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인천항의 전략과제

        안우철,정태원,이재학 한국유통학회 2010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5

        최근 우리나라는 물류허브 실현을 위해 고부가가치 물류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지역경제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전체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인천의 경우 우수한 지리적 여건을 지니고 있으며 지역 배후단지 및 시장과의 연계성이 높아 항만물류의 중심지로서 역할과 가능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항이 향후 국가중심항만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발전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항만산업의 잠재성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항만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지역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현황 및 문제점을 검토하고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와 통계청자료 분석을 통해 인천지역 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효과를 파악한 후, 향후 항만물류업종 및 관련 업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전략과제를 모색하였다.

      • KCI등재

        21세기 지식근로자중심 대학개혁 핵심과제로서 고부가가치 인재창출에 관한 연구

        유향산(Ryu, Hyang S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교육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연계 개념을 근거로 대학이나 그 주변 타운에서 연계 동력간의 역학구조를 설계하여 이를 중심으로 가능한한 개인이나 대학 더나아가 타운 그리고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연계스쿨캠퍼스커리어타운을 설계하려는 의도가 있다. 이러한 타운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대학인이나 타운의 주민들은 자연적으로 계속 연계구조를 새롭게 재구조화하는 과정에서 무형의 정보· 지식· 기술· 가치 등을 유형화시킬 수 있는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첫째, 16명의 저자들의 저서에서 나타난 관련 영역에 대한 무형의 정보`, `지식, 기술, 가치 등을 타운설계의 자재로 설정해 놓고 이를 다양한 특성의 타운을 설계하는 과정을 통해서 역시 대학인과 타운의 주민들은 스스로 고부가가치의 인재로 창출될 수 있기 때문에 무형적 특성의 대학을 유형적 특성의 대학으로 그리고 타운으로 설계하는 과정을 통하여 타운도 대학도 연계하여 설계하고 개인의 고부가가치를 지닌 인재로 창출하는 연계효과를 지적하고 있다. I. Introduction I am sure that, changing certainly toward the general trends to the cre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the preventive approaches for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future, the connected school-campus town will be organized informally between all level schools and the colleges (or universities). Accordingly, the national policy of the school age will be expanded to all citizens. At the same time they are to be changed position from the non-productive age to the productive age for their maintenance of their own life themselves. And gradually from now they need to make their own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m. Such as their endeavor, they will be to be a professional for their life and to be a manpower bankers and creators for the nation and themselves. The Connected School-Campus Town will be going to be contributed to their public and private educatonal policy through their Business Intelligence themselves. Therefore we are going to be a globalization power in the 21C world. At this points, I have made of some scenarios for mak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on town for the professional citizens. II.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are to be functioned as an index of the global venture citizen. First, ‘web’ itself is gradually constructed by an information technology philosophy. According to this, all of the people is to be formed their individual thoughts(‘I’ Philosophy).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the‘web’philosophy is moved by the‘wire’('computer') to the‘wireless’(mobile media mode)philosophy,‘web’center is located into our home(space). There is a great deal of change from static to dynamic behavioural order in our home. In other word, we have had the place of our home as a place for our relaxation, but surprisingly our home (space) has function as an place for our business working. Francis Fukuyama had noted the following fact that our family system was disrupted through the social capital. But fortunately our home is increasingly recovered for its order as the place of‘family relaxation and family business’ by the ‘web’. Perhaps, these changeable family system will be ten years after 2010 by Frank Feather. His speaking is coming to us closely. Setting of Liaison Institu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Web’ is making of the universe, 'We Are The World.' It is simillar to our body organism. At the reason of that, the 21st Century could be called of that it is only a job to find some liaison system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n, why are they not having of the links among them? Is it because of not having of the web between both of them? 1. Now we are looking for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web function as an liaison school function of the prevention of crash between both of their different cultures between‘academic freedom’for the university and ‘field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Their liaison school systems, that will be future through our best doing, will play as an trouble-solving broker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2. Liaison models, as the global venture citizen program strategic, are developed, by Prof. Hyang San, Ryu : 1) through the liberal arts educational curriculum, 2) through the performing arts curriculum /writings related contens to liberal and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products exhibits, 3) through the empirical experiment of the training course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life theme references. At this points, I will show the example, Magnet Schools of the Theme References on Magnet Program. Magnet schools have their own unique teaching method for their students and parents individually learning activities. There are different styles for their learning according to their students' levels. So the magnet schools have many different teaching methods in the action research. Particularly they are greatly considering about non-ins

      • KCI등재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인천항의 전략과제

        정태원 ( Tae Won Jung ) 한국물류학회 2010 물류학회지 Vol.20 No.5

        인천항이 우리나라 중심항만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발전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천지역 항만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지속적인 물동량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항만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전략과제를 요약하면 첫째, 국가중심항만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기위해 항만적기투자와 원양항로 네트워크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물동량 창출의 고부가가치 배후단지를 개발하기 위해 시장지향형의 물류비즈니스 모델개발, 안정적인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제조와 물류산업의 연계 방안 모색 등이 요구된다. 셋째로는 항만관련 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는 국제크루즈 산업과 수도권 통합 조선단지 조성 등이 매우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ole and possibility of Incheon port industry area as the center of Northeast port-logistics is getting more significant since Incheon new port which will be built with phase-Ⅰuntil 2013, when considering geographical superior of Incheon area in Northeast Asian reg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prepar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fostering the high value-added port-logistics industry to maximize economic effects by attracting port business and its related business into Incheon international port and its hinterland. However, the related research for developing the port-logistics industry in Incheon area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rategic task on promoting a high value-added port industry. To achieve this research aim,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studies and situation and problems of Incheon port industry and proposed an appropriate and strategic task for fostering the high value-added port-logistics industry through data analysis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bank of Korea.

      • KCI등재

        친환경 고부가가치 합성피혁 개발을 통한 해외진출: ㈜디케이앤디의 역설적 미션 - “ser-M” 모형을 활용한 메커니즘기반관점으로 분석 -

        김형욱(Hyung-Wook Kim),정승언(Seung-Eon Jeong)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신년 특별호

        본 사례연구 대상기업으로 합성피혁 소재를 한국에서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으며, 저임금 노동력 활용, 현지시장 판매 등을 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하여 신발용 부직포를 생산하여 현지 진출기업에 공급하거나 인근 국가에 수출하고 있는 중소기업인 “㈜디케이앤디”를 선정하였다. 동사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인 사양산업인 의류 및 신발 소재에서 더 나아가 자동차, 가구, 항공기 시트, IT소재, 헤드셋, 가방 및 골프글러브 생산 부분에서 친환경, 기능성 고부가가치 합성피혁 소재를 개발, 차별화함으로써 세계적인 기술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을 활용하여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스포츠 신발용 부직포와 합성피혁 및 관련 소재를 개발, 생산, 공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크다. 동사의 합성피혁 소재는 PU수지를 원단에 코팅한 제품으로 천연피혁 대비 경량성, 통기성, 방수성, 난연성, 방오성 등 우수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동사는 기존의 용제형PU, 용제용 접착제에서 수성PU, 무용제 접착제, 실리콘 수지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천연가죽에서 벗어나 합성피혁으로 전환했으나 합성피혁이 천연가죽과 같이 친환경이면서 고부가가치를 추구해야 하는 역설적인 미션을 추구한다. 본 사례연구는 ㈜디케이앤디의 해외진출 성공요인을 ser-M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사례연구결과 ㈜디케이앤디의 경영 주체(S)는 환경(E)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자원(R)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결과로 해외진출사업에서 탁월한 경영성과를 창출하였다고 분석된다. 기업가정신과 경영이념을 갖춘 경영 주체(S)가 환경파괴의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윤리적 소비트렌드에서 천연피혁을 대체하는 친환경 합성피혁의 수요 시장환경(E)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자체 브랜드 자원(R)을 통합 활용하여 해외진출 지속경영 메커니즘(M)을 구축하였다. 메커니즘(M)의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글로벌화 및 현지화, 제품 차별화 등 선택메커니즘(selecting),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관리와 인간존중 조직통합의 조정메커니즘(coordinating), 그리고 시장지식습득과 기술학습내재화의 학습메커니즘(learning)을 통해 주체(S)가 자원(R), 환경(E)을 통합함(integrate)으로써 친환경 고부가가치 합성피혁 소재의 기술개발, 생산과 해외마케팅에서 글로벌 리더로서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경영성과를 창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해외진출 경영을 하고 있다. This case study selects DK&D Co., Ltd., a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company that entered the Vietnam market. DK&D has secured a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by developing and differentiating eco-friendly, functional, high value-added synthetic leather materials in the production of automobiles, furniture, aircraft seats, IT materials, headsets, bags and golf gloves. The companys synthetic leather material is a product coated with PU (polyurethane) resin in the fabric, and has excellent functions such as lightness, ventilation, waterproof, flame resistant, and anti-staining compared to natural leather. The new synthetic material utilizes water-based PU(polyurethane), non-solvent PU adhesives, and silicon resin instead of existing solvent-type PU, solvent-use glue, but the company also completes the paradoxical mission of successfully substituting natural leather by retaining high value quality and eco-friendly characteristics. This case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overseas expansion of our SMEs by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of DK&Ds overseas expansion using the ser-M framework. The subject(S) utilizes the demand environment(E) of eco-friendly synthetic leather that replaces natural leather in ethical consumption trends to reduce the risk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continued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its own brand resource(R). The 3 components of the mechanism(M) are 1. the selecting mechanism, such as globalization & localization and product differentiation, 2. the coordinating mechanism of global network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 integration, and 3. the learning mechanism of market knowledge acquisition and technology learning internalization are integrated through utilizing management subject(S), resource(R) and the environment(E).

      • KCI등재

        여성 고부가가치 직업훈련의 장애요인과 발전방안 연구

        이지은,임희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obstacle factors to 'high value vocational training' and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The training aims to solv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blems of female employment by providing professional training in high value areas such as ICT, SW and knowledge service. To verify the training to meet these objectives, 48 processes operated in 2018 were analyzed and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in terms of learners management, training course design, field practice ope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ers suggested four ways to develop high value vocational training. First, select learners based on combined talent and second, strengthen the project of linking enterprises and structured field practices. Third, establish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its own and manage performance and fourth, expand support for excellent training courses and provide consulting for cours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high value occupational training. In the future,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부가가치 전문인력양성 직업교육훈련’의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해당 훈련은 ICT, SW, 지식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 전문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취업의 양적·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훈련이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8년도에 운영된 48개 과정에 대한 분석 및 현장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 관리, 과정 설계, 현장실습 운영, 성과평가와 관련하여 장애요인 및 개선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는 고부가가치 직업훈련의 발전방안으로 첫째, 역량 기반 학습자 선발 둘째, 기업 연계형 프로젝트 및 구조화된 현장실습 강화 셋째, 자체적인 성과평가 체계 마련 및 성과관리 넷째, 우수 훈련과정에 대한 지원 확대 및 과정개발 관련 컨설팅 지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부가가치 훈련을 위한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양적연구를 통해 성과와 문제점을 보다 명확하게 진단해야 할 것이다.

      • 선진국 고로사의 고객밀착 고부가가치화 전략에 관한 연구

        허진석 포스코경영연구소 2004 POSRI경영경제연구 Vol.4 No.1

        최근 선진국 고로사들은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강화와 수익성 향상을 목표로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추진 배경은 산업구조 고도화 및 관련 수요산업의 성장 계속, 고객의 요구조건 변화, 개도국. 미니밀 대비 일반강 분야에서의 경쟁력 상실 등에 기인한다. 본고에서는 선.후진국 구분없이 견실한 성장을 해온 세계 고부가가치강 시장 상황을 살펴보았고, 이어서 향후 상황을 예측해 본 결과, 수요 증가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신일본제철 등 선진국 고로사들은 내수시장 지배력 강화, 중국 등 성장시장 선점 및 세계 최고 제품 개발 등의 고객밀착형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응한 POSCO 등 한국 철강업계의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고찰하고 향후 개략적인 대응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integrated steel mills from advanced countries are actively pursuing 'high value added products oriented strategy to increase global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This strategy results from development of industry structure, continued growth of steel consuming industries, changes in the needs of clients, and loss of competitive advantage in comparison with mills from developing countries and mini-mills. This paper delineates world high value added steel market which has grown steadily in both developing and advanced countries. It is expected to continue growing in the future, Accordingly, mill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Nippon Steel will intensify high value added products oriented strategy by trying to increase domestic market share, to predominate high-growth markets including China, and to developing the best steel product in the world'. The high value added products oriented strategy of Korean steel companies including POSCO is outlined, and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고부가가치 패션 산업으로의 한국적 컬렉션 연구

        주보림(Bo Rim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전 세계 각국은 자국 패션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예는 패션 컬렉션이다.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패션 컬렉션 제도는 기존의 패션 산업을 위한 홍보용 도구로써의 역할에서 벗어나 이제는 각 국가의 문화와 예술을 선보이는 문화 산업의 중요한 수단으로써 패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어주는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주요 4개 도시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의 현황 및 특징들을 분석하고 한국의 서울 컬렉션 현황을 진단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한국적 컬렉션의 정착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 패션 관련 기관 사이트, 패션 기사 자료들을 일차적으로 분석하고, 보완 및 검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에 요청하여 수집된 전체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의 최종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 분석으로는 패션 컬렉션의 주요 목적들을 기준으로 하여 각 컬렉션의 현황 및 특징들을 살펴보고 서울·세계 4대 컬렉션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도출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한국적 컬렉션의 정착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세계 4대 컬렉션에 비해 열악한 환경과 과도기적 시기에 놓여있는 서울 컬렉션이 고부가가치 패션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첫째, 우리만의 독자적이고 한국적인 컬렉션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특화, 차별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며, 둘째, 국내 디자이너들의 방향성 재고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및 관심을 유도하고, 셋째, 마케팅을 기반으로 하는 독립적인 콘텐츠의 기획과 행사 운영을 통해 선진형의 국제 표준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넷째, 분업화를 통한 미래지향적, 현실주의적인 창작 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모든 분야에서의 전문화 시스템 정착이 필요하며, 다섯 번째, 정부 및 대기업들의 지속적인 패션산업 부분의 다양한 지원 정책과 스폰이 따라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기초로 앞으로 정착될 "한국적 컬렉션"이 전세계의 프레스가 찾아오는 이슈가 될 만한 제품으로 발전되어 중추적인 문화홍보대사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해본다.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today are focusing on creating high added value for their fashion industries in order to raise their competitiveness and Fashion collections have become one of their main focal points of interest. The periodically organized fashion collections have gone beyond their traditional role of simply promoting the fashion industry, and are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to promote a country`s culture and arts as well as a key driving force for converting fashion into a high value added industry. The aim of this research lies in proposing a basic road map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itive, differentiated, and uniquely "Korean" collection through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four major fashion collections of the world-Paris, Milan, New York and London -and the diagno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s Seoul Collection. The research materials are based on the preceding records and documents, informations from various fashion sites and fashion articles. The comparison is based on the 5 main purposes of the Fashion Collection and, based on the above, the basic plan is presented to develop the Seoul Collection as unique and internationally competitive collection. The conclusions reached through the research indicate that first, a clear strategy needs to be defined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identity for a unique and "Korean" collection; second, Korean designers must reconsider their direction and formulate a clear vision for an increased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global market; third, the existing business model needs to be updated to international business standards that are based on marketing and independent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ntents and events; fourth, a practical yet future-oriented creative system must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vision of labor and the specialization of all lines of work in the fashion industry; and fifth, diverse policies, programs, and sponsorships supporting the fashion industry must continue to be made by the government and conglomerates. Based on the above, it is hoped that the Seoul Collection will grow and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and interesting collection that the press and buyers from all over the world will find worth coming to, and that it will play a pivotal role as a cultural ambassador in promoting Korea.

      • 지역개발사업과 연계한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 발굴

        이병선 ( Byung Sun Lee ),서상진 ( Sangjin Seo ),이규상 ( Gyusang Lee ),송성호 ( Sung-ho S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국내 관개용수 관리는 수량의 경우 주로 논의 필요 수량에 대한 공급 관리, 수질의 경우 농업용수 수질기준 적합여부에 대한 판단적 절차가 주를 이루는 편이다. 최근 고부가가치 작물생산을 위한 관개용수는 일반적인 논 용수와는 다르게 작물이 필요로 하는 적정 수량과 더불어 생산작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수질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관개용 지하수도 용수공급 말단부 수자원 공급 목적 외,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을 위한 재배용수로서 수질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농어촌지하수 수질 DB의 비료성분 16종에 대한 지하수 내 함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후,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 세계식량기구(FAO) 등 여러 공인된 기관에서 인증한 관개용수 수질기준을 참고로 하여 관개용 지하수의 수질등급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 비록 수질 DB 자료의 한계(대부분 양음이온 등에 국한) 때문에 다양한 비료성분에 대한 평가가 부재한 한계가 있었지만, 전술한 지표를 이용하여 수질 DB에 대한 구분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지자체별, 농어업용 공공관정 별, 우수한 관개용수 수질을 보유한 농어촌지하수에 대한 순위를 책정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문화, 역사, 설화 유산과 함께 해석하여 관개용수로서 고품질의 수질을 보유한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로서 가치를 되매김하였다. 향후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를 활용한 작물재배, 이를 통한 고부가가치 작물의 판로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자원화 활용에 대한 연구 : 바이오 (기능성)소재를 중심으로

        지민규 ( Min-kyu Ji ),최상기 ( Sangki Choi ),조지혜 ( Ji-hye J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미세조류 자원화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에 따라 바이오디젤 생산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석유자원과 비교 시 높은 생산단가와 원료의 대량공급 문제로 상업화가 지연되고 있다. 최근 미세조류 자원화의 경제성을 위해 석유화학 대체물질과 기능성 소재 분야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발달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 규모가 매년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위해 바이오 플라스틱과 바이오기능성 소재(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동향, 시장 현황 및 제도화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향후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았다. 또한, 자원화 이외에 미세조류 부영양화에 대한 인식변화 측면에서 환경 분야의 활용가치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현황연구결과,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고부가가치 물질 전환은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기능성 식품으로 위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오메가3, 아스타잔틴 등의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이용한 식품, 화장품 산업이 발달되고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의 경우, 감자·옥수수 등 전분계를 이용한 산업이 발달되었으며, 최근 비식용 작물과 조류 등 생물을 활용한 Bio-PET, PLA 생산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환경적 측면으로는 미세조류가 수계 방사성물질과 환경호르몬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사실이 입증되어 질소·인·중금속 오염원의 제거와 함께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미세조류 자원화를 위한 관련 제도는 해당 법률에 의거하여 인증제도가 확립되었거나 보완 중이다. 기능성 소재의 경우 미세조류 기반 물질의 안전성과 효능을 위주로 평가되고 있으며, 바이오 플라스틱은 생분해성과 비생분해성 제품에 따라 바이오매스의 함량, 생분해도, 중금속 함량 등이 평가기준이다. 한편, 미세조류의 자원화는 대규모 설비 운용이 제한되어 원료의 대량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산·학·연·정의 협력을 통한 바이오매스 수급방안 확립과 기술의 상업화 연계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field of microalgae resources has been developed by focusing on biodiesel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However, their commercialization has been delayed due to the unit production cost which is higher than petroleum resources and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massive cultivation system. In recent years, high value-added industries (such as alternative materials of petro-chemicals and functional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o ensure the economics of microalgae recycling, and their market size is growing each year. In this research, development trends, market status and institutionalization focused on bio-functional materials (such as functional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and bio-plastics were reviewed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for the production of high-value added resources from microalgae. In addition, we examined how microalgae can be utilized in the environmental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algal bloom.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conversion of microalgal biomass into high value-added substances is mainly carried out by manufacturing functional food with dried spirulina sp. and chlorella sp. In addition, cosmetics and food industries are advancing by using various anti-oxidants such as omega-3 and astaxanthin. In the case of bioplastics, the industry is evolving by using potatoes and corns as substrate. Recently, bio-PET and PLA produc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by utilizing non-edible crops and algae. In terms of environmental aspects, microalgae have been proven to be a good candidate for bioremediation thanks to their ability to reduce water-based radioactive materials and environmental hormones, and they are being used in a wider scale including the removal of nitrogen, phosphorus and heavy metal pollution sources. The policies and systems for using microalgae as resources have been established or are being supplemented by applicable laws. For example, functional materials are evaluated mainly to ensu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microalgal-based material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biodegradable or non-biodegradable, bioplastics are assessed based on standards such as biomass content, biodegradability and heavy metal content. Meanwhile, the recycling of microalgae is limited by the lack of large-scale cultivation systems and facilities, making it difficult to procure a large amount of raw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iomass supply plan an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linking technology with commercializ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the industry,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 KCI등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내적혁신방향의 매개효과

        김진희,Kim, Jin-Hee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7 서비스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국내 서비스산업의 기업체를 대상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수준이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효과와 조직의 내적인 혁신방향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적인 혁신 방향은 기업의 인력과 서비스의 고부가가치화 방향과 비용절감 다운사이징 방향으로 구성되며, 인력과 서비스의 고부가가치화 방향은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질 것으로, 비용절감 다운사이징 방향은 부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KLI)의 2013년도 사업체패널 조사자료(WPS)의 1,775개 업체 중 도소매, 운수, 전문과학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서비스, 금융서비스, 기타(정보사회지원서비스 등)서비스로 분류되는 896개 사업체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은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는 고부가가치화 혁신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용절감 다운사이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부가가치화 혁신방향은 서비스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비용절감 다운사이징은 서비스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서비스성과에 대한 직접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고부가가치화 혁신 방향의 긍정적인 매개효과와 비용절감 다운사이징 혁신 방향의 부정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두 변수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서비스성과의 관계에 대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commitment HRM on service performance in the service industr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internal innovation direction. Specifically, the direction of internal innovation consists of high-value-added HR and service and cost-reduction downsizing. We assumed that the high-value-added direction of HR and service will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And assumed that cost-reduction downsizing direction has negative mediating effec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3 workplace panel survey(WPS) of the Korea Labor Institute(KLI). Among the 1,775 companies, 896 companies classified as wholesale and retail, transportation, professional scientific services, education services, health social services, financial services, and other services (such as information society support services) were extracted and used. In summary, high-commitment HRM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irection of high value-added innovation of HR and services, and has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st-reduction downsiz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high value-added innovation of HR and service was positive effect on service performance, and cost-reduction downsizing innovation dire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service performance. And the direct effect of high commitment HRM on service performance has not been confirmed. However, we confirmed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high value-added innovation direction of HR and services, and confirmed that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cost-reduction downsizing.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two variables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RM and servic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