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기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자연재해와 고기후의 복원 방안

        오용원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1

        For centuries, our country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natural disaster, even today with high-tech and equipment, the new reality is that various disaster by natural environment must overcome. Weather information regarding closely natual disaster is accumulating from around 1900 consisting of modern weather observation in earnest, but it haven’t been nearly accumulated data regarding before weather information, namely paleoclimate. In Japan, China so on around Korea, They already set up an related institution from long time ago and are progressing for using base line data for future change of the natual environment. With this reality in mind, this article is attempted study as advanced research for performing big tasks called ‘restoration of Korea paleoclimate’. As data that extracting weather element of paleoclimate, or seeing natural disaster, for example there are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조선왕조실록]’, ‘Seungjeongwon diary[승정원일기]’, ‘Gamyeoung diary[감영일기]’, ‘pensonal diary[개인일기]’ and so on. In this article, we saw what if there is natural disaster of various weather elements regarding paleoclimate in spirit of this text the private life diary recorded by Yeongnam area, and we analyzed about how this natural disaster affects people life. Because diary data is date that person record and when they record weather information with expressive acting style and writing, those are different, so it is limited that can not be secured objectivity and accuracy. Analzed result by diary data, earthquake has already happened in Yeongnam area from 16C~19C frequently, especially it has mainly happened from Oct ~ Mar. And we can see that price rose steeply by more drought and there were losses of life because an epidemic breaks out. Sandy dust phenomenon also lead to bad year from spring to summer In conclusion, We tried Virtual Address of set, mapping activities, analyzing method of weather surrounding elements and modern application 지난 수세기 동안 우리나라는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를 경험했고, 첨단 과학과 장비를 갖추고 있는 오늘날에도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재해를 극복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자연재해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기상 관련 정보는 근대 기상관측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00년 전후로부터 일부 축적하고 있지만, 그 이전의 기상 정보 즉 고기후 관련 자료는 거의 정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에 일본, 중국 등 한반도 주변 국가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국가 차원에서 관련 기관을 설립하여 미래 자연환경 변화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기후의 복원과 연구를 이미 진행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여, 본고는 향후 ‘한반도 고기후의 복원’이라는 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시도한 연구이다. 고기후(古氣候)의 기상요소를 추출하거나 자연재해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조선왕조실록’, ‘각사등록’, ‘승정원일기’, ‘감영일기’, ‘개인일기’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영남지역에서 기록된 개인 생활일기를 연구의 주 텍스트로 삼아 고기후 관련 다양한 기상요소 중에 어떤 자연재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런 자연재해가 백성들의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일기 자료는 개인이 기록한 자료이기 때문에 기록자마다 기상정보에 대한 표현방법과 문체가 각각 다르다. 그래서 그 객관성과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현재 남아 있는 문헌 가운데 고기후를 복원하는데 가장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일기류 자료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이미 16C부터 19C까지 영남지역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특히 시기적으로 10월부터 3월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한 특수성도 있었다. 그리고 잦은 가뭄으로 인해 물가가 급등하고 전염병이 창궐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황사현상 역시 봄부터 여름까지 발생하여 흉년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끝으로 일기류 자료를 통해 고기후 복원을 위해 가상주소[Virtual Address]의 설정과 맵핑[mapping] 작업, 기상 주변요소의 분석 방법과 현대적 활용 방안 등을 제시해보았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고기후 복원을 위한 습지 퇴적물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가능성 연구

        박정재(Jungjae Park)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4

        호수나 습지 퇴적물을 대상으로 동위원소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들은, 다양한 해석들을 통해 고기후를 복원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호소퇴적물의 경우 보통 유기ㆍ무기 탄산염 등을 추출하여 산소ㆍ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산소동위원소 분석은 과거의 기온과 습도 변화를 정량적ㆍ정성적으로 복원하는데 이용되며, 탄소동위원소 분석결과는 호수의 주위환경 변화나 인간의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고산습지의 피트 층에 존재하는 반부패상태의 물이끼는 탄소동위원소분석의 좋은 시료이며 기온, 대기 중 이산화탄소압 등 고기후 정보를 제공해준다. 해안의 염습지나 염하구 등의 습지지역에서는 육상기원의 유기물과 해상기원의 유기물이 서로 탄소동위원소비율값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에 관한 연구를 할 수 있다. 또한 탄소동 위원소비율이 상이한 C4 식물과 C3 식물이 염도에 따라 분포가 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몬순과 관련된 연구를 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동위원소분석방법을 이용한 고환경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며, 이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 부족과 국내에서는 적절한 시료 채취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제주도의 하논, 무제치늪이나 용늪 같은 고산습지, 그리고 해안의 염습지 등에서 얻은 퇴적코어들에 동위원소 분석을 시행하면, 우리나라 고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는 흥미로운 결과가 산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able isotope analyses on lake or wetland sediments are useful to reconstruct paleoclimate. Organic and inorganic carbonates obtained from lake sediment are isotopically analyzed to get oxygen and carbon isotopic ratios. Oxygen isotope ratios can be us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construct paleo-temperature or humidity while carbon isotope ratios be used to reveal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lake or human impacts on the area. Peat mosses in peat bogs are nice samples for the carbon isotope analysis, which derives paleo-temperature and paleoatmospheric CO₂ changes. In coastal area, the reconstruction of past sea-level is possible because terrestrial originated organic matter is carbon isotopically different from marine originated organic matter. Also, scientists can do research on Asian Monsoon based on the fact that ∂13C of C3 plants and C4 plants are consistently different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distributed differently with respect to salinity. In Korea, paleoenvironmental studies using stable isotopes are not popular yet because of low academic interests on the methodology and difficulties of obtaining proper sediment samples. Interesting results can be produced to answer paleoenvironmental questions of Korea if scientists isotopically analyze sediment cores from a paleo-lake such as Hanon in Jeju island, peat bogs such as Mujechi-Neup and Yong-Neup, and coastal wetlands.

      • KCI등재

        화분분석을 이용한 고기후 추정의 문제점 : 東北日本의 제4기 후기 온난기를 중심으로

        박지훈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08 기후연구 Vol.3 No.1

        東北日本(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대에 국한)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이용하여 제4기 후기 온난기의 고 기후를 추정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에서 최종간빙기 중에서 Pinus·Tsuga·Betula림이 분포하던 시대의 기후가 따뜻했는지 추웠는지 명확하지 않다. (2) 일반적으로 Lagerstroemia 화분이 최종간빙기에서 냉온대성 기후를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사지역에서는 그것을 적용하는 것은 아직 곤란한 점이 많다. (3) 조사지역에서 후빙기 중기에 기온의 고저를 파악하기 어렵다. (4) 조사지역의 저지대에서는 후빙기 후기의 기온이 후빙기 중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량했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없다. (5) 후빙기를 대상으로 10²~10³년 시간규모의 건습변화를 복원하기 어렵다.

      • KCI등재

        동시베리아 얼음쐐기 시료의 해동방법이 시료의 화학적 특성분석에 미치는 영향

        고수본,안진호,Alexandre Fedorov,이기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2 자원환경지질 Vol.55 No.6

        얼음쐐기는 영구동토 지역의 토양층에서 관찰되는 얼음체로, 형성 당시의 강수 및 토양이 유입되어 형성되며, 높은 농도의 용질 및 고체함량을 가진다. 이러한 얼음쐐기는 그 형성 및 분포적 특성으로 인해 최근 고기후 및 고환경 복원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얼음쐐기에 포함된 용질 및 고체 혹은 광물입자들을 고기후 및 고환경 복원 프록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보존이 필수적이다. 만약 얼음쐐기 시료의 해동과정에 의한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가 야기된다면, 이를 활용한 고기후 및 고환경 해석에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베리아 쑤야(Cyuie) 지역에서 채취된 얼음쐐기를 이용하여 해동조건이 얼음쐐기 내 용질 및 고체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쑤야(Cyuie) 지역의 얼음쐐기 시료에 대해 해동온도와 산소유무를 고려하여 네 가지 해동조건(4℃-유산소, 4℃-무산소, 23℃-유산소 혹은 23℃-무산소)에서 회수된 용액 및 고체시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온도와 산소의 영향이 가장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4℃-무산소 조건에서 측정된 결과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얼음쐐기 내 고체입자들에 대한 해동조건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반면, 용액의 화학적 특성(pH, 전기전도도, 알칼리도와 주양이온 및 미량원소의 농도)은 기준조건에 비해 4℃-유산소 조건에서 일관성 있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얼음쐐기 시료의 해동조건에 따라 시료의 화학적 특성에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시료처리 방법 및 절차가 얼음쐐기를 이용한 고기후 및 고환경 복원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韓國古代氣候硏究의 動向과 課題

        서민수 호서고고학회 2019 호서고고학 Vol.0 No.44

        In ancient Korean history, climate issue wa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This tendency originates from the shortage of historical documents, barriers to entry against scientific studies and the overall academic attitudes of researchers based on a lack of interest i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precautions about climatic determinism. For the advancement of future studies, this paper reviewed methodologies and viewpoints of former climate studies. Subsequently, this paper outlines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aforementioned former studies. Former studies were dichotomized into two groups, reconstruction of past climates and effect analysis of climates on human society. The former depended on quantitative resolution of SamgukSagi, cross reference of the reconstructions of China’s and Japan’s climates, and the procurement of scientific data.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iscussion, obtaining of scientific data based on Korea peninsula is essential. The latter was divided into two subdivisions, climatic environment by long-term chance and single event’s effect on human society. In general, those studies posed analysis on climatic determinism which emphasizes the impact of climate. Going forwar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a social safety net as an adaptation of ancient society against climate change. To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and human society through a historical perspective, interdisciplinary studies should be executed in conjunction with the natural science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us far, only a handful of researchers in Korea have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climatic environment and natural sciences. An effort must be made to have an interdisciplinarity that includes new research methodologies and viewpoints as a foundation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Korean history. 한국고대사에서 기후는 진지한 연구대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이는 문헌 자료의 결여, 자연과학 자료에의 진입장벽, 생태환경에 관심이 결여된 학계 풍토와 기후결정론에 대한 경계 등 연구자의 학문적태도에서 기인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한국고대사에서 기후 연구가 어떤 방법과 관점에서 다루어졌는지 검토했다. 그로부터 기존연구가 얻은 성과와 한계를 제시했다. 기존 연구는 과거 기후의 재구성과, 기후가 인간사회에 준 영향으로 양분된다. 전자는『삼국사기』의 계량적 분석, 중국과 일본의 기후재구성 참고, 자연과학 자료의 확보에 의존했다. 논의를 구체화하려면 한반도 기반의 자연과학 자료 확보가 절실하다. 후자는 장기간에걸쳐 조성된 기후환경과, 단발적으로 발생한 이상기후가 인간사회에미친 영향으로 나뉜다. 대체로 기후의 영향을 강조하는 기후결정론적 해석에 얽혀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고대사회의 대응으로서‘사회적 안전망’의 내용과 작동 여부가 검토되어야 한다. 인간사회와 기후환경의 상호관계 이해를 위해, 차후 자연과학 분야와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동안 한국사 분야에서 기후환경에 전문 지식을 가진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새로운 연구방법론과 관점이 교집하는 학제간 연구를 발판 삼아 한국고대사 이해의 진전에 힘써야 한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