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혜목산 高達寺의 소속종단 변천과 배경

        한기문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7 No.-

        I examine this thesis on grand masters` inscription and Godalsa`s site excavation result. From 860s to 890s Godalsa kept Hyeoimogsan school`s base. In Kyeongmyeong King Simheui moved its base to Kimhai Bonglimsa. In Goryeo Chanyu rebuilt Godal Temple. Also Gwangjong decided this temple as Bonglimsan school`s base. It had the traits of Zen temple`s structure with Sangwon. When Euicheon`s establishing Cheontaijong, Godalsa became one of 5 Cheontai schools. Because Chanyu`s Cheontai thinking was succeeded by his pupils. When making 6 Cheontaidarma`s factions after Euicheon`s death, Godalsa was its group. In this time its force was the best. When Guktong Jeongo reassociated 6 Cheontai mountains on the base of Gukcheongsa in Chungsuk King, Godalsa kept Cheontaijong`s ethos. 신라말에서 고려말까지 혜목산 高達寺의 소속종단 변화와 그 배경을 고승비문과 고달사지 발굴결과를 통해 고찰하였다. 860년대 경문왕이 玄昱의 하산소로 지정한 때를 기점으로 혜목산문[고달사 종풍]은 고달사를 본거로 890년대까지 계승자 심희(審希, 855~923)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 후 경명왕대 심희가 국사례를 받고 하산한 김해 봉림사로[봉림산문] 본거를 옮겼다. 고려에서 고달사 재건은 심희의 계승자이자 이 절에서 출가한 璨幽에 의해 이루어졌다. 찬유의 교선일치 사상경향이 광종의 국왕권 강화와 연결되자 고달사는 찬유의 하산소로 되고 봉림산문[혜목산문]의 본거도 되었다. 고달사지는 법당, 승탑, 비, 影堂 등으로 이루어진 上院을 통하여 선종사원 구조의 특성을 보였다. 고려중기 義天이 숙종의 국왕권을 강화하는 배경으로 천태종을 창립할 때 고달사는 천태 五門[5개 소 사원]의 일원으로 합류하였다. 고달사를 재건한 찬유의 천태사상경향이 문도에게 계승되었기 때문이다. 고달사는 국내 산파 계열로 보아 봉림산문[혜목산문]으로서 천태종에 합류하였다. 의천 사후 九山門계열에서 直投한 翼宗계열이 주도한 남숭산문[선봉사]이 으뜸이 된 ‘天台六法眷’ 형성시에도 고달사는 그 일원이었다. 건물 유적과 고급청자 유물로 볼 때 寺勢가 절정이었다. 원간섭기 충렬왕이 기존 불교계를 재편하기 위해 천태종을 지원하였다. 충숙왕대 국통이 된 丁午가 승정권을 가지고 國淸寺를 ‘六山根本’으로 재건하고 ‘天台六山’을 다시 결집하였다. 그 일원으로서 고달사는 14세기 후반에도 천태종 소속과 종풍을 유지하였다.

      • KCI등재

        여주 高達寺址의 浮屠와 塔碑에 대한 고찰

        엄기표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高達寺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禪刹로 원감국사 현욱이 머물면서 번창하기 시작하여, 불교가 國是로 채택된 고려시대에 원종대사 찬유가 주석하면서 大刹의 면모를 갖추었다. 그리고 그동안 수차례의 발굴 조사 결과 상당한 규모의 사찰이었으나 조선후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고달사지에는 당대의 위상을 전해주는 많은 유물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부도와 탑비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상당히 우수한 치석 수법과 양식을 가지고 있어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었는데, 여전히 부도의 조성시기의 선후 관계, 탑비와 한 쌍으로 건립된 부도의 주인공 등이 미해결이 상태이다. 그 이유는 부도의 양식이 유사하고, 관련 기록도 많지 않으며, 주인공을 추정할만한 결정적인 근거 자료 등이 없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부도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가 완료되어 원위치임이 확인되어 부도와 탑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상사지에 대한 새로운 검토 등이 요구되어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현재 고달사지 부도와 탑비의 주인공으로 유력하게 추정되는 승려는 원감국사 현욱과 원종대사 찬유이다. 이중에서 원종대사 찬유의 탑비는 비문이 남아있어 주인공을 분명하게 알 수 있으며, 일명 귀부는 조성 시기가 신라말기이고 여러 정황으로 보아 원감국사 현욱의 탑비가 건립된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원감국사 현욱의 탑비에 활용되었던 것으로 확실시된다. 그리고 보물 제7호 부도가 양식사적으로 국보 제4호 부도보다 먼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부도와 귀부의 조각 기법 등 다양한 비교를 통하여 볼 때 국보 제4호 부도의 주인공이 원종대사 찬유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문의 기록으로 보아도 국보 제4호 부도의 주인공이 원종대사 찬유일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7호는 향후 산상사지에 대한 정밀 조사가 이루어져야만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감국사 현욱의 부도와 탑비가 고달사에 건립된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고달사지의 역사와 석조미술의 양식사적 정립을 위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Kodalsa temple site at Yeoju city was founded by the late of Shilla dynasty. It was estimated the late in the 8th century or early in the 9th century. The monk HyunWook at the time stayed. He took the side of Shilla’s royal court in terms of politics. The temple emerged to be one of the major temples in the early Goryeo period from the monk Chanyou’s actively effort, support of the king and royal family. Buddhism was recognised as state religion is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excavate the many times on the Kodalsa temple site, the temple was destroyed in the late of Joseon. Now, the most important thing of Kodalsa temple history is the Stone Stupa and Tabbi. A long time ago research which were built to a stupa order of the composition of the time, paired with a Stupa and a Tabbi still excess capacity, and the owner of the Stupa is unresolved. The reason the verge of stupa is many are similar in style. Recently, arthritic to excavate the sites is completed in around Stupa and verified that a Stupa and Tabbi for understanding on. Contributions and a new review on the Stupa, Tabbi, and Sansangsaji temple site write this paper is required. Currently, the hero of Stupa and Tabbi at Kodalsa temple site is variously estimated monk Hyunwook and Chanyou. The damaged turtle base of a stone monument was made when the late of Silla period, for the monk Hyunwook. It is clear. Monk Shimhee, disciple of monk Hyunwook, opened the Bongrimsanmun with the foundation of the namesake temple. The temple took over the religious heritage and political stance of the Kodalsa temple. Monk Chanyou, Shimhee’s disciple, accepted the doctrine of the while declaring his allegiance to Goryeo dynasty. The number 7 of the treasure was built ahead of the number 4 of the national treasure from the style and form. Also, Heyjin-Tabbi resembles the staff of national treasure No. 4 on the carved method and style. All points of view, the hero of the national treasure No. 4 is the monk Chanyou. Treasure No. 7 is next on the scrutiny of Sansangsaji temple site is be realized if can track the specific aspects will be correlated. The Kodalsa temple site of stone art and history of the private arrangement form for future sustainable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태공당 월주 대종사 승탑 건립을 위한 소견

        이현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3

        이 논문은 통일신라부터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제작된 승탑의 변천을 살펴보고, 현대에 건립된 승탑 사례 등을 토대로 하여 태공당 월주 대종사의 승탑 건립에 대한 소견을 제시하였다. 승탑은 입적한 고승의 유골을 모시기 위해 건립된 묘탑으로서 삼국시대부터 건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실물로 확인되는 초기 승탑은 9세기 중반경에 조영된 것이다. 이 승탑들은 중국의 선종 유입과 관련되며, 탑비와 함께 건립되었다. 특히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승탑은 표면에 다양한 장엄 요소가 표현되어 있어 당시 조각 양식의 변천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남아 있지 않은 고려중기 이전의 목조건축 형태를 유추해 볼 수 있다는 점에도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억불숭유 시대였던 조선에서도 법통을 계승해 온 스님의 묘탑은 꾸준히 사찰 주변에 많이 조성되었고, 이전 시기보다 더 많은 양의 승탑이 제작된다. 조선전기 승탑은 고려시대 양식과 수법을 이어 받아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인 조선후기에는 전통양식의 승탑보다는 단순한 형태의 석종형 승탑이 유행한다. 이렇게 꾸준히 건립되어온 승탑은 현대까지도 스님의 묘탑으로 조성되어 오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태공당 월주 대종사 승탑 건립을 위해 평소 태공 월주께서 관심을 가지셨던 지관 대종사 승탑과 지관 대종사 승탑 건립의 토대가 된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과 팔각당형 승탑 중 초기 형태인 전각형 탑신부를 갖춘 승탑을 참고하여 태공 월주 대종사 승탑에 대한 안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기단부와 쌍봉사 철감선사탑의 탑신부, 연곡사 동승탑의 상륜부로 구성한 것과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기단부와 연곡사 동승탑 탑신부, 상륜부로 조합한 두 가지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는 제안일 뿐이고, 큰 틀에서는 전체 크기를 5m 정도로 하고, 귀룡문 기단부와 전각형 탑신석의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전체 비례와 세부 조각에 대해서 신중히 고민하여 승탑을 조영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the pagoda, which was steadily produced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and Joseon periods, and presented the opinions of Taegongdang Wolju Daejisae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based on the case of the tower built in modern times. It is recorded that the stupa was buil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tomb tower built to commemorate the remains of the deceased, but the early stupa, which is now confirmed to be real, was built around the mid-9th century. These towers were built along with the monument in connection with the influx of Zen Buddhism from China. In particular, the stupa of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y is a very important and valuable cultural heritage because various majestic elements are expressed on the surface, as well as the changes in sculpture style at the time and the form of wooden architecture before the mid-Goryeo period that does not remain. In addition, even in Joseon, during the period of Eokbul Sungyu, many tomb towers of monks, who inherited the Dharma drum, were steadily built around the temple, and more stupas were produced than in the previous period. The stup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built by inheriting the style and method of the Goryeo Dynasty, b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 simple stone pagoda was popular rather than a traditional one. The pagoda, which has been steadily built, has been built as a tomb tower for monks until modern times. In this article, we presented a proposal for the tower of Daejusa Temple in Taegongdang by referring to the tower of Daejusa Temple in Jigwandasaji (national treasure) in Yeoju, which was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ower of Daejusa Temple in Jigwandang, and the tower with an initial shape of an octagonal tower. First of all, two proposals were proposed: the base of the tower of Yeoju Godalsa Temple Site, the tower body of Ssangbongsa Temple's Cheolgam Prehistory Tower, and the upper wheel of Yeongoksa Temple's Dongyeondae Tower body of Yeoju Godalsa Temple Site, and the upper wheel part of Yeongoksa Temple's east wing tower. However, this is only a proposal, and in the large frame, the total size should be about 5m, and the overall proportion and detailed sculptur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ith the motif of the base of the Guryongmun Gate and the shape of the front-shaped pagoda.

      • KCI등재

        여주(驪州) 고달사지(高達寺址) 출토 고려시대 도자기의 소비양상

        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3 한국문화연구 Vol.44 No.-

        The Yeoju Godalsa temple was built in the 9th century and received protection of the royal court as a Buddhist cathedral managed by the nation in Goryeo Dyansty. Through eight times of excavation investigation, total sites of 28 buildings were confirmed, and numerous relics were excavated. Especially ceramics excavated in the Godalsa temple site are diverse in types and qualities, so it is noticeable to find out procurement and consumption aspects of ceramics used in temples during Goryeo Dynasty. Regarding ceramics procured by major consumption places like large temples between the 11th and 13th century, a small quantity were made in Gangjin and Buan, which were the highest quality production areas, but low-grade celadons and white porcelains accounted for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A small quantity of Chinese ceramics, which were recognized as substitutes of the highest quality ceramics or those made in Goryeo, were added to the ceramics used in temples. These ceramics were used not only for various rituals in temples but also for teas in Zen meditation or offering to Buddha, as well as for other living items. Meanwhile, storage of foods was an important issue in food life of Buddhist monks. In temples of the Zen sect where many Zen monks lived, the area of Gowaon(庫院), which was a kitchen, was valued. Sites of buildings that reflect this fact were confirmed in the results of excavation investigation for the Godalsa temple site, where a number of large ceramic jars used for storage of foods were excavated. Most of the large ceramic jars have unstable shapes with narrow lower part and broad shoulders, so parts and whole ceramics were buried in the ground to compensate the shortcoming of the appearance an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torage. Especially, ceramics excavated in the Godalsa temple site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of buildings, and proves earthenware and ceramics we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some degree. 여주 고달사지는 9세기 무렵 창건되어 고려시대에 국가가 관장하는 대찰(大刹)로 왕실의 비호를 받았던 사찰로, 8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모두 28동에 이르는 건물지가 확인되었고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고달사지 출토 도자기는 다양한 종류와 품질을 갖추고 있어 고려시대 사찰에서 사용되었던 도자기의 조달과 소비양상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11세기~13세기에 대규모 사찰과 같이 중요 소비처에서 조달한 자기는 강진과 부안이라는 최고급 생산지 제품은 소량이며, 나머지는 주변에서 제작된 조질의 청자와 백자가 비교적 높은 비중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당시 최고급품 또는 고려에서 생산된 자기를 대체하는 품목으로 인식되었던 소량의 중국자기가 더해지 면서 사찰 사용 자기의 구성을 갖추었다. 이러한 자기들은 사찰에서 설행(設行)되는 각종 의식에 사용되는 것은 물론 승려들이 참선을 할 때 음다용으로 또는 공양용으로 뿐만 아니라 기타 생활용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한편 승려들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식품의 저장은 중요한 문제였다. 특히 많은 선승들이 기거하는 선종사찰은 주방에 해당하는 고원(庫院) 영역이 중시되었음은 당연한 것이었다. 고달사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이러한 상황을 반영한 건물지가 확인되었고, 거기에서 식품 저장용으로 활용된 대형 도기호가 다수 출토되었다. 대형 도기호의 대부분이 저부가 좁은 반면에 어깨가 상당히 넓어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는 약점을 보완하고 저장용으로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기의 일부 혹은 전체를 땅에 묻어서 사용하였다. 고달사지에서 출토된 도자기는 어느 정도 건물지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고, 용도면에 서 도기와 자기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였음을 증명하고 있어 주목된다.

      • KCI우수등재

        전암대자율을 이용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용 석재 선정 연구

        전유근(Yu Gun Chun),이명성(Myeong Seong Lee),김지영(Jiyoung Kim) 한국암석학회 2016 암석학회지 Vol.25 No.3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는 과거 도괴되어 현재 귀부와 이수는 여주 고달사지에 남아있고 비신은 파손된 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탑비를 구성하는 암석은 두 종류로, 귀부와 이수는 조립질 흑운모화강암, 비신은 부분적으로 각섬석 집합체와 2~3 cm 크기의 장석반정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세립질 흑운모화강암이다. 귀부와 이수의 조립질 흑운모화강암은 여주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과 전암대자율 및 암석기재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반면 비신의 암석은 이 지역 내에서 산출되는 암석과 다소 차이가 있어 국내 화강암의 전암대자율, 암석학적 특징, 탑비의 금석문과 고려시대 고문헌 기록을 토대로 유사한 암석의 산출지를 탐색하였다. 이 결과 북한 해주 지역의 화강암이 색상, 각섬석 집합체, 광물조성, 전암대자율 분포 등에 있어 비신의 세립질 흑운모화강암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해주 화강암이 탑비 암석의 산지암석으로서 가능성이 가장 크며, 원종대사탑비 비신을 복제하기 위한 석재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Only the tortoise-shaped pedestal and the ornamental capstone in the form of a hornless dragon remain at the site and the broken stele body is stor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day. The stele is made of two kinds of rocks that are coarse-grained biotite granite for the pedestal and the capstone, and finegrained biotite granite including hornblende assemblages and feldspar phenocrysts for the stele body. The coarse-grained biotite granite of the pedestal and capstone showed sam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biotite granite outcrops in Yeoju area, whereas the fine-grained granite of the stele body did not. To find a provenance of the stele body stone, we investigated Korean granites in terms of magnetic susceptibility, lithology and old recordings about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ele. As a result, Haeju granite is the most likely to be a cognate rock of the stele body stone as it has same texture and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color, hornblende assemblages, mineral composition and magnetic susceptibility. It is imported from Haeju (North Korea) to South Korea via China commercially, and the most suitable for a replica stone of the stele body.

      • KCI등재

        고려전기 남한강 유역 塔碑의 현상과 조성배경

        정성권(Jeong, Seong-kw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30 No.-

        본 논문은 남한강 유역에 건립된 탑비의 조성배경을 고찰한 글이다. 연구 대상 탑비는 10세기에 조성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와 11세기 건립된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등이다. 남한강 유역에 건립된 10세기 탑비는 고승을 추앙하고 문도들을 우대하는 일반적인 탑비의 건립목적을 넘는 역할과 상징성을 갖고 있었다.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와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는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등장을 알리는 국가적 기념물 역할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는 건립 다음해에 왕권에 도전하는 충주유씨 세력의 구심점 역할도 하였다. 11세기 들어와 조성되는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는 탑비 본연의 목적인 고승에 대한 추모와 문도들의 권리를 인정해주는 상징물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에는 문도들의 음기가 없다. 문도들의 음기가 기록되지 않은 이유는 법안종의 쇠퇴와도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과 탑비는 우리나라 석조조형물 중 가장 화려한 작품에 손꼽힌다. 이러한 탑비가 법천사에 조성된 이유로는 12조창제 확립으로 인한 흥원창의 확대, 계립령로의 정비를 통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 물류와 세곡의 집중 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제도 정비는 11세기 중엽 법천사가 대대적인 중창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으며 법천사의 경제적 번영은 해린의 문도들이 안정적인 수행을 할 수 있는 물적 토대가 된 것으로 본문에서 언급하였다. 남한강 유역의 탑비는 문헌사료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나말여초기의 역사적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1차 사료라고 할 수 있다. 9th Century stone monuments were constructed to commemorate the accomplishments of the monks who propelled Buddhism and pass on his legacy to next generation. As the era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egan in the 10th century, the political natur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monument grew strong. Monuments built in the 10th century are strong political symbols in addition to being basic symbols of memorial and commemorating the monk. In this article, Monuments which were built durint the early 10th century are studied. The monument of Chung-Dam promotes the launch of new Unified Dynasty of Goryeo. During the reign King Kwang-Jong, the 4th king of Goryeo, he carried out a large-scale purging of high-ranking officials. Thanks to his policy, from the late 10th century, the kingship was stabilized and the political purpose of monuments was greatly reduced. Monuments built in the 11th century were done so with different purpose from those built in 10th century. Political system was stabilized since the end of the 10th century and the powers of the disciples who formed their own forces under their masters grew strong. Monuments built in the 11th century were used as a token of acknowledgment of the right of disciples who grew in power. Monuments built in the 11th century look different from the 10th century monuments that had political meaning related to the king. In case of the monument of Hae-Rin in Bup-Cheon-Temple, the unidimensional goal was to commemorate the grand monk that passed away. The more fundamental reason for its construction is to demonstrate that Hae-Rin"s disciples inherited control of the temple he had stayed at. In order to do this, the space around the monument was created into an authoritative space like the palace, showing through the majesty of spac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ae-Rin and his disciples should be maintain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