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급체인에 대한 형태적 접근방법

        안웅 ( Ung An ) 한독경상학회 2013 經商論叢 Vol.31 No.1

        기업이 시장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들은 동적인 경영환경 변화에 즉각적인 적응과 핵심역량의 개발이다. 수요의 불확실성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로 대변되는 동적인 경영환경에 대응할 수 있고 핵심역량을 외부로부터 아웃소싱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이 공급체인이다. 공급체인은 법적으로 독립적이지만 경제적으로 상호의존적인 기업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된 형태이다. 공급체인에 속해 있는 기업들은 상호 간에 유기적인 협조 체제 하에 가치창조 프로세스에 필요한 기술, 자원, 지식 및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다수 산업분야에서 전략적으로 우수한 조직형태로 간주되고 있다. 공급체인의 경쟁력은 조달, 생산, 물류, 유통 프로세스에 참여하고 있는 각 개별기업들의 핵심역량의 조합에 의해 좌우된다. 최근의 경영환경은 공급체인 간의 경쟁시대에 진입하였으며 비즈니스의 궁극적인 성공은 경쟁력있는 공급체인을 구축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의 형태적 접근방법의 핵심요소인 전략, 구조, 프로세스 및 환경(상황)으로부터 수요의 불확실성, 유연성 및 경쟁전략 변수를 도출하여 Lean 공급체인, Modular 공급체인, Agile 공급체인 및 Innovative 공급체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각의 공급체인에 대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공급체인형태에 대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제안한 공급체인을 현장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Nowadays, the business environments are very dynamic and unstable. To respond and adapt to the changing market conditions and to ret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marketplace, firms need to have a flexible organization as well as the strategic alliance of interdependent business entities to obtain core competence, which is called a supply chain. A supply chain can deal with the dynamic business environments which is often characterized by demand uncertainty and various needs of customers. A supply chain consists of interdependent business partners, such as supplier, manufacturer, distributor, retailer, and customer to achieve the common objectives because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skills, resources, knowledge and information. Business management has entered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supply chains and the ultimate success of the business will depend on the management`s ability to establish the competitive supply chains. In this study the configurational approach to the supply chains has been chosen because the configurational approach describes organizations as commonly occurring clusters of attributes of strategy, structure, process, and environment. The supply chains configurations are based on demand uncertainty, flexibility, and competitive advantages. The proposed supply chain configurations are Lean Supply Chain, Modular Supply Chain, Agile Supply Chain, and Innovative Supply Chain. It could be applied to practice as well as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supply chain configurations.

      • KCI등재

        공급체인 리더의 관계적 행동이 리더의 리더십과 팔로워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리더 윤리성의 역할

        김상덕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3

        After more than 25 years of accumulated research evidence, there is little doubt that leadership behavior is related to a wide variety of positiv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deed, leadership behavior has been empirically linked to increased employee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extra effort,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verall employee performance. However,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although leadership behavior has been linked to a number of positive organizational outcomes, research regarding the antecedents of such behavior is limited. Especially there is little research dealing with the antecedents of inter-organizational leadership behavior. Supply chain leadership can be defined as the activities undertaken by the supply chain leader to influence the management programs and strategies of supply chain members. Supply chain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leadership of supply chain leader. Although research on supply chain leadership can be broadly categorized, many researchers have been preoccupied with analyzing supply chain leadership by the power-influence approach measuring such as control, power, and power bases. Also they have no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has started to overcome those research ga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onal behaviors on supply chain leadership, and the effect of such leadership behavior on financial performance of supply chain follower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try to find out moderating variable existing in the relationship. To be concrete, First, this study develops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four conceptually distinct forms of relational behaviors such as training, fair reward, offering vision, and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ests the hypothesized differential effects of relational behavior forms on supply chain leadership. Second, this study tests the effect of supply chain leadership on financial performance.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is leadership-performanc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leader ethicality. The reason why this study deals with convenience store supply chain is that there is very strong inter-dependence between a franchisor and its suppliers. Their strong inter-dependence makes their relationship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ior and subordinates and creates an atmosphere that leadership occur without difficulty.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testing, 217 respondents of suppliers of convenience store supply chain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utilizing partial least square model indicated that training, fair reward,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upply chain leadership, and such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of followers. On the other hand, offering vision had no effect on supply chain leadership. In addition, leader ethicality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leade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기존의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조직 내부의 부하와 상사간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조직간 거래관계가 기업의 주요한 성패요인이 된 현시점에서 조직 간 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조직 간 거래관계가 분석의 초점인 공급체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 간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체인의 조직간 리더십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공급체인 리더십 관련 연구들은 두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공급체인 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고, 둘째, 기존 공급체인 내 조직간 리더십 연구들은 리더십과 재무성과 간 관계를 거의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체인 리더십의 선행변수를 발견하고, 리더십-성과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조절변수를 실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관심이 있는 공급체인 리더십의 선행변수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관계적 행동 변수를, 리더십-성과 간 관계의 조절변수로는 리더의 윤리성을 검정하였다. 국내 5대 편의점에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 납품담당자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형 유통업체의 관계적 행동 중 교육훈련, 공정한 보상, 조직간 의사소통은 공급체인 리더십을 강화하였고, 공급체인 리더십은 공급업체의 재무성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형 유통업체의 윤리성이 높은 경우 공급체인 리더십이 공급업체 재무성과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 유통업체의 관계적 행동 중 비전제시는 공급체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SCM의 위험관리, 파트너십, 사업성과의 관계 연구

        김창봉(Chang-Bong Kim),권승하(Seung-Ha Kwon) 한국통상정보학회 2011 통상정보연구 Vol.13 No.3

        In one global industry after another, supply chains are reaching across continents farther and deeper than they have ever been. As a result, global companies are confronting new and more formidable supply chain risks which insurance policies alone cannot overcome.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where the integra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has become critical among Korean export manufactures. One of the most effe獣⸀ 伀渀攀ways to manage supply chain risks is to prevent them from occurrence. First, h敯wever, supply chain managers must have the knowledge to identify potential causes of supply chain risks. This paper attempts to contribute to such knowledg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整we楥渀椀渀isk Management, Business Partn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among Korean export manufacturers. Our study analysed 105 cases in Korea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en develop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our model we found that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ffects both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artnerships among Korean export manufacturers. Our model also revealed that the practice of Risk Management within the Supply Chain of Korean export manufacturing industry is impeded by certain constraints and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공급체인의 위험관리 요인(인지, 평가, 전략), 공급체인의 파트너십 요인(신뢰, 협력), 그리고 공급체인 사업성과(유연성, 민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공급체인 위험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105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공급체인의 위험관리의 요인을 선행변수로 두고 공급체인 파트너십의 요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기업의 사업성과 요인과 함께 연구모형에 포함시켜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급체인의 위험관리 요인은 기업의 사업성과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급체인의 위험관리 요인은 공급체인의 파트너십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급체인의 파트너십 요인은 기업의 사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공급체인 위험관리 요인은 파트너십 요인을 통하여 사업성과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기업에서는 공급체인의 위험관리 요인과 파트너십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경쟁우위를 향상시켜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공급체인의 위험관리, 파트너십, 사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고, 향후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효과적인 실행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중국 기업의 정보교환, 공급체인 통합 프로세스와 고객만족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김창봉 ( Chang Bong Kim ),양루위 ( Lu Yu Ya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4 유통정보학회지 Vol.17 No.6

        최근 중국 기업들은 다양화되고 있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공급체인 네트워크의 연결에 노력하고 공급체인의 흐름이 원활하게 하여 공급체인망에 통합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다. 공급체인관리를 도입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은 공급체인 통합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업의 내부관계 통합을 기반으로 외부관계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기업이 공급체인관리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정보교환, 공급체인 통합 프로세스의 내부관계지향성, 외부관계지향성, 기업의 사업성과 요인들을 도출하여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181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중국 기업들의 정보교환 수준을 선행변수로 설정하였고, 공급체인 통합 프로세스 요인들인내부관계지향성과 외부관계지향성 요인들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로 고객만족 요인을 연구모형에 포함시켜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의 정보교환요인은 공급체인 통합 프로세스 요인들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급체인 통합 프로세스의내부관계지향성 요인은 외부관계지향성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급체인 통합 프로세스 요인들은 기업의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실무적인 기여도는 공급체인관리를 도입한 중국 기업들이 공급체인 통합을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파트너 기업들과 협력하고 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적으로는 해외 선진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제조기업들의 공급체인 통합의 세부 요인과 사업성과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여 성과를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기업의 공급체인 통합프로세스의 업종별로 세분화된 요인을 도출하여 기업규모 정도에 따라 통합 프로세스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exchange factors, supply chain integration process and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Our study analysed 181cases from China companies which adopted a international certification and then develop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model test, this empirical study found that information exchange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supply chain integration process factors. Second, inside-relation orientation affects positively on Outsider-relation orientation. Third, supply chain integration process factors affects positively on business performance. For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for discovering effective practice factors of extended supply chain integration process.

      • KCI등재

        산업 환경 동태성과 브랜드 자산, 공급체인 위험관리, 결속의 구조적 관계 연구

        최철재(Chul Jae Choi),한상설(Sang Seol Han) 한국물류학회 2013 물류학회지 Vol.23 No.3

        기업이 과거 대비 글로벌화 되면서 기업환경의 복잡성, 불확실성이 증가되면서 더불어 기업환경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기업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급체인과정에서 기업환경의 동태성이 구성원 간 거래관계, 결속,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심층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탐색하였고, 특히 공급체인과정에서 산업 동태성, 브랜드 가치, 공급체인 위험관리, 결속 등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논의하고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급체인 상에 있는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및 경쟁 환경의 동태성이 높은 경우 공급체인상의 위험 관리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외부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을 경우 공급체인 위험을 증가하며 이에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관리수준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술 및 경쟁 환경의 동태성이 높은 경우 공급업체의 브랜드 자산 가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구매업체 입장에서 공급업체의 높은 브랜드 자산 가치는 공급체인 위험 관리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공급체인 위험 관리 수준이 높은 경우는 공급체인 결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급업체의 높은 브랜드 자산 가치는 공급체인 상 결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문적으로는 공급체인 과정에서 환경 요인, 공급체인 위험 요인, 공급업체 브랜드 자산 가치, 그리고 공급체인 상 결속에 대하여 구조적 영항관계를 규명하였으며, 특히 그동안 소비재 시장에서 연구되고 논의 되었던 브랜드 자산 가치 요인을 공급체인 과정에서 다루고 있다는 것이 더욱 의의가 있다. As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is being accelerated, More than all, Most of company are put in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therefore many company regard it as a key important factor in management to successfully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With recent dynamic environment change in business transaction, industrial companies have shifted from a product focus to a customer focus and from short-term to long-term relationships.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environmental dynamism, supply chain risk, supplier's brand equity, bonding with partner companies in the supply chain.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testing 135 respondents of company in supply chain transaction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AMO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were as fallow. Environmental dynamism had a positive effect on a risk management in supply chain. In addition, environmental dynamism positive effect on supplier's brand equity importance in supply chain. Supplier's brand equity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risk management i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n supply chain and supplier's brand equity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relationship bonding with partners. This research makes its contribution in the point of view that this is a rare study on industrial brand equity, relationship bonding affecting the result of supply chain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 공급업체의 사회화 과정과 공급업체 통합이 공급체인 관계자본과 공급체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규영,김상덕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1 한국전략마케팅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오늘날의 기업들은 파트너기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공급체인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활동을 도입하여 기업경쟁력 강화의 방안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급체인 구성원인 구매자와 공급자의 관계를 강화시키기 위한 공급체인관리 전략의 사회화 과정과 공급업체 통합이 관계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업 간의 관계로 형성된 관계자본이 공급체인의 성과에 주는 영향력을 알아 보기 위한 연구이다.

      • KCI등재

        백업계약에 대한 동적모형연구

        김태현(Tae-Hyun Kim),문성암(Seong-Am Moon),김영대(Young-Dae Kim),박정훈(Jeong-Hoon Park) 한국생산관리학회 2007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공급체인계약의 유형 중에서 주로 의류산업이나 카탈로그 유통업과 같은 산업에서 사용되는 백업계약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고, 주요 계약 파라미터들이 모형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공급체인 계약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계약의 주요 파라미터들을 규명하고, 현재까지 단일기간 재고모형에 한정된 채로 수학적 접근을 통한 문제해결에만 머물러 있는 공급체인계약 연구를 연속기간 재고모형에 기반한 동적시뮬레이션 모형으로 모형화함으로써 분야 연구의 기반을 다지고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백업계약의 주요 파라미터인 백업비율과 페널티 비율의 변화 및 최종 고객의 반품률에 따라 27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각 시나리오에 따른 계약당사자와 공급체인의 이익 및 재고성과를 분석한 결과, 구매자는 백업비율이 높고 페널티비율이 낮은 경우에 그리고 공급자는 백업비율이 낮고 페널티비율이 높은 경우에 이익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이는 백업비율이 증가하면 수요불확실성에 대한 위험을 공급자가 더욱 많이 부담하게 되는 것이며 페널티비율의 증가는 백업비율 증가로 발생한 위험을 구매자에게 재부담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반품비율이 높은 제품일수록 백업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공급체인이익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공급자의 공급능력 제약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다양한 계약형태 중에서 백업계약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공급체인계약 모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공급체인관점의 성과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조정메커니즘으로서 공급체인계약이 현실의 공급체인관리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d on an area of emerging research: coordinating supply chain using contract mechanism which is useful tool to make the several supply chain actors of a decentralized setting behave coherently among each other. We modeled backup agreement contract by system dynamics simulation method. A two-echelon supply chain consisting of a supplier and a buyer for a single-period product is studied, and market demand uncertainty is described by random normal distribution. We analyze how the parameters affect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actors and prove that using backup agreement contract can improve the supply chain and buyer"s profit under certain conditions. But, increase in backup rate and decrease in penalty cost lead to a decrease in manufacturers profit all the time. In the presence of end customer"s return the supply chain profit improved at a higher backup rate. The model presented here illustrates that contract partners can gain more profit by adopting backup agreement if buyer is willing to share additional profit with supplier. The study could be extended to incorporate more contract types under considering production capacity constraints.

      • KCI등재

        공급체인 위험요인과 관계몰입, 신뢰, 사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김창봉 ( Chang Bong Kim )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5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패러다임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고객들을 만족시키기 위 한 제품과 서비스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급체인이 복잡해지고 글로벌화 되면서, SARS의 급속한 확산, 9·11테러, 허리케인 등의 사 건들이 하나의 공급체인 당사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공급체인 프로세스가 다른 공급체인의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위험 노출의 범위가 공급체인망 전체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위험관리(Risk Management)는 공급체인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급체인의 위험관리 요인인 공급체인의 위험 평가, 위험 동일시 요인과 파트너 기업과의 관계몰입, 신뢰 요인, 그리고 공급체인의 사업성 과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138개 기업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여 수송 경로를 통하여 고객에게까지 이어지는 공급체인의 취약성을 인지하여 위험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면, 파트너 기 업과 협력을 강화할 수 있고, 정보, 자원, 인력 등을 파트너 기업과 공유하면서 파트너 기업과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학문적으로 해외 선진연구와 국내 선행연구에서 위험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슈를 추가한 부분이 긍정적인 부분으로 판단된다. Global business today is witnessing the rapid development of process technologies resulting in a wide spectrum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which underline the importance of business supply chains. However, negative global events such as rapid spread of SARS, terrorism, and hurricanes can seriously impact business supply chains. As the frequency of those damaging events increases, the degree of risk in supply chain management also increases.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of risk management: risk assess in supply chain management, risk identification, commitment and trust with parter companie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supply chain. In studying these relationships, the authors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survey responses of 138 companies. The research analysis findings show that if a company recognizes a weakness in its supply chain-from the manufacturing of products to the delivery of those products to the end-user-and the company establishes a process of assessing risk, it can enhance cooperation with partner companies and improve trust with its counterparts through sharing information, resources, and labor. This research study extends beyond preceding research on the topic, and it forwards useful information for companies seeking to create added value in their supply chains. A notable positive aspect of the study is its empirical analysis on risk management of business supply chains in advanced economies.

      • KCI등재

        공급체인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와 공급체인협력의 실행이 기업의 물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하병천(Byoung-Chun Ha),이태희(Tae Hee Lee),배준영(Jun-Young Bae) 한국생산관리학회 2009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공급체인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러한 인지가 공급체인 상의 협력을 전략적, 운영적 측면에서 실행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며, 공급체인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와 공급체인 상의 협력의 실행이 기업의 물류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공급체인 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인지는 공급체인 상의 전략적, 운영적 협력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의 결과로 기업은 조직의 물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기업이 공급체인관리를 조직 내의 경영활동과 이에 관련된 기업 간의 관계성에 관한 관리적 활동으로 제한되어 이해하기 쉽지만, 그에 앞서 조직원 모두를 포함하는 조직 전반의 공급체인 협력에 대한 이해가 공유되어야 하며, 공급체인 관리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이러한 이해가 공유되 도록 조직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고 조직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의견 교환을 통한 공통된 목표의 설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re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on corporate logistics efficienc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shared understanding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the implementa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corporate logistics efficiency is confirmed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This indicates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which may result in an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logistics efficiency. For successful supply chain management, firms should educate their employee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supply chain partners and build organizationally shared supply chain management goals through open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 대형 유통업체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김상덕,김태경,송철 한국유통학회 2012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기존의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조직 내부의 부하와 상사간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조직간 거래관계가 기업의 주요한 성패요인이 된 현시점에서 조직 간 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조직 간 거래관계가 분석의 초점인 공급체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 간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체인의 조직간 리더십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공급체인 리더십 관련 연구들은 두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공급체인 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고, 둘째, 기존 공급체인 내 조직간 리더십 연구들은 리더십과 재무성과 간 관계를 거의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체인 리더십의 선행변수를 발견하고, 리더십-성과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조절변수를 실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관심이 있는 공급체인 리더십의 선행변수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관계적 행동 변수를, 리더십-성과 간 관계의 조절변수로는 리더의 윤리성을 검정하였다. 국내 5대 편의점에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 납품담당자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형 유통업체의 관계적 행동 중 교육 훈련, 공정한 보상, 조직간 의사소통은 공급체인 리더십을 강화하였고, 공급체인 리더십은 공급업체의 재무성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형 유통업체의 윤리성이 높은 경우 공급체인 리더십이 공급업체 재무성과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 유통업체의 관계적 행동 중 비전제시는 공급체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