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커먼즈의 연구동향 및 개념적 구성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장혜원,서광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6

        관광커먼즈는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사용하는 공동자원으로 많은 관광자원이 공동자원들의 집합체이다. 커먼즈는 비배제성과 편익차감성을 주요 속성으로 한다. 공동자원으로서 관광커먼즈 역시 비배제성과 편익차감성의 특징을 경험한다. 관광커먼즈는 높은 접근성을 가지게 되어 수용력을 초과하는 방문객을 허용함으로써 관광지로서의 가치를 하락시킨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관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광커먼즈의 특성을 고려한 관광 계획과 실행, 운영체계가 요구된다. 하지만 관광커먼즈의 개념적 토대가 취약하여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같은 배경에 의해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방법을 적용하여 관광커먼즈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관광커먼즈 개념의 구성요인을 제안하였다. 국내외의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관광커먼즈 개념에는 비배제성, 편익차감성, 그리고 수용력 등의 속성이 포함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관광커먼즈에는 커먼즈라는 공통적 속성과 함께 수용력이라는 차별적 속성을 포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커먼즈 개념의 구성요인에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적응형 공동관리, CBT(Community based tourism), 집단행동, 환경인식 등의 다섯 가지 범주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관광커먼즈 개념에는 지속가능한 관광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광의 의미가 포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분야에서 커먼즈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여 관련된 연구를 추동함으로써 관광커먼즈 기반 관광지의 관리지침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관광커먼즈 관리모델에 관한 연구: 생태관광을 중심으로

        장혜원,최상훈,서광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024 관광연구저널 Vol.38 No.1

        요약: 보호구역에서 추진되는 생태관광은 관광커먼즈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관광커먼즈는 자원의 이질성과 관련 주체들의 다양성으로 특징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해 관광커먼즈의 관리는 이해관계자들이 학습과 협업을 통해 불확실한 생태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을 통해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람사르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제주 선흘리 동백동산을 사례로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을 적용하여 관광커먼즈 관리모델을 개발하였다. 3년간의 참여관찰과 다수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론연구와 현장연구를 유기적으로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응형 공동관리 모델이 관광커먼즈 관리에 적용가능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었다. 둘째, 관광관리시스템에 사회생태계이론을 적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관광커먼즈 관리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으로 설명되고 있었다.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관광시스템이론에 사회생태계 모델을 적용시킨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적응형 공동관리 프로세스가 관광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많은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고, 사회적 학습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제약이 있음을 들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관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커먼즈와 커뮤니티 관계의 역사적 변동

        정영신(Jeong, Young-S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7

        이 글은 커먼즈론을 통해 숲과 마을, 커먼즈와 커뮤니티 관계의 역사적 변동을 다룬다. 근대 이전의 시대에 마을숲은 지역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가장 중요한 커먼즈였다.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커먼즈로서의 마을숲은 근대적인 소유제도가 도입되면서 대부분 국유지나 민유지로 전환되었다. 한국의 제주에서도 마을마다 곶자왈이라는 마을숲이나 공동목장을 오랫동안 이용하고 관리해 왔지만, 근대적인 소유제도의 도입으로 마을숲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마을주민 공동의 숲이라는 관념과 등록된 소유주들의 재산권 행사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 마을숲은 마을 주민들의 가장 중요한 생계자원의 역할을 벗어났지만, 그 역할을 다양한 방식으로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커먼즈로서의 마을숲의 역사를 복원하고 커먼즈의 현대적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마을공동체와 마을숲 사이의 역사적 관계를 분석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실천활동(commoning)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일제시기의 근대적 소유권 제도의 도입과 위로부터의 목장조합의 건설, 제주4‧3사건으로 인한 공동체의 붕괴와 5‧16이후의 조치들로 인한 마을공동재산의 박탈, 자본주의적 근대화의 추진 과정을 통해 커먼즈와 커뮤니티의 역사적 관계가 변화해 온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생태관광을 통해 숲과 마을, 커먼즈와 커뮤니티의 관계가 새롭게 형성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커먼즈의 현대적 의미를 탐색한다. The history of Dongbaek-dongsan can provide an interesting casestudy for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mmons. Located in Seonheul-ri, a small rural town of 700 populations, Dongbaek-dongsan, literally meaning camellia garden or camellia forest, has been managed by the local villagers for hundreds of years. Until 1960’s, Dongbaek-dongsan had been a source of important livelihood resources such as firewood, charcoal, medicinal herb, and drinking water. But in 1971, the Jeju local government appointed Dongbaek-dongsan as a local monument and banned its utilization by the villagers. The introduction of running water system in the same year further reduced the importance of Dongbaek-dongsan in the communal life. However, after 40 years of alienation, Dongbaek-dongsan was designated as a Ramsar wetland in 2011 and the sudden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ve happened. Dongbaek-dongsan now emerged as an invaluable source for eco-tourism and as the village’s moral and economic asset, possibly creating more jobs for younger generations. In order to properly protect and manage the forest, the villagers perceived it necessary to conceptualize Dongbaek-dongsan as the commons of the national and global citizens including everyone touring the Ramsar wetland, rather than as a mere village forest. In this context, by examining the every-day commoning practices of the villagers and the resulting community reactivation in Dongbaek-dongsan, I would demonstrate how a political ecological approach can be a useful and interesting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commons.

      • KCI등재

        관광커먼즈 기반 생태관광 추진에 관한 구술사: 제주 선흘리 동백동산을 중심으로

        장혜원,서광용,홍성화 한국관광연구학회 2023 관광연구저널 Vol.37 No.5

        Tourism commons is a tourism resource that uses regional common pool resources such as ecotourism. However, there is often a problem with sustainabilit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alternative management models for tourism commons in the future by exploring how commons-based ecotourism is created and manag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As for the methodology in the study, oral testimony was adopted, and through this, the experience of residents was explored in the process and operation status of ecotourism. Dongbaek Garden in Seonheul 1-ri, Jeju, wa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it as an ecotourism resource based on common resources and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llective behavior was deri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creating commons-based ecotourism. Second, environmental awarenes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commons-based ecotourism. Third,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effect of commons-based ecotourism was found to be positi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first, sustainable tourism is deeply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common resources.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tourism commons concept framework. In further research, empirical studies will be needed to develop a tourism commons management model considering tourism capacity.

      • KCI우수등재

        관광과 커먼즈: 관광커먼즈 개념화를 위한 시론

        김익태,한범수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3

        In this age of global 'public crisis,' social science is actively employing the concept of 'commons,' which refers to "everyone's property, not anyone's," in research to solve social problems. However, few studies in tourism academics have examined the tourism phenomenon through the lens of the commons theory. Given this reality,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how to incorporate the theory of the commons into tourism research. To that end, research on commons in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s and related research achievements in domestic academia are reviewed from Hardin to Ostrom. Second, previous research on tourism commons was reviewed and synthesiz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confusion from the conceptual definition,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thus subtractability and excludability based on physical attributes, and monopoly legitimacy and rivarly based on social attributes, were applied. Tourism commons are defined as "natural, social, cultural, and artificial tourism resources that cannot be difficult to physically exclude users and that are not justified to monopolize from a social standpoint," and tourism CPRs are defined as "tourism commons that decrease as they are physically used and are socially rivalry." Based on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propose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tourism commons, with the goal of resolving social dilemmas such as the "tourism parado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