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능 영어 절대평가 세대 대학생들의 영어 능력 인식, 향상 추구 영역, 교양영어 만족도 및 향후 개편 방안 연구

        정성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English competence, domai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college English program and an reorganization for the future.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to report participants’ perceptions about four categories as follows: (1) how to perceive about their own English competence (2) what English doamin(s) they want to improve, (3)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current college English program, and (4) what type of English program would work best for achieving their ideal English performance. A total of 60 research participants who registered two subjects of liberal arts class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erception analysis questionnaire at the fifteenth week of their courses. The normality test verified the homogeneity of variance of these group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se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English abilities negatively in the domain of speaking, writing, listening, reading and grammar respectivly. They also wanted to improve their abilities of speaking and writing meanwhile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glish program provided by their gen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while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abilites of speaking and writing, they also showed some interests in improving their English ability affiliated with major area. These ideals were revealed through their wishes to be educated from a writing and speaking - centered prospective college English program. Conclusions The findings imply that new-age learners who were admitted from a new college entrance admission process need to be provided with more satisfactory gener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with students. By doing this,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may successfully meet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while assisting students’ needs of improving major-affiliated English abilities and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required for the colloege level higher-education. The further studies regarding how to reflect learners' need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English competence of speaking and writing affiliated with major are sincerely recommended. 목적 본 연구는 2018년도 영어 절대평가 시행 후 입학한 대학생들(이하 수능영어 절대평가 세대)이 15주간 영어 교양 교과목 수강후 본인의 영어 능력을 문법, 독해, 말하기, 쓰기, 프레젠테이션 영역으로 세분화 하여(이하 영어능력) (1) 자신의 영어 능력을 현재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이하 영어 능력 인식), (2) 부족한 역량은 무엇이며 있다면 가장 향상하고 싶은 능력은 무엇인지(이하 영어향상 추구 영역), (3) 영어 교양 교과목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 (이하 교양영어 만족도), (4) 앞으로 바라는 교양영어프로그램 개편(이하 향후 개편 방안 및 프로그램 제언)은 무엇인지 고찰하는 연구이다. 방법 자료는 서울 S 대학 교양 영어 교과목을 수강하는 총 2개 분반 63명의 15주 차 수업 후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수집되었다. 무작위 표본으로 선택한 2개 집단은 연구 환경상의 제약으로 자의에 의해 연구자 분반을 교양 필수 혹은 선택 교과로 수강한 학생들이었으며 정규성 검정(NormalQ-Q Plot)실시 및 정규분포를 점검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결과 학습자들의 영역별 영어 능력 인식은 그리 부정적이지 않았으나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향상하기를 원하는 학습자들이 가장많았으며 현재 수강하고 있는 교양필수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향후 교양필수 영어 프로그램은 말하기와 쓰기역량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편되기를 원하였으며, 전공능력을 향상시키는 영어프로그램이 되기를 원하는 요구가 그 다음으로높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능 절대평가 세대들은 대학 수준의 영어 역량을 말하기와 쓰기 능력이 우수한 상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수강하는 현 교양영어 프로그램은 그러한 니즈를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여겼다. 본 연구는 미래세대 양성을 준비하여야 하는 대학교육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학습자 니즈인 전공 영역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영어 말하기와 쓰기 영역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으로 수요자가 만족하는 교양영어 교육을 제공하자는 의의와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들의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연구

        김숙현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general English programs at the college level. Total 166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engineering majors including Architecture, Mechanical, Urban, Smart Automotive, Electronic Engineering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one year of general English programs. Th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the purpose of taking the class,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suggestion for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survey’s categories, students’ majors to verify the differences within majors and classes which were Academic reading conducted by Korean professors and English conversation conduct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Overall statistic result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majors. However, the satisfaction for Academic reading was slightly higher than English conversation because students were still afraid of speaking English with a foreigner. The results showed students preferred to have Korean professors in general English classroom but did not agree with expanding class hours. The studen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variety of class subject in general English programs including the classes that helped to raise the TOEIC or other tests’ scores. Also the university needed to reform the general English program in the way that the participant can develop their English skill to actively participate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 지방 A대학의 창의공과대학의 다섯 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양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개 학과의 166명의 학생들이 본 설문에 참여 하였으며, 설문지는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 교양영어 수강동기,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 교양영어 수업의 개선점의 항목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수강 동기에 전공별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수업의 만족도 및 태도는 교양영어 수업별 차이와 전공별 차이가 있는지, 전공별 제안하는 교양영어 개선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따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모든 전공에서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동기는 필수 학점이기 때문이라는 답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또한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수강한다는 문항도 비교적 높게 나왔다. 또한 필수학점임에도 불구하고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교양영어 수업중 원어민 교수가 진행하는 영어회화 수업보다 한국인 교수가 진행하는 대학영어 수업의 만족도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전공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개선점으로는 다양한 교양영어 수업이 필요하며, 교양영어 수업 교수진으로는 많은 학생들이 한국인 교수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효과적인 교양영어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이 개설되어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이 다양화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영어회화 수강에 앞서 기초영어 학습이 선행된 후 수강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교육 선진화를 위한 “S” 대학사례연구

        김상경(Kim, Sang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대학 교양영어 관계자들은 글로벌 역량을 지도할 수 있는 영어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커리큘럼 개선, 학생 만족도 향상,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영어분반시험 등을 개발하는 데 최선을 다해왔다. 하지만 많은 학생이 대학 교양영어수업을 통해 본인의 학습요구도를 충족하지 못하고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교육적 갈등을 해소하고 차별화된 교양영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S” 대학이 진행한 영어 교양교육 선진화 TF의 운영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양영어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8개월 이상 내·외국인 교원이 “교양영어과목 개선 위원회”, “영어회화능력 진단평가 위원회”, “영어회화 고급반 교육과정 개발 위원회”를 운영하면서 심화된 영어교과목, 분반수업운영안, 영어구술평가시험, 영어회화 고급 반 커리큘럼을 개발․완성하였다. 본 TF는 교양영어 이수학점을 2학점 축소한 학교의 방침을 융통성있게 수용하여 대화소통능력중심으로 네 가지 언어지식을 습득할수 있는 영어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커리큘럼을 실행할 수 있는 분반시험실시, 외국 인 교원역량강화를 이뤄냈다. 이런 성공적인 결과는 내·외국인 교원간의 대화소통, 교원과 행정부서의 공조체제, 학교의 비전과 교양교육의 선진화를 이루려는 의지를 공유한 것이 원동력이 되었다. General Education English Programs (GEEPs) in Korean universities have faced ever-lasting challenges to improve their curriculum. Korean college students are reported to perceive English skills as a principal key to their future career development or success in life. They do not, however, believe the GEEPs fully support their needs in learning English. Therefore, they look for help to improve English skills outside their universities. GEEPs have endeavored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levels on courses, pedagogically and administratively, but the results are still not agreeable. “S” University launched the GEEP Improvement Task Force team with three sub-committees: The General English Curriculum Development; The English Placement Test Development,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Advanced English courses. For eight months, these committees developed new curricula by combing the courses in freshmen and sophomore English programs, the in-house English placement test, and new advanced-level courses. All outputs enabled “S” university to run the GEEP based on student proficiency level; to create a developmental freshman English program that provides students with a strong foundation before they take the regular English courses; and to fine tune the advanced level, which hones existing English proficiency of high level students. Faculty members also upgraded their expertise through developing the curriculum,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and outside experts, and constructing new scientific testing. This study discusses expected outcomes from running the GEEP Improvement Task Force project as well as the challenges overcome during the process in a college community.

      • KCI등재후보

        ‌대학영어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제언

        고준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5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to develop the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college must educate students to learn how to develop various dimensional thought and creative imagination in order to voluntarily cope with rapid variations in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For this, the college should develop and conduct research for the integration system of systematized and materialized General English’s and College English’s curriculum so as to correspond with the stream of a large historical r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College English and the opening of a new general English textbook after analyzing the test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at learned College English this semester at S University, and then on the basis of that, presenting the problems of the College English. This study concentrates on what program the university must develop for A group students and C group students in the test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insists on basic wholeness factors such as 1) the induction of learning motivation, 2) the level-specific class organization, 3) text development consisted of various specialized articles, 4)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sponsibility of a professor, and 5) general English textbook and research team constitu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ollege English. After that, the college must expand and improve a new subject installation and an existing subject centering around established general English for students. These suggestions were 1) the course of a literary masterpiece reading, 2) the course of immersed TOEIC, 3) the expansion of TOEIC lecture, and 4) the consilience course of the cultivation of people. 21세기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문화적, 직업적 현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패러다임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학생들의 이러한 현실적 욕구에 대학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입체적 사고방식과 창조적 상상력을 끌어내야 하는 데에 갈증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트랜드에 부응하기 위하여 대학영어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 역시 이에 한 몫을 해야 하는 당위성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은 시대적 대변혁의 흐름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이러한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체계화된 교양영어 및 대학영어 교과과정의 통합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S대에서 대학영어를 수강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대학영어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따른 대학영어교재 편집구성과 내용, 그리고 교수방법의 발전방향을 위한 새로운 교양영어 교과목 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학업성취도에서 A형 집단과 C형 집단의 학생들을 위하여 대학이 어떤 프로그램의 개발을 해야 하는가에 이 연구의 초점을 집중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영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1)학습동기 유발, 2)수준별 반편성 및 클래스 사이즈(30단위) 축소, 3)다양한 전공지식과 연계된 교재 개발, 4)교수들의 강의안 작성에 대한 합리적인 방법 제시, 5)교양교과목 개발 및 연구팀 구성을 골자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존 교양영어 교과목을 중심축으로 삼아 새로운 교과목의 개설과 기존 교과목의 확충방안을 제안했다. 이러한 제안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1)몰입형 명작문고 읽기 강좌, 2)기숙형 TOEIC집중과정, 3)TOEIC 교과목의 강좌수 확대, 4)통섭적(융합적) 인재양성 교과과정 등에 역점을 두고자 한다. 요컨대 대학은 ‘스펙초월’이라는 거대담론을 지향하는 정부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채용문화 패러다임과 미국 하버드 대학의 교양과정 개편과 같은 새로운 교양교육의 대개혁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교양영어 및 대학영어 교과목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하다. 그래서 대학은 학생들에게 지성인으로써 가치 있는 삶이 무엇인가에 대한 준거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대학은 전공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대학졸업 후, 사회에서 능동적이고 역동적으로 모든 일에 균형감각을 갖추고 각종 집단의 리더로써 민주 시민을 육성하는 데에 손색이 없는 지도자의 인격 및 자질을 확충하는 데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대학영어를 수강한 학생들의 수준을 분석하여 그 학생들에게 실제로 필요한 대학 교양영어 교과목이 현실과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당해야 하는가에 나름대로 고심하게 되었다.

      • KCI등재

        동료 튜터링 운영 사례 연구 - 교양영어 학습 성취와 만족도 중심

        유경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Peer tutoring programs have been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n undergraduate education in order to assist incom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basic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Al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about the effect of peer tutoring programs on various subject areas and their operational aspects, only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effect of tutoring programs on students' general English achieve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eer tutoring influences the tutees' basic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grades on General English. A total of 189 tutees took part in this study for three semesters. An 8-week tutoring program was offered to the participants per semester. They took pre-post English tests and completed the survey at the end of the program to see how effectively the program was operated and how much th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e tutors. Also, the best tutees selected by the tutors were asked to fill in the pros and con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utoring program has positively affected the tutuees' English abilities and their grades on General English.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 and post English tests in each semester, and the tutees' grades on General English were also statistically improved. The survey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tutees perceiv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studying the basic English words,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English sentences as well as increasing of their interests and self-confidence in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results showed several improvement parts involving opportunities studying with various lesson materials, a longer program operation period and advanc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최근 대학에서 학생들의 기초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 튜터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 내 교양영어 교과목 관련 동료 튜터링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고 학업 성취관련 연구가 거의 없어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3학기 동안 각기 진행되었던 동료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티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4학년 2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3학기 동안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 189명을 대상으로 튜더링 프로그램 이전과 이후 영어시험을 실시하여 향상도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교양영어 성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설문지를 통해 튜터링의 학습효과, 튜터에 대한 만족도와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편 우수 튜티가 인지한 프로그램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튜터링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의 영어 성적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교양영어 성적을 비교한 결과 튜터링에 참여했던 학기의 성적이 튜터링에 참여하지 않았던 전 학기의 성적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세부 점수대 별로 분석 한 결과 교양영어 성적이 하위권에 있었던 튜티들이 상위권보다 점수의 향상도가 훨씬 더 컸다. 이를 통해 튜티들은 선배 튜터와의 튜터링 학습을 통해 영어 학습 성취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설문지와 우수 튜티의 소감문 자료를 통해 소규모로 진행된 튜터링 학습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이 되며 단어와 문법, 영어 문장 해석과 발음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지하였으며, 자신에게 도움을 준 튜티가 열의를 가지고 수업을 했으며 자기들의 질문이나 학습 도움 요청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다고 인지하였다.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튜터링 전용공간과 튜터링 기간 확대 운영 등과 같은 교육환경 향상과 다양한 교육 자료 제공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의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동료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교양영어를 듣는 수강생들의 학습 성과를 규명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기초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육적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공 연계 기반 교양영어 프로그램 개편을 위한 교양영어 교육 수강생 인식, 만족도 연구 - 서울소재 S대학교 교양영어 수강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정성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언어 4기능 중심 교양 영어프로그램을 15주간 수강한 대학생(이하 연구참여자)들의 수업 만족도를 기반으로 미래 교양 영어프로그램의 이상적 변화와 교육 방향은 무엇인지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 영역은 (1) 현재 자신의 영어 능력 인식 (2) 자신의 영어 능력 중 향상을 원하는 영역, (3) 현재 4 가지 언어기능별 교양 영어 커리큘럼 만족도 (4) 미래 교양 영어프로그램 개편 방향(전공과의 연계성) 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영어 능력을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 영역별로는 말하기>전공영어>듣기=어휘>읽기=발음> 쓰기 순으로 향상하기를 원하였다. 현 교양 영어프로그램이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에 기여할 정도로 도움을 주거나 혹은 만족스러웠다고 느끼지 않았으므로 향후 교양 영어는 말하기와 전공 연계 영어, 쓰기 영역에 도움이 되도록 개편되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미래형 교양 영어교육이 수요자, 학습자 중심으로 전공 영역과 연계되어 변화, 개발, 개편되도록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해 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English competence, domai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college English program, which purported to transition to the major-affiliated English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to report participants’ perceptions about four categories as follows: (1) how to perceive about their own English competence (2) what English doamin(s) they want to improve (3)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current college English program, (4) what type of English program would work best for their prospective ideal English performances with the affiliation of major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English abilities negatively in the domain of speaking, writing, listening, reading and grammar respectively. They wanted to improve the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through their wishes to be educated from the English program affiliated with majors.

      • KCI등재후보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원어민교원의 인식 분석

        김숙현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9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교양영어 수업을 진행하는 영어권 원어민 교사를 대상으로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21명의 원어민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원어민교원이 생각하는 학생들의 수강동기, 교양영어로 진행되는 영어 회화 수업에 대한 만족도, 학생들에게 영어 회화 수업을 통해 기대하는 점, 교양영어 로서 영어회화 수업의 개선을 위한 의견 등 총 4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24개의 객관식 문항과 2개의 주관식 문항으로 설문지는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은 학기가 끝난 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원어민 교원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영어회화 수업 후 학생들이 영어 말하기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고 영어회화 이외의 영어 학습에 관심을 갖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교양영어로써 영어회화 수업에 대한 개선점으로 수준별 수업을 가장 많은 교원들이 제안 하였다.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같은 반에 분포하여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지적하며 가장 요구되어지는 개선점을 수준별 수업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효과적인 영어회화 교육환경을 위해 원어민교원이 제안하는 개선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양영어 수업에서의 역량성취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성 연구

        김혜경(Kim, Hyekyung),배성아(Bae, Sung Ah)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를 학습자의 역량성취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성을 통해 진단하고 분석하여 향후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교과 학습을 통한 학업과 역량의 통합적 성취가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위치한 H 대학교의 필수 교양영어 3개 분반 수업에 참여한 145명의 핵심역량 진단결과 및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그리고 총 12주간 진행된 역량 수행활동의 평가 점수를 수집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교양영어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협업역량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역량강화 활동을 직접 수행해 본 경험들이 역량성취로 이어진 결과로서, 학습자의 역량성취가 담보되는 교양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도 세세한 활동기반의 교수설계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본 교양영어 수업의 목표인 협업역량이 향상된 학습자들은 수업에 대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핵심역량의 향상 여부가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역량 수행활동의 평가 결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역량기반 교양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의 역량 증진과 교과 지식 함양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역량기반 교양영어 수업의 운영방식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이론으로 배운 지식을 역량과 연계하여 직접 수행함으로써 역량과 학업성취를 고루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y-based college English class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mpetency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a more even cultivation of both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future general English classe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he scores of mid-term and final exams,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competencybuilding activities from 145 students. Three classes taking college English at H University in the central reg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a total of 12 weeks. Independent sample t-valid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teamwork competency level of learners taking this college English class improved. This result shows that students’ experiences performing the competency-building activities led to their competency achievement, and it also indicates that continuous and detailed activity-based teaching design is necessary to create college English classes that can guarantee the competency achievement of the learners. Second, learners who had improved their level of teamwork competenc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lass, confirming that whether or not their core competencies were improved plays a role when it comes to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such classes. Finally, we found that learner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had higher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competency-building activities. This shows that competency-based college English classes have a positive effect in regards to improving both the core competen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ompetency-based college English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way for learners to develop both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while putting their competency knowledge to use on their own.

      • KCI등재

        의사소통 중심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 효용성 연구: 학습자와 교수 자간의 인식 차이 고찰

        유경아(Yu, Kyung-Ah)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학교의 대학 교양영어 교과과정에 대해 교수와 학습자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와 개선할 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초급 집단, 중급 집단, 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원어민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용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교양영어 수업의 목표에 관한 설문 결과는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교양영어의 목표가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과과정 운영에 있어 교수 집단이 학습자 집단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강의 규모와 배치 결과에 만족도는 교수 집단이 학습자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학생 집단에서는 강의 규모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였지만 배치 결과에 대해서는 초급 집단이 중급 집단보다 만족도 비율이 조금 높았다. 교양 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어떤 영역에서 도움이 되었는지를 물어본 결과 교수자와 학생 집단 모두 교양영어 수업이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쓰기 영역에는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움이 덜 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과제의 만족도에서는 교수 집단은 학습자들이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였지만 학습자 집단의 만족도는 그렇지 않아 견해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과과정에 개선사항으로 학습자들은 다양한 수업활동(말하기, 문법, 단어 등)에 대한 요구와 수업시간을 일주일에 두 번 나누어 진행하는 것과 강의실 환경개선에 내용들이 있었으며 추후 견해의 차이를 좁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ifferently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a local university perceived with the modified general English curriculum,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it.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sk thei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First,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goals of the general English.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purpose of general English should focus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evaluation system, the professor group was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tent and evaluation method, and an average of 50% from the student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English program. The professor group showe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ass size and with placement test results was relatively low, whereas the student group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lass size and their current placement. The survey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general English classes helped improvi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relatively less helpful in writing skills.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s with online assignments, the professor group recognized that it could be helpful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but the student groups perceived it negatively. Several improvements were suggested by the students: various class activities focusing on speaking, grammar and vocabulary, dividing class time twice a week, and improv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양영어 교과목으로서 영어 프레젠테이션 수업 연구

        주미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llege learners for English presentation classes as a general English education cours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ers' anxiety over English presentations, and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English presentations. For this purpose,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class. During the classes, the learners practiced writing their own manuscripts, and presenting them in English in front of their members of the small group. In mid-term and final exams, learners gave English presentations in front of the whole clas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implemented using SPSS 2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learners recognize that they are highly demanded for English presentation classes as liberal arts curriculum. Second, the anxiety about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was reduced through the classes. Third, their self-confidence in English presentation was improved. Therefore, it may b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o identify that English presentation class should be regarded as colleg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과목으로서의 영어 프레젠테이션 수업에 대한 요구도 조사와 이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의 영어 발표에 대한 불안극복, 흥미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후에 설문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업시간 중 학습자들은 직접 발표 원고를 작성하고 동료들 앞에서 발표하는 연습을 하였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전체 학급 앞에서 영어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였다. SPSS 23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및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영어프레젠테이션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고, 둘째, 이 수업을 통하여 영어구사력에 대한 불안감이 감소되었고, 셋째, 영어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영어프레젠테이션 수업을 교양영어 필수 교과목으로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