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지정 및 국가등록 건축 문화재 손상방지 조치와 관련한 문화재청의 문화재 업무 실무 및 사례 연구Ⅱ 현장점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법적 ‧ 기술적 검토 조치, ICT 기반 건축 문화재 재해위험 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을 중심으로 -

        김성도 문화재방재학회 2021 문화재방재학회 논문집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건축 문화재 원형유지의 기본이 되는 손상 방지 조치로서 선행 연구인 정기조사 ‧ 안전점검 ‧ 진동계측 ‧ 재해 영향 조사에 이어서 후속으로 현장점검,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법적 ‧ 기술적 검토 조치, ICT 기반 건축 문화재 재해위험 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 등에 대하여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소 포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무 내용을 중심으로 상세히 고찰하였다. 이는 문화재청에서 건축 문화재 원형유지를 위해 법령에 의거하여 과학적, 체계적, 합리적이면서 실질적 ‧ 다층적 으로 건축 문화재 손상방지 실무 업무를 추진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는 사료인 동시에 국내외의 급변하는 문화재 환경 속 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 문화재청의 문화재 보존 ‧ 관리 정책을 이해하는 사료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d in detail three basic matters concerning damage prevention measures that are fundamental to the preservation of the authenticity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the practical content being carried out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n-site inspections, legal reviews and measur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s, and ICT-based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disaster risk management system. This means not only that the CHA of Korea is carrying out practical and multi-layered activities to prevent damage to cultural heritage based on legal regulations, with rationality, systematicity, and scientific characteristic. but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olicy of the CHA ha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mid the rapidly changing cultural heritage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냉방 에너지성능 현장측정방법에 관한 시험적 연구

        손진웅,홍준호,엄태윤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of the in-situ measurement method of an air source heat pump as part of the energy diagnosis of existing buildings. For this purpose, the air enthalpy difference method for outdoor equipment in an air-source heat pump system was focused on. Two pilot projects were attempted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air enthalpy difference method in the cooling performance diagnosis of the air source heat pump operated in the field. The field test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mpressor set energy conservation (CSEC) method required more expertise in the cooling performance measurement of an air source heat pump and was suitable for short-term investigation within a day.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air-source heat pump by the air enthalpy difference method in the outdoor unit had a mean error of 10% compared to the CSEC method. Nevertheless, it showed that this method was more suitable for the simplified in-situ measurement method because it had the advantages of ease of measurement and the simple analysis processing method required for in-situ energy performance diagnosi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진단의 일환으로 공기열 히트펌프의 현장 측정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실외기 공기 엔탈피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 가지 현장시험을 통해 현장에서 운용되는 공기열 히트펌프의 냉각 성능 진단에서 공기 엔탈피법의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1) CSEC(Compressor Set Energy Conservation) 방법은 공기열 히트펌프의 냉각성능 측정에 보다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1일 이내에 단기조사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2) 공기엔탈피법에 의한 공기열 히트펌프의 냉각성능은 CSEC 방법에 비해 평균 오차가 10%로 나타났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과 현장 에너지 성능 진단에 필요한 간단한 분석 처리 방법을 가지고 있어 단순화된 현장 측정 방법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축현장 타워크레인 작업 위험도 지수 개발

        이종국(Jong-Kook Lee),여동환(Dong-Hwan Yeo),유영호(Young-Ho Yu),지용대(Yong-Dae J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최근 건축물이 고층화 되면서 건설현장에서는 자재 인양장비의 효율적 사용이 프로젝트의 성패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타워크레인은 자재인양 중 거의 50%의 물량을 인양하는 건설현장의 주요 장비로서 건축공사 진행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 수요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관련 사고도 늘어나고 있으며, 금년 5월에는 충격적인 타워크레인 붕괴사고로 인하여 고용노동부가 전국의 타워크레인 작업에 대해 ‘위험경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 운영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타워크레인 작업 위험도 지수(TWRI) 모델을 제시한다. 이 지수는 장비요소, 인적요소 및 작업요소 등 세 가지의 요소로 구성되며, 본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사고현장과 무사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TWRI 모델은 건축현장 타워크레인 작업의 위험도를 쉽게 인지하게 하여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제공한다. In recent years, architectural buildings have been taller and taller, the efficient use of construction lifting equipment makes a large influence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ower crane as the most popular lifting equipment, plays a key role in the construction work, which lifts about 50% of the amount of lifting needs in construction site. As the demand for tower crane increases, related accidents are increasing nowadays. In May of this year, the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ssued danger warning to the all over the domestic industry site which uses tower crane after recent two tremendous T/C accidents. In this study, firstly, we built up the TWRI (Towercrane Work Risk Index) model with combining major risk factors of equipment factor, humant factor and work factor. Then we simulate the model with real construction project case that is proceed presently, contrasting the disaster reported case with none-disaster reported case at the same time this year. This model can help building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coming up risk in tower crane related works easily.

      • KCI등재후보

        건축법상 업무대행에 관한 제도개선 연구

        최명진(Choi, Myung-Jin),동재욱(Dong, Jae-Uk),이화룡(Lee, Hwa-Ryong) 대한부동산학회 2015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3 No.1

        본연구의 목적은 건축행정의 일부인 건축사에 의한 현장조사, 검사 및 확인업무 대행의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로,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를 통해 제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건축법 및 건축조례를 통해 운영실태와 외국의 민간위탁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업무대행의 개념을 정리하고 제도의 도입배경부터 현재까지의 관련법령 변천과정을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업무대행자의 선정, 업무대행수수료의 산정, 건축허가 수수료 등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 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업무대행은 법적 한계에 따른 책임감 부족,수수료의 부담 등 법적, 실무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의 업무대행을 발전시켜 건축행정 업무를 민간에 위탁할 수 있도록 건축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field investigation by a qualified architect, examination, and the reform of verification agency system, which are the parts of the administration of construc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operation condi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ased on the cases at home and overseas countries. The methods of the study include analyzing our operating conditions and similar cases of foreign countries by the building laws and building codes and redefining the concept of agency business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related statute from its introduction background to the current condition.Through the analysis, problems were found on the selection of business agencies, the charge of commission on conducting agency business, building permit fee, and so on, and the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plan of the system. Agency business has a legal and operational limit of the lack of responsibility due to the legal parameters and the commission burd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building code and conduct study continuously in order to contract out the administration of construction with the improved agency business system.

      • KCI등재

        그린 리모델링을 위한 노후 상업용 건축물 불투명 외벽의 단열성능 현장 측정 및 평가

        김성임(Kim, Sung-Im),이현화(Lee, Hyun-Hwa),임재한(Lim, Jae-Han),송승영(Song, Seung-Yeong)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7

        In order to achieve the national goal of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in building sector, it is essential that insulation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should be improved. Because old buildings built before 2001 accounts for 73.2% of total buildings in Korea, when the building insulation regulation was highly tighten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ual insulation performance of opaque outer walls of old commercial buildings by field measurements. A variety of standards and relevant research which deal with the field measurement of thermal transmittance were surveyed. Outer wall U-values of old commercial building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required value prescribed in the insulation regulation enforced when evaluated buildings were designed. As results, actual insulation performance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two-thirds of required level prescribed in the insulation regulation.

      • KCI등재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프로젝트 현장설치 및 양중 단계의 품질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훈 ( Lee¸ Jeong-ho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3 No.5

        모듈러 건축 사례가 많아지면서 모듈러 건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적용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의 장점 중 하나는 공장제작을 통한 우수한 품질의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 양중 및 설치 단계까지 품질관리를 위한 노력과 방법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현재 현장 양중 및 설치 단계에서 품질유지 및 관리에 적용하고 있는 방안들의 중요도와 예방효과를 프로젝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IP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품질 유지 및 관리 방법이 잘 적용되고 있으나, 프로젝트 참여자들간 일부 항목들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프로제트 참여자들의 현장설치단계 품질 관리 인식개선을 위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With the escalating prevalence of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there is a concurrent surge in scholarly and industrial intrigue in this domain, leading to a broadened spectrum of its applications. Modular construction, inherently facilitated by controlled factory settings, boasts the capability to consistently deliver edifices of superior quality. To optimize this advantage, the judicious integration of quality assurance methodologies during the site-specific phases of lifting and assembly is non-negotiable. This research embarked on a survey directed at project stakeholders, aiming to gauge the perceived significance and efficaciousness of prevailing quality preservation and oversight protocols during the aforementioned site stages, subsequently employ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for data interpretation. The findings elucidated that, while a majority of quality assurance procedures were adeptly executed, perceptual disparities existed among stakeholders regarding certain aspects, prompting recommendations for enhancement. This investigative endeavor lays a foundation, aiding future studies in amplifying the quality assurance cognizance among professionals during modular construction’s site-assembly phase.

      • KCI등재

        하브라켄, 「서로 이해하는 형태: 주제별 지식과 모더니스트의 유산」

        윤재신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6

        하브라켄(N. John Habraken) 교수는 2023년 10월 21 일에 별세했다. 그는 1928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태어 난 네덜란드 건축가, 교육자, 이론가이다. 그의 이론적 공헌은 대량 주택에 대한 사용자 참여 및 사용자와 거 주자를 설계 프로세스에 통합한 것이다. 그의 이론이 추 구하는 시각적 결과물은 생동감 넘치는 다양성의 건축 이다. 하브라켄은 그의 ?주거대(Support)?에서, 주거 설 계에서 주거대(住居帶: support = base building)를 ‘내 장품(內裝品: detachable unit = infill)’1)과 분리하여 주 민들이 설계 과정에서 의미 있는 참여 역할을 할 수 있 도록 제안했다. 하브라켄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제국주의 강제 수용소에 3년간 억류된 경험을 했고, 그 후에 네덜란드 의 델프트 공대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그는 1965∼1975 년 SAR(Foundation for Architects Research)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1967년 아인트호벤 공대의 건축학과를 신 설하고, 초대 학과장의 중책을 맡았다. 1975∼1981년 하 브라켄은 MIT 건축대학의 학과장으로 재직했고, 1989 년 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MIT에서 학생 들을 가르쳤다. 2016년에 나는 그가 설계해 살고 있던 네덜란드 아펠도른(Apeldoorn)의 집을 방문했다. 당시 그는 노쇠했으나, 정신은 매우 명료했다. 이후 다시 가 보려고 했는데, 이젠 지난 소망이 되었다. ―하브라켄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브라켄의 서거를 접하고, 내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하 브라켄의 논문 한 편을 번역해 공개한다. 그는 MIT에 서 나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지도 교수였으며, 여기 번역한 글은 박사과정 중에 출간되었다. 1991년에 나는 써머슨(J. Summerson)의 논문 ?The case for a theory of modern architecture?를 그에게 소개했고, 우리는 그 내용에 대해 토의했다. 하브라켄은 4쪽, 각주 3에 써머 슨의 논문을 인용했다는 노트를 적은, 내가 번역한 영문 논문을 내게 주면서, “네가 즐겁게 읽어주었으면 좋겠 다”는 메모를 남겼다. 벌써 30년이 지났지만, 나는 이 글의 주장이 현재에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번 역이 하브라켄의 학문 세계를 이해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하브라켄의 글에는 현학적이거나 어려운 단어가 거의 없다. 포괄적 추상 개념을 지시하는 정신(Geist), 공간 (space), 표상(representation), 미학(Aesthetics) 등과 같 은 난해한 어휘도 없다. 그는 평이한 문장으로 자신의 주장과 논리를 전개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진 지적 거인 이다. 그리고 그는 특정 개념에 대해 동일한 명사를 일 관되게 사용한다. 영어 원문에 대한 이해와 참조를 위 해, 내가 일관되게 번역해 사용한 단어와 구는 다음과 같다.

      • KCI등재

        고층건축물이 밀집된 격자형 보행자 통로에서 관측된 풍속 및 풍향 검토

        오상훈,권순철,김주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4 No.6

        고층건축물이 밀집된 도시가 증가하면서 빌딩풍에 의한 보행자의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빌딩풍은 건축물 주변에서 형성되는 강한바람이나 순환기류를 의미한다. 빌딩풍은 대부분의 건축물 주변에서 발생되지만, 주로 규모가 큰 건축물 주변에서 크게 발생된다. 영국,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건축물 설계 시, 건축물에 의해 발생하는 빌딩풍을 평가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의무적으로 수행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빌딩풍에 대한 사회적인식이 부족하고, 풍환경 평가기준 및 빌딩풍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국내 고층건축물은 빌딩풍에 의한 보행자 영역의 풍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다. 특히, 국내의 초고층건축물은 조망확보를 위해 해안가에 위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강한 바람에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빌딩풍 현장관측 지역을 선정하고, 해당지역 고층건축물이 밀집된 격자형 보행자 통로에서 관측되는 풍속 및 풍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경제적 철골제작$\cdot$설치 및 공기단축 사례분석연구

        안재봉,최윤기,Ahn Jae-Bong,Choi Yoon 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5

        현재 국내에도 건물의 특성에 알맞은 가변적이며 대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사용부재의 두께가 수mm에서 100mm에 이르는 극후판 두께의 건축 철골구조의 건축물 및 Box형 강재교량으로 구축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철골부재의 제작 및 가공기술이 예전보다 더욱 향상되고 구조물로서의 품질관리에 대한 신뢰성의 요구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철골조 건축부재의 구조설계는 설계사대로 각기 이루어지고 해당 부재는 공장별로 제작진행되어 그 기술수준에는 보이지 않는 상당한 격차가 있다고 보여지며 업체별로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기본적이며 일반적 철골제작기법을 간결하게 적용하는 것에 머물러 고도한 선진적인 기술의 채용은 대부분 주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중소규모의 빌딩 건축물들의 철골조 설계적용을 고려해볼 때 수많은 접합부의 표준화를 비롯하여 구조체 전체의 표준화 및 내$\cdot$외장재까지 포함된 시스템건축의 건축물설계와 부재의 제작 및 설치기술 개발경향도 엿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철골부재의 공장제작과 현장설치의 보다 경제적이고 짧은 공기내에 완전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부재간의 접합부 설계에 대한 연구검토는 철골분야에 종사하는 업계는 물론 현장 관계자에게도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골조 건축물의 특성을 알아보고 철골구조물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공기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철골기둥과 기둥, 기둥과 큰보부재 접합부 변경사례 및 Box Column의 용접자동화, 로봇화에 의한 철골기둥 부재제작사례와 금후 철골구조물 제작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정형 건축시설물 및 공간에 대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연구

        김효진,박지민,이향선,이윤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최근 비정형 건축물 및 건축공간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비정형 건축물의 사례를 쉽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건설된 대표적인 비정형 건축물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비정형 건축공간에서의 인간행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비정형 건축공간 설계의 거주 성능 검토를 위한 인간행동 시뮬레이션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위한 사용자 행위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비정형 건축공간에서 어떠한 행동적인 특징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조사나 분석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간행동 시뮬레이션 도구에서 간과했던 비정형 건축공간에서 인간행동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즉, 대표적인 비정형 건축물을 현장방문 및 조사하여 전형적인 공간과 다른 비정형 건축물에서의 사용자 행동을 조사하여 다른 행동이 나타나는 곳과 행동을 도출하였다. Recently, social demands on atypical buildings and building spaces are increasing, and examples of atypical buildings are easily seen in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r behaviors in the typical atypical buildings currently constructed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 in the atypical building spac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human behavior simulation technology for reviewing residential performance of atypical building space desig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user behavior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an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what behavioral characteristics occur in the atypical building space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 in the atypical architectural space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human behavior simulation tools. In other words, the site visits and surveys typical atypical buildings to investigate user behaviors in typical spaces and other atypical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