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윤동주 시(詩)의 결속구조와 결속성에 대하여

        최유림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7 콘텐츠 문화 Vol.9 No.-

        우리는 시인 윤동주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통해 만나왔다. 그리고 오늘날은 시집에 담긴 윤동주의 시 텍스트를 배경으 로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매체로 시인 윤동주와 그의 시가 재 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영화 「동주」(2016) 개봉 이후, 시인 윤 동주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모두 시 텍스 트를 바탕으로 변용된 양상이다. 텍스트로서 윤동주 시는 한편으로는 독자적인 텍스트가 되며 그 텍스트는 하나의 망(Network)을 형성하며 작품 전체로서 보다 큰 망을 그리기도 한다. 본고는 보그란데·드레슬 러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 중 결속구조와 결속성을 중심으로 윤동주 시를 분석하였다. 이는 시 텍스트자체의 단편적인 해석을 지양하고 텍 스트-담화 층위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시는 텍 스트의 특징상 결속구조가 다소 완전하지 않으며, 그 결속성의 의미도 모호하다는 오해를 받기 쉽지만, 결코 그것이 좋지 않은 텍스트로 평 가받는 것은 아니다.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시를 분석하는 것은, 시의 의의를 밝히고 그 이면을 공감함으로써 보다 깊은 시인의 세계 관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We have met poet Dong-ju Yun through posthumous collection of poems "Heaven and Wind and Stars and Poems". Today, Dong-ju Yun and his poetry are being reproduced in various media such as movies, plays, musicals, etc. Especially after the opening of the movie "Dongju" (2016), the poet Dong-ju Yun is actively researched. This is all a variation on the basis of poetic text. As a text, Dong-ju Yun has a unique text on the one hand, and the text forms a network, and the whole work draws a larger net. This paper analyzed Dong-ju Yun's poetry on the basis of cohesion and coherence among the seven textualities of Beaugrande Dressler. This implies that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text - discourse level is not enough to avoid the fragmentary interpretation of the text itself. In particular, poetry is susceptible to misunderstanding that the structure of the text is somewhat incomplete, and that the meaning of its cohesion is ambiguous, but it is not always appreciated as a bad text. Analyzing poetry from a textual linguistic point of view will help to understand the world view of a deeper poet by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poetry and reemphasizing it.

      • KCI등재

        <강호구가>의 다섯 텍스트 연구

        양희철(Yang, Hee-che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3

        이 글에서는 <강호구가>의 다섯 텍스트에서 결속, 종결, 구조, 주제 등을 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탈착형 연시조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주제는 ‘안분지족의 강호한적’으로 압축할 수 있어, 텍스트별 제시 는 생략하였다.) 전3수(제1∼3수)의 텍스트에서, 결속은 반복표현에 의해서, 종결은 텍스트의 후미(제2, 3수)에서의 반복표현에 의해서 각각 이루어지며, 논리적 구조는 서사와 본사의 파격 구조이다. 중3수(제4∼6수)의 텍스트에서, 결속과 종결은 시종의 대칭표 현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시간적 구조, 공간적 구조, 논리적 구조 등은 대칭적 구조이다. 후3수(제7∼9수)의 텍스트에서, 결속은 반복표현에 의해서, 종결은 후미인제8, 9수에서 반복표현에 의해서 각각 이루어지며, 논리적 구조는 본사와 결사의 파격 구조이다. 전후6수의 텍스트에서, 결속은 반복표현과 대칭표현에 의해서, 종결은 시종의대칭표현과, 후미인 제8, 9수에서의 반복표현에 의해서 각각 이루어진다. 시간적 구조와 공간적 구조는 대칭적 구조이고, 논리적 구조는 기승전결의 구조이다. 9수 의 텍스트에서, 결속은 분외사(제2수)와 분내사(제8수)의 대조적 대칭표현에 의해서, 결속과 종결은 대칭표현들에 의해서, 종결은 후미(제8, 9수)에서의 반복표현에의해서 각각 이루어진다. 시간적 구조와 공간적 구조는 대칭적 구조이고, 논리적 구조는 서본결의 구조이며, 본사는 대칭적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다섯 텍스트들은 각각 독립된 작품들이나 독립된 텍스트들의 조건인, 독자적인 결속, 종결, 구조, 주제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사실은 이 작품이 전3수의 텍스트, 중3수의 텍스트, 후3수의 텍스트, 전후6수의 텍스트 등의 네 텍스트 로 떼어서 수용할 수도 있고, 9수의 텍스트로 붙여서 수용할 수도 있게, 탈착형(脫着形)의 연시조로 지어졌음을 알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looked upon unity, closure, structure, and subject, in five text of <Ganghoguga> written by Na, Wi-so(1582∼1666).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1. We understood unity made by repetitive expression, closure made by repetitive expression in last part, logical structure of introduction and body, in the first text(the 1∼3 Sijo) of <Ganghoguga>. 2. We understood unity and closure made by symmetrical expression, and symmetrical structure of background time, background space and logic, in the second text(the 4∼6 Sijo) of <Ganghoguga>. 3. We understood unity made by repetitive expression, closure made by repetitive expression in last part, and logical structure of body and conclusion, in the third text(the 7∼9 Sijo) of <Ganghoguga>. 4. We understood unity made by symmetrical expression, closure made by symmetrical express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in last part, and symmetrical structure of background time, background space, logical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in the fourth text(the 1∼3, 7∼9 Sijo) of <Ganghoguga>. 5. We understood unity made by repetitive expression and symmetrical expression, closure made by symmetrical express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in last part, symmetrical structure of background time, background space, and logical structure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in the fifth text(the 1∼9 Sijo) of <Ganghoguga>.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We understood a probability of desorption type in <Ganghoguga>, because unity, closure, structure, and subject are found in five text ea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텍스트구조표지를 활용한 초등사회교과서 서술 분석

        이해영(Lee, Ha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이 글은 텍스트구조표지를 이용하여 초등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 역사영역의 서술에서 응집성과 결속구조 정도를 분석하였다. 텍스트구조표지가 설명텍스트에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설명텍스트로 구성된 문화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단원별 저자에 따라 결속구조나 응집성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어떤 단원은 주제에 맞는 서술들로 텍스트구조가 위계화되어 있고 텍스트구조 유형에 맞는 텍스트구조표지가 적절하게 들어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단원들은 꼭 필요한 텍스트구조표지가 생략되어 의미관계가 달라졌다. 이로 인해 저자의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였다. 심지어 텍스트구조표지의 생략으로 인해 역사적 오류로 보이는 서술도 보였다. 한편, 문화단원에서 여러 문화재들을 소개하고 우수성만 강조 하다보니 나열관계가 많이 보였다. 역사에서는 ‘왜’와 ‘어떻게’가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과관계표지를 비롯해 다양한 표지들을 사용할 수 있는 서술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using maker of text structure. The maker of text structure is kind of cohesive makers. It shows how the semantic relations of text structures are closely united. The results of this paper was as follows. While Some author had no cohesion and coherence in writing, some author had completely. Though every author had own style of writing, the textbook authors kept the cohesion and coherence in writing at the very least. Also, textbook authors tended to omit the cohesive makers which make readers understand easily in description. It prevented young readers from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last, the description of textbook was excessively used arrangement relations in text structure. It needed to use diverse types of text structure. Especially it was often necessary to use the causation maker of text structure in history textbook because the causation in history was important.

      • KCI등재

        대립적 모순관계와 텍스트 결속구조 - 독일 의회 연설문에 사용된 양보 연결사와 양보문을 중심으로

        임성우 한국독어학회 2017 독어학 Vol.36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Verflechtungsstruktur mit den konzessiven Konnektoren in der politischen Rede. Das Anliegen der Untersuchung besteht hauptsächlich darin, relevante Verflechtungsstruktur in der konzessiven Satzanknüpfung mit den lexikalischen Kohäsionsmitteln zu beschreiben und die konzessiven Kohährenrelationen zu erklären. Ich gehe davon aus, dass die Kohäsionsmittel wie Konnektoren und Topiks durch die Wiederaufnahmen im Text eine Kohärenzrelation markieren. Die lexikalischen Kohäsionsmittel können in der konzessiven Satzanknüpfung darauf überprüft werden, inwieweit sie auf die möglichen konzessiven Kohärenzrelationen bezogen werden. Im theoretischen Teil bereiten die methodischen Grundlagen für die Textanalyse vor. Dabei werden einzelne textsyntaktische Methoden, die für die Analysebeschreibung geeignet sind, verfolgt. Im analytischen Teil versuche ich zu erklären, wodurch und inwiefern die konzessiven Kohärenzrelationen in Bezug auf die Textverflechtung jeweils charakterisiert werden. Nach der Erfassung der Problemfelder bei der Analyse werden die Ergebnisse zusammengefasst und ausgewertet. Es lässt sich festhalten, dass die Textverflechtung von konzessiven Relationen erst aufgrund des Vorliegens von Kohäsionsmitteln erfasst werden kann. Um die Textstruktur genauer zu analysieren, muss man auch den Kontext und bestimmte sprachliche und grammatische Konstruktionen berücksichtigen. 본 연구는 독일 의회 연설문에 사용된 양보 연결사와 양보문을 중심으로 대립과 모순의 양보관계가 실현되는 텍스트의 결속구조를 살펴본다. 의회 연설문과 같은 정치적 의사소통은 고도의 수사적 전략과 정치적 맥락을 포함하기 때문에 양보관계를 실현하는 텍스트의 결속구조와 정보구조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은 텍스트통사론적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의 분석 코퍼스는‘ 그리스 구제금융 연장안’ 법안에 대한 표결을 앞둔 시점에서 진행된 연방의회에서의 연설문이다. 여기에서 대표적인 양보 연결사인 trotzdem, dennoch, gleichwohl, zwar...aber가 있는 양보문과 양보관계가 형성하는 맥락의 범위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양보관계는 단순히 양보 연결사가 포함된 양보문 S0과 바로 인접한 선행문 S1과의 관계에서만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선후행하는 문장들(S1~Sn 또는 S-1~S-n)과의 다양한 결속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텍스트의 결속구조와 정보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상세히 기술하기 위해서 토픽 Topik을 이루는 반복, 대용, 재수용과 같은 결속 장치들을 활용한다. 이와 더불어 테마와 레마를 통한 주제전개도 기술해 봄으로써 양보관계에서의 정보구조도 함께 살펴본다.

      • KCI등재

        공급사슬 구성원들 간 관계품질 측면에서의 만족 및 신뢰, 결속,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찬권 ( Chankwon Park ),박성민 ( Sungmin Park ),김채복 ( Chaebogk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8 로지스틱스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공급사슬 구성원들 간의 만족 및 신뢰가 결속에 미치는 영향과 결속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만족 및 신뢰와 사회적 자본 사이에서 결속의 매개효과 검정을 통해 만족 및 신뢰, 결속, 사회적 자본의 관계구조를 실증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가설을 수립하고 검정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만족 및 신뢰는 경제적 결속과 정서적 결속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그리고 경제적 결속은 구조적 자본, 관계적 자본, 인지적 자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으며, 정서적 결속 역시 구조적 자본, 관계적 자본, 인지적 자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결속 및 정서적 결속은 만족 및 신뢰, 사회적 자본 사이에서 부분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이러한 만족 및 신뢰, 경제적 결속과 정서적 결속, 사회적 자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고 규명하였으며, 만족 및 신뢰의 수준을 제고하는 것은 경제적 결속과 정서적 결속을 제고할 수 있으며, 경제적 결속과 정서적 결속의 제고는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자본으로서 사회적 자본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and trust among the supply chain members on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commitment on social capital, The main purpose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satisfaction and trust, commitment and social capital through mediating effect of bond between satisfaction and trust and social capital,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and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And economic commitment has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structural capital, relation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Emotional commit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structural capital, relation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Finally, economic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were tested to play a role as a partial parameter between satisfaction and trust and social capital. This study explores and explain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trust, economic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and social capital. Rais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rust can improve economic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and enhancing economic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can lead to structural and relational, and social capital as cognitive capital.

      • KCI등재

        번역 글쓰기에서 정보성에 따른 결속구조 표현 수단으로서 어순 변형 방법 연구

        김혜영(Kim, Hey-young)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을 대상으로 정보성에 따른 결속구조 표현 수단으로서 어순 변형의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장을 쓸 때는 문장 성분들이 가지는 정보성의 차이에 따른 주제와 초점의 화용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어순을 변형함으로써 결속구조를 강화하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보성에 따른 어순 변형을 주제화와 초점화로 구분하고, 영어 원문에서 주제화 및 초점화의 어순 변형이 나타난 문장을 찾아서 그러한 어순 변형이 번역문에는 어떻게 표현되어 있으며 번역문의 그러한 문장 전환이 정보구조 및 결속구조적 측면에서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또 원문은 기본 어순을 취하였는데 번역문에서 어순 변형이 일어난 예를 찾아 정보성의 재분석에 따른 결속구조 강화 방법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ethods of word order variations as a means to express cohesion related to informativity on English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ed text. When we write a sentence, we tighten cohesion by changing word order to convey the pragmatic meaning of topic and focus related informativity which constituents of sentence have. In this study, I divided word order variation to topicalization and focalization, and I found sentences that have word order variation of topicalization and focalization in English original text, then I analyzed how was translated that word order variations in Korean translated text and whether that sentence conversions are proper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cohesion or not. And I found Sentences that have word order variation in translated text although its original sentences have unmarked word order, then I analyzed methods used to tighten cohesion depended on reanalysis of informativity.

      • KCI등재

        선행어에 따른 문법적 결속고리 전환연구 : 영한번역을 중심으로

        곽성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3 통번역학연구 Vol.17 No.1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grammatical cohesion shifts caused by the number of lexical units in antecedents between a set of English source text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 and to explore the nature of motivations behind these shifts. Two types of shift are expected to occur: language-oriented cohesion shifts, motivated by system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ranslation-oriented cohesion shifts, caused by the translation process. Identification of language-oriented cohesion shifts presupposes the recognition of intrinsic cohesion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To do this, a set of Korean comparable texts are analysed.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number of lexical units in antecedents influences the cohesion pattern in each type of text. The English source texts use far more percentage of the grammatical cohesive devices than the Korean comparable texts if the antecedent is a single lexical unit. The English source and the Korean comparable texts use about the same percentage of grammatical cohesive devices if the antecedent is more than one lexical unit. In Korean target texts, the percentage of grammatical cohesive devices falls about the half from the source text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lexical units in antecedents.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translators attempt to mediate the cohesion pattern differences between the English source and the Korean target but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from the source texts on the one hand; and probably because the translators are not aware of the cohesion pattern differences caused by the number of lexical units in antecedents on the other.

      • KCI등재

        대용사의 형태구조적 분석을 통한 SE대용사와 SELF대용사 비교 연구

        박강희(Park, Kanghee)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R&R(1993: 658)의 대용사 내부구조에 대한 제안과 Geldren(2010)의 재귀사 구조를 결합하여, 영어 재귀사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제안하고 그것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대용사를 복합어휘 대용사인 SELF 대용사와 단순어휘 SE 대용사로 구분하고, 그들 himself, myself 등의 내부 구조에서 대명사 him, my의 위치와 self의 위치를 고찰한다. 그리고 한국어 대용사에 적용하여 분포와 형태구조적 특성을 본다. 한국어 대용사에 적용하면, 한국어 ‘자기’는 SE 대용사의 SE 위치에 있게 되며, 또한 복합어휘 대용사인 SELF 대용사의 Pron/SE 자리에 동시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 나/너/그 자신, 자기 자신’과는 다른 결속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보인다. SE 대용사는 장거리 결속 현상이 가능하며, 단순한 영어 재귀사와 다르게 피결속 변항 대명사(bound variable pronoun) 속성을 지니고, 성분통어의 제약도 받지 않는 결속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단순어휘 대용사 형태를 지니고 있는 일본어 대용사 ‘zibun’ 과 중국어 대용사 ‘ziji’의 결속 양상도 장거리 결속이 가능하며, 성분통어(c-command) 조건도 준수하지 않고 있다는 단순어휘 재귀사의 특성을 보였다. 복합어휘 대용사와 단순어휘 대용사는 형성된 역사적 배경도 달리했고 그로 인해서 결속 형태도 다른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유럽언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에서도 단순어휘 대용사가 SELF 대용사와 결속조건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On the basis of Reinhart & Reuland(1993), Reuland(2006)’s analyses and Geldren(2010)"s interior structure about English rerflexive, this paper suggests to unite these two analyses, and then apply to Korean anaphors. This paper divides Korean anaphors into the SELF-anaphor and the SE-anaphor and then apply to Korean anaphors morpho-syntactically. ‘zagi’ is located in SE position of [NP SE[N’ e]] structure. Because simultaneously ‘zagi’ is located in the Pron/SE position of [NP Pron/SE [N’ self]] structure, it is bound differently from other korean anaphors. I suggest that it can be bound by long distance,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 variable pronoun, and doesn’t be c-commanded. the simple word anaphors, japanese reflexive ‘zibun’ and chinese reflexive ‘ziji’ are bound by long distance without c-command restriction. the SELF-anaphor and the SE-anaphor are different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so the way of bounding is different. In the European lang ages, Korean, Japanese, Chine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 anaphors app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