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덕무의 청대고증학 수용

        권정원 ( Jung Won Kwo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8

        李德懋는 조선후기 博學으로 널리 알려진 학자이다. 그의 박학적 면모는 30대 이후보이는 고증학적 성향이 농후한 저술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덕무의 학문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영향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이덕무는 20대 중반에 청대고증학자 黃宗羲를 접했고, 30대 전후하여 고증학자들의 서적을 열독하였으며, 30대 중반 이후의 저술에 적극 활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에 큰 관심을 가졌고, 그들로부터 영향 받았음은 틀림없다. 하지만 이덕무가 접한 청대고증학자는 黃宗羲, 顧炎武, 毛奇齡, 朱彛尊, 徐乾學으로, 이들은 청대 초기 고증학 형성기에 활동한 학자들이다. 청대고증학의 전성기에 활동한 戴震, 錢大昕, 章學成 등에 대한 언급은 그의 문집 어디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 전체의 흐름을 꿰뚫을 수 있는 입장은 아니었고, 다만 청대 초기 고증학의 일부만을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이덕무는 청대고증학자 중 顧炎武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덕무가 열독한 서목과 인용한 내용을 통해 모기령, 주이준, 서건학 등의 영향도 적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학자들은 학문적 지향과 삶의 행적이 판이하다. 顧炎武가 대명의리를 지킨 절의의 인물이자 주자 학문을 옹호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毛奇齡은 청에 벼슬한 이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명의리를 지킨 인물을 논박하기까지 했으며, 주자를 철저히 비판한 반주자학자였다. 이덕무는 대명의리와 주자 옹호적 입장을 중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령과 주이준의 박학과 고증학적 학문방법을 대단히 높이 평가하였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수용함에 있어서 ‘치밀한 考據를 바탕으로 한 考證學的 학문방법’을 중요시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덕무는 유년시절부터 名物學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고, 考據.辨證을 중요시 하는 학문 자세를 지녔으며, 20대 시절에는 鄭樵와 馬端臨을 본받아 백과사전식 類書를 만들고자 기획하기도 했다. 이는 이덕무가 청대고증학을 접하기 이전에 이미 名物度數學에의 깊은 관심과 고거.변증하는 학문방법을 가지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덕무는 30대 전후하여 청대고증학을 수용하면서 특히 고증학적 학문방법에 깊은 공감을 보였는데, 이는 이덕무가 평소 지향하던 博學과 考據.辨證의 학문방법과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이덕무 학문의 고증학적 성향은 청대고증학의 수용만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타고난 꼼꼼함과 유년시절부터 지니고 있던 명물도수학에의 관심과 고거ㆍ변증을 좋아하던 성향이 청대고증학의 수용과 결합되어 나온 결과라 이해하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Lee Deok-Mu is a scholar well known for erudi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His erudite aspect is identified in his writings with a strong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in his 30s and thereafter. Lee Deok- Mu``s academic tendency as such has been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is it really so? Lee Deok-Mu encountered Hwang Jon-Hee, a scholar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mid-20s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cluding Goh Yeom-Mu and cited the contents in his writings in his mid-30s thereafter. Therefore, the fact that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enthusiastically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s indisputable. However,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encountered by Lee Deok-Mu were Hwang Jong-Hee, Goh Yeom-Mu, Mo Gi-Ryeong, Ju Ee- Jun, and Seo Geon-Hak who acted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when documental archaeology was being formed. Mentions about Dae Jin, Jeon Dae-Heun, and Jang Hak-Seong who acted in the prime of documental archaeology in the Qing Dynasty Period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Given Lee Deok-Mu``s birth and death date, it is natural that the documental archaeology accessed by Lee Deok-Mu is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during the period of Qianlong in the early part of the Qing Dynasty Period. Therefore, although Lee Deok-Mu was greatly interest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and wanted to obtain and read the books of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was not in a position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stream of the entire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but could accommodate only part of the documental archaeology at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Period. Lee Deok-Mu is known to have been affected the most by Goh Yeom-Mu among scholars specialized in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owever, though the titles of books enthusiastically read by Lee Deok-Mu and the contents cited by them,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Mo Gi-Ryeong, Ju Ee-Jun, and Seo Geon-Hak were not small. However, the academic orientation and course of life of Goh Yeom-Mu /Seo Geon- Hak and those of Mo Gi-Ryeong/Ju Ee-Jun are completely different. Whereas Goh Yeom-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strongly advocated neo- Confucianism, Mo Gi-Ryeong not only had been in government service for Qing Dynasty but also argued against those who were royal to Ming Dynasty and thoroughly criticized Chutzu. Despite that Lee Deok-Mu was royal to Ming Dynasty and regarded the position of advocating Chutzu as being important, he evaluated highly, the erudition and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of Mo Gi-Ryeong and Ju Ee-Jun. This should mean that when Lee Deok-Mu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he regarded important,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academic methods based on elaborate historical evidence.’ It is said that Lee Deok-Mu had a habit to think over history for notes and seek for historical evidence for doubtful contents from when he was young, had wide knowledge as he read diverse books, in particular, had profound knowledge of studies of grass and trees, birds and beasts, mountains and rivers, and customs, and carefully sought for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ed when he was writing books. He planned to write encyclopedic books such as <Tongji> of Jeong Cho and, <Munheontonggo> of Ma Dan-Rim when he was you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Lee Deok-Mu already had deep interest in and affected by speciality studies before he encountered Qing Dynasty Perioddocumental archaeology. When he was accommodating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in his 30s, Lee Deok-Mu deeply sympathized with documental archaeological methods in particular probably because these methods were well consistent with erudition and the academic methods of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pursued at normal times. Therefore, the documental archaeological tendency of Lee Deok-Mu``s stud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his meticulousness and tendency toward seeking historical evidence and demonstrating that he had from when he was young and his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rather than just a result of accommodation of Qing Dynasty Period documental archaeology.

      • KCI등재

        에도시대의 고증수필: 고증수필의 의미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김학순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

        In the late Edo period, writers created novels with a strong entertainment component with genres designed to show their intellectual ability and to satisfy intellectual curiosity through verification essays for the public. The verification essay, which was mainly about professional knowledge and learning, began to have value as a product that aroused readers’ interest, such as popular books that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at the time. Unlike previous academic content, popular writers have devoted their efforts to strange rumors, legends, or phenomena that were circulating in the past. At that time, readers were interested in new stories, objects, legends, and rumors that stimulated fun and curiosity even if they lacked expertise, and the verification essays were recognized as books with recreat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for intellectual consumption. By the modern era, verification essays were actively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nd nationalists. The contents included various records of natur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and reports, criticism, speculation, and evidence. The essays began to be widely introduced to the public beyond an intellectual individual’s desire for knowledge and intellectual ability. At that time, essays of popular writers were circulated and consumed like popular novels. Among these essays, the essays containing the criticism, examination, and ideas of ​​the author were promoted with the novels at that time and attracted many reader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essays by examining the outlines of the works that have been evaluated as essays in the Edo period. With the essays of popular writers as the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novels and essays, the creation of novels through the essays, and essays are explored. Also, advertisements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through the book’s publication about the profitability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are discussed.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에 고증이라는 지적, 학문적 작업을 통해 탄생한 고증수필에 대하여 그 특징과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에도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고증수필을 그 내용에 기반 하여 「학문에 관한 고증수필」, 「예능, 놀이에 대한 고증수필」, 「에도 중심의 지역 풍속에 대한 고증수필」, 「중국과 일본을 비교한 고증수필」의 네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산토 교덴, 교쿠테이 바킨과 같은 에도시대 후기 대중 작가들이 집필한 고증수필은 상품성을 가진 서적으로 인식되었다. 풍속과 항담 등을 주로 고증한 그들의 고증수필은 작품 구상과 창작의 중심을 이루기도 한다. 즉 대중 작가들의 「창작을 위한 고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들의 고증 취미는 「고증만을 목적으로 한 고증수필」의 집필로 이어지며 상품으로 유통, 소비되며, 대중 독자들에게 오락적 성격의 서적과 같은 흥미와 재미를 주고 있다. 또한 개인의 고증이 아닌 문인 그룹에 의한 공동의 고증 작업을 통하여 고증 대상과 고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공동체의 지적 작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 고증수필로 평가받아 온 작품들의 개략적 내용을 정리, 분류하여 고증수필의 성격과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증수필이라는 장르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고증수필의 전체적인 특징과 그 의미부터 살펴보았다. 유학자, 국학자와 같은 전문 지식인이 쓴 고증수필이 아닌 당시 게사쿠와 같은 대중적 읽을거리를 주로 집필했던 대중 작가들의 고증수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중 소설과 고증수필과의 관계, 고증을 통한 소설의 창작, 지적활동인 고증을 위한 고증 등에 대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당시 서적의 간기를 통하여 고증수필에 대한 광고의 양상과 선전방법에 대하여도 논하였다.

      • 에도시대의 고증수필 고증수필의 의미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김학순 ( Kim Hark-soo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0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에 고증이라는 지적, 학문적 작업을 통해 탄생한 고증수필에 대하여 그 특징과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에도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고증수필을 그 내용에 기반 하여 「학문에 관한 고증수필」, 「예능, 놀이에 대한 고증수필」, 「에도 중심의 지역풍속에 대한 고증수필」, 「중국과 일본을 비교한 고증수필」의 네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산토 교덴, 교쿠테이 바킨과 같은 에도시대 후기 대중 작가들이 집필한 고증수필은 상품성을 가진 서적으로 인식되었다. 풍속과 항담 등을 주로 고증한 그들의 고증수필은 작품 구상과 창작의 중심을 이루기도 한다. 즉 대중 작가들의 「창작을 위한 고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들의 고증 취미는 「고증만을 목적으로 한 고증수필」의 집필로 이어지며 상품으로 유통, 소비되며, 대중 독자들에게 오락적 성격의 서적과 같은 흥미와 재미를 주고 있다. 또한 개인의 고증이 아닌 문인 그룹에 의한 공동의 고증 작업을 통하여 고증 대상과 고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공동체의 지적 작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 고증수필로 평가받아 온 작품들의 개략적 내용을 정리, 분류하여 고증수필의 성격과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증수필이라는 장르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고증수필의 전체적인 특징과 그 의미부터 살펴보았다. 유학자, 국학자와 같은 전문 지식인이 쓴 고증수필이 아닌 당시 게사쿠와 같은 대중적 읽을거리를 주로 집필했던 대중 작가들의 고증수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중 소설과 고증수필과의 관계, 고증을 통한 소설의 창작, 지적활동인 고증을 위한 고증 등에 대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당시 서적의 간기를 통하여 고증수필에 대한 광고의 양상과 선전방법에 대하여도 논하였다. In the late Edo period, writers created novels with a strong entertainment component with genres designed to show their intellectual ability and to satisfy intellectual curiosity through verification essays for the public. The verification essay, which was mainly about professional knowledge and learning, began to have value as a product that aroused readers’ interest, such as popular books that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at the time. Unlike previous academic content, popular writers have devoted their efforts to strange rumors, legends, or phenomena that were circulating in the past. At that time, readers were interested in new stories, objects, legends, and rumors that stimulated fun and curiosity even if they lacked expertise, and the verification essays were recognized as books with recreational characteristics, not only for intellectual consumption. By the modern era, verification essays were actively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nd nationalists. The contents included various records of natur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and reports, criticism, speculation, and evidence. The essays began to be widely introduced to the public beyond an intellectual individual’s desire for knowledge and intellectual ability. At that time, essays of popular writers were circulated and consumed like popular novels. Among these essays, the essays containing the criticism, examination, and ideas of the author were promoted with the novels at that time and attracted many reader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essays by examining the outlines of the works that have been evaluated as essays in the Edo period. With the essays of popular writers as the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novels and essays, the creation of novels through the essays, and essays are explored. Also, advertisements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through the book’s publication about the profitability and propaganda of the high proof essay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朝鮮後期) 지식인(知識人)의 청대(淸代) 건가고증학(乾嘉考證學)에 대한 인식(認識) 연구(硏究) -한송논쟁(漢宋論爭)을 中心으로-

        정신남 ( Chennan Ding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5 學林 Vol.36 No.-

        본고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청대 乾嘉考證學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乾嘉考證學은 청대학술의 정체성을 대변할 수 있는 일종의 독립적인 학문체계로서 고증학적 방법론과 그 독자적인 理致, 즉 乾嘉新義理學을 겸비한 학문이다. 乾嘉新義理學派학자들은 정밀한 고증방법을 이용하여 몇 개의 유교 핵심어를 재해석함으로써, 송대이후 주자성리학의 권위를 해체하여 독자적인 자신의 理致體系구성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건가고증학 학자들은 스스로가 漢代漢學의 정수를 계승했다 여겼기에 정주계통의 성리학을 옹호하는 宋學者들과 치열한 한송논쟁이 벌어졌다. 이 논쟁은 조선학계까지 큰 파장과 논란을 일으켰다. 조선지식인들은 청대한학, 즉 乾嘉考證學과 漢代漢學을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그들은 한나라의 한학이 경전의 보존과 전승, 주석의 정확성에 대해 기여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건가고증학과 현실 간의 괴리, 문헌적인 명물훈고에만 주력하는 건가고증학의 폐단에는 비판적인 시선을 지니고 있다. 주자성리학을 숭상하는 조선지식인들은 당시 건가고증학이 청대학계에서 극단적으로 성행하여 성리학이 더 이상 절대적 권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학술의 쇠락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걱정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건가고증학의 고증성과를 인정하면서도 新義理學派학자들의 理致上의 반주자적인 의도까지 간파하며 극심한 경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조선 지식인이 건가신의리학파 학자들에게 혹평을 가했던 것은 고증이 밝혀낸 결과가 성리학의 권위, 곧 조선의 사상체제를 동요시킬 수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건가고증학의 반주자적 성향으로 인해, 조선에서 건가고증학의 수용은 쉽지않았다. 조선지식인들의 건가고증학에 대한 학술상의 대응은 ‘漢宋折衷’의 형태로 제기되었는데, 이것은 조선 문화 내에서 유교 경세정신의 부활을 도모하는 데 있어 건가고증학을 절충 겸용하려고 시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understanding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Qing Dynasty of China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Korea.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as an independent academic system representing academic features of Qing Dynasty, is knowledge combined with philology methodology and unique argumentation philosophy, i.e. the new philosophy of Qianlong-Jiaqing. Intellectuals with the background of new argumentation of Qianlong-Jiaqing used rigorous research methods and expounded several key words in Confucianism, trying to undermine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ism since Song Dynasty, and to establish an argumentation philosophy system with a special feature. At that time, the controversy between Philology and Neo-Confucianism broke out between the intellectuals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Han) who regarded themselves as inheritors of the knowledge in Han Dynasty essence and called their knowledge “Hanxue” and the intellectuals who supported Neo-Confucianism. The controversy spread to Korean academia and sparked a huge debate. The author firstly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then expounds previous research as well as the view angle and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The end of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is a transitional period from pre-modern to modern, in which period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as one branch of Confucianism,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academic history of both China and Korea. As for research perspective and method, the author classifies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then focuses on their specific knowledge, with controversy between Philology and Neo-Confucianism centered. Korean intellectuals strictly separate Sinology of Han Dynasty and Qing Dynasty, i.e. Qing knowledge represented by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They acknowledged the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of the essence and the accuracy of the notes of Sinology of Han Dynasty. However, they fiercely criticized the disadvantage of detachment from reality and buried in philological research. For those Korean intellectuals who advocate Neo-Confucianism, it was an academic decline and times anxiety since prevalence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was contributing to the authority decline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even though the Korean intellectuals acknowledge the achievement of new argumentation school, they showed vigilance since the clear anti-Zhu zi trend on argumentation. The reason why Korean intellectuals criticized new argumentation school was they, as the ruling class of the country with the ruling ideology of Neo-Confucianism, could not stand the power of Neo-Confucianism, i.e. Korean ideology challenged by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It is not an easy task to introduce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into Korea because of its anti-Neo-Confucianism trend. Korean intellectuals proposed Compromise of Han and Song in face of the prevalence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It is a comeback of exploration of Confucianism spirit in Korean culture, and a try to compromise Neo-Confucianism and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s Korean intellectuals’ specific knowledge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it, expound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compromise of Philology and Neo-Confucianism proposed by them in order to introduce the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e of some assistance on the future research on Korean’s reception history of philology of the Qianlong-Jiaqing.

      • KCI등재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형벌고증(刑罰考證) 립론(立論)

        김종수 ( Jong-soo Kim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1

        서계 박세당은 양란 이후인 17세기 중ㆍ후반 무렵을 주요 활동기로 삼았던 소론계의 대표적 지성이다. 박세당은 퇴은 이후에 양주의 수락산 자락에서 사서ㆍ이경을 대상으로 한 『사변록』 시리즈를 순차적으로 제출하였다. 그 중에는 전래로 삼경의 위상을 향유해 온 『서경』을 대상으로 한 주해서인 『상서사변록』도 포함되어 있다. 『상서사변록』에는 박세당이 견지했던 정치철학적 자취가 도처에서 묻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훈고학적 경학 방법론에 의거한 일련의 고증학적 성과가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이번의 논의에서 취급한 형벌고증은 일종의 문물제도 고증의 범주에 속하면서, 도수[물길]ㆍ율력ㆍ관직ㆍ인사고증 등과 같은 사안들과 함께 박세당이 성취한 고증학적 세계의 특징적인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박세당이 직조한 형벌고증 담론은 주로 「순전」ㆍ「여형」 두 편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는데, 종래로 「순전」편 11장은 형벌제도에 관한 한 전범의 위상을 점유해 왔다. 그런데 주나라 목왕에 의한 「여형」편의 해당 기록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했고, 이에 역대 주석가들에 의해 형벌고증을 둘러싼 분분한 논의가 축적되어 왔던 것이다. 그 중에서 속금제에 대한 입론은 형벌고증의 핵심적 주제로 부상해 왔는데, 이 점 박세당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박세당은 채침이 『서집전』을 통해 개진한 고증입론을 집중적인 비판의 대상으로 설정한 가운데, 호광이 편집한 『서집전대전』본의 주해도 아울러 참고하였다. 박세당은 전통적인 쟁점을 형성했던 속금제의 범위와 기준, 그리고 이 제도의 기원 문제 등과 관련하여 독창적인 고증입론을 개진하였다. 예컨대 박세당은 "관부[鞭]ㆍ학교[朴]의 형"에 한해 속금제가 적용된다는 채침의 입론을 변파하고, 오형 범주로까지 속금제를 확장하여 적용시킨 주 목왕의 조처를 정당시하였던 것이다. 물론 그 이면에는 부정적인 목왕관을 견지했던 채침과는 다르게, 목왕을 현주로 인식했던 시각도 긴밀히 관여하고 있었다. 나아가 박세당은 이른바 ``疑赦``의 원칙에 입각하여 사형제인 大僻의 경우에도 벌금형에 의한 사면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피력하였다. 이 같은 박세당의 입론은 현대의 죄형법정주의의 원칙과도 부합된다. 또한 박세당이 시종 피의자 편에서 관휼설의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한 장면도 고증입론상의 뚜렷한 특징을 형성하고 있다. Park Sedang explored the world of historical research through Sangseo Sabyunrok (尙書思辨錄), an interpretation on Classic History(書經),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historical research on punishment(刑罰考證)- also belongs as part of that domain. Historical research on punishment, basically falling on category of research on culture and institutions, was carried out mainly through reinterpretation on texts in Shundian(舜典) and Lue Hsing(呂刑). Park Sedang took aim at Cai Shen``s(蔡沈) existing argument on historical research mentioned in Shu-Ji-Chuan(書集傳) as the main target of his criticism. Focusing on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Five Punishments(五刑) and System of paying instead of the punishment(贖金制) as one of traditional disputed points, like China``s other interpreters, Park Sedang also developed his argument interpreting the origin of System of paying instead of the punishment, back to Emperor Shun(舜). He criticized particularly Cai Shen``s argument that System of paying instead of the punishment should apply only to "punishments in the government(官府) and school(學校)", and developed a new argument justifying the move of King Mu(穆王) of the Zhou Dynasty(周), who extended the application of System of paying instead of the punishment to the category of Five Punishments. Also based on the guideline in the chapter of Lue Hsing stating "A crime in doubt is to be pardoned(疑赦)", he stood by and implemented the principle of that statement even in the case of death penalty(大僻). While always maintaining the basic stance of sympathy(寬恤), his argument was featured by his emphasis on the evidence, hich may demonstrate his awareness of human rights.

      • KCI등재

        윤행임尹行恁의 청대淸代 초기 고증학考證學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

        남윤덕(南潤德)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3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1762~1801)은 18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학자이자, 관료문인의 한 사람으로 정조正祖의 신임이 두터웠던 인물이다. 윤행임의 청대 고증학考證學에 대한 인식은 어디까지나 주자학朱子學을 청대 고증학으로부터 지키고 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통해 그는 중앙학계의 대표적 문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한 인물로 평가 받는다. 윤행임은 방법론적 고증과 주자학을 수용한 고염무顧炎武의 고증적 학풍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주자학을 배척한 모기령毛奇齡으로 대표되는 청대 고증학자와 관련 학설들은 강하게 비판하고 경계하였다. 윤행임의 모기령 비판의 쟁점은 주자학을 정면으로 공박한 것에 있다. 그러나 윤행임의 청대 고증학에 대한 인식은 주로 고염무, 모기령 등과 같이 청대 초기 고증학자들과 『일지록日知錄』 등과 같은 청대 초기 저서들에 편중된 언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윤행임이 지은 『서사고전서간명목록후書四庫全書簡明目錄後』의 내용 또한 주자학을 비판한 초기 고증학자와 그 관련저서의 평가가 중심이다. 이것은 청대 중기 이후 고증학과 관련 학자들의 전반적인 학풍을 온전히 인지하지 못한 제한적 양상이며, 윤행임의 청대 고증학에 대한 인식적 특징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청대 고증학에 대한 당시 18세기 후반 조선학계의 학술적 일면一面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明末⋅淸初 考證學의 淵源 考察 − 黃宗羲⋅顧炎武⋅王夫之를 중심으로 −

        진성수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2 No.-

        明末⋅淸初 고증학자들은 考證을 통해 역사를 이해하고, 이론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를 통해 현실비판과 제도개혁을 시도했다. 이러한 학술사조의 등장원인에 대해서는 ‘정치적인 원인’으로 보는 견해, ‘이론 내적요인’으로 보는 견해, ‘漢學과 宋學 논쟁의 한계를 극복한 결과’로 보는 견해, ‘서구 과학기술의 영향’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략 4가지 의문을 가지고 청대 고증학의 연원을 검토했다. 첫째, 청대 고증학자들은 왜 文字學⋅音韻學과 같은 小學을 중요시했는가? 둘째, 그들은 애초부터 철학개념에 대한 담론을 인정하지 않았는가? 셋째, 그들이 실현하고자 했던 학술적 목적은 무엇인가? 넷째, 청대 철학사에서 인식론의 변화는 어떤 방법으로 입증될 수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청대 고증학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나타난 특징과 성격은 크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청대 고증학은 宋明理學에 대한 반발로서 經典을 연구하고 先王의 제도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등장하게 되었다. 經學史의 차원에서만 본다면, 송명이학은 명말⋅청초 시기 그 합법성과 권위를 상실했다. 따라서 청대 고증학자들은 經學의 속박에서 벗어나 새로운 길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乾嘉시기에 이르러 戴震과 같이 ‘文字考證’의 방식으로 宋學의 주제를 부활시키거나 아니면 章學誠처럼 역사학의 범위에서 고증의 절대권위를 허물거나 漢代 경학의 가치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경학을 연구하게 되었다. 둘째, 청대 고증학은 先王의 儀式과 制度를 인정하면서 동시에 역사변화를 중시하는 과정에서 등장하게 되었다. 청대 경학가들은 三代의 典章制度를 종합하고, 그 理想을 실현하고자 했다. 또한 先王의 禮制와 인간의 욕망을 종합하여 必然과 自然, 理⋅慾의 관계를 내재적으로 연관시켜 욕망긍정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밖에도 ‘六經은 모두 歷史’라는 것과 ‘道와 器는 하나’라는 명제를 이해하려고 노력했으며, 宋明理學의 天理와 心性을 비판하여 두 개의 가치를 합일시키는 방식으로 경학연구를 전개했다. 셋째, 청대 고증학은 宋明理學에 내재된 유학의 근본원리인 ‘修己治人’의 合一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등장하게 되었다. 程朱⋅陸王의 핵심개념인 天理⋅心性은 ‘추상적’⋅‘내재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天理를 도덕의 원천으로 생각하는 사유체계에서는 현실비판이 사회개혁으로 연결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현실적 좌절에 직면한 理學家들은 필연적으로 선진유학의 ‘內聖外王’ 원리를 학문방법에 적용하여 내면적 수양과 사회적 실현의 모순관계를 극복하려고 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經學=理學’의 개념으로 정립되어 ‘經學이란 형식이 없이 理學의 목표달성은 불가능하다’라는 관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理學’의 실현방법으로서 ‘經學’이 공인됨에 따라 淸代 중⋅후기에 이르러 고증학적 연구방법은 小學과 文字學 등 다양한 학문분야 발전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 KCI등재

        다산 경학에서 고증(考證)과 의리(義理)의 문제

        김영우(Kim Young Woo)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이 글은 정약용의 경전 해석법을 청대 고증학과 비교하여 고찰한 것이다. 다산의 경전 해석은 경전에 대한 의리적 해석을 지양하고 글자의 의미를 먼저 밝히는 훈고를 중시한다는 점, 문헌에 대한 고증과 역사적 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 그리고 한대의 훈고학적 저술을 중시한다는 점 등에서 청대 고증학자와의 공통점이 발견된다.<BR>  그러나 다산은 청대 고증학이 비록 경전의 고증에는 장점이 있을지라도 의리에 소략하다는 점에서 청대 고증학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와 같은 다산의 평가는 어느 정도 사실에 가깝다. 하지만 청대 고증학자들이 훈고에만 집착하였고 경세나 의리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다고 하는 것은 올바른 평가라고 볼 수 없다. 청대 고증학자들에게 있어서도 허회(虛會)의 방법으로 실증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문제 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산과 청대 고증학의 차이는 중세적 보편주의로서 이념적 역할을 하였던 주자학의 허학화를 극복하는 방식의 다양성으로 해석하여야 하며 어느 하나를 우월한 것으로 평가하는 태도는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산의 경전 해석이 경세적인 실천에 경도되어 실증주의적인 근대적 지평으로 나가지 못했다고 평가하기보다는 퇴계와 남인 실학자의 경학관, 그라고 『천주질의』의 보유론(補儒論)적 경전 해석이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등 보다 다각적인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BR>  다산의 경학은 청대 고증학의 훈고적 방법을 충분히 활용하면서도, 성리학과는 다른 새로운 형이상학과 이에 기초한 윤리론을 체계화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흔히 다산의 경학은 경세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강하게 투영된 것이 사실이지만, 그러나 그것이 이론적인 엄밀성의 포기를 통해 얻어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가 비판했던 성리학의 주요한 관심이었던 인간론과 본성론에 대한 이론적 탐구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었다.   This article focuses on unveiling the complex nature of Dasan"s philological studies. Dasan"s Classical Learning, which is mainly comprised of philological interpretation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presents a rather puzzling dilemma: while on the outset, his method of study resembles that of Evidential Learning of Qing scholars (especially Mo Qi-ling) in many aspects, such as emphasis on the articulation of the meaning of the words rather than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ctive embrace of historical verification, and appreciation of Han dynasty"s Exegetics. What is more, Dasan shares with Qing scholars that it attempted to overcome Zhu Xi"s system of Classical Learning and to throw out its empty world-view based on li-qi.<BR>  On the other hand, it is often seen that Dasan criticizes severely the Qing"s Evidential Learning while affirming Zhu-Xi"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He delineates Qing scholars as being excessively attached to exacting on words and phrases and abandoning socio-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contained in the text. He proceeds that Mo is distorting the true meaning of Zhu-Xi"s ethical system for the sake of criticizing him. However, it is rather unfair treatment, for Qing scholars also had their own problematik(虛會-Unbiased mind lesas to understanding ito master the socio-politcial circumstance and the limit of verificationism.<BR>  This article therefore suggest and argue the following; first, although Dasan often praises Zhu-Xi and denounces Qing scholars particularly Mo, it is never the case that Dasan"s Classical Studies follow Zhu-Xi"s footstep. In fact Dasan takes Mo"s argument into account in evaluating Zhu-Xi, and the real reason behind Dasan"s criticism of Mo would be to ease the burden of directly criticising Zhu-Xi in Chosun"s political atmosphere.<BR>  Secondly, Dasan"s criticism that Qing scholars lacked the socio-political spirit and personal philosophy sprang from different Confucian system Dasan had constructed before delving into exegesis of the Classics. Dasan"s moral philosophy and view on human nature is not solely the result of evidential stud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The multiple influence on Dasan such as Southern lineage of Practical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before assessing the quality and significance of Dasan"s philological scholarship.<BR>  Some argue that Dasan"s philological scholarship is substandard, and it is the reason why he emphasized so much on practice. It is to put a cart before the horse. Dasan was a practice-oriented scholar. His practical mind must have an impact on his philological work, not the reverse. As Dasan confessed, a genuine practice is possible only through a genuine investigation. What he strived for was articulation, not a radical leap.

      • KCI등재

        『分類杜詩考證』의 편찬과 주해 방식

        정우봉 한국고전문학회 2024 고전문학연구 Vol.65 No.-

        이 논문은 그동안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신자료인 『分類杜詩考證』의 편찬과 주해 방식을 구명하였다. 『분류두시고증』은 경상도 출신의 학자, 문인이었던 金楷(1633~1716)가 편찬한 두시 주석서이다. 『분류두시고증』은 조선 전기에 관찬으로 편찬된 두시 주석서였던 『纂註分類杜詩』에 수록된 諸家 주석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자신의 견해를 집약해 놓은 개인 편찬 두시 주석서이다. 『분류두시고증』은 『찬주분류두시』 25권 가운데 권1부터 권24까지 실려 있는 두보시 1,500여 수를 대상으로 諸家 주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是非를 판별하는 한편 자신의 견해를 밝힌 책이다. 두보시 작품을 두루 망라하면서 두보시 주석을 다룬 조선 시대의 성과로서 현재까지 전하는 것은 조선 전기에 편찬된 『찬주분류두시』와 李植의 『杜詩澤風堂批解』 2종에 불과하다. 앞으로 더 정밀한 연구가 있어야겠지만, 金楷가 편찬한 『分類杜詩考證』은 약간 앞선 시기에 편찬된 李植의 『杜詩澤風堂批解』와 함께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개인 편찬 두시 주석서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들 두 주석서는 조선 전기에 이루어진 『찬주분류두시』의 학술적 성과를 계승한 바탕 위에서 그 문제점을 비판하는 동시에 두보시 전체를 포괄하여 새로운 두시 주석서를 편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 논문에서는 현전하는 김해의 저술을 전반적으로 다루었고, 이어서 『분류두시고증』의 편찬과 구성, 이본 현황을 살펴보았다. 김해가 『분류두시고증』에서 취한 기본적 태도는 ‘考證’이라는 용어에서도 짐작되듯이, 객관적 근거에 입각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태도를 견지하면서 『분류두시고증』의 주해 방식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분류두시고증』은 시와 역사의 연관성에 입각한 주해 방식을 지향하였고, 諸家 주석의 상호 비교와 평가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詩語의 고증을 위주로 하면서 두보시의 시어를 참신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태도를 취하였으며, 아울러 두보시의 수사와 문체, 풍격 그리고 구성 등의 문제에까지 균형 있게 고려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notation method of Du Fu's poetry using <Bullyudusigojeung>, a newly introduced material in the academic world. <Bullyudusigojeung> is a commentary on Du Fu's poetry compiled by Kim Hae. Currently, three different versions of this commentary exist. Additionally, <Bunbyeondusigojeung> is a book that historically researches the annotations of <Chanjubunryundusi>, which was widely read as a commentary on Du Fu's poem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valuates the correctness of various scholars' annotations included in <Chanjubungyundushi> and critically examines any deficiencies or issues with these annotations. Historically, <Taekpungdangbihae>, compiled by Yi Sik after <Chanjubunryundusi>,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among the annotations of the Joseon Dynasty. The newly discovered <Bullyudusigojeung>, along with Yi Sik's <Taekpungdangbihae>, can be considered representative commentaries on Du Fu's poetry from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se points, this paper broadly explores Kim Hae's existing writings and delves into the compilation, composition, and current status of copies of <Bullyudusigojeung>. Finally,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annotation method employed in <Bullyudusigoje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