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작업기억 역량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경도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황정보,백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능력에 관련된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이다. 작업기억은 학습과 일상 기능에서 상당히 중요하지만, 경도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연구는 거의 미비한 상태에 있다. 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강점과 약점은 통제집단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수행과 비교하여 탐구되었다. 추가적으로, 일상 기억은 작업기억 과정에 의존 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끝으로, 컴퓨터화 된 작업기억 훈련의 개발을 통하여 작업기억 수행의 효과성과 관련된 능력이 연구되었다. 그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은 발달지연과 관련이 있어서 음운 루프 능력 결함은 경도지적장애아의 교정 훈련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둘째, 교육과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작업기억이 경도지적장애아에 부과되는 요구가 크다. 셋째, 작업기억 훈련이 경도지적장애아에게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memory is very important for learning and daily functioning, but it is hardly studied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memory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explored by comparing their performance with that of control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everyday memory is studied as it is assumed to rely on working memory processes. Finally, a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i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on working memory performance and related cognitive abilities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a developmental delay account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finding of a phonologicalloop capacity defic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medial training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 holds implications for the demands imposed o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ducation and daily life. of associ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veryday memory and working memory. Third, The result indicates that working memory training can be effective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화행으로 살펴본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김화수 ( Kim Wha-soo ),엄윤지 ( Eom Yun-ji ),이근용 ( Lee Geun-y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화행 이해능력과 그에 따른 오류유형을 알아봄으로써 경도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도에 위치한 대학교 평생교육원의 경도 지적장애 학생 20명(20~ 25세)에 대한 화행이해 능력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20명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도 지적장애 학생은 직접화행이해 능력에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 학생은 간접화행 이해능력에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접화행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은 간접화행 문장 유형에 따른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도 지적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의문문보다 평서문에서의 이해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 간 간접화행 이해 오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간접화행 이해 과제에서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오반응 빈도가 일반 학생보다 높았으며, 오류 유형(문자 그대로 해석한 오류, 맥락의 일부를 사용한 추론적 오류)에서도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언표내적 행위에 대한 오류 빈도 순위에서는 두 집단 모두 진술과 청유, 명령 순으로 오반응 빈도가 높았다. 특히 진술 화행의 경우 학생 집단이 오반응 빈도가 높았으며, 맥락의 일부를 사용한 추론적 오류를 선택한 빈도 역시 높았다. 이러한 직, 간접화행 이해에 대한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결과는 자기 조절이나 자기 결정, 독립생활에 대한 교육 이외에도 직장생활 가운데 일어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더 면밀히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지적장애 학생들의 언어교육에서의 구어적 능력뿐만이 아니라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의사소통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approach the problem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communication by studying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type of error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2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20 ~ 25 years old) at K Privince for Continuing Education with the results of 20 students who had same language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normal students who matched language age in direct speech comprehension ability. Seco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on language age who matched in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indirect language, and it was foun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ndirect language. Third,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indirect sentence patterns, and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lower scores on the pseudo-sentence than the questioned sentence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types of errors of understanding the indirect speech between the two groups, the error frequency of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in the understanding of indirect speech, And the reasoning errors used. In the error frequency ranking for intraspecific behavior, the frequency of false positives was high in both groups in the order of `statement`, `censorship`, and `order`.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testimonials, th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a high error frequency of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of choosing a reasoning error using part of the context was also high. The results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herence to the understanding of direct and indirect speech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self-control, self-determination, and independence education,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at may arise during work life.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ed for integrated communication support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not only in spoken language ability but also in other language skills.

      • KCI등재

        국내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과 관련된 연구 동향 고찰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김화수 ( Kim Wha-soo ),이숙 ( Lee Suk ),서다희 ( Seo Da-hee ),엄윤지 ( Eom Yun-j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경도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에서 언어특성과 관련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분석을 통해서 언어특성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 및 그에 따른 중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이 연구는 경도지적장애인과 관련되는 학위논문 68편과 학술지 게재 논문 20편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과 관련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는 2009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013년 이후 급속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실험연구가 80편(90%)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의 실험대상자는 취학전 아동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대상이 참여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 독립변인은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이 76편(86%)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의 종속변인은 의미와 관련된 연구가 34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여섯째,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은 의미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34편으로 가장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도지적장애인의 96개 하위 언어 특성에 대해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한 번에 언어 특성을 비교한 하위 항목이 65개이며, 2회 이상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31개 항목이다. 그 중에서 의미영역(15개), 구문·형태(6), 화용(5)의 순으로 효과성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경도지적장애인의 언어 특성 및 중재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도지적장애인을 위한 연구가 실험연구뿐 아니라 더욱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언어에 제한을 보이는 특성연구에 비해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의 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적기 때문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경도지적장애인들이 원활한 학교생활의 영위뿐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기 위한 기능적 제한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languag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Korean theses and journals related to language characteristics among the studies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2000 to 2016, will be. In this study, 68 theses and 20 journals related to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ses and journals related to the language of mildly handicapped people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09 and have shown a rapid increase since 2013. Second, 80 researches (90%) were the most studied method.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y ranged from pre-school children to adults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76% (86%) of education and treatment programs were occupied by study independent variables (suggested programs). Fifth, the subordinate variable of the study (program effectiveness) was the highest rate of 34 articles related to semantic domain. Sixth, the subordinate variable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the highest in the semantic domain (34). Seventh,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the most intervention programs in 15 (48%) of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al research, by confirming the various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of the mental disabled person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chool life through the study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before the school, and to help the linguistically in the transition period of important life.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은 어떻게 학교에 다녔을까?: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경험 탐색

        민기연 ( Min K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 받았던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일상생활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전반에서 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초기 성인기 경도 지적장애 여성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여성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 으로서 경험한 학교생활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별로 2회의 공식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질적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1) 학창시절의 기억, 2) ‘지적장애’ ‘여학생’으로서의 나, 3) ‘청소년’으로서의 나, 4) ‘나’를 위한 지원요구 4개의 핵심주제 아래 8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의 학교생활 및 사회적응의 실제를 확인하였고, 당사자의 지원요구 실현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chool adaptation and everyday experiences of women possessing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taught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identify alternative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school and everyday routin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women who ha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early adulthood. They received their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How did the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school life as ‘mild,’ ‘intellectual,’ and ‘girls’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What practical support measur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and daily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wo 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nd the resulting data underw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data, we identified eight sub-themes that fall under four core themes: 1) School day memories, 2) Identity as a young woma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3) Adolescence, and 4) Support requirements. Our analysis revealed the realities of school life and social adaptation for gir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methods for addressing their support needs.

      • KCI등재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 사용 특성

        김화수 ( Kim Wha-soo ),이후인 ( Lee Hu-in ),이근용 ( Rhee Kun-y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대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담화표지 유형과 사용 빈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8~24세 해당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이하 지적장애 집단)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대학생(이하 대학생 집단) 15명으로 총 30명이다. 자료처리는 선행연구를 수정·보안한 담화표지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 담화표지 사용 비율은 지적장애 집단 12.63%, 대학생 집단 12.5%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담화 기능에 따른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보면 지적장애 집단은 공백 메우기를 총 410회(37.79%)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지적장애 집단은 화제 복귀하기, 화제 심화하기, 강조하여 태도 표현하기, 약화하여 태도 표현하기, 조심스러운 태도 표현하기에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담화표지 ‘그’를 총 116회(28.29%)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두 집단 간 담화표지 사용 비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담화표지 사용 빈도수는 지적장애 집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해 개별 담화표지 사용 유형이 더 다양하지 못하였고 빈도가 낮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지적장애 집단의 적절한 담화표지 사용에 대한 언어적 중재를 수립하거나 담화표지와 관련된 연구 시 기초자료로 제공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interview discourse among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learn about what types of discourse markers, frequency of use are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matched their living age.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30 people of 15 adults aged between 18 and 24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hereinafter 'intellectually handicapped group') and 15 university student(hereinafter 'university student group') of the same living age as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marker analysis framework that modified and supplemented previous research. [Result] The two groups showed almost the same percentage of use of discourse markers in overall utterances as 12.63 percen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2.5 percent of university adults with matching their living age. When it comes to the overall use of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the discourse function,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 a total of 410 times (37.79%) of filling in gaps. the group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iversity group of students who matched their age in life in returning to the subject, deepening the subject, expressing attitude by emphasizing, expressing attitude by weakening , and expressing careful attitude. the group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discourse markers 'geu' a total of 116 (28.29%) in filling in gaps, and showed a high frequency of 10.69% of the total discourse markers.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using discourse marker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the fewer number of discourse markers in general, employed the fewer number of discourse marker in each subtype, and demonstrated the limited varieti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linguistic intervention on discourse markers for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직유 및 은유 이해 특성

        김화수,이숙,이연경,박아름 한국교육치료학회 2017 교육치료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직유 및 은유 이해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도지적장애 성인 10명, 경도지적장애 성인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 경도지적장애 성인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성인 10명으로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에게 직유 16문항(~처럼: 4문항, ~듯이: 4문항, ~같이: 4문항, 마치~같다: 4문항)과 은유 8문항(A는 B이다: 4문항, A의 B: 4문항)의 문장을 읽고 적절한 그림을 찾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직유 이해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도지적장애 성인과 언어연령 일치집단 모두에서 8세에 직유 이해 능력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경도지적장애 성인집단은 8세와 9세의 평균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언어연령 일치집단은 8세와 9세 사이에 이해 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직유 하위 영역별 분석에 따르면 ‘~처럼, ~듯이, ~같이 그리고 마치~같다’의 순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럼은 7세 이전부터 발달하여 7세에 완성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은유 이해 능력에 있어서 경도지적장애 성인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은유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는 ‘A는 B이다’의 영역이 ‘A의 B’ 영역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A는 B이다’의 영역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은유 이해 능력이 증가한 반면, A의 B 영역은 7세, 8세, 9세 모든 연령에서 평균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경도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할 때, 직유 및 은유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8세에 직유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는 시기이며 은유는 9세에 ‘A는 B이다’의 영역이 발달하므로 직유 및 은유 이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직유 이해를 초점으로 교육을 실시할 때, ‘~처럼, ~듯이, ~같이’의 순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pacity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understanding similes and metaph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in total, 10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10 normal children matched with the language age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ults, and 10 normal adults. The total items are 16 similes(~처럼: 4 items, ~듯이: 4 items, ~같이: 4 items, 마치~같다: 4 items) and 8 metaphors(A is B: 4 items, B of A: 4 items).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sentences and find the appropriate pictures. As a results, the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showed lower ability to understand the similes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addition,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dults group and normal children group showed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similes at age 8.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barea of the similes,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처럼’, ‘~듯이’, ‘~같이’, and ‘마치~같다’ was developed. And ‘~처럼’ began to develop before 7 years of age and was completed at age 7. The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showed lower ability to understand the metaphors than the other two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subarea of metaphors, 'A is B' was higher than 'B of A'. In th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 is B' increased in understanding ability of metaphor as age increased from 7 to 9. However, 'B of 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all ag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hen educating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similes and metaphor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simile understanding ability is remarkably developed at the age of 8 and the metaphor understanding ability develops at the age of 9 years.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when teaching about understanding of similes, it is necessary to teach in order of ‘~처럼’, ‘~듯이’, and ‘~같이’.

      • KCI등재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 만4세 일반유아와의 비교

        김자경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sense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first and seconde grades, and 65 preschoolers at age 4 as a comparison group. The number sense test developed by Kim et al. (2018)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individually.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number sense were compared between students with mild ID and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The students with mild ID showed lower levels of number sense than those of preschoolers on the total score and sub-area scores. Second, the comparison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 total score of the number sense test, then the differences among those four groups and mild ID group were analysed on the total and sub-area scores. The total score of the mild I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Regarding to the sub-areas of the number sense, the mild ID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s of the number sense on the areas of number recognition, quantity discrimination, and measure. On the area of counting,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while on the areas of the pattern and the number transformation,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and the preschooler group in the low 26th∼50th percentile.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above 76th percentile on the areas of the computation and the estimation, but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reschooler groups. On the areas of the missing number and the number meaning,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mild ID group and the preschooler group above 76th percentile, but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reschooler groups.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kip counting among five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Scheffé post hoc test. In conclusion, the number sens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D was lower than that of the four-year-old preschoolers, and lower than or similar to the preschoolers below the 25th percentile in some sub-areas of number sens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ed for continuos and systematic number sense instruc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D in the early grades.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을 만4세 일반유아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에 소재한 다섯 개 초등학교와 한 곳의 사설치료실에 대상을 의뢰하였으며, 부모의 동의를 얻어 총 15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선정하였다. 비교 대상은 두 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65명이며, 이들은 수감각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백분위 76이상, 백분위 51∼75이하, 백분위 26∼50이하, 백분위 25이하)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자경 외(2018a)가 개발한 수감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별검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일반유아에 비해 수감각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수감각 수준별 유아집단을 비교한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은 수감각 총점이 백분위 25이하 집단을 제외한 다른 유아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인식과 수량변별, 측정 영역에서는 모든 수준별 유아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세기 영역에서는 백분위 25이하 집단과, 규칙과 합성분해 영역에서는 백분위 25이하 및 백분위 25∼50이하 유아집단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셈하기와 어림 영역은 백분위 76이상인 유아집단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다른 유아집단들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빠진 수 넣기와 수의미 영역에서는 백분위 76이상의 유아집단과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유아집단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뛰어 세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나,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모든 유아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종합하건데,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수준은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비교한 일반유아에 비해 낮았으며,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백분위 25이하의 유아집단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게 수감각 교육이 필요함을 입증해주며, 이를 위한 방안에 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단어 및 문장의 유음화 특성과 읽기 오류유형 연구

        최경윤 ( Choi Kyung-yoon ),김화수 ( Kim Wha-s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읽기정확도 특성을 알아보고자 계획되었고, 특히 유음화 및 유음의 비음화 단어와 문장 읽기가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유음화 읽기를 언어연령 일치 일반아동, 생활연령 일치 일반성인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의 유음화 읽기는 단어, 문장 각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사후검증결과에서는 단어와 문장 모두에서 경도지적장애 집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의 유음화 읽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단어와 문장에 따른 읽기 결과 경도지적장애 집단은 다른 두 집단과 달리 유음화가 포함된 단어 읽기와 문장 읽기가 비슷한 능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두 과제의 오류 양상이 대체적으로 일관적이지 못한 특성을 보였다. 셋째,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에게 다른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특정한 읽기오류가 나타났다. 오류를 살펴보면, 단어는 대치, 생략, 왜곡, 첨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장은 생략, 대치, 왜곡,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이 자음정확도에서 일반인과 비슷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이나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과 다른 특정한 읽기오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도지적장애인은 음운변동이 포함된 읽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ore by comparing score of lateralization word reading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 group of language-age matched adults, and chronological-age matched adults, to investigate difference in performance ability of lateralization word reading according to the assignment(word, sentence), and to analyze specific reading errors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ccording to the post hoc tes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hronological-age matched ad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words and sentences, and language-age matched group and chronological-age match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word and sentence scores,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ores of word and sentence, but the other two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id not make same mistake on words and sentences but showed inconsistent characteristic, and word reading score got slightly higher than the sentence reading score but was at similar level. On the other hand, the other two group made the same error they made with words on sentences and sentence score was higher because they did not make error on almost every sentence. Lastly, according to the specific error tha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made, it was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omission, distortion, and addition for words, and in the order of omission, substitution, distortion, and addition for sentenc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had difficulty in lateralization word reading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anguage environment as word or sentence. Also, lateralization word reading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aspects of reading error that appears in early development stage even though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was normal. Therefore, education on phonological changes in reading is necessar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ecause it is expected to make effect on speaking and make natural communication possible.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예술치료 사례연구

        백양희,김현정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오르프 음악치료와 만다라 미술치료를 이용한 예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S군 소재 S여고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 5명이다. 연구진행은 2014년 3월 10일부터 2014년 6월 23일까지 16주간 주 3회 진행하였으며, 오르프 음악치료와 만다라 미술치료를 이용한 예술치료를 매 회기 40분씩, 총 40회기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사전·사후에 Harris & Harris 주의집중력 도구와 FAIR 주의집중력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p<.05), 자기통제력,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에도 모두 향상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예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선택적 주의력, 자기통제력, 지속적 주의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오르프 음악치료와 만다라 미술치료를 활용한 예술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s therapy used Orff music therapy and Mandala art therapy for the attention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in S girls‘ high school at S district in Gyeongbuk. This program consisted of 40 therapy sessions in total; each session lasts 40 minutes and three times a week for 16 weeks from March 10, 2014 to June 23, 2014. Before and after the whole program, FAIR(Frankfruter Aufmerksamkeits Inventar) test and the Harris & Harris Grid were carried out for the group.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nhancement(p<.05) on the attention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herapy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selective attention(P) score, quality control(Q) scores and continuation(C) score in FAIR test. Arts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in the attention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인의 화용언어 특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김나래(Kim, Narae),차은주(Cha, Eunju),이은주(Lee, Eunju)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경도지적장애인의 화용언어 특성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여 과거부터 최근까지 이루어진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과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0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경도지적장애인의 화용언어 특성에 관한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 25편을 선정하여 연도별 발행 현황과 연구유형, 연구 대상자,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도지적장애인의 화용언어 특성 관련 논문의 발행 수는 과거부터 최근까지 계속해서 증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유형으로는 경도지적장애인의 화용언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조사·비교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중재연구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학령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양한 연령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대상자 집단 구성으로는 경도지적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연구주제는 의사소통 의도와 관련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최근 화용언어의 다양한 영역을 함께 확인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상자 본인이나 대상자와 친숙한 보호자에게 과제나 평가도구를 제시하여 화용언어 특성을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연구 동향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경도지적장애인의 화용언어 특성에 관한 연구의 향후 방향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wenty-five dissertations related to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1990 to October 2020 were selected and the annual publication status, research types, participant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Result: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agmatic language in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on the rise until recently. As for the type of research, there were many characteristic and comparative studies,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studies has continued to increase. Regarding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they were school-age children, so continued research on various age groups is needed. There were many studies on participa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studies including various group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with communication intentions as their research topic, and attempts have recently been made to identify various areas of pragmatic languag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research was to evaluat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by presenting tasks to the participants themselves or to people familiar with them.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the direction for and necessity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