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안정성 골반골절의 치료시 경피적 천장골 나사못의 수와 위치에 대한 비교

        김원유(Weon-Yoo Kim),지종훈(Jong-Hun Ji),권오수(O-Su Kwon),박상은(Sang-Eun Park),김영율(Young-Yul Kim),문창윤(Chang-Yun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불안정성 골반골절에서 천장관절의 해부학적 정복 후 S1 혹은 S2에 천장골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한 뒤 나사못의 위치와 수에 따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천장관절 골절 및 탈구를 포함한 Tile 분류 C (AO/OTA)의 불안정성 골반골절 31예 중 16예에서는 S1에 한 개의 나사못을, 15예에서는 S1와 S2에 두 개의 나사못을 이용한 경피적 고정술을 시행하고, 평균 40.2개월의 추시 관찰을 하여 방사선학적 결과와 Majeed score와 SF-36을 이용한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40.2개월(12-76개월) 관찰상 S1에 단 한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한 군 중 5예에서 나사못의 변위가 있었으나 두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한 군에서는 변위가 관찰되지 않았다. 경피적 나사못 고정술시 좁은 안전영역을 보이는 경우 S1에 두 개의 나사못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저자는 좁은 안전영역을 가진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 환자에게 S1과 S2에 나사못을 고정하여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불안정성 골반환의 정복과 고정을 위한 두 개의 나사못을 이용한 경피적 고정술은 효과적이고 믿을만한 방법이며, 특히 좁은 안전영역을 가진 환자에게는 S1에 삽입 후 S2에 추가로 나사못의 삽입이 권장된다. Purpose: A closed reduction of the posterior arch and percutaneous fixation with S1 and S2 iliosacral (IS) screw was performed on an unstable pelvis fracture with a disruption of the sacroiliac complex.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he number of screws and their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Of 31 cases with an unstable pelvis fracture involving the sacral complex, classified as Tile type C (AO/OTA), 16 and 15 cases were treated with one 81 screw fixation and two screws fixation into S1 and S2, respectively, using a percutaneous fixation techniqu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12 months and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Majeed score and SF-36. Results: Five cases of screw displacement occurred in the one screw fixati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crew displacement in the two screws fixation group after a mean follow-up of 40.2 months. In the case of a narrow safe zone (iliac cortical density, ICD), it is impossible to fix with two 81 screws. However, in these patients, good clinical results were achieved with 81 and S2 were achieved with 81 and 82 screw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technique of two screws fixation is an efficient and reliable method for reducing and fixing the unstable pelvic ring disruptions. Additional S2 screw fixation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a narrow ICD.

      • KCI등재

        흉요추부 불안정성 방출성 골절, 굴곡-신연 손상에서 관혈적후방 고정 및 유합술과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비교

        한진영,권기연 대한골절학회 2020 대한골절학회지 Vol.33 No.1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two groups of patients with percutaneous fixation or conventional fixation after hardware remova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analyzed 68 patients (43 open fixation and 43 percutaneous screw fixation [PSF] 25) who had undergone fixation for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radiologic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lateral radi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fixation and at the time of hardware removal. The clinical results included the time of operation, blood loss, time to ambulation,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The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PPSF)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did the conventional posterior fixation (CPF) group (p<0.05) in regard to the perioperative data such as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dge angle, local kyphotic angle, and the ΔKyphotic angle on the postoperative plane radiograph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dge angle and local kyphotic angle after implant removal (p>0.05) between the two groups as well.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gmental montion angle (p<0.001), and the PPSF group showed a larger segmental motion angle than did the CPF group (CPF 1.7°±1.2° vs PPSF 5.9°±3.2°, respectively).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PPSF technique could achieve better clinical results and an improved segmental motion angle after implant removal within a yea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ixation method. 목적: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에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과 고식적 방법으로 수술한 두 군을 영상의학적, 임상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흉요추부의 불안정성 골절로 관혈적 후방 고정술 및 유합술(43명),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25명) 을 시행한 환자에서 고정술 전후, 기기 제거술 전후의 흉요추부 측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영상의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결과로는 수술시간, 출혈량, 자가 보행까지 시간, 입원기간, 수술 후 VAS를 비교하였다. 결과: 고정술 당시의 수술시간, 출혈량, 입원기간, 자가 보행시기 등의 결과는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PPSF)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단순 방사선 사진상에서설상각의 변화, 전방 추체 높이의 변화는 고식적인 관혈적 후방 고정술 및 유합술(CPF)군이 더 좋았다. 기기 제거술 후 3 개월에 시행한 KODI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제거술 후국소 후만의 변화 및 분절 운동각(CPF 1.7°±1.2° vs PPSF 5.9°±3.2°)은 PPSF군이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우리는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에서 경피적 고정술식이 고전적 방법에 비해 임상적으로 좋으며, 1년 이내 기기 제거술 시행 시 고정분절의 운동성이 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흉요추부 골절에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생체 공학 분해성 뼈 대체물을 사용한 척추체강화술

        강민석,유기한,정훈재,황지효,정승연,박현진 대한척추외과학회 202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8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analysis. Objectives: The study evaluated the technical aspects of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PPF) and vertebral augmentation (VA) with bioengineered degradable bone graft substitutes (bd-BGs) using the trans-pedicular approach in a single surgical procedur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effectiveness of PPF with VA using bd-BGs for thoracolumbar fracture has not been established.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17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thoracolumbar fractures who underwent simultaneous PPF and VA using bd-BGs. The short-segment PPF construct included the adjacent vertebra immediately above and below the fractured vertebra, in addition to intermediate screws for the fractured vertebra. The posterior instrumentation was removed at least 9 months after surgery from patients in whom bone union was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The sagittal Cobb angl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used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2.12±8.18 years.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after the index surgery, with the mean follow-up period being 14.8±3.32 months. The volume of injected bd-BGs was 3.84±0.19 mL. VAS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2 weeks after surgery (p<0.001). The sagittal Cobb angle was realigned from an average preoperative value of 26.68±3.93° to 2.86±4.90° post-surgery (p<0.001). bd-BGs leakage was observed in the adjacent superior disc in two patients and an increasing kyphotic angle due to a lower-most instrumented vertebra fracture was observed in one pati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ixation failure or vertebral re-collapse. Conclusions: PPF with VA using bd-BGs is technically feasible and may be a simple, effective, and less-invasive treatment for thoracolumbar injuries. 연구 계획: 후향적 분석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생체 공학 분해성 뼈 대체물(bioengineered degradable bone graft substitutes)을 사용한 척추체강화술의 기술적 측면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흉요추부 골절에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생체 공학 분해성 뼈 대체물을 사용한 척추체강화술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생체 공학 분해성 뼈 대체물을 사용하여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척추체강화술을 동시에 시행한 급성 흉요추부 골절로 진단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된 척추 및 바로 위와 아래의 인접한 척추를 포함하여 단분절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후방 지지기구는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골유합이 확인된 환자에서 수술 후 최소 9개월 이후 제거하였다. 시상면 콥 각도(Sagittal Cobb’s angle) 및 시각아날로그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12±8.18세 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후 최소 12개월 동안 추적 관찰되었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14.8±3.32개월이었다. 주입된 생체 공학 분해성 뼈 대체물의 부피는 3.84±0.19 ml였다.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는 수술 2주 후 유의하게 호전 되었다(p<0.001). 시상면 콥각도는 수술 전 평균 26.68±3.93에서 수술 후 2.86±4.90(p<0.001)로 재정렬 되었다. 2명의 환자에서 인접한 상부 추간판으로 생체 공학 분해성뼈 대체물 누출이 관찰되었으며, 1명의 환자에서 최하부 척추 골절로 인한 후만 각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유의미한 고정 실패나 척추체 재붕괴는 없었다. 결론: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생체 공학 분해성 뼈 대체물을 사용한 척추체강화술은 흉요추부 손상에 대한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보다 적게 침습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후방 골반환 손상 환자에서의 국소 마취하 CT를 이용한 경피적 천장 관절 나사 고정술

        최원식(Won-Sik Choy),김병성(Byung-Sung Kim),김하용(Ha-Yong Kim),안재훈(Jae-Hoon Ahn),정유훈(Yu-Hu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후방 골반환 손상 환자에 대하여 국소 마취하에서 CT를 이용한 경피적 천장 관절 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 골반환 손상으로 본원에서 CT를 이용한 경피적 천장 관절 나사 고정술로 치료 받은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된 치골 결합 분리 4예와, 전위된 치골지 골절 3예에는 먼저 전방도달법으로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 술을 시행하였다. 기능 평가는 Iowa pelvic score를 이용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를 분석하여, 수술 전후의 천장 관절 탈구의 전위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추시 기간은 최소 12개월에서 최대 48개월로 평균 25개월이었고, Iowa pelvic score는 84점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평균 1.55개의 나사못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수술 시간은 나사못 1개당 24분이었다. 수술 중 나사못의 척추관이나 추간공의 침범으로 인한 신경이나 혈관 손상은 없었다. 관절 간격이 수술 전 8.2㎜에서 3.6㎜로 감소되었고, 나사못의 해리나 재전위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후방 골반환 손상 환자에서의 국소 마취하에서 CT를 이용한 경피적 천장 관절 나사 고정술은 비교적 쉽고 안전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a CT-guided iliosacral screw fixation of the posterior pelvic ring using local anesthesia. Materials and Methods: Nine patients with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treated by CT-guided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under local anesthes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terior lesion including 4 cases of symphysis pubis separation and 3 cases of displaced pubic ramus fracture was stabilized using a plate and screw before the posterior iliosacral screw fixation. The Iowa pelvic score was used for a functional evaluation. A reduction of the sacroiliac joint gap was analyzed using plain radiographs and CT.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5 months (12-48) and the mean Iowa pelvic score was 84. The mean number of screws introduced was 1.55 and the mean time for the procedure was 24 minutes per screw. There were no neurovascular complications related to misplaced screws encroaching the spinal canal or neural foramen. The iliosacral joint separation was 8.2 ㎜ preoperatively and 3.6 ㎜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crew loosening or breakage. Conclusion: Iliosacral screw fixation using local anesthesia and computerized tomography is an easy and safe procedure for the patients with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 KCI등재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에 대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 및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

        오창욱(Chang-Wug Oh),김풍택(Poong-Taek Kim),박병철(Byung-Chul Park),민우기(Woo-Kie Min),이성만(Sung-Man Lee),인주철(Joo-Chul Ihn),이상원(Sang-Won Lee),오수훈(Soo-Hoo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4

        목적: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에 대하여 전방 금속판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평균나이는 43세이었다. 골반환의 손상은 AO-OTA 골절 분류상 B2형 5예, C1 형 11예, C2 형 3예이었으며, 신경손상이 4예에서 동반하였다. 수술의 방법은 환자는 전방 골반 환 손상을 금속판으로 고정한 후, 후방 환 손상은 투시경 감시하에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골 유합을 얻었으며, 전방골반환의 치골의 불 유합이 1예 있었다. 방사선 평가에서 16예에서 양호이상의 정복을 얻었고, 그외 보통 2예, 불량 1예 각각 있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19명 중 16명의 환자가 양호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보통 2예와 불량 1예는 C형 골절에서 부적절한 정복을 얻은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최초 손상 시 동반된 신경증상이 남아있는 환자이었다. 합병증은 경피적 나사못의 신경관 침범이 1예 있었으나 제거 후 신경증상은 없었으며, 그외 장-천골 나사못의 이완이 2예, 전방 금속판의 파손 2예, 심부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은 전방 금속판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로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정복의 정확성과 신경증상의 유무가 그 결과에 중요하겠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liosacral screw fixation with anterior plating in the management of an unstable pelvic ring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with an unstable pelvic ring injury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3 years. According to the AO-OTA classification, there were five B2 injuries, 11 C1 injuries, and 3 C2 injuries. After anterior fixation by plating, ilio-sacral screw fixation was performed percutaneously under the C-arm guide. Results: All cases united except for 1 case of nonunion at the pubic ramus. The radiology results showed 9, 7, 2 and 1 case of anatomic, nearly anatomic, moderate and poor reduction, respectively. Sixteen out of 19 patients had a good or excellent functional result. Two moderate and one poor result were from an unsatisfactory reduction in a type C injury with the residual neurological signs. Screw misplacement with neurological compromise occurred in one patient but there were no adverse sequelae after its removal. Regarding the complications, there were two cases of screw loosening, two cases of anterior metal failures, and 1 case of a deep infection. Conclusion: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ing with anterior plating may be a useful method for treating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and the reduction quality and neurological signs are important.

      • KCI등재

        척추-골반 해리 동반 여부에 따른 불안정성 천골 골절의 치료

        김홍식 ( Hong Sik Kim ),이정환 ( Jung Hwan Lee ),박기철 ( Ki Chul Park ),박예수 ( Ye Soo Park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3

        목 적: 척추 및 골반환 손상이 동반된 불안정성 천골 골절에서 척추-골반 이행부위의 해리 유무에 따른 수술적 치료 방법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척추 및 골반환 손상이 동반된 불안정성 천골 골절 환자 중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은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척추-골반 해리가 동반된 경우를 1군으로 장골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골반 고정술을, 해리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는 2군으로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후향적으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 와 방사선학적 골유합 여부 및 시기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 과: 총 16예의 환자 중 척추-골반 해리가 동반되어 장골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골반 고정술을 시행한 1군은 8예였으며, 해리가 동반되지 않아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2군 또한 8예였다. 최종 추시시 두 군 모두에서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척추-골반 해리가 동반된 경우에는 장골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골반 고정술을,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of surgical treatment modality in unstable sacral fractures combined with spinal and pelvic ring inju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pino-pelvic dissoci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16 patients, with unstable sacral fractures combined with spinal and pelvic ring injuries, were operated from July 2004 to January 2011.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pino-pelvic dissociations: those with dissociations were group 1, and those without dissociations were group 2. Group 1 was treated with spino-pelvic fixations using iliac screw, while group 2 was treated with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s. The availability of the radiological bony union with its application periods, and clinical results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Out of 16 patients, 8 patients in group 1 were treated with spino-pelvic fixation using iliac screw, and 8 patients in group 2 were treated with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The mean bony union period was 17.4 weeks in group 1, and 19.6 weeks in group 2. The Mean VAS and ODI scores on the last follow-up were 2.5 points and 15.6 points in group 1, 2 points and 18.8 points in group 2, respectively. Both groups had favorable clinical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Conclusion: For surgical treatments of unstable sacral fractures, spino-pelvic fixation using iliac screws is advised for cases with combined spino-pelvic dissociation, while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is advised for cases without combined dissociation.

      • KCI등재

        전위성 치골 골절의 경피적 고정술: 술기보고

        공규민(Gyu Min Kong),김승철(Seung Chul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골반골 골절은 고에너지 손상이며 주변 조직 및 장기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골반 외상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아지므로 수상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게 된다. 하지만 광범위한 수술을 시행하기에는 환자의 상태가 허락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최소 침습적인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치골의 경피적 고정은 피부 절개를 크게 하지 않고도 골반의 전방부 안정성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여러 문헌에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비전위성 골절에 대한 나사 고정을 기술하고 있으며 전위성 골절을 경피적 나사 고정으로 치료할 때 비구의 관절면을 침범하지 않는 위치로 나사를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 점은 간과되고 있다. 저자는 치골의 전위성 골절의 경피적 나사 고정 시 구부러진 유도핀을 이용하여 관절면의 침범을 피하면서 유관나사를 쉽게 삽입할 수 있었기에 본 술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Pelvic fractures are high-energy injuries, often accompanied by damage to the adjacent tissues and organs. For patients with pelvic trauma, active treatment is required early in the injury, because mortality can increase if appropriate treatment is not provided. In most cases, however,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considered because extensive surgery cannot be performed due to the patient"s condition. Percutaneous fixation of the pubis has been introduced because it can be applied easily to achieve the stability of the anterior part of the pelvis. Although many studies introduced percutaneous fixation of pubic bone fractures, most describe screw fixation for nondisplaced fractures. When treating displaced fractures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it is difficult for the guide pin or drill bit to avoid the joint surface. Using a bent guide pin could allow easy insertion of the cannulated screw while avoiding the articular surface.

      • KCI등재

        최소 전위된 슬개골 골절에서 경피적 유관나사를 통한 긴장대 강선 고정술의 유용성

        이호민,김종필,정필현,배은우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4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percutaneous cannulated screws with tension band wiring (PCSTBW),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 compared to conservative treatment for a minimally displaced patella transverse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patients from 2010 to 2019 with transverse patella fractures, who were diagnosed as minimally displaced fractures,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Of these, 61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ylinder casts were classified as Group A, and 5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PCSTBW were classified as Group B. The clinic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evaluation of the radiographic bone union and calculation of the Bostman knee score. Any complications observed were investigated. Results: All patients in both groups showed no further displacement of the fracture gap, and the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knee joint measured at the 8- and 12- week follow-up showed superior results in Group B wherein subjec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nd similar results were seen in both groups during the 6 months and 1-year follow-up. One case in Group A suffered the complication of knee stiffness.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minimally displaced transverse patellar fractures, both conservative treatment and PCSTBW showed similar good results at the 6-month and one-year follow-up. However, the PCSTBW technique showed superior clinical results in the early stage follow-up within 12 weeks. 목적: 최소 전위된 슬개골 횡골절의 치료로 최소 침습적 수술법인 경피적 유관나사를 통한 긴장대 강선 고정술을 보존적치료와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내원한 슬개골 횡골절 환자 중 최소 전위 골절로 진단받아 최소 1년 이상추시 가능하였던 성인 환자 중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61예를A군, 경피적 유관나사를 통한 긴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한53예를 B군으로 선정하여 방사선학적 골유합을 평가하였고, 임상적 평가로 Bostman knee score를 측정하고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의 모든 환자는 골 전위가 증가된 소견이 없었고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추시 8주와 12주에 측정한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는 모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B군이 우월한결과를 보였고, 6개월과 1년 추시 시에는 두 군의 결과가 유사하였다. 합병증으로 A군의 1예에서 슬관절 강직이 발생하였다. 결론: 최소 전위된 슬개골 횡골절의 치료로 보존적 치료와 경피적 유관나사를 통한 긴장대 강선 고정술은 모두 6개월, 1년추시에서는 동일한 좋은 결과를 보이나 경피적 유관나사를통한 긴장대 강선 고정술이 12주 이내 초기에 더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골이식 없이 국소마취하에 경피적 나사못 고정으로 치료한 주상골 요부 골절 불유합의 결과

        차정권,박지강,최승명,양재영 대한수부외과학회 2017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patients with scaphoid waist nonunion treated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without bone grafting under local anesthesia. Methods: We enrolled scaphoid waist nonunion of 15 patients which had no deformity, displacement, evidence of avascular necrosis and bone cyst under 5 mm on its radiological study. All patie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of 28.9±6.2 years (range, 17–38 years). The mean time to surgery from initial injury was 10.8±2.2 months (range, 6–14 month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without bone grafting via volar approaching under local anesthesia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were reviewed and documented the flexion and extension arcs of the injured wrist and uninjured wrist,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t final follow-up. Results: All 15 patients showed radiological union at an average 5.5±1.0 months. At 12 months follow-up, the flexion and extension arcs of the injured wrist were 95% and 98.5% of the uninjured wrist. The average DASH score at final follow-up was 7±3.9 (range, 0–15). None of these patients showed an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urgery. Conclusion: Percutaneous screw fixation without bone grafting under local anesthesia was reliable primary treatment method for scaphoid waist nonunion without displacement or deformation in the fracture site. 목적: 주상골 요부 골절 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하여 국소마취하에 골이식 없이 시행한 경피적 나사못 내고정술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주상골 요부 골절 불유합 환자 중 골절부에 전위나 변형이 없고 5 mm 이하의 골낭종, 무혈성 괴사와 관절증의 증거가 없는 1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남성이었고 평균 나이는 28.9±6.2세(범위, 17-38세), 수상 후 수술까지 기간은 평균 10.8±2.2개월(범위, 6-14개월)이었다. 국소마취하에 수장측으로 접근하여 골이식 없이 경피적 나사못고정술을 시행하였고 골유합 및 변형 여부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DASH score와 건측 대비 환측의 수근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술 후 평균 5.5±1.0개월에 방사선학적 골유합을 얻었다. 최종 추시 12개월에 건측 대비 환측의 수근관절 굴곡과 신전은 각각 95%와 98.5%로 회복되었고 평균 DASH score는 7±3.9점(범위, 0-15점)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골이식 없이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는 경피적 나사못 고정 방법은 골절부에 전위나 변형이 없는 주상골 요부 불유합의 치료에 일차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적절한 치료방법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불안정성 천골 골절에서 척추-골반 고정술을 이용한 치료 - 증례 보고 -

        최정환 ( Jung-hwan Choi ),황규태 ( Kyu-tae Hwang ),이승건 ( Seung Gun Lee ),강창남 ( Chang-nam Kang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4

        22세 여환으로 음주 상태에서 보행자 교통사고를 당한 후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상 우측 천골 천골공 구역 골절, 좌측 하치골지 골절, 좌측 전방 비구 골절 및 우측 제1 천추의 상방 후관절 돌기의 골절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신경학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척추-골반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1년이 지나 골유합이 완료되어 내고정물을 제거하였으며 다른 합병증이 없이 치료가 완료되었다. 본 저자들은 불안정성 천추골 골절에 있어서 척추-골반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이 현존하는 다양한 천골 골절의 치료법 중 골반 후방의 안정성을 견고하게 얻을 수 있는 우수한 방법 중 하나이기에 추천하는 바이다. A 2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emergency room (ER) after a pedestrian traffic accident in a drunken state. An examination at the ER revealed fractures at the right side of the sacral ala, sacral foramina, left anterior acetabulum, right inferior ramus, and right superior articular process of S1. She underwent spino-pelvic fixation and iliosacral (IS) screw fixation. One year later, bone union was completed and implant removal was performed and the treatment was completed without complications. The authors recommend spino-pelvic fixation and IS screw fixation for unstable sacral fractures as one of the excellent methods for obtaining posterior stability of the pelvis among the various treatments of unstable sacral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