은 교육과정 설계에서 어떻게 핵심역량을 구현할 것인가에 있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교과 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정 이후 도입된 새로운 개념에 대한 반성적 논의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글의 목적은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이슈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인간상, 핵심역량, 교육 목표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들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핵심역량의 성격을 규정하였는 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은 교육의 방향과 교육 목표적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핵심역량이 어떠한 성격을 견지하느냐에 따라 인간상, 핵심역량, 교육 목표간 진술의 연계와 수준이 다르게 진행될 수 있음을 검토 과제로 제안하였다. 둘째,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 둘간의 관계는 총론의 핵심역량이 범교과적 일반 역량으로서 교과 역량 설정의 근거로 작용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교과 역량 설정에 있어서 총론의 핵심역량, 교과의 성격과 논리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설정된 교과별 역량은 주로 총론의 핵심역량을 모방하는 수준에서 설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검토 과제로 교과 역량 설정의 세 가지 측면을 제안하였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presented the educated person as `a creative and integrative learner possessing key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 major direction of the revision was how to embody key competencies in curriculum design, and new concepts, such as subject competencies, key concepts, and functions, were introduced for this embodiment. However, reflective arguments regarding these new concepts have been proposed since the curriculum revision.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related to key competencies and discusses future tasks. First, the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the educated person, key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goals. An examin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veals that they have two properties: educational direction and an educational goal. Second,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It is found that the key competencies of the national guidelines function as general competencies across curricular subjects and serve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subject competencies. Finally, the paper proposes three approaches to establishing subject competencies in future tasks.

      • KCI등재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

        소경희(So, Kyung-Hee),강지영(Kang, Ji-Young),한지희(Han, Ji-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최근 학교교육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인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을 탈피하는 방안의 하나로 ‘역량’이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을 역량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교과와 관련된 역량, 즉 교과 특수(subject-specific)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발달시키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미 역량중심으로 교과교육과정을 설계해 온 영국, 독일, 캐나다의 사례를 통해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해본다. 아직까지 역량중심적 교과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어떠한 실증적 혹은 구체적 연구나 모델이 없는 우리의 상황에서 외국사례에 대한 검토는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된 영국과 독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영어 교육과정과 수학 교육과정에서 역량 모델이 어떻게 설계되어 있는지를 검토해보고, 이러한 역량 모델의 특징이 우리나라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를 살펴본다. Recently,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drawn great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knowledge-delivery paradigm prevailing in current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up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develop subject-specific competency for the futur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subject-based competency model by examining curriculum documents of England, Germany, and Ontario in Canada which restructured their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y-model. Their examples will be helpful to Korea education since Korea still has had no empirical research and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model in recently revised curriculum of England, Germany, and Ontario in Canada.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 of several implications of competency-model used in their curriculum reforms in order to improve Korean national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전환적 관점에서 살펴본 역량 중심 초등 영어 교육과정 운영

        강정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급변하는 미래 사회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영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이 되어야 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및 초등 영어 교육에서 역량이 지니는 의미와 교사 중심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위해 전환되어야 할 요소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종합적 문헌 탐색 연구를 실시하여 역량 중심 초등 영어 교육과정 재구성, 개발 및 운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과 그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오해 및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문헌 분석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수정할 수 없는 공문 문서로 오해하거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시간, 재정, 교사연수, 경험 부족과 더불어 교육과정 개발 및 재구성에 대한 개념의 모호함 등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이전 교육과정과는 다른 자율적인 교사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역량 중심의 초등 영어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전환적 관점이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 교사 역할, 영어 교육 방법, 교사 연수의 개선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Competencies-Based English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CBEC)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tudents’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function well in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identify what CBEC is and how teachers can implement the CBEC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main limit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analyzed: teachers mostly developed their curriculum based on textbooks which limited their creative instruction, considered curriculum as a non-touchable official document, and had difficulty in developing or reconstructing curriculum because of limited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implement successful CBEC, it is necessary for English teachers need to transform their perspective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in future society. For example, English teachers need to reconsider English teachers' competencies not just including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adding abilities in developing CBEC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rather than only textbooks. In addition, they need to transform Content Based Instruction(CBI) into a uniquely Korean CBI using both English and Korean and engage in participato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those experiences.

      • KCI등재

        초등 저경력교사에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과 보유도 및 교육요구 분석

        강세진(Kang Sejin),임수진(Lim Soojin)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에게 필요한 행정업무역량을 조사 분석하고, 저경력교사의 행정업무역량 보유도와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역량 관련 선행연구와 관련 법령, 연수 프로그램에서 행정업무역량을 추출해낸 후 FGI(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지를 통해 필요한 행정업무역량군과 세부 역량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의도 내렸다. 이를 기반으로 저경력교사의 행정업무역량의 보유도와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단계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저경력교사에게 필요한 행정업무역량은 교무행정업무역량군, 관계역량군, 교직소양역량군의 세 가지 역량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그 아래 총 15개의 세부역량이 도출되었다. 교무행정업무역량군, 관계역량군, 교직소양역량군 등에 속한 하위 역량까지 15개의 세부역량 보유도를 분석한 결과, 저경력교사들은 ‘학교업무와 교육행정 이해 역량’, ‘업무처리 역량’, ‘비판적 사고 역량’, ‘도전정신’, ‘자율성’, ‘공직관’에 대한 보유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별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연령과 경력이 높은 교사, 부장교사, 1급 정교사 연수를 이수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행정업무역량보유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Borich 교육 요구도 분석법과 LFM을 활용하여 저경력교사의 행정업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중복 검증한 결과, 저경력교사들은 ‘업무처리 역량’, ‘학교업무와 교육행정 이해 역량’, ‘갈등조정 역량’, ‘의사소통 역량’, ‘분석적 사고 역량’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dministrative task competencies(ATC) required from the elementary novice teachers and analyze their possession of ATC and educational needs. The findings show that ATC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f competencies for the school task administration, relationships, and knowledge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re were total 15 detailed sub-competencies among the three groups. This research analyzed the possession level of the 15 detailed competencies among the novice teachers and found that they had a low level of competencies for understanding the school affai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cessing the works, doing critical thinking, having a challenging spirit, having autonomy, holding a viewpoint of public office. This research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e possession level of ATC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teachers with older age and longer career than those with younger age and shorter career, among head teachers than common teachers, and among the teachers that completed first level in-service training for regular teachers than those who did not(p<.001). By using Borich s analysis method of educational needs and LFM, the investigator tested in duplication the short-career teachers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for ATC and found that they had high educational needs for competencies for work handling, understanding of school affai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flict mediation, communication, and analytical thinking. This present research identified ATC required from short-career teachers, analyzed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possession level,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ATC, and provided a direction for teachers education to reinforce the ATC of short-career teachers in the future,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