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희전문학교의 학생자치단체와 간행물

        홍성표(Hong, Seong-Py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4 No.-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일제의 식민지라는 조선의 현실 속에서 ‘기독교주의’에 근거한 교육을 받으며 실력과 인격을 양성했으며, 학생자치단체를 결성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연전의 학생자치단체는 전도회로부터 시작되어 1915년에 전도회가 확대된 기독학생청년회가, 1923년에는 일반 학생들의 자치를 위해 학생회가 조직되었다. 이 외에 문과 학생들로 구성된 문우회, 상과 학생들로 구성된 경제연구회, 수물과 학생들로 구성된 이학연구회와 연극구락부, 관악단, 관현단 등이 조직되어 활동하였다. 학생들은 전도, 연극, 음악, 체육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식민지 조선사회와 소통하였고, 자신들의 생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간행물을 발간하였다. 학생들이 발간한 간행물로는 학생회 기관지「연희」를 비롯하여「시온」, 「문우」, 「경제연구」, 「과학」등의 잡지와, 월간신문 󰡔연전 타임스󰡕 등이 있었다. 학생들의 간행물 발간은 일제의 식민지라는 조선 민족의 현실을 바탕으로, 학교의 교육방침인 기독교주의와 민족독립의 수단으로 세력을 넓혀가던 사회주의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 졌다. 학생들은 민족운동의 실천을 위해 사회주의의 주장을 수용하였으며,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던 조선 기독교회의 문제를 지적하고 개혁을 촉구하는 등, ‘올바른 기독교주의의 실천’을 민족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간행물을 발간하기 위해 모은 원고는 먼저 학교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했으며, 허가를 받은 원고는 다시 일제의 검열을 통과해야 했다. 일제는 엄격한 검열을 통해 식민지배에 대한 문제제기, 민족의식의 강조, 사회주의와 관련된 내용은 발간을 금지하였다. 일제는 연전의 학생 간행물이 과격사상을 선전한다는 이유로 수시로 발간을 금지하였고, 학생회를 해산시키는 등 학생활동을 탄압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민족운동의 실천을 위해 노력하였다. Students admitted to C.C.C received a Christian education to nurture their skills and personalities while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These students formed autonomous student groups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The establishment of autonomous student groups at C.C.C began with the creation of a missionary group, which became The student YMCA in 1915. In 1923, The Student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to promote the autonomy of the student body at large. In addition, The Literary Society was formed by students from the Literary Department, The Economics Association by students from the Commercial Department, and The Scientific Association by students from the Science Department. Such publications included the Student Association paper Yunheui, along with the magazines Sion, Moon Woo, Kyungjei yunkoo and Kwahak and the monthly newspaper The Yunjun Times. The students accepted socialist values in their pursuit of nationalist goals. They criticized problems in the Korea Christian Association that had been denounced by society at large and urged for its overall reform. Throughout these activities, they advocated for the practice of righteous Christianity as the solution to the nation’s problems. The authorities often entirely prohibited C.C.C student publications, claiming that such works propagated radicalism, and forcibly dissolved the Student Council to crack down on student activities. Nevertheless, the students stayed strong against such suppression and worked hard to drive the nationalist movement.

      • KCI등재

        중국의 대(對) 한국경제연구 현황 및 특징에 관한 연구

        서옥란 중국지역학회 2024 중국지역연구 Vol.11 No.2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중국 학계에서 한국 경제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큰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부터 2023년까지 31년간중국의 대 한국경제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중국의 권위적인 학술사이트 CNKI의통계를 통해 추적과 분석을 해 보았다. 수준 높은 연구가 많지 않으며, 현실응용에 중점을두기 때문에 이론적인 연구나 기초연구보다 보고서나 평가형식의 글들이 대부분이며, 연구의 영역이 다양하지 않고 구체적인 산업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고, 그 연구수량은대국과 주변국 연구에 비해 적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많은 연구들은 중국경제발전에 대한 현실적인 수요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중에서 시사점이나경험과 교훈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런 현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국학자들은 응용연구와 더불어 기초적인 연구를 강화하여 연구의 심도를 강화하는 한편 한국의신흥경제영역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 새로운 과제를 부단히 탐구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에는 한국학의 세계화와 진흥을 위한 여러 프로젝트와 한국 정책기관의 재정적 지원을중국 내 교차학과와 사회학 그리고 국가별 연구기관에도 할애해야 하며 한중 양국 경제학자들의 교류를 강화하고 다양한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여 그 연구들이 실제 양국 경제협력과 교류를 추진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Korean economic research in Chinese academia has brought about great changes and development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paper analyzes how Korean econom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China over the 31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until 2023, using statistics from China's authoritative academic site CNKI. As a result, there is not much high-level research, and because it focuses on real-world application, most of the articles are in the form of reports or evaluations rather than theoretical or basic research. The areas of research are not diverse, and research on specific industries is lacking.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was small compared to large countries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addition, since many studies were motivated by realistic demands for China's economic development, the purpose was to gain implications, experiences, and lessons from them.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Chinese scholars must strengthen the depth of research by strengthening basic research in addition to applied research, while continuously exploring new tasks by increasing interest in Korea's emerging economic areas. In the case of Korea, various projects for the globalization and promotion of Korean studies and financial support from Korean policy institutions should be promoted to cross-disciplinary departments, sociology,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China. Exchanges between economists in Korea and China should be strengthened and various platforms should be established to conduct research. They need to help promote actual economic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북한 기업관리 정책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 1986-2018년 『경제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박기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1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rehend the semantic network of the reform policy of corporate management system in North Korea, through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on 204 papers in Gyeongjeyeongu for 33 years.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i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hich analyzes the adjacent key words or concepts in order to identify the contextual meaning from the texts. ‘Socialist Corporate Management System’ became the new main principle of corporate management system in 2010s, substituting the previous ‘Dae-an Corporate System’ and ‘Independent Profit System’. The Socialist Corporate Management System, connecting and leading the various concepts and issues under the corporate management syste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to the core corporate system.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under the Kim Jung Un government the role of supreme leader’s authority in the corporate management system has changed from a direct policy leader’s to a policy connector’s or facilitator’s. This research could provid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strategy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s well as the prediction of the economic reform policy under Kim Jong Un gover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33년 동안 경제연구에 수록된 기업관리 정책 관련 204편의 논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시기별로 북한 기업관리 정책의 개혁성에 대한 의미연결망을 파악하는 것이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은 인접해 있는 핵심단어 및 개념들을 재구성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여 텍스트의 맥락적 의미를 추출해내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2010년대에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과거의 ‘대안의 사업체계’와 ‘독립채산제’를 대체하는 기업관리 체계의 새로운 중심 원리로 등장하였다.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기업관리 정책의 하부 개념들과 이슈들을 체계적으로 연결하면서 이끌어 가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제도화되고 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온 이후 기업관리 정책에 나타난 최고지도자의 권위는, 과거의 직접적인 주도자 역할에서 기업관리 정책 전반의 연결자 또는 조정자로서 그 영향력과 역할이 점차 변화되고 있음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경제개혁 정책의 방향 예측과 향후 남북경제협력 전략에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노동규의 생애와 학문

        홍성찬 ( Sung Chan Hong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1

        한국 근현대 경제학사를 계통적으로 정리하려면 초창기 경제학자 개개인에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 글은 그런 목표아래 일제하 연희전문학교 상과 교수였던 경제학자 노동규(盧東奎, 1904- )의 생애와 학문을 정리하여 추후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제공하려는 것이다. A close investigation into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economists is an essential step in constructing the modern Korean history of Economics. With this aim, this paper analyzes the life and works of Dong-gyu No, a professor of economics who taught in Chosen Christian College (now the Yonsei Universi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경제연구』분석에 기초한 남북 협력 방안 연구

        엄주현(Um, Ju Hy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1 No.-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집권하면서 대북정책 기조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에 앞으로 추진 가능한 대북정책을 모색하기 위해 김정은 집권 기간인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북한의 대표적 경제잡지인 『경제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주요 경제정책의 관심 방향은 지식경제 사회 구축(51편, 29.0%), 사회주의경제관리 개선(42편, 23.9%), 인민생활 향상(19편, 10.8%), 대외관계 개선(14편, 7.9%), 식량문제 해결(12편, 6.8%), 선행기초공업 발전 (9편, 5.1%), 환경관리의 국제 기준 적용(8편, 4.5%), 산림 복구와 필승의 북한식 사회주의 구축(각 7편, 4.0%), 기타(7편, 4.0%) 등으로 나타났다. 북한 경제정책과 관심 방향은 대북지원에도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북한은 과학기술과 지식자원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이며 전문가 인적교류 요구가 높아질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남한의 완제품 지원은 지양하고 자국 내 원료와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이는 합작 및 합영회사 설립 등의 경제협력 요구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로는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기관과의 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대북지원의 지역적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지원은 서로의 입장과 원하는 바에 대한 ‘협상’이 전제됨으로 유동적이며 단정적인 결론을 내기가 어렵다. 하지만 상대방의 현실 파악과 분석은 기본이며 본 연구가 북한의 변화된 상황 이해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s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been newly inaugurated in South Korea in mid-2017, it is perceived that the change of keynote policy towards North Korea appears likely to follow. Hence, with a view to determining the direction over a feasible South Korea"s aid for North Korea, I examined the exemplar economics magazine, <Economy Research>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2012 to 2016, the period of which North Korea"s leader Kim Jung-un has been in power. The result reveals their concerns for major economic policy by area: Build-up of Knowledge-based Economy Society(51 articles, 29.0%), Improvement of a Socialist Economic Management(42 articles, 23.9%), Improvement in overall Standards of Living for the people(19 articles, 10.8%), Improvement on Foreign Relations(14 articles, 7.9%), Solution of Food Problem(12 articles, 6.8%), Prior Development of Foundational Industries and so forth(9 articles, 5.1%),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Criteria to Environmental Management(8 articles. 4.5%), Forest Restoration and Construction of unfailing DPRK-style Socialism(7 articles ea, 4.0%) and Others (7 articles, 4.0%). As such, driven by North Korea"s economy policy with a shift of emphasis, its possible impact on the Inter-Korean cooperative project can in no way be ignored. Firstly, the research shows that North Korea will focus on scientific technology combined with knowledge resources secured, which in turn will encourage the demand for interchange of human expertise. Secondly, North Korea will refrain from receiving the finished products from South Korea, actively pursuing the way of using their own raw material and resources. This stance would lead to the demand of economic cooperation such as Joint Venture or Joint Corporation. Thirdly, an expansion of business with local administrative organ is expected to revive the local economy, thus resulting in enlargement of regional scope of "cooperative entrepreneurship". At this juncture, it is difficult to draw a decisive conclusion about Inter-Korean Cooperative Initiatives, as the prerequisites for inter-subjective positions and wish list to be negotiated with are held in fluid situations. Howeve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other party and subsequent analysis is a primary requirement of research and I hop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 point of reference of change i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경제연구(1986~1999)』로 바라본 북한의 경제개혁에 대한 고찰

        이창희 ( Chang Hi Lee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2

        1986년 복간된 북한의 경제이론지인 『경제연구』는 1967년 경제-국방병진노선에 대한 갈등을 빚은 ``갑산파 숙청`` 이후 폐간된 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시기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대한 논쟁이 드러나고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어려워진 북한 경제를 해결하고자 ``중공업 우선`` 대 ``인민생활양상을 위한 농업 및 경공업 강조``, ``전인민적소유의 강조`` 대 ``협동적소유의 활용``, ``현물 지표강조`` 대 ``금액 지표의 중요성`` 등으로 전통적인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대한 개혁 한 쪽의 일방적 우세가 아니라 두 입장이 비등하게 전개되면서 양자의 절층에 입각한 이중적 경제전략의 수립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북한은 당시 경제위기를 벗어나는 부분적 실효성을 거두면서, 장기적으로 사회주의 강성대국의 ``경제강국``을 실현하려고 한다. 하지만 개혁과 보수를 포괄하는 이중전략은 부족한 자원 조건에서 느린 경제회복속도를 가져와서 오히려 경제복구에 대한 피로도를 높이고, 체제 개혁이나 체제전환 등 근본적인 해법에 대한 고민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내제적 접근방식을 통해 사회주의 경제건설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논쟁지점으로써 『경제연구』에 나타난 북한 경제일군들의 논문을 개혁 및 보수적 성향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논문 편수의 변화 추이를 통해 1986년부터 1999년까지 북한 경제의 주요시기에 나타난 개혁 또는 보수적 입장의 대응을 살펴보면서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북한 특유의 절충적인 이중전략에 대해 파악하고 북한 사회주의의 발전 또는 체제전환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was grouped two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reform and conservative by using the immanent research approach about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economy. Moreover, with the change of the article`s numbers between 1986 to 1999, it shows North Korean`s main issues in Economy sector. It means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a kind of North Korea`s two-track strategies and eclecticism. In additional, this article tried to review about the possibility of state reform in North Korea.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is significant that it had shown the socio-economical reality during the history such as ``Kapsan Group`` in 1967. In North Korea, they suffered big debate to improve the economy result. the debate changed the conflict of development strategies such as ``focused on heavy industry``, ``focused on the agriculture and light industry``, ``focused on the public ownership``, ``using the collective ownership`` etc. This typical debate shows that two perspective negotiated each other`s differences and North Korea`s used two-track policy between 1980s to 1990s. There economic results reached the fixed standard by using the former policy and will try to make the ``Kansung Daeguk``, However, the two-track policy caused the side effects under the shortage of resources in North Korea and it will increase the debate about state transformation or state reform.

      • KCI등재

        「교육재정경제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김예슬(Kim Ye seul),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무현 정부 이후 박근혜 정부년까지 「교육재정경제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 주제어와 초록이 제시된 339편을 대상으로 각 정부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연구자들이 보다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하는 연구 주제와 교육재정·경제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교육재정·경제학 연구의 동향은 크게 빈도수 분석 방법과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서 정리하였다. 전체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지난 14년 동안 빈도수가 높았던 대표 주제어는 ‘대학’, ‘사교육’, ‘학자금’, ‘교원’, ‘등록금’, ‘지방교육재정’, ‘정책’ 등의 순이었다. 전체 주제어 1,262개 중 1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6개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정책’, ‘지원’, ‘회계’가 가장 높은 연결 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지만 연결중앙성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부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무현 정부 기간 동안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0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가장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 ‘교원’의 경우 낮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명박 정부 기간 동안 5회 이상 출현한 단어 25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원’, ‘정책’, ‘대학’이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박근혜 정부의 2013년부터 2016년 전반기 까지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9개를 분석한 결과 ‘정책’, ‘지원’이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지만, 가장 낮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교육재정·경제학은 인접한 다른 학문들과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가진 학문이며, 추후 융·복합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는 학문임을 시사받을 수 있다. 더불어 향후 교육재정·경제학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서는 낮은 연결중앙성으로 한정된 주제에 매몰되어있는 ‘지방교육재정’과 관련된 주제어들을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활발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in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by successive governments from 2003 to 2016. For this study, 339 journal articles and 1,262 key words from them excluded overlapping word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o analyz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article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in which they were coded four topic area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1,262 key words of 339 journal articles cover the various study areas including evaluation, efficiency, academic achievement, communication, university, policy, and teacher, etc. It means that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can expand its field to and harmony with the adjacent research area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 variety of areas i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y research should be studied. Secondly, the key words were changed with the emphasis of the successiv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More in-depth discussion and study is needed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irdly, according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words of 339 journal articles were connected organically. Policy, support, account, and university are posted at the center and connected each other organically. However in spite of high frequency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it is not posted at the center. It means that almost researches on educational finance were focused educational finance itself rather than connection with other areas. More various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connected with other areas should be conducted. More expanded research on trends of research topics in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including specific topics,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types and overseas journals could be expected as the oncoming studies of this study.

      • KCI등재

        교육학 연구의 보편적 분석틀 정립과 교육재정경제학 분야에의 적용가능성 탐색

        신하연(Shin Ha yeon),양은택(Yang Eun taek),엄문영(Eom Moon y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동향 분석 연구의 보편적 분석틀을 정립하고, 교육재정경제학 분야의 연구동향에 적용하여 보편적 분석틀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기존의 연구동향 분석은 연구자의 관심이나 학문의 특수성, 선행연구의 방법, 분석 대상 논문 등에 따라 각각 상이한 분석 기준을 사용하여 연구동향 분석 연구의 일관된 체계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립된 분석틀을 활용하여 교육재정경제학회의 학문적 흐름을 일관된 분석대상을 통해 고찰하기 위해 「교육재정경제연구」창간호부터 2017년 제26권 제4호까지에 게재된 논문 총 612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목적 측면에서는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모형소개·개발·적용에 관한 연구(107건, 17.5%), 이론소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32편, 5.2%) 순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555건(90.6%), 국외 및 국내·외 비교 연구는 57건(9.4%)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에서는 재정연구가 329건(53.7%)으로 경제연구 226건(36.9%)보다 103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문헌연구방법이 285건(46.5%)으로 가장 많고, 양적연구(고급통계)가 138건(22.5%) 순이었다. 연구 대상별로는 2000년대 이후의 영·유치원에 관한 연구가 1990년대에 비해 소폭 상승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가장 적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교육학 분야의 보편적 분석틀의 정립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간학문적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학 내 분과학문간 연구동향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하나의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보편적 분석틀 활용에 따라 연구자별로 다양한 의미로 혼란스럽게 활용되고 있는 ‘영역’, ‘내용’, ‘주제’ 등의 용어 사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universal framework for analyzing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apply it to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finance and economics in order to utilize the universal analytical framework. The existi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volves finding a consistent system of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different analysis criteria depending on the interest of researchers, the special nature of studies, methods of prior studies, and the thesis under analysis. In this study, the total academic trends of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used for analytical units. As th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on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s was conducted the most, and the study on model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107 cases, 17.5%), and theoretical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32 cases, 5.2%, Analysis by subject showed that there were 555 domestic studies (90.6%) and 57 domestic and overseas comparative studies (9.4%). A domestic study found that there were 329 financial researchers (53.7%), 103 more than economic research 226 (36.9%).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methods, literatur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5 cases (46.5%),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with 138 cases (22.5%). By subjects of study,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creased slightly from the 1990s, they were still treated with the lowest percentage. These findings show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universal analytical framework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 the standard usage of the term areas , content , topics , and other criteria, which have different meanings, is provided by the analysis frame.

      • KCI등재

        김정은시대 북한의 경영학 연구동향 : 학술지 ‘경제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나정원 ( Na Jeong Won )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1

        김정은 시대 북한은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국제제재속에서 북한의 경제성장의 결과는 경제개혁의 성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성과 뒤에는 경영학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숨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적 추세와 지향을 표방한 김정은 정권은 지속적으로 경영전략, 기업전략을 강조해 왔다. 그리고 이 의미가 반복적으로 확대재생산 되어왔으며,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하에서 북한 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흐름은 북한의 경제부문 학술지‘경제연구’를 통하여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경영학 분류로서 제시되어지는 인사, 재무/회계, 마케팅, 국제경영, 생산관리, 경영전략 분야에 걸쳐 연구된 자료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Notwithstanding global sanctions, the economy of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grown under the Kim Jung Un’s regime.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as the success of economic reformation to which academic researches in management studies has contributed. After declaring to pursue the global tendency, the Kim’s regime has emphasised management and business strategies. The discourse was strongly reiterated and under the socialist system of responsible business operation, North Korea has endeavoured to maximise the efficiency of businesses. This trend is shown in “Economics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on the North Korean economy. Referring to the publication,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research data on generic areas of management studies, including HR, finance/accounting, marketing, international management, production management and business strategies.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 변화 방향성에 관한 연구-북한 학술지 『경제연구』 주제 분석을 중심으로-

        김차영,김명철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9 통일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opics of the“Kyungjaeyeongu,”one of the most prominent academic journals on the North Korean economy, in order to show the trends of the North Korea's industrial and economic chang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basis to understand the survival strategy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predict the future of the regime. The topic study of the "Kyungjaeyeongu" demonstrates that North Korea is likely to continue its marketization policy, rather relying on the internal economic growth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instead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It also shows that the regime's high interest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cience technology. The outcome of the analysis reflects how the regime has strived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exacerbated by the economic sanctions imposed by the UN and the US due to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blems. 본 글의 목적은 북한의 경제학 부문의 이론 잡지인 『경제연구』의 주제 분석을 통해 김정은 시대 북한 산업구조 변화의 추이와 경제 변화의 방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 정권이 추구하고 있는 경제정책에 대한 연구는 북한 체제의 생존 전략을 이해하고 체제변화의 향방을 예측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경제연구』에 실린 논문의 주제분석 결과 김정은의 시장화 정책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시장화 정책은 과학 기술 발전을 통해 내부적으로 성장을 이루는 정책에 중점을 두어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학 기술과 경영 효율화로 생산성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경영학 분야에 대한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된다. 이는 북한 핵문제로 인해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의 강도가 점차 높아지는 상황에서 북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북한 정권의 고민과 전략을 잘드러낸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