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김자경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9 special schools located in B city and a total of 104 responses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personal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school, teaching level. The levels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special education career.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school, teaching level, age and special education career. Seco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very two variables of personal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lso,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personal teacher efficacy ha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위치한 9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4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근무학교 형태 및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연령과 특수교육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근무학교 형태, 학교급, 연령, 특수교육 경력에 따른 차이가 총점을 비롯한 하위영역별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 모두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각각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변인별 교사효능감 특성 연구

        김남진 ( Nam Jin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교사효능감에 대한 관심과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교사효능감과 특수교육 관련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활성화시켰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에서 특수학급이 차지하는 양적인 중요성 그리고 특수학급 입급 학생들에 대한 특수교육 서비스의 제고를 위해서도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 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학력, 경력, 연령 등과 같은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336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검사지를 이용하여 교사효능감 특성을 연구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중간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도 높다. 경력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연령, 학력과의 상로작용효과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난다. 교사효능감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 중 자신감 요인이 가장 높고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낮다. Concern for teacher-efficacy and shift of special education`s paradigm are activated the study of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special education`s factors. But in our country, the study of teacher-efficacy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followed regard to amount of special class numbers, raise to special education service.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eacher-efficacy by an academic career, an age, etc. To do this 344 teachers were selected and sent paper. the 336 papers were returned and analysed in terms of method, subjects of research, and topics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Teacher-efficacy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caher is around the middle. And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academic career, teacher efficacy of special class teacher is high. Though a career don`t affect teacher-efficacy directly, the difference is revealed by reciprocal relation between age and academic career.

      • KCI등재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곽영숙(YoungSook Kwak)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Bandura(2006)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SES)를 번안하고 국내유아교육의 맥락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예비조사에서는 문헌분석과 번역-역번역,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의 구성개념 및 문항을 탐색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 6개 구성개념, 28개 문항의 예비시안이 개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의 척도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는 6개 구성개념, 28개 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Cronbach’s α 계수는 .96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dapting Bandura's (2006) teacher self-efficacy scale (TSES) and considering the contextual suit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constructs and quest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ranslation-back-transl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 preliminary draft of 6 constructs and 28 questions was developed. In main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305 early childhood teachers to verify the scale goodnes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with 6 constructs and 28 questions, and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found to be .96.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scale for measuring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분석

        박은숙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연구논총 Vol.30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로서 보육교사의 경력과 학력, 보수교육참여횟수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직무영역은 어떤 영역인지, 그리고 직무영역간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경력과 보수교육참가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직무영역별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보육과정직무, 유아생활지도직무, 행사업무, 대인관계직무의 모든 직무영역에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보수교육참여횟수에 따라서는 보육과정 직무와 유아생활지도 직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영역별 교사효능감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보육과정에 대한 효능감과 유아생활지도에 대한 효능감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행사업무에 대한 효능감과 유아생활지도에 대한 효능감은 다른 직무영역별 상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through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in-service educa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in each working section has any correl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depends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in-service education. Second, teachers` efficacy on all working sections depends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But teachers` efficacy is revealed different especially on edu-care curriculum section and child-guidance sec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in-service education. Third, teachers` efficacy i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educare curriculum section and child-guidance section. But the correlations of teachers` efficacy in activities section and child-guidance section are less significant than others.

      • KCI등재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초등학생의 수업참여,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권순구 ( Kwon Soon Koo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교사효능감과 초등학생의 수업참여,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수업참여,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이 기존의 교사효능감 척도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세 곳의 5, 6학년 학생 830명과 해당 학생들의 담임 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의 다층적 특성을 고려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가운데 이해와 포용 효능감은 정서적 수업참여, 주도적 수업참여, 개인적 흥미, 상황적 흥미,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의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은 행동적 수업참여, 정서적 수업참여, 주도적 수업참여, 개인적 흥미, 상황적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성취 압력은 정서적 수업참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교사효능감 척도와 달리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척도가 학습자 수업참여,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데 더 유용하다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교사-학생관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인식이 학습자들의 수업참여,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eacher efficacy scale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predicted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interest,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the present study, survey responses were drawn from 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830 students, who belonged to those teachers, were also analyzed. In the study, two types of teacher efficacy scales were assessed. One is a teacher efficacy scale by Tschannen-Moran and Hoy(2001), and the other is a teacher efficacy scale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by Kwon, Bong, and Kim(2016). As 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 interest, situational interest,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assessed. In addition, three types of classroom engagement, such as behavior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 were also assess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analysis method were used considering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scale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especially efficacy for understanding and tolerance, was only significantly positive predictor for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behavioral engagement. And perceived teachers’ academic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both all dependent variables. In contrast, perceived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negatively predicted both emotional engag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irect effects of teacher efficacy for both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interest,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distinctiv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on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interest, and classroom engag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 is emphasized for both students’ motivation and behaviors in academic setting.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 수준 분석

        류윤석(Ryu Yun-Se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 수준을 분석하여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남 지역 공?사립 유치원 119개소 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 F, Scheffe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교사 효능감을 전체적인 교사 효능감, 일반적 교수 효능감, 개인적 교수 효능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유치원 교사들의 전체적인 교사 효능감은 5점 기준으로 할 때 평균 3.76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 효능감은 평균 4.03,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평균 3.52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전체적인 교사 효능감은 유치원의 설립 유형, 교사의 직위, 학력, 연령, 교직 경력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교수 효능감은 유치원의 설립 유형, 연령, 교직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설립 유형, 직위, 학력, 연령, 교직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사효능감 관련 변인들은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This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study, 185 preschool teachers from 119 kindergartens located in Jeollanam-do were randomly selected.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s(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ale for teacher's efficacy consisting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average level of efficacy is with 3.76(of the total score 5). And the mean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is 4.03, the mean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is 3.52. Second, with respect to general teaching efficacy,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teacher's age are found to be important in teacher's efficacy. Third, with respect to personal teaching efficacy,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the position in their kindergarten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teacher's age, teaching experience are found to be important in teacher's efficacy. Fourth, the teacher's efficacy variables(Kindergarten variables and teacher's variables) are strong correlation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영한 ( Young Han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의 자기장학 정도와 교사효능감이 특수교육의 현장의 질을 검토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즉, 자기장학의 경험이 자신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는 것은 자기장학의 활성화와 계획하게 될 자기장학 운영에 관해 직접적인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이 이 연구의 의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 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고,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살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국의 특수교사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장학의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대해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학교의 교사들이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자기장학 수행수준이 높다. 그리고 대학원 졸업의 교사들이 대졸 학력의 교사들보다 자기장학의 수행수준이 높다. 둘째, 국,공립학교의 교사들이 사립학교의 교사들보다 교사효능감이 높다.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에서 도 국,공립 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다. 셋째,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았는데,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 모두에서 자기장학의 수행수준이 높을수록 높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based on the type of institution,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It is to study if there is any meaningful relation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o do this study 93 teachers` paper were selected and analysed in terms of methods, subject of research. This result of this paper were follows; First, the teachers of public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self-supervision than the teachers of private school, and the teacher of graduation from a graduate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self-supervision than the teachers of graduation from a university. Second, the teachers of public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teacher efficacy than the teachers of private school. Finally,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All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one another.

      • KCI등재

        교육실습중 교사효능감 변화와 교수설계에의 시사점

        임병노 ( Byungro Lim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예비교사 교육은 미래의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비교사는 교사의 꿈을 가지고 있으며 교직 적성을 가지고 있을 지라도 실제로 교직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교사효능감을 얼마만큼 가지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적성이나 흥미가 아니라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교사효능감 정도는 교직에서의 성공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본 연구는 교직과정을 대부분 마치고 교육실습을 전후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실습 전에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실습 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수도권에 재학 중인 중등예비교사 9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을 전후하여 교사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효능감의 전반적인 변화와 하위 요인들에 대한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실습을 통해 전반적인 교사효능감의 향상이 있었으며 특히 교수효능감과 학생지도효능감 요인에서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정서조절효능감과 자신감에서도 일정 정도 향상이 있었다. 과제난도선호 요인에서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실습전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교직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논의하였으며, 교육실습 후 변화된 양상을 통하여 교육실습교과 수업의 개선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eacher efficacy is a good indicator for the successful teaching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aching practicum on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93 college students in a teaching practicum course of a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twice -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period. Survey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 efficacy consists of five components: emotional control, control on students’ behavior, teaching efficacy, self-confidence, and desire for work.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paired-t test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hanges in general teacher efficacy were made during the period. Secondly, especially changes in ‘teaching efficacy’ and ‘control on students’ behavior’ were more impressive than others. Thirdly, efficacy in ‘desire for work’ did not change at al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advancing teaching practicum courses for the positive teacher efficac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규녀,김소연,박기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s related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ariables,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This will be provided as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M=3.0), and teaching efficacy (M=3.41) was found to be a bit higher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M=3.28). Upon analyz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resulting from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major had no difference while the effect of school year on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lower regions of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ll were above the average 3.0. Gender and school year wer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global competence of key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and major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had no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school year variab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r=.274) and key competencies (r=.168). Lastly, it was found that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of r=.475.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한석실,임명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의 질향상을 위해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에서 차이를 보이는 교사변인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변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서울시내 유치원의 만 3, 4, 5세 담임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일반적교수효능감은 60점 만점 중 평균 42.36점, 개인교수효능감은 65점 만점 중 평균 44.86점으로 중상이상의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교수효능감은 교사연령, 직위, 연수회수, 경력, 참여정도에 따라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개인적교수효능감은 교사연령, 최종학력, 직위, 보수, 연수회수, 이직회수, 경력, 참여정도에 따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일반적교수효능감은 원 의사결정에의 참여정도와 직위에 의해, 그리고 개인교수효능감은 교사연령과 연수회수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to find out teacher’s variables that make difference teacher efficacy and to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on teacher efficacy. In this study, 287 preschool teachers of 3- to 5- year old children from 109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They completed TEBI(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ale for teacher efficacy consisting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mean of GTE(general teaching efficacy) is 42.36 and PTE(personal teaching efficacy) is 44.86. Teacher’s level of GTE and PTE are similar, and teachers have a middle and upper level of GTE, PTE. Second, with respect to teacher’s characteristic variables, teacher’s age, status in working place, amount of in-service program, and years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of kindergarten are found as imperative in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 the meantime, teacher’s age, level of education, status in working place, teacher’s salary, amount of in-service program, changing number of kindergarten,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of kindergarten are found as imperative in teacher’s personal teaching efficacy. Third, the teacher’s characteristic variables are working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ir efficacy. It i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of kindergarten and status in working place that a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it is teacher’s age and amount of in-service program that a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personal teaching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