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령자 보행변수 실측을 통한 보행시설물 설계기준 정립 1: 고령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계단 챌면 높이 연구

        노창균,박범진,ROH, Chang-Gyun,PARK, Bum Jin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5

        한국은 고령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령자의 경제활동과 고령자의 통행빈도 또한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고령자의 보행 중 낙상 등의 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자의 보행시설 만족도는 최하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의 이유들 중에 하나를 고령자들의 보행능력(일반인 대비 약 75%)을 고려하지 않은 보행 교통 시설물에서 찾았다. 이에 고령자들이 가장 불편함을 호소하는 계단 이용시 나타나는 고령자의 운동역학적인 보행특성을 동작분석시스템으로 알아보았다. 여러 보행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현재의 계단 높이로 규정되어 있는 18cm의 계단 높이는 고령자가 오름과 내림 보행 시 과도한 힘이 소요되며, 신체 중심이 흔들려 몸의 균형을 잡기에도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령자 집단의 보행특성을 보여주는 보행변수들 간의 군집분석을 통하여 계단 챌면의 높이를 15cm 이하로 설정할 것 등의 계단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일반인에게는 큰 변화는 아니지만 고령자에게는 통행빈도와 활동범위를 넓혀 보다 많은 사회경제 활동을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he number of elderly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o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economic activity and the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will increase. On the other hand, elderly related accidents such as falls during walking are steadily increasing and the satisfaction about pedestrian environment of elderly is very low. In this paper, we found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dissatisfaction in pedestrian facility, which is not considering the walking ability (about 75% of non-elderly person) of the elderly. So, we analyze the kinematic walk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the motion analysis system, when the elderly use stairs.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ous walking variables, the current standard for stairway height in Korean law (18cm) requires excessive force to elderly so it was difficult for elderly to keep the balance of the body in ascending and descending walk of stai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air design criteria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of walking parameters reflecting the gai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is change is not a big for non-elderly person, but it can promote more socioeconomic activities for the elderly.

      • KCI우수등재

        고령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경사보행로 시설한계 연구: 고령자 보행변수 실측을 통한 보행시설물 설계기준 정립 2

        노창균,박범진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36 No.5

        The aging population has increased the variety of activiti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older people feel the physical burden of walking. In particular, the slope is under pressure due to continuous walking from start to end point. Madrid’s International Action Plan on Aging published in 2002 by World Assembly on Aging (under UN) highlights the need to create an aged-friendly physical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e elderly will be able to lead active liv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set up facilities standards for aged-friendly ramps. This study used the operation Motion Analysis System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alkers and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when walking 3°, 5°, 7° and 9° slopes. The target was for senior citizens who are similar to the average size of the nation’s elderly. As a result, the largest changes in variables were measured at 5° to 7°. Therefore, for the elderly to safely and comfortably walk, the slope should be less than 7°.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pedestrian facility where an elderly person can walk in a similar form to a flat-land walk.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the elderly to support their independence and prepare for an aged society.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자의 사회 ․ 경제 ․ 문화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고령자는 보행 중 신체적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연속적인 보행으로 통행해야 하는 경사로 이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UN 산하의 World Assembly on Ageing에서 2002년에 발표한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에서는 고령자의 능동적 생활을 장려하기 위한 대책으로, 고령 친화적 물리적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고령 친화적 경사로 보행을 위한 시설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경사각도 기준 3°, 5°, 7° 및 9° 등 4개 유형의 보행로를 대상으로 국내 평균 고령자 신체치수와 유사한 고령자의 보행 및 신체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에서 7° 경사로 변화 시 가장 큰 동작 및 신체변수의 변화가 측정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고령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을 위해서는 7° 미만의 경사로 보행로가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고령자가 평지 보행과 유사한 형태로 보행이 가능한 보행 시설 구성을 통해 고령자의 자립 지원 및 적극적 고령 사회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고령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경사보행로 시설한계 연구(고령자 보행변수 실측을 통한 보행시설물 설계기준 정립 2)

        노창균(ROH, Chang-Gyun),박범진(PARK, Bum Ji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 No.-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자의 사회 ․ 경제 ․ 문화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고령자는 보행 중 신체적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연속적인 보행으로 통행해야 하는 경사로 이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UN 산하의 World Assembly on Ageing에서 2002년에 발표한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에서는 고령자의 능동적 생활을 장려하기 위한 대책으로, 고령 친화적 물리적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고령 친화적 경사로 보행을 위한 시설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경사각도 기준 3°, 5°, 7° 및 9° 등 4개 유형의 보행로를 대상으로 국내 평균 고령자 신체치수와 유사한 고령자의 보행 및 신체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에서 7° 경사로 변화 시 가장 큰 동작 및 신체변수의 변화가 측정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고령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을 위해서는 7° 미만의 경사로 보행로가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고령자가 평지 보행과 유사한 형태로 보행이 가능한 보행 시설 구성을 통해 고령자의 자립 지원 및 적극적 고령 사회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ging population has increased the variety of activiti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older people feel the physical burden of walking. In particular, the slope is under pressure due to continuous walking from start to end point. Madrid’s International Action Plan on Aging published in 2002 by World Assembly on Aging (under UN) highlights the need to create an aged-friendly physical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e elderly will be able to lead active liv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set up facilities standards for aged-friendly ramps. This study used the operation Motion Analysis System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alkers and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when walking 3°, 5°, 7° and 9° slopes. The target was for senior citizens who are similar to the average size of the nation’s elderly. As a result, the largest changes in variables were measured at 5° to 7°. Therefore, for the elderly to safely and comfortably walk, the slope should be less than 7°.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pedestrian facility where an elderly person can walk in a similar form to a flat-land walk.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the elderly to support their independence and prepare for an aged society.

      • KCI등재

        주거지역의 보행안전 영향요인과 도시설계적 시사점 - 고령 보행자를 대상으로

        이새롬(Lee, Sae Rom),양희진(Yang, Hee J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고령자의 보행안전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 하에 양적·질적 혼합연구방법을 통해서 주거지역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교통환경, 보행환경, 근린환경 요소가 고령자 보행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차로 및 대중교통시설 밀도와 같은 교통환경, 보차혼용 비율과 같은 보행환경을 통제하더라도 고층주택지 비율, 평균 필지규모와 같은 근린환경 특성에 따라 고령자 보행안전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현장관찰 및 고령자 인터뷰에 따르면 저층 주거지역은 보행 공간의 연속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보행혼용 도로의 비중이 높으며, 주거공간과 근린시설의 연계성이 낮아 고령자의 보행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주거지역에서 고령자의 보행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주차장, 공원 등의 생활인프라 공급과 보행환경을 함께 개선하는 포괄적 주거개선 사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With the lack of discussion around older pedestrian safety in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carries o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a mixed-method approach to providing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Taking a case of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is study comprehensively evaluates the impacts of traffic, pedestria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older pedestrian accidents. Our research confirms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raffic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e. lot sizes and housing typ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pedestrians’ safety. According to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older adults, the risk of pedestrian accident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creases due to a relatively lack of continuity of pedestrian spaces, inadequate separation of pedestrian spaces and vehicle movement, as well as unintegrated arrangement with neighborhood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older pedestrians’ safety through a comprehensive planning strategy in residential areas, which not only provides living infrastructure (i.e. parking spaces and parks) but also enhances pedestrian environments.

      • KCI등재

        고령자의 보행 지원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 연구

        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고령자의 의료비는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다. 걷기는 고령자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건강유지 수단으로서, 많은 연구에서 고령자의 걷기는 고령자의 건강 유지와 더불어 의료비 절감, 커뮤니티 활성화 등 많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보행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로 진행된다. 고령자의 걷기는 쾌적하고 안전하며 편리한 보행환경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고령자의 걷기를 장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국내의 걷기 좋은 가로조성 사업은 도심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구도심, 농어촌마을과 괴리를 보이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보행환경은 고령자의 신체, 인지적 특성을 고려와 더불어 보행행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고령자들이 걷기를 통한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보험 등의 복지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고령자를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은 미시적으로 고령자 행태에 기초한 가로환경 조성과 민간과 공공의 협력을 통한 걷기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있다. 거시적, 장기적 관점에서 콤팩트시티의 개념을 적용한 보행자 중심의 도시로 공간구조가 개편되어야 한다. The pace of Korea toward aged society is singular in history. It brings the huge social burden including medical cost for aged persons. Walking is the best methods to keep healthy of aged pers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public design policies of walk for aged persons to cope with hyper-aged society. It goes through by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Many studies show that walking of aged persons brings good health of them, reduction of medical cost, and vitalization of community. Many projects to make walkable streets in Korea focused on economic and cultural outcomes, which shows gab from practical needs of aged persons in rural area. Building safe and convenient pedestrian space is required for aged persons to walk. And programs are needed to encourage walking for aged persons. To build better pedestrian space for aged persons, It is Critical to consider of phys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 lifestyle and walking behavior of aged person. It is required to make a connection of walking and welfare program such as insurance to provide socio-cultural benefit for aged persons through walking. Policies of pedestrian space for aged persons are making walkable environment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nd enforcing social program to encourage walk with cooperation of public and private microscopically, and reforming walk-centered city structure applying compact city concept.

      • KCI등재

        고령자 보행자립도(능력) 측정모형 개발

        노창균,박범진,문병섭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4

        In 2026, in ten years from now, Korea is expected to enter into a super aged society. By facing this social phenomenon, analyzing the elderlies and preparing measures are needed among society . In the transportation field, the traffic accidents which are related to the elderly pedestrians have drastically increased so that R&D projects and policy supplementations are introduced. However very few base studies on which focused on the behavior, capability, impact factors analysis of for elderly pedestrians a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walking capability, this study divided the walking capability into 3 three categories - general, health and exercise. It carries out the comprehensive survey targeting 52 elderlies with the average age of 72.6 years and this survey is made up of total 12 factors in the 3 three categories. This survey also is conducted with various measuring devices and methods such as interview, National Fitness Award, SPBB, Cybex and the like for. From the 12 detailed factors, the general factors such as age, physical shape and so forth have little impact on the walking speed. However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walking speed are extensor muscle on lower limbs in the health factors and balance, coordination, and SPPB in the exercise factor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develops the independent walking model which can measure the walking capability of the elderly people. The developed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study for elderly’s walking patterns in the transportation field by examining the walking capability of the older people. 앞으로 10년 뒤인 2026년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모든 분야에서 고령자 분석 및 대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교통 분야에서도 고령자의 보행 교통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과 정책적 보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의 보행행태, 보행능력, 보행영향 요인 등의 기초적인 연구가 전무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 검토를 통해 보행능력(보행속도)을 일반, 건강, 운동요인 등 3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평균나이 72.6세의 고령자 52명을 대상으로 면접, 국민체력 100, SPBB, Cybex 등의 다양한 방법과 측정도구를 종합하여 3개 분야 총 12개의 세부 요인에 대한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요인인 연령, 체격 등은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며, 건강요인 중에는 하지 신근, 운동요인 중에는 평형성, 협응성, SPPB가 가장 보행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고령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보행자립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고령자의 보행능력의 진단하여 교통 분야 고령자 보행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안전교육이 보행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고령자를 중심으로

        이순열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for elderly pedestrians on improving walking capabilities. A study was conducted on 300 elderly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city area, and rural area using the Safety Walking Capability Scale(SWCS) and walking behavior analysis pape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in walking safety education significantly reduced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pedestrians. In adding, it was found that walking safety education reduces dangerous walking behavior of the elderly and makes them pay more attention to preventing accidents while walking. Also, safety education was found to increase caution by improving the risk sensitivity of elderly pedestrians.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safety education has an effect on positively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of elderly pedestrian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implementation of structured safety education suitable for elderly pedestrian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고령보행자 안전교육이 보행역량을 향상시키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수도권, 시지역, 농어촌 고령자 300명을 대상(안전교육에 참여한 고령자 150명, 비참여 고령자 150)으로 안전보행역량척도(Safe Walking Competency Scale: SWCS) 및 보행행동 분석지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보행 안전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고령보행자의 보행 중 사고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행 안전교육은 고령자들의 위험한 보행행동을 감소시키고 보행 중 사고를 예방하는데 더 큰 관심을 기울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전교육은 고령보행자들의 위험감수성을 향상시켜서 조심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안전교육이 고령자들의 보행역량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였으며 고령보행자에 맞는 구조화된 안전교육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실행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 KCI등재

        보행보조로봇의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고령자 기억보조 기법에 관한 연구

        엄수홍,권장우,이현우,이응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The elderly show signs of physical functional disturbance due to physical aging. Representative signs of functional disturbance are deteriorating walking ability and failure of memory. The elderly who lack walking ability have used the old passive walking aids to compensate for their lacking walking ability, but the old walking aids have safety issues. Thus researches on walking assistance robo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assistance for the elderly's failure of memory. When experiencing failure of memory, the elderly get to worry about their future affairs. With deteriorated physical functions, the elderly cannot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smoothly. Thus there is a need to provide them with ongoing nursing service and help them lead a regular life. However, there are soci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provide the elderly with ongoing nursing service, which is why it is necessary to study assistance engineering to assist the elderly with their memory. Today a schedule notification program is used as a memory aid, but it has usage limitations among the elderly as it was developed for the general public. Thus there is a need to study memory assistance techniques for daily living that consider the capabilities of the elderly. Proposed in the study were memory assistance techniques for the daily living of the elderly that used a walking assistance robot to compensate for their lacking walking abilities. The investigator installed a tablet PC onto a walking assistance robot and implemented a memory assistance program to support their daily living. The memory assistance techniques for daily living involve installing a ZigBee node in the things the elderly often forget, finding the objects through the ZigBee network. and that is Object Estimation. The experiment results found that accuracy was mean 1.52m and density was average 97% in a space of 7500mm×6950mm. 본 논문에서는 고령자의 부족한 보행능력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억보조 기법을 제안한다. 고령자들은 신체 노화로 신체 기능장애가 나타나며 그 중 보행 능력저하와 기억력 부족이 대표적이다. 현재 보행능력이 부족한 고령자의 보행능력을 보조하기위해 보행보조로봇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의 기억력 부족을 보조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고령자는 기억력 부족 시 미래의 일을 걱정하며 두려움으로 인하여 일상생활활동(ADL)을 원활하게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지속적으로 간호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사회적 요인들로 인하여 항시 고령자를 간호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때문에 고령자의 기억력을 보조하는 보조공학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보행보조로봇에 태블릿 PC를 탑재하고, 고령자의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기억보조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일상생활 기억보조 기법은 고령자가 자주 잊어버리는 사물에 지그비(ZigBee) 노드를 부착하여, 지그비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자의 기억을 보조하여 원활한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게 하였다. 실험한 결과 객체 추정은 7500mm×6950mm 공간에서 정확도는 평균 1.52m이고, 정밀도는 평균 97%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보행시설 설계시 활용을 위한 고령자 보행특성 군집화 연구

        노창균,박범진,문병섭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지 Vol.34 No.5

        한국은 2026년에 초고령화 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행은 인간의 기본적인 이동권리라는 측면에서 교통약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권리 확보는 가장 기초적인 복지로 중요하지만 간과되기 싶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교통시설물을 설계시 활용을 위한 고령자의 보행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운동역학적인 보행변수들을 일반인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수들이 일반인에 비하여 약 75%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고령자는 일반인에 비하여 보행속도가 느리고, 어깨의 움직임이 적은 대신 발목의 움직임이 많으며, 발을 낮게 들며, 지면반발력이 크게 작용되는 등의 보행변수별 보행특성이 조사되었다. 또한 고령자 집단은 집단 안에서도 보행변수별로 서로 차이가 크며, 이를 walking․ Balance․Muscles Factor별로 2개 혹은 3개로 집단화가 가능함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고령자 보행특성은 보도, 경사 및 단차 등의 교통시설물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 is expected to enter ‘Super Aged Society’ in 2026. However, as walking is the very basic human right of mobility, securing safe and convenient moving of elderly people comprising the majority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is thought to be the most basic welfare, which can be easily neglected. From this perspectives, this study provides the walking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to be used in design of pedestrian facilities.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using Motion Analysis Systems shows that all walking factors of elderly people is 75% level of the younger group. Elderly group shows slower movement, reduced shoulder movement and increased ankle movement compared to the others. Also, foots are risen less and ground repulsive force is increased. Cluster analysis shows that the group of the elderly shows high variability inside the group, and 2 or 3 clusters can be formed with factors of Walking, Balance and Muscles. These walking characteristics can be used in designing pedestrian road, slope and step height of roadway facilities.

      • KCI등재

        대구광역시의 고령자 보행취약지역 도출 및 안전성 측면에서의 보행환경 평가

        진수인,김은정 국토연구원 2022 국토연구 Vol.1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ulnerable areas for elderly pedestrians and evaluate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n terms of safety in Daegu. In order to derive vulnerable areas, density-based clustering and hotspot analyses are performed,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s evaluated for the derived areas. The evaluation items are classified into street environment and walking network environment, for a total selection of 22 detailed items. The results of deriving vulnerable areas for elderly pedestrians are Cluster 3 (around Daegu Station and Chilseong Market Station) and Cluster 4 (around Daegu-Gonggo Intersection). In addition, the vulnerable areas are evaluated at a low level for the level of illegal parking, existence and adequacy of resting spaces and information signs, and adequacy and condition of pedestrian safety facilities. Al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tems of the crossing facility and openness of lower floo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ating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고령자 보행취약지를 도출하고 안전성 측면에서의 보행환경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밀도기반 군집과 핫스팟분석을 실시하여 보행취약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행환경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은 크게 가로환경 및 보행네트워크 환경 아래에 총 22개의 세부항목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군집 3(대구역 및 칠성시장역 일대)과 군집 4(대구공고네거리 일대)가 고령자 보행취약지로 나타났다. 한편, 보행취약지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결과는 가로환경의 불법주정차 수준, 휴식공간 유무 및 적정성, 보행안전시설 적정성 및 상태, 안내표지판 유무 및 적정성, 횡단보도 상태, 신호등 유무 및 상태, 저층부 개방감 등의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행네트워크 환경에서는 A-1구역(대구역 일대)과 A-2구역(칠성시장역 일대)의 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것으로 보였으며, 특히 보행장애물 수준, 도로 끊김 수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안전한 고령자의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