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코와 정신의학의 계보학 - 정신의학의 비판적 역사를 통해 본 계보학의 유래와 효과 -

        김성우 한국의철학회 2012 의철학연구 Vol.13 No.-

        푸코의 비판은 칸트의 인식론적 비판이나 하버마스의 언어철학적인 비판처럼 진리의 분석론이 아니라 역사적인 존재론이다. 그래서 그것은 역사 비판 존재론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그의 역사 비판 존재론은 칸트적인 선험적인 형이상학의 정초(定礎)도 아니고 헤겔의 역사철학도 아니다. 이것은 고고학, 계보학, 실존의 미학으로서의 윤리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체와 권력」이라는 짧은 글에서 푸코는 지난 20년 동안 자신의 작품 목표는 권력이 아니라 서양 근대 문화에서 인간이라는 존재자가 주체로 생성되는 상이한 방식들의 역사를 쓰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그의 작업은 인간이라는 존재자를 주체들로 변형하는 객체화의 세 방식들을 다루는 것이다. 세 방식들은 각각 진리, 권력, 윤리의 축과 관계한다. 그래서 그의 계보학은 진리, 권력, 윤리와 연관된 주체의 계보학이지 단순히 권력의 계보학이 아니다. 이 글의 목적은 푸코의 역사가 니체의 계보학을 계승하여 그 당시 현상학과 맑스주의, 휴머니즘과 과학주의, 철학적 인간학과 역사 실증주의 사이의 딜레마를 끊고 니체의 계보학이 지닌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철학적이며 정치적인 비판의 활동으로 전개된 것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글은 진리, 권력, 윤리라는 3중적인 축에서 주로 진리의 축에서 권력의 축으로 이행하는 그 과정을, 즉 전기에 주로 행해진 지식의 고고학으로부터 중기에 주로 탐구된 권력의 계보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선행 연구들이 주로 감옥의 역사를 중심으로 권력-지식의 복합체를 탐구함으로써 이 이행과정을 설명하는 반면에, 이 연구는 정신의학의 권력-지식 복합체에 대한 그의 중기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정신의학과 관련해서 계보학의 유래와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신의학의 계보학은 전기에 주로 다룬 광기와 질병의 역사와의 뚜렷한 연관성을 지니면서도 후기에서 취급한 윤리의 문제와 관련된 성욕의 역사와도 대단히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 글은 정신의학의 계보학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복잡하게 나타나는 푸코의 사상이 체계적인 의미는 아니지만 방법론적인 일관성(즉, 역사 비판 존재론인 주체의 계보학)이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 KCI우수등재

        교육 연구방법으로 계보학의 가능성과 의의

        유주영(Ju Young Yoo)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연구방법으로서 계보학의 가능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계보학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하고 교육 연구방법으로서 계보학의 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계보학은 현재의 개념에 대한 지식이 구성된 유래를 추적하여 변화를 분석하는 작업이다. 계보학은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지식이 자연발생적이지 않고, 권력관계가 담겨 있다는 것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특히, 교육 연구방법으로 계보학을 활용한다면 교육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의 지식 변천을 분석함으로써 개념적 재구성과 실천적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육 연구방법으로서 계보학을 활용하는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인 모종의 개념에 의문을 던지며 균열을 생성한다. 둘째,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시・공간적으로 넓고 방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셋째, 분석 단계에서는 개념을 해체하고 비판하면서 분석한다. 넷째, 해석 단계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성을 염두에 두고 해석한다. 다섯째, 글쓰기 단계에서 연구자는 끊임없이 반성하며 연구를 수행한다. 교육 연구를 수행할 때 계보학 연구방법을 활용한다면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교육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을 것이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미시적으로는 교육학자, 교육 실천가, 학습자 등 교육과 관련된 주체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고, 거시적으로는 교육 시스템의 혁신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genealogy, and explored examples of research using genealogical methodology. Through thi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 are discussed and strategies for utilizing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tool are suggested. Genealogy is the work of tracing the origins of knowledge about current concepts and of analyzing changes. It is a tool that can analyze that the knowledge we take for granted is not spontaneous but contains power relations. In particular, if genealogy is used as an educational research tool, it will be possible to be of help in conceptual reconstruction and practical development. The strategies for using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tarts by raising questions about the concept. Second, in order to collect data, a wide and vast amount of data is collected. Third, during the analysis, concepts are deconstructed and critically analyzed. Fourth, interpretation is done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in mind. Fifth, in the writing stage, the researcher constantly reflects on themself. If we use genealogy when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we will be able to seriously reflect on the educational problems we are currently facing, and this will help us come up with new alternative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dividual growth and to innovative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 KCI등재

        동일성 원리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에서의 계보학의 의미

        윤삼석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본 논문은 아도르노 철학에서 이루어지는 ‘동일성 원리에 대한 비판’을 ‘계보학’으로써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계보학이 아도르노 철학에서 지니는 의미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단계의 과정으로 전개된다. 첫째 단계는 비판 대상을 추출하는 작업인데, 여기에서는 동일성 원리의 두 차원으로서 관념론적 차원의 동일성과 사회적 차원의 동일성이 제시되고, 이를 통해 비판 대상으로서 관념론적 동일성의 두 테제인 ‘정신의 우위’와 ‘정신의 즉자성’ 및 ‘정신의 독립성’이 정립된다. 둘째 단계는 계보학 자체의 의미와 요소들에 대한 탐색 작업인데, 여기에서는 니체의 계보학을 통해 계보학 자체의 의미, 즉 가치의 반(反)-가치적 근원을 폭로함으로써 가치를 ‘근본에서부터 비판’한다는 의미가 규명되고, 이러한 비판에 내재하는 계보학의 두 요소인 ‘사회-역사적 차원’과 ‘생리-심리학적 차원’이 도출된다. 셋째 단계는 계보학의 의미와 요소들을 통해 관념론적 동일성의 테제를 재구성하는 작업인데, 여기에서는 정신이 ‘교환원리’라는 사회-역사적 상황 및 조건과 매개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해 정신의 즉자성 및 독립성이 비판되고, 또한 정신이 ‘자기보존’이라는 자연적이고도 본능적인 생의 원리와 그 요소들로부터 유래했다는 점을 통해 정신의 우위가 비판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아도르노 철학에서 계보학은 구성적 주체성에 대한 비판이라는 ‘부정적 의미’뿐만 아니라 유한성이라는 주체의 새로운 규정을 제시한다는 ‘적극적 의미’ 또한 지닌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Die vorliegende Arbeit hat zum Ziel, 'die Kritik am Identitätsprinzip' bei Adorno durch 'die Genealogie' zu rekonstruieren, und dadurch den Sinn der Genealogie bei der Philosophie Adornos zu suchen. Dafür besteht die Arbeit aus drei Prozeße. Der erste Prozeß ist die Arbeit, die Gegenstände der Kritik herzuleiten. Dabei setzen wir die idealistischen Identität und die sozialen Identität als zwei Dimensionen des Identitätsprinzips, dadurch leiten 'den Vorrang des Geistes' und 'das Ansichsein des Geistes', d. i. 'die Unabhängigkeit des Geistes' als die Gegenstände der Kritik her. Der zweite Prozeß ist die Arbeit, den Sinn der Genealogie und deren Elemente auseinanderzusetzen. Dabei stellen wir 'die radikalen Kritik' an den Werte durch die Enthüllung des gegen-wertigen Ursprungs derselben als den Sinn der Genealogie selbst Nietzsches fest, und leiten ihre zwei Elemente, d. i. 'sozio-historische Dimension' und 'physio-psychologische Dimen- sion' her. Der letzte Prozeß ist die Arbeit, zwei Thesen der idealistischen Identität durch die Genealogie zu rekonstruieren. Dabei bestätigen wir, daß zum Teile das Ansichsein des Geistes d. i. die Unabhängigkeit des Geistes dadurch kritisiert wird, daß er durch das ‘Tauschprinzip’ als die sozio-historischen Bedingung vermittelt ist, zum Teile daß der Vorrang des Geistes dadurch kritisiert wird, daß er aus der ‘Selbsterhaltung’ als dem Prinzip des naturalen und instinktiven Lebens und ihren Elemente stammt. Schließlich erhellt es sich daraus, daß die Genealogie bei Adorno nicht nur 'den negativen Sinn' der Kritik an der konstitutiven Subjektivität sondern auch 'den positiven Sinn' der Aufweisung der neuen Subjektsbestimmung, d. i. Endlichkeit des Subjekts hat.

      • KCI등재

        교육정책 분석 방법의 탐색 : Foucault의 계보학

        손흥숙 ( Son Heung S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권력, 지식, 주체 관계의 새롭고 다양한 면을 들추어낸 Foucault의 계보학이 교육정책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하는 것은 여전히 난해한 일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교육정책을 분석할 때,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려는 일환에서 시작하였다. 먼저, Foucault의 계보학은 연구 영역, 자료 수집, 자료 해석의 범주에서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교육 연구에서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하는 것의 강점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교육정책을 분석한 사례연구를 리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교육정책 계보학을 연구 영역, 자료 수집, 자료 해석의 범주에서 탐색하였다. 결론에서,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하고 있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정리하고 후행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Foucault의 계보학을 체계화하고 연구전략을 모색하는 작업이 자칫 무모하지만, ‘계보학을 하라’는 Foucault의 제안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Although Foucault's genealogy, which reveals new and diverse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knowledge, and subject, can be used to analyze educational policies, it is still difficult in application. This study started as a part of exploring ways to utilize Foucault's genealogy when analyzing Korean education policy. First, Foucault's genealogy was understood within the scope of the research area, data collection, and data interpretation. Next, the strengths of using Foucault's genealogy in education research were reviewed, and case studies that studied specific educational polici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processes, education policy genealogy was explored in the categories of research area, data collection, and data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using Foucault's genealogy are summarized and consider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suggested. In addition, although the work of systematizing Foucault's genealogy and seeking research strategies is impulsive, I tried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Foucault's suggestion of 'do genealogy'.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도통(道統) 확립의 계보학

        최연식(Choi, Yeon Sik)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4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문묘에 배향된 15인의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문묘에 배향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권력-정치의 동학을 당대의 역사적맥락과 교차하여 니체와 푸코의 계보학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에 문묘에 배향된 15인의 유학자들은 문묘에 배향된 위차에 따라 하나의 선명한 계보를 학문적으로 이어갔다고 믿어졌다. 그러나 이들이 문묘에 배향된 시기와 위차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문묘 배향자의 선정 과정에는 당색에 따른 정치적 입장이 분명하게 각인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문묘 배향은 지식계보학의 형성 추이를 고려할 때, 3개의 큰 흐름으로 전개되었다. 첫째는 정몽주의 배향으로 도통의 새로운 기준이 설정되어 조선 지식계보학의 유래가 만들어진 시기였다. 둘째는 5현의 문묘 배향을 통해 지식계보학 발생의 권력투쟁적 의미가 분명히 드러난 시기였다. 셋째는 지식권력의 중심이 노론 세력으로 제한되면서 도통과 지식계보학의 의미가 교조화되는 시기였다. 이 점에서 조선시대의 문묘 배향과 도통의 전승은 순수한 기원으로부터 출발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 필요에 따라 발생하여 그때그때의 현실적 요구에 따라 늘 새롭게 분출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dynamism of power politics which enshrinement process of fifteen orthodox neo-Confucian scholars had woven in Chos\check{o}n dynasty with regard to Nietzschian and Foucauldian concept of genealogy. The fifteen neo-Confucian scholars of Chos\check{o}n dynasty was believed to hand down their scholarly Way from one to another according to the order of memorial tablet that was installed in Chos\check{o}n Confucian shrine. The time and order of their enshrinement, however, did not coincide each other, and it was the political viewpoint of each faction that influenced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enshrined. The scholarly enshrinement process of Chos\check{o}n dynasty went through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flow of academic genealogy formation. First stage was the enshrinement of Chung Mong-ju who made the starting point (Herkunfut) of academic genealogy of Chos\check{o}n dynasty and settled new standard of succession the Way. Second stage was to enshrine five Confucian scholars to manifest power political meaning of academic genealogy. Third stage was dogmatizing period of academic genealogy and succession to the Way by the influence of Noron faction. In this regard,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fucian enshrinement and succession of the Way in Chos\check{o}n dynasty did not depart from the pure origin, but generated and erupted from the contemporary political faction’s needs.

      • KCI등재

        계보학적 교육 연구의 가능성 탐색

        정규영(Chung, Kyu-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본고는 계보학의 의미 분석에 기초하여 계보학적 교육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 하고자 한다. 미셸 푸코는 『감시와 처벌』 등에서 근대 학교제도 를 ‘유순한 신체’로서의 근대 주체를 길러 내기 위한 규율 권력의 기구 이며 지배적 언설 체제의 장치로 묘사했다. 이러한 교육의 계보학 적 역사 분석은 교육자들에게는 피하기 어려운 문제 제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종래 계보학 의의미에 대한 검토가 불 충분했다. 본고는 먼저 푸코의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계보학의 정확한 의미 파악을, 형이상학의 거 부, 유래의 탐구, 해체와 비판, 안티 사이언스라는 네 측면에서 시도 했다. 푸코의 『 감시와 처벌 』과 아리에스의 『앙시엥 레짐기의 아동과 가족생활』은 계보학 적 교육사 연구 의 구체적 사 례이다. 교육사를 포함한 한국사 서술에서는 ‘선형적 생성’ 혹은 ‘기적적기원’ 의 형이상학이 발견 되며, 그에 대하여 행 계보학적 교육사 연구는 해체적 작업을 수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grasp the concrete meanings of Foucault’s genealogy. Based on the result s, it explores the possibilities o f a genealogical research of education. In Discipline and Punish(1975), Michel Foucault described the modern schooling as a ap-paratus of disciplinary power which tries to pro duce “docile bodies”. He also depicted modern system of education as an essential institution of the regime of discours of societies. This kind of bleak image of modern edu cation from the view-point of geneal-ogy puts many educators in para lysis.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exact and concrete meanings of genealogy through theanalys is of related texts written by Foucault. A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ge-nealogy may be presented as (1) the rejection of metaphysics, (2) the investigation of the Entstehung or émergence, instead of the Wunderursprung, (3) dissociation and critique,(4) anti-science s or the uprisings of the subjugated savoirs . The genealogical history of modern education analyzed by Foucault in Discipline and Punish(1975) and L’enf ant et la vie familiale sous l’ancien régime(1973) of Philippe Ariès may be counted as the good genealogy of modern education. Especially Ariès(1973) shows a practical and useful study of moder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of genealogy. We find easily the metaphysics of ‘linear geneses’(genèses liné-aires) and the Wunderurspring in the many his toriographies of Korea education . The historical genealogical analysis of education tries to disintegrate such transcendental historiographies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3.1운동 기억’: 4.19혁명에서 6월항쟁까지

        오제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5 No.-

        Since the April 19th Revolution in 1960, in Korean society, ‘genealogical historical awareness’ that connects important events of modern Korean history with this has long been emphasiz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pril 19th Revolution as two axes. Park Chung-Hee Regime, which seized the power with the May 16th Coup d'etat, too, seemed to accept the genealogy of the March 1st Movement, but in fact, it argued that the May 16th Coup d'etat and the October Yushin would b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pril 19th Revolution, appropriating this, quite inversely. On the other hand, the force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too, stood against the dictatorship of the Park Chung-Hee Regime, actively utilizing the genealogy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the 1980s, it continued the memory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the 1960s and 1970s, especially, the genealogy of the March 1st Movement from two perspectives.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Reform, importance was still attached to the genealog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it was reflected in the Preamble to the present Constitution. In addition, its genealogy has been utilized continuously as a kind of an idiom expressing the legitimacy, justice and confidence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till the June Uprising in 1987. Keywords: Democratization Movements, March 1st Movement, April 19th Revolution, June Uprising, National Day March 1st, genealogy 1960년 4.19혁명 이후 오랫동안 한국 사회에서는 3.1운동과 4.19혁명을 두 축으로 하여 여기에 한국근현대사의 중요 사건들을 연결시키는 ‘계보학적 역사인식’이 강조되었다. 5.16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박정희 정권도 3.1운동의 계보학을 수용한 듯하였으나, 사실 이를 완전히 거꾸로 전유하여 3.1운동과 4.19혁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5.16쿠데타와 10월유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반면 민주화운동 세력 역시 3.1운동의 계보학을 적극 활용하여 박정희 정권의 독재에 맞섰다. 민주화운동에서 3.1운동의 계보학은 자랑스럽고 성공적인 역사이며 반드시 계승, 발전시켜야 할 자산으로서 ‘동학농민전쟁-3.1운동-광주학생운동-4.19혁명’을 위치 짓고, 대신 5.16쿠데타와 10월유신을 완전히 부정, 배제하였다. 1980년대는 두 가지 측면에서 1960~70년대의 3.1운동 기억, 특히 3.1운동의 계보학이 계속 이어졌다. 헌법개정 과정에서 3.1운동의 계보학이 여전히 중시되어 현행헌법의 헌법전문에 반영되었다. 또한 3.1운동의 계보학은 1987년 6월항쟁에 이르기까지 민주화운동의 정통성, 당위성, 자신감 등을 표현하는 일종의 관용구로서 계속 활용되었다. 하지만 오랫동안 3.1운동의 상징처럼 중시되었던 ‘민족대표 33인’과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확산되자 학생운동에서 3.1운동의 의미와 위상은 점차 약화되었다.

      • KCI등재

        몰입의 정의와 몰입형 미디어 계보학의 문제

        오준호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몰입이라는 용어가 뉴미디어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사용되는 맥락과 몰입형 미디어를 실감미디어로 표기할 때 내재된 기술중심주의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인 태도에 이의를 제기하고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본 논문은 몰입에 접근하는 맥락을 ‘몰입-감각적 사실성’과 ‘몰입-성찰(거리두기)’의 쌍으로 구분하고, 뉴미디어 콘텐츠 관련 국내연구들 중에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을 선별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학을 환영기술이라는 측면에서 기술한 올리버 그라우(Oliver Grau)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간성(spatiality)과 장치(dispositif)의 관점에서 확장영화를 중심으로 한 예술적 실천을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로 서술하고자 한다. 몰입과 몰입형 미디어 관련 선행연구들은 몰입을 감각적 사실성의 차원에서 정의하고, 환영기술의 진보가 새로운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장치는 담론들, 건축적 형식들, 지식과 권력의 진술들과 전략들, 주관적 성향들과 문화적 경향들의 이질적인 집합이다. 그리고 장치 개념을 미디어에 적용하면, 장치는 미디어를 특징짓는 응시들의 공간적 또는 상징적 배치로서 공간성의 재구성을 의미한다. 재현의 투명성으로서 이미지, 사물, 장면, 환영기술에서 지각의 건축술로서 공간, 사건, 상황, 장치로 관점을 전환하면, 몰입을 가상의 지각을 실제화하기 위한 관객의 자기탐색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지각을 재구성하는 공간적 배치의 새로움을 중심으로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를 대안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

      • KCI등재

        빗토리니, 칼비노 소설에 표현된 반 로고스

        한성철(Han, Sung-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주지하다시피 이탈리아 문화는 그리스 로마의 이성주의와 역사성에 바탕을 둔 리얼리즘 문화이다. 19세기말까지 이탈리아 작가들은 이러한 이탈리아 전통에 크게 반발하지 않는다. 이탈리아 작가들의 관심은 인간이 처한 현실이었고, 그 현실의 질곡의 원인이었다. 즉 현실의 질곡과 그 원인은 동전의 앞뒤처럼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절대적 인과관계에서 인간이 처한 질곡의 삶에 대한 해답은 비교적 분명해지고 그 해결책을 작가들은 앞 다퉈 제시한다. 신사실주의 작가들 대부분 이러한 대열에 동참하였다. 베르가를 필두로 실로네, 카를로 레비, 모란테, 페놀리오, 모라비아, 베르나리 등 남부문제와 현대인의 소외를 다룬 작가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탈리아 사실주의 문학의 주류를 형성해 왔다. 반면 역사 흐름의 필연성이 아닌 편린성과 우연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서 숨겨진 진리를 찾아 헤맨 피란델로나 칼비노는 이탈리아 주류 문학과는 또 다른 진실의 궁극적 규명을 위해 상상과 환상의 세계를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20세기 이탈리아 작가들에게 매력을 준 또 다른 니체의 이론은 계보학이다. 니체의 계보학은 과거가 현재에 현실적으로 실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했다기 보다는, 오히려 현재를 과거에 의해 결정된 결과로 보고 정당화하려는 태도를 처음부터 명백히 거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니체는 현재를 과거와 의도적으로 분리한다. 그의 계보학은 ‘현재의 역사’일뿐 과거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니체에 따르면 계보학은 역사적 사건들이 일정한 목적이나 목표를 향해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확립하거나 역사의 순환을 입증하기 위한 사건 비교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체계성을 비판하고 통사通史와 같은 총체적인 역사 해석 작업을 거부한다. 과거와의 단절을 통해 20세기 이탈리아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해간 몇몇 선구적 작가들, 예컨대 피란델로, 칼비노, 파솔리니 등은 니체의 파괴적 시도에 열광하며 기존 전통과는 다른 그들만의 문학세계를 통해 세계문학을 선도해 나간다. Italo Calvino attempted to analyse the ‘discursive practices’ or serious speech acts that lay claim to revealing knowledge. Rather than analyse these discursive practices in terms of their truth, he analyses them in terms of their history or genesis. He claimed that he was attempting to do an ‘archaeology’ of knowledge, to show the history of truth claims. In his latter work, he borrowed from Nietzsche the ‘genealogical’ approach for analyses of ideology. In the bottom of his thoughts is located anti-logos. The Nonexistent Knight (Italian: Il cavaliere inesistente) is an allegorical fantasy novel by Italo Calvino. The novel tells the story of Agilulf, a medieval knight who perfectly exemplifies chivalry, piety, and faithfulness, but exists only as an empty suit of armor. It explores questions of identity, integration with society, and virtue. This theme is strongly connected to modern conditions: Agilulf has been described as the symbol of the ‘robotized’ man, who performs bureaucratic acts with near-absolute unconsciousness. The idea of confusion of one's own identity with others and the outside world continued to be developed in Calvino's later works. In Conversazione in Sicilia, Vittorini's connection with the Sicilians' illness and poverty, facilitated by universalization of both characters and time, comes about through memory and his own personal history; it is amplified by his connecting present circumstances with a larger history, both in the real world and through literature. The protagonist & author share many of the same experiences - growing up in a railway family, travelling widely by rail around Sicily and Italy, working in northern Italy as a typesetter, and illness. Specially in the scene of coversation with this dead brother rapresented his eventual thoughts: anti-logos.

      • KCI등재

        푸코의 계보학에 의한 전통공간디자인의 형태접근에 관한 연구 - 방주교회의 계열화와 질적 복수성을 중심으로-

        박경애 ( Kyung Gae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계보학의 논리성이 전략으로서 전통공간디자인의 형태적 접근에 어떠한 유의미성을 갖는가에 관한 고찰이다. 전통공간디자인에 대한 사유방식의 관계규명에 초점을 두고 역사와 지식으로부터 파생되는 힘을 현재의 공간에 적용하는 해석방법론을 방주교회를 중심으로 계보학적 접근방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방주교회의 형태적 접근을 계보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전통의 지속성, 창조성, 질적 복수성에 관한 하나의 해석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와 지식의 관계로서 계보학 이론을 살펴본다. 방법론의 특성으로서 계보학적 논리, 계열화, 언표배치 및 지식과 맥락, 발신자와의 관계모델인 화용론의 장 등 계보학적 본질에 관하여 논한다. 둘째, 사례분석으로서 이타미준의 방주교회를 중심으로 주체좌표의 층위, 시간좌표의 층위, 공간좌표의 층위에서 방주교회의 계보와 계열화 층위를 지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셋째, 방주교회 기호체계의 시공간적 병치, 안면성과 연상성,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에 관하여 디자인의 창조성의 관점에서 논하고, 교회공간의 종교적 세계성, 한국성, 작가성을 포섭하는 세 가지 범주의 언술집합체로서 재영토화되는 과정을 질적 복수성의 측면에서 계보학적 시각으로 논리화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how logic of Genealogy has meaning as a strategy in the Korean traditional spacial form design. This study present traditional space design method to apply power derived from history and knowledge to space focusing on relative investigation between philosophical thought and practic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 At first, it suggests the theory of Genealogy in relation between history and knowledge, i.e. Genealogical logic, systematization, statement placement, the field of Pragmatics which is a relative model among world knowledge, knowledge of the context, and the sender. Secondly, it clarifies the genealogy and systematization of Bangju church from a point of view of continuity in the three coordinate, subject, time and space as a case study. Finally, it analyses Bangju church on the time-space juxtaposition, faciality and associability,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in the standpoint of the creativity. And, it systematizes design process of the territorialization as a statement categorized into three axis, regionality by subject axis, Korean traditionality by time axis and religious historicity of architecture by space axis with genealogical viewpoint from aspect of the qualitative plu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