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력성장기회와 LMX의 삼원조절효과

        이준혁(Junhyuk Lee),이인혁(Inheok Lee),이의연(YiRan Li),전정호(Jeongho Je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2

        오늘 날 경영환경 및 고용관계의 변화에 따라 조직에 몰입하는 대신에 자신의 경력에 몰입하고자 하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조직 측면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변화하는 경력욕구를 이해하고,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구성원들의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자들의 견해에 주목하였다. 이에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환경적 특성인 경력성장기회와 관계적 특성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먼저 경력성장 기회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다음으로 경력성장기회와 LMX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상황에 따라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재직자 311명에게 수집한 설문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경력몰입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는 경력성장기회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가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강화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는 LMX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가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LMX가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성장 기회가 높은 경우에는 LMX의 조절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경력성장기회가 낮은 경우에 LMX의 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경력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측면에서의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 employee’s CC (career commitment) effect on OC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understand changing career needs and to find ways to increase OC.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CGO (career growth opportunity) and LMX (leader-member exchange) and the roles they play in moderation and three-way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As such,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C on OC in specific situations by verifying the moderation effect of CGO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GO and LMX.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1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the moderating effect of CGO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hen CGO was higher.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GO and LMX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CGO was high,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ith high LMX than with low LMX. Likewise, when CGO was low,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ith high LMX than with low LMX. However, in this case, the moderating effect of LMX was very strong when compared with high CGO situations.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경력성장기회와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송미희(MiHee Song),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경력몰입, 정서적 조직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와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60대 대기업 집단(민단집단기준)에 재직하고 있는 다양한 직급과 연령의 근로자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에 대한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구간을 90%로 설정했을 때 경력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유의성 영역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조절변인으로서 경력성장기회가 근로자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the impact of career commitment on affective commitment. We gathered data surveying 334 office workers of various job positions in different type of large compan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 significance area was found in which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areer commitmen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coaching leadership appeared at 90% confidence interval.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r workers of large domestic companies. It also showed the possibility tha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can improve affective commitme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직무순환과 경력유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기호,김종인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0 商經硏究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순환과 경력유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인사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약회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표본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첫째, 직무순환에 대한 분석은 현재 수행중인 직무 배치시 의사결정 주체와 관련하여 본인의 직무순환 의사에 따라 희망 직무에 배치된 ‘자의-핵심’유형이 52.5%로가장 많았다. 현재 맡고 있는 직무가 조직의 핵심업무인가에 대한 인식은 그렇다가 43.7%로 가장 많았고, 현재 맡고 있는 직무숙련에 필요한 소요기간은 3년 이상이 25.3%로 직무숙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답변하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력유효성과 조직몰입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경력유효성과 조직몰입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위에 따른 경력유효성과 조직몰입 차이에 대한 분석 경력 유효성 전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영역 중 경력 태도와 경력 정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경력유효성과 조직몰입 차이에 대한 분석 경력 유효성 전체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순환 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본인의 직무순환 의사에 따라 희망 직무에 배치되었을 때 종사자의 유지적 몰입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업무 인식 수준에 따른 조직몰입 차이는 전반적으로 현재 맡고 있는 직무가 조직의 핵심업무라고 인식할수록 전체 조직 몰입 및 하위 영역의 조직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수련 소요기간 인식에 따른 조직몰입 차이에 대한 분석 전체 조직 몰입 수준은 전반적으로 직무숙련에 필요한 소요기간을 길게 인식할수록 전체 조직 몰입 수준이 높았다. 넷째, 경력 유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력 태도, 경력 정체성, 경력 적응성이 높을수록 조직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 태도는 조직 몰입 전체,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경력 정체성은 조직 몰입 전체, 규범적 몰입, 정서적 몰입, 유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경력 적응성은 조직 몰입 전체, 규범적 몰입, 유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핵심부서에 배치되는 직원의 경우에는 직무순환의사의 자발성 여부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끼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인사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업이 직무순환을 시행함에 있어, 직무순환을 희망하는 직원과 직무순환 의사가 없는 직원을 배치할 때에 그에 따른 부서를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기업의 비전과 목적달성을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직무순환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직무순환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강인주,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urnover intention, career related learning, employabi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all office workers who in the manufacturing subsidiaries of thirty major corporate groups listed by Fair Trade Commission. With purposive sampling method, 650 office workers were drawn from this population. 447 response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The findings from analysis were as follows: ① Corr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ypothetical model analysis wa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② Career related learning and employability had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positiv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had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negatively. ③ Career related learning had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④ Employability had no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employability had direct effect on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⑤ Career related learning ha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However career related learning ha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suppress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⑥ Employability had no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eac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but ha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suppression effect of sum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30대 그룹에 속한 18개 제조 계열사 사무직 근로자 650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최종 447명의 응답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경력학습과 고용가능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력학습은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고용가능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으며, 경력몰입에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경력학습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고용가능성은 매개변인으로,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은 억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섯째, 고용가능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각각의 간접효과는 없었으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을 합한 총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억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호텔 직원의 경력특성, 조직몰입, 경력몰입, 직무만족과의 관계 검증

        홍경옥,임인환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호텔기업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인 경력 특성과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직무만족과의 관계, 조직몰입,경력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 하여 호텔기업에서의 인적자원관리에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경력특 성 요인(경력기대, 성장기회, 경력계획, 경력만족)중 경력기대, 성장기회 요인은 조직몰입에 유의한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특성 요인 중 성장기회, 성장만족 요인은 경력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 력특성 요인(경력기대, 성장기회, 경력계획, 경력만족)중경력기대, 성장만족 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경력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의 인사 조직 담당자들은 호텔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의결과를 바탕으로 직원의 조 직몰입과 경력몰입,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경력특성에 관한 조직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호텔 직원들이 참여하게 함으로써 장기적인 안목에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기업 종사자의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인과적 관계

        손규태,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 in large corporation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employees of 1,000 companies list by the KCCI(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AMOS 20.0.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x indices of causal model among job performance,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suitably identified. Seco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n career commitment. Third,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dual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인과적 모형의 변인 간 인과관계 예측 적합도,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관계,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공하는 1000대 기업(매출액순)에 종사하는 종사자이며, 총 32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인과관계 모형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직무성과에는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시민행동에는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는 경력개발지원이, 경력몰입에는 경력개발지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경력개발지원은 경력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단일로 매개하여,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을 이중으로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공기관 구성원의 경력개발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다은,윤동열,김성훈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4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velop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s shown in <Figure> bellow. Especially, we tr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earch setting, we selected a public institution A of which the headquarter was recently relocated from Seoul to Ulsan. The members of the institution tend to prefer living in Seoul, the capital city of Korea, to living in Ulsan, a relatively small and rural area. Due to a series of revolutionary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this compulsory relocation policy,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embers in public institutions are recently gaining more attention from the managers in those organizations and researchers in Korea. However, the previous literature in this area is still limited because the turnover ratio in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much lower than private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350 paper survey were distributed to the members of the institution A, 227 copies were collected, and 224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career planning and career man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H1 is supported.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found to be significant, which supports H2. We also found that the career management programs implemented by the organization play the more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members than the career planning activities by individuals. Third, the negativ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is significant, and it supports H3. Forth, the significant and perfec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turnover intention(H4) is found in our empirical models. Finally, unlike our expectation, we failed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our fifth hypothesis is rej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m of previous studies on private organizations, which means that managers in public insitutions may als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their employees by carefu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s. 본 연구는 공공기관 구성원의 경력개발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하였다. 또한 구성원의 경력개발 활동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여겨지는 상사지원인식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최근 공공기관은 지방이전 외에도 공기업 개혁정책 등으로 상시경영혁신이 이루어지고 있고, 민간분야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정책들이 도입되면서 공공기관 조직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따라서 공공기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관심과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본부가 울산으로 이전한 A공공기관 재직자를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27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에서 유효설문지 224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개발(경력계획과 경력관리)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1이 채택되었다. 둘째, 경력개발(경력계획과 경력관리)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2가 채택되었다. 특히 개인주도의 경력계획보다 조직주도의 경력관리가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이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경력개발(경력계획과 경력관리)과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직몰입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4 또한 채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조직몰입의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경력개발(경력계획과 경력관리)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상사지원인식이 조절할 것이라는 마지막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부문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공공부문에서도 조직차원에서 다양한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본 연구가 최근 지방으로 이전한 A라는 공공기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점에서 전체 공공기관으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 뿐 아니라 공공기관 구성원들의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경력정체, 경력몰입, 네트워킹행동과 조직몰입 간구조 관계

        정석 ( Jung Suk ),홍아정 ( Hong Ah Je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지각하는 경력정체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내부·외부 네트워킹행동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경력몰입에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성원들의 경력정체 지각은 경력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정체 지각이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내부·외부 네트워킹행동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력정체 지각과 경력몰입사이에서의 네트워킹행동의 조절효과가 경력몰입에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 구성원의 내부·외부 네트워킹행동이 경력정체 인식을 완화시켜 조직 구성원 개인의 경력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조직몰입을 높여 기업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성원의 적극적인 네트워킹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일선관리자의 역할 확대와 지원제도 구축 등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 and career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ing behavior between the variables. 407 employees from various corporations answered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used Progress Macro program to analyze the data.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plateau nega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meaning that employees who perceived career plateau were to loose interest both on their career as well as their work. Second, networking behavior showed moderating effect between career plateau and career commitment. Third, career commitment had mediating effect that moderated by networking behavior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employees have to improve their networking behavior to commit their organization and career by overcoming career plateau. HR practitioners should facilitate internal networking behavior such as mentoring, CoP, and coaching.

      • KCI등재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경력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하섭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1 경찰학논총 Vol.6 No.2

        최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막론하여 환경 변화추세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 자신의 경력을 위해 과거보다 훨씬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개인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에 많은 관심이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과 소방조직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으며, 특히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경력몰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에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경력몰입의 선행변수로는 개인특성(상장욕구, 자기효능감), 직무특성(직무자율성, 직무적합성), 상황특성(조직후원인식, 직장-가정 갈등)을 도출하였다. 경력몰입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경력몰입의 선행변수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측정도구를 가지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설문지 각각 210부씩 총 42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조사분석의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장욕구가 강하고 자신을 유능하고 중요하다고 느끼는 정도인 자기효능감이 강할수록 경력몰입이 높게 나타나며, 개인의 능력과 직무요건 간의 조화가 일치하는 직무적합성과 조직이 조직구성원에 대하여 애착을 갖고 조직구성원을 후원하고 조직구성원의 복지를 위해 노력하는 조직의 후원을 높게 인식할 때 경력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HRD 컨설턴트의 경력 정체, 자기주도학습 능력, 경력 몰입의 관계

        김대영(Dae-Young KIM)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4 기업과 혁신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HRD 컨설턴트의 구조적 정체(X)와 경력 몰입(Y)의 관계에 대한 내용적 정체(Me)와 자기주도학습 능력(Mo)의 매개된 조절 효과(MeMo)를 살펴봄으로써 경력 정체, 경력 몰입 및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제공하고, HRD 컨설턴트의 경력개발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Milliman(1992)의 경력 정체, Blau(1988)의 경력 몰입, 배을규와 이민영(2010)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수도권 소재의 HRD 컨설팅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HRD 컨설턴트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 경력 몰입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각각 정적 관계, 구조적 정체와 경력 몰입, 구조적 정체와 자기주도학습 능력, 내용적 정체와 경력 몰입, 내용적 정체와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각각 부적 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구조적 정체는 내용적 정체에 정적 영향을, 내용적 정체는 경력 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내용적 정체는 구조적 정체와 경력 몰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고 내용적 정체와 경력 몰입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연구는 HRD 컨설턴트의 구조적 정체(X)와 경력 몰입(Y)의 관계에 대해 내용적 정체(Me)와 자기주도학습능력(Mo)이 조절된 매개 효과(MoMe)를 갖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정체, 경력 몰입 및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HRD 컨설턴트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및 경력 몰입 촉진 등 효과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content plateau(M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M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consultants" structural plateau(X) and career commitment(Y).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1 HRD consultants in HRD consulting companies in Korea.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main parts of Career Plateau Questionnaire(Milliman, 1992), Career Commitment Questionnaire(Blau, 1988),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Bae & Lee,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RD consultants" structural plateau had positive effect on content plateau. Second, for HRD consultants, content plateau had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structural plateau and career commitment. Third, HRD consulta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plateau and career commit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showed that content plateau(M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Mo) ha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consultants" structural plateau(X) and career commitment(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HRD consultants’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