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방법의 의미와 가치

        김경아(Kim, Kyung A)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오늘날 우리 사회는 대중이 역사를 즐기고 소비하는 역사 대중화를 넘어 역사 생산에 참여도 하는데 이는 ‘공공역사’라는 개념으로 표현될 수 있다. 공공역사는 대학, 연구소 등 제도권 안의 기관들뿐만 아니라 제도권 밖의 영역을 포함한 공간에서 역사전문가들과 대중들이 함께 역사 지식을 생성하고 소비하며 공유(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역사가들의 역할 증가와 전문역사학계의 위기의식, 대중적 역사 소비와 생산을 가능케 하는 기술적 발달과 상업화의 논리, 이에 관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관심은 공공역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공공역사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려도 있다. 정확성과 객관성, 교육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의 균형 잡기, 상업화로 인한 지나친 단순화와 왜곡, 취업용 프로그램으로의 전락 등이다. 공공영역의 교육기관인 학교는 이 쟁점들을 공론화하고 완화할 정당성과 책무성을 부여받는다. 공공역사는 개개인을 역사 지식의 생산의 주체로 참여시키고, 학문적 민주화를 지향하며, 국가·사회적으로 공공선이 실현되는 민주시민사회로 나아가도록 하는 역사교육적 가치가 있다. 역사는 과거와 동일하지 않고 기억과 역사도 다르므로 한 사회의 합의를 통해 선택한 공식적 기억의 역사화 작업은 중요하며 이러한 과정에는 대중들의 참여와 역할이 중요하다. 그리고 공공역사를 학교에서 교육적으로 실천하는 한 방안으로 구술사를 활용할 수 있다. 구술사는 역사교육적으로 유용하다. 학생들을 역사 생산의 참여자로 만들며, 생생한 역사이해를 돕는다. 또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과 소수자,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역사화 하면서 개인을 역사의 주체로 인식할 수 있다. 스스로 역사를 이끄는 주체임을 인식하는 역사의식을 함양하고 민주사회의 일원으로 실천의식을 키운다. ‘구술사를 활용한 역사하기’를 통해 학생들이 구술사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함양하기도 했지만 일부 아쉬운 점들도 있었다. 앞으로 구술사를 포함한 학교에서의 다양한 공공역사 실천방안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공역사의 교육적 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해 구술사와 같은 방법들을 교육과정에 통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Today, our society participates in the production of history beyon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public enjoys and consumes history, which can be described as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refers to the creation, consumption and sharing (communic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ogether with historical experts and the public in spaces that include areas outside the system as well as institutions within the system,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increasing role of mass historians, the sense of crisis in the professional history academia, the logic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at enable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mass history, and the interest of the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ion circles in this regard have aroused the discussion of public history. There are also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public history. Accuracy and objectivity, balancing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values, excessive simplification and distortion due to commercialization, and degenerating into employment programs. School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ublic domain, are given the legitimacy and responsibility to publicize and mitigate these issues. Public history has historical educational value that involves individuals as the main agents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aims for academic democratization, and moves toward a democratic civil society where public good is realized nationally and socially. Since history is not the same as the past, memory and history are different, the work of historicalizing the official memory chosen through consensus of a society is important, and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the public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And an oral history can be used as a way to practice public history educationally in schools. An oral history is useful in historical education. It makes students participants in history production, and vivid history helps them understand. In addition, individuals can be recognized as the subjects of history while making the lives of socially excluded groups, minorities, and ordinary people. It cultivates a sense of history that recognizes itself as a leading body of history and develops a sense of practice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Students cultivate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 of oral history through “History Using Old Testament,” but there were some regrets. In the future, various public history practices should be explored in schools, including oral history,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o integrate methods such as oral history into the curriculum to revitalize educational practice of public history.

      • KCI등재

        시민교육 측면에서 바라본 공공미술: 서울시 ‘공공미술 시민 발굴단’을 중심으로

        배진희(Bae, Jin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2019년 서울시에서 실시하였던 ‘공공미술 시민 발굴단’ 프로젝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공공미술 발굴활동을 시민교육 측면에서 바라보아, 이 프로젝트의 의의를 찾고 실천과정에서 도출되었던 문제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6년부터 4년째 운영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2019년에는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10개조로 편성된 조들은 관심주제와 관련된 공공미술을 발굴하여 관련 스토리를 만들고, 스스로 시민 참여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여 그 결과를 전시하였다. 연구자는 6개월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자로서 시민 교육적 측면에서 공공미술에 대한 현안을 고찰하였다. 공공미술의 변화와 시민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공공미술과 시민교육의 연계 점을 찾아 공공미술을 통한 시민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공공미술 발굴단 활동 사례를 시민교육 측면에서 분석하여 실천의 내실화를 위한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공공미술을 매개로 한 시민 주도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운영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mples of the ‘Public Art Citizens Excavation Team’ project conducted in Seoul in 2019, looking at public art excavation activities made by citizens participation from the aspect of citizenship education, fi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roject, and finding problems in the practical process. The project, which has been in operation for 4 years from 2016, was conducted for 6 months. The groups, organized into 10 groups, discovered public art related to the subject of interest, created related stories, and planned and operated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themselves to display the result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as an educator, he considered the current issues of public art from citizen education. We examined the changes in public art and the concept of civic education,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ivic education through public art. The case of public art excavation group wa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 education, and a supplementary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e was presented. Through this, it has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practical help to the operation of public art projects led by citizens.

      • KCI등재

        사회과에서 공공기관에 관한 대안적 교육 방안 탐색 - 공공가치론에 기초하여 -

        조의호(Eui Ho Jo)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4 사회과수업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공공기관에 관한 기존 교육 방안의 한계에 주목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교육 방안을 공공가치론에 기초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있었던 공공기관 관련 교육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학습량 감축이라는 개정의 큰 흐름 속에 삭제되었다. 그러나 공공기관 관련 내용은 사회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개념인 공공성을 구체적 현상이나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다룰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공공가치론은 공공성의 내용적 범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공공성의 개념적 모호함을 극복하고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기관이 추구해야 할 가치를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형성할 것을 중시한다. 이에 근거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공공기관 관련 내용은 공공기관 개념 정의의 부정확성, 공공기관 개념 정의와 사례의 부정합성, 배경 학문의 핵심 개념과 실제 교육 내용의 부조화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적 교육 방향으로 공공기관을 대체할 공공가치에 초점을 둔표현 도입, 학생 수준에 적합한 공공가치 진단 기준 활용, 토의·토론을 활용한 특정 맥락에서의 공공가치실현방안탐색강화를제안하고실제수업적용을통해그실행가능성을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plans for public institutions in social studies and attempted to explore alternative education plans to overcome them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value. The contents of education related to public institutions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deleted in reorganiz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the large trend of reduc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However, the contents related to public institutions are valuable in that they are materials that can deal with publicness, a concept that should be treated importa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specific phenomena or student experiences. The theory of public value falls under the content category of publicness, and emphasizes overcoming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definition of publicness and forming values for institutions based on civic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is, the contents relat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d limitations in that inaccuracy of the concept definition of public institutions, the inconsistency of concepts and cas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 incongruity between the core concepts of background studies and actual educational content. Alternative educational directions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expressions focusing on public values to replace public institutions, the use of public value diagnostic criteria appropriate to the student level, and the search for ways to realize public values in specific contexts using discussions and discussions.

      • KCI등재

        교육공공성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신현석(Shin, Hyun Seok),이주영(Lee, Ju yo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기초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교육공공성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4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교육공공성 관련 학술논문 157편을 수집⋅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시기, 연구목적, 연구주제, 연구분야를 기초 동향 분석의 준거로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시각화 및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공성 연구는 정부 시기에 따른 교육정책 기조와 주요 정책 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교육공공성 연구는 이론적 연구보다는 실제적 연구에 크게 치우쳐져 있다. 셋째, 교육공공성 연구는 주로 기회균등과 공적 관리 주제 영역에 집중되고 있다. 넷째, 교육공공성 연구는 교육 일반, 유아, 초·중등, 고등, 사학 분야의 순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섯째, 교육공공성 연구는 주로 교육공공성과 자율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공공성 연구의 향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시대적 이슈에 대한 민감성을 넘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공공성 연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공공성 개념에 대한 해석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의미 관점에서 교육공공성을 조망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론적 연구 및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육공공성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educational publicness research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157 journal articles related to educational publicness from 1994 to 2020. We derived analysis criteria from the review of its prior research for basic trend analysis, and performed the network visualization and centrality analysis for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basic trend analysis, 1) most of the research was done for practical purposes rather than theoretical purposes. 2) Themes of research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equal opportunity and public management. 3) There was a wide gap in the number of studies between the research fields. As a result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1) researches tend to be influenced by the keynote of educational policy and major policy changes. 2) Researches were mainly discussed around the keywords of educational publicness and autonom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The effort for stable and sustained research is needed. 2) More researches for theoretical purpose are needed to balance with practical research. 3) The effort to interpret and study educational publicness from various perspectives is needed. 4) The various research for the whole field is needed.

      • KCI등재

        학교공공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연구회 활용 방안 : 경기도교육청 교육연구회를 중심으로

        장현주(Hyonjoo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본 연구는 학교 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주목하여 교사들의 공공미술에 대한 이해와 관심 그리고 역량을 높이는 방법으로 경기도교육청 도 교육연구회를 조직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교육연구회는 교사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운영되므로 연구 주제가 매우 다양하고 연구회원들의 만족도도 상당히 높다. 공공미술교육연구회(가제)를 조직하고 운영할 경우 연구회원인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공공미술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고 교사 연수, 전문가 워크숍, 세미나 등을 통해 많은 교사에게 공공미술 수업 내용 및 방법을 전달하여 학교공공미술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공공미술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9명의 교사와 인터뷰를 했고 교육연구회 활동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미술교육연구회 회장과 두 차례 면담을 했다. 인터뷰를 통해 공공미술교육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교 에서 공공미술교육을 하는데 교사만한 집단이 없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경기도교육청 교육연구회 운영 계획 및 선정 방안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공공미술교육연구회(가제)의 조직 및 운영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학교공공미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ublic art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aim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Gyeonggido Education Research Society. Since the Education Research Society is operated based on the teacher’s spontaneity, the research topics are very divers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embers is quite high.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Public Art Education Research Society(tentative title), teachers who are members can teach public art at school and contribute to revitalizing public art education by delivering public art classes to many teachers. The researcher interviewed nine teacher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eachers public art education and interviewed with the chairman of the Gyeonggido Art Education Research Society. This researcher suggested the need to cultivate experts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ublic Art Education Research Society(tentative tit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specific and practical measures to strengthen public art education in schools.

      • 동학의 공공행복과 윤리교육의 새 지평

        김용환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2

        오늘날의 윤리교육은 새로운 도전(挑戰)에 직면해 있다. 새로운 도전에 해당되는 중요한 요인으 로 우리는 생태정의와 연관된 심층생태주의(深層生態主義)의 도전, 배려윤리와 연관된 문화여성 주의(文化女性主義)의 도전을 손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전에 대하여 동학은 공공행복과 상관 연동된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동학은 수심정기(守心正氣)의 공공가치와 음양상균(陰陽相均)의 공공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동학은 다시개벽을 표방하면서, 선천개천에 토대를 두고 세계화의 거센 물결 속에서 한국인 으로서의 민족정체성과 세계시민성을 공공차원으로 이어주고 매개하고 살리는 맥락화용(脈絡和 用) 차원의 영성의 공공실천(public-common practice)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학의 정신을 오늘의 윤리교육에 맥락화용(脈絡和用) 방안으로 살림으로써, 생명화해(生命和解) 살림살 이의 상생교육(相生敎育), 공공행복(公共幸福) 운기창출(運氣創出)의 인성교육(人性敎育)을 활성화 시켜 윤리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영성적 공공실천은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한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에 서 벗어나 생명실상을 직관하여, 동학에서 표방하는 내유신령(內有神靈)과 외유기화(外有氣化)의 상승역동이 개개인의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발휘될 때, 비로소 상생의 공공실천이 된다. 이를 통해 상통(相通)·상화(相和)·상생(相生)으로 공공행복을 개벽하는 새 지평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적용

        민윤(Min Yu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역사교육의 대중화와 함께 새로운 지역사가 주목받고 있으며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공공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다. 공공 역사는 공적인 역사 서술과 재현의 모든 형식을 포괄한다. 박물관, 미술관, 기념관을 포함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역사하기가 포함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은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측면과 민주시민으로서 자신의 삶과 연결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역사적 행위의 주체로서 시민 지향의 역사를 추구한다. 또한, 공공 역사 기반 역사는 과거의 사건 또는 역사 과정을 경험한 참여자, 증인의 인터뷰를 통해 증언을 채록하고 역사를 서술하는 구술사 연구 방법과 만나게 된다. 또한 마을과 학교를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구하면서 학생 주도의 역사탐구가 가능해진다. 공공 역사를 통한 지역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면서 지역교육과정 체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지역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가지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권한을 지역/학교/교사에게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 수준에 맞게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적용의 사례로 경기도교육청에서 추진한 구술사 프로젝트와 지역 근현대사 교육자료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구술사 프로젝트는 구술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학교사 아카이브 구축, 구술 생애사, 일제 잔재 청산 등 다양한 활동과 다원적 관점의 역사하기가 적용되었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사례를 제시하면서 새로운 지역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의미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이 내실화하기 위한 한계 혹은 개선점 또한 존재한다. 우선은 시민 지향, 다원적 관점의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을 초·중·고 학교급별로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education, new local history is drawing attention, and new horizons of local history research can be found throughout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encompasses all forms of public historical narratives.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pursues citizen-oriented as a subject of historical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s a local citizen and the learning of areas connected to one s life as a democratic citizen. Public history-based history also meets oral research methods that record testimony and describe history throug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or witnesses who have experienced past events or historical processes. In addition, student-led historical exploration will be possible as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exploring villages and school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ocal curriculum system while forming a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rough public history. A local curriculum means transferring the authority to organize and operate curriculum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local community/schools/teachers, and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content and methods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level.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an oral history project perform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he region are presented. The oral history project focused on the oralist methodology, and appli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building archives of school history, oral life history, and liquidation of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rule. With the direction and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a public history-based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a new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we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or improvements to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o systematically promote a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based on citizen-oriented and pluralistic views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KCI등재

        공공 언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접점- ‘공공 한국어 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

        김규훈 배달말학회 2024 배달말 Vol.0 No.74

        이 연구는 공공 언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접점을 강구하여 ‘공공 한국어 교육’을 체계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 언어에 관한 기존 연구를 점검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공공 언어 관련 연구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공공 한국어 교육의 대상 학습자와 목표를 수립하였다. 학문 목적 및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과 정주하는 외국인을 대상 학습자로 상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 한국어 교육은 공공 한국어 문식성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 한국어 교육의 텍스트와 내용 범주를 설정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한국의 공적 의사소통 상황과 공공 언어 범주를 조합하는 텍스트 선정 논리를 제시하였다. 내용 범주는 공공 언어 교육의 주요 내용과 한국어 하위 영역을 견주어, 공공 한국어 소통 교육을 주창하고 한국어 사용, 한국어 지식, 한국어 문화에 따른 각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를 예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public Korean education” by exploring the intersection between public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im, existing research on public language and relevant studies on public language in Korean education were reviewed. Subsequently, the target learners and objectives of public Korean education were established. Target learners were assumed to b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foreign residents. Public Korean education targeting these learners aims to foster literacy in public Korean language usage. Based on this, the categories of texts and contents of public Korean education were established. The target texts were selected based on a logical combination of public communication situations in Korea and public language categories. The content categories proposed promoting public Korean communication education by comparing the main contents of public language education with Korean subdomains, and providing example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tent elements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usage, knowledge, and culture.

      • KCI등재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朱熹)의 인식과 공공성 교육

        황금중(Hwang, Keumjo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3

        이 논문은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의 인식을 배경으로 현대 공공성 교육의 문제를 숙고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성은 ‘공익성’, ‘공동체성’, ‘공개성’과 같이 일반적으로 거론된 의미 외에, ‘자유’, ‘복수성’, ‘평등’, ‘정의’, ‘소통’, ‘배려’, ‘사랑’, ‘연대’ 와 같은 가치를 그 자체 의미 맥락 속에 내장하고 있다. 공공성 교육은 이와 같은 공공성과 연계된 의식, 즉 공적 의식을 학습주체들이 내면으로부터 끌어내고 발현해가도록 이끄는 일을 의미한다. 한편 주희의 공사관의 요체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사람들의 마음의 공화(公化)의 의의를 드러내는 것인데, 이는 곧바로 공공성 교육의 요청과 직결된다. 주희의 공/사의 이원 대립 관념, 나아가 공에서 인(仁)으로 그리고 의(義)와 예(禮)로 이어지는 공적 의식의 구현 방식에 대한 주희의 이해를 통해, 학습주체의 내면이 에고적 차원을 넘어서 우주적 혹은 존재적 차원의 의식 지평으로 확장되어 사랑과 정의, 배려, 연대, 소통의 공적 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해 가는 교육의 모습을 구상해 볼 수 있다. 공공성 교육은 개체성 교육과의 관계 설정도 그 중요한 문제로 안고 있는데, 주희는 온전한 의미의 개체성 실현은 반드시 공공성 실현과 연계되어 가능하다는 이해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희는 공공성과는 달리 개체성의 실현 문제에 대해서 충분히 숙고하지 못했다. 주희 공부방법의 핵인 경(敬)은 교육의 장에서 학습주체의 공적 의식과 개체성을 동시에 실현해 가는 기제로 재해석될 잠재력을 지닌다. 그런데 공공성과 개체성의 조화로운 발현이 가능한 공공성 교육론을 위해, 서양 근현대의 주요 교육철학적 사유와 주자학적 사유 사이의 적극적인 대화도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demonstrates Zhu Xi’s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gong(universal heart-mind) and Si(egoistic desire), with an interest to show the vision of publicness education. Publicness education means the task to cultivate the learner’s public and universal heart-mind that contains the values of freedom, plurality, equality, love, justice, consideration, solidarity, and interaction. Through the Zhi Xi’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gong and its realizing process, we can design the educational model to open the learner’s heart-mind of universal dimension beyond egoistic dimension. However, Zhu Xi doesn’t consider enough the issue of the realization of learner’s individuality in his educational discourses to cultivate of publicness, although he believes that the whole realization of learner’s individuality is possible only on the basis of the realization of learner’s universal heart-mind. For the publicness education to develop harmoniously the learner’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t is needed to interpretate newly the general learning or education model suggested by Zhu Xi, including of the issue of jing as the core learning method. Further, some productive communications between Zhu Xi's thought and Western modern educational thoughts that have created the ideas to cultivate the human individuality are needed.

      • KCI등재

        한국어 공공 어휘 교육의 실행 방안 : 한국어 교육과 공공 언어 교육의 접점을 바탕으로

        김규훈 ( Kim Kyoohoon ) 한국민족연구원 2024 민족연구 Vol.- No.84

        이 연구는 한국어 공공 어휘 교육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육과 공공 언어 교육의 접점을 파악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학습자의 공공 언어 소통에 대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공공 언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어 공공 언어 교육의 하위 영역으로서 한국어 공공 어휘 교육을 범주화하였다. 기존 한국어 어휘 교육의 울타리를 파악하고, 특히 어휘 사용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공공 어휘 교육은 정확하고 적절한 어휘 사용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공공 어휘 교육의 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등급별 목표를 바탕으로 한국어 공공 어휘 교육의 실행을 위한 학습자 수준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중급 수준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민원 서식 관련 공공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plan for public vocabulary education in Korean. To achieve this aim, the inters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public language education was first identified. Based on the necessity for foreign learners to communicate in public language within Korean society, the goals and content of Korean public language education were outlined. Subsequently, Korean public vocabulary education was categorized as a sub-area of Korean public language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scope of existing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accurate and appropriate vocabulary usage is essential,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 usage education. Based on this, 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public vocabulary education were designed. To this end, the learner levels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public vocabulary edu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grade-specific objectives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Accordingly, learning activities were devised for intermediate-level international students to understand and use public vocabulary related to civil service 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