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 양상과 사상적 특성

        이상호(李相昊)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조선성리학파는 크게 기호학파와 영남학파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조선성리학파에 이르게 되면 성리설의 내용으로 볼 때 사실상위와 같은 구분은 크게 의미가 없게 되며, 독자적인 연원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중심 인물에 따라 학파를 구분해 보면 여러 학파로 분류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학파로는 정재학파定齋學派ㆍ화서학파華西學派ㆍ노사학파蘆沙學派ㆍ한주학파寒洲學派ㆍ간재학파艮齋學派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이들 중심 학파 중 간재학파의 연원과 형성, 사상적 특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19세기 조선성리학파의 한 단면을 엿보고 그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는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잇는 기호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여 조선성리학의 마지막을 장식한 대표적 인물이다. 전우의 성리설性理說은 그 사상적 특징으로 볼 때 김창협으로부터 이어지는 낙론계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전우의 성리설 전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는 조선성리학을 새롭게 정립하려고 했던 인물들 즉 화서 이항로ㆍ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ㆍ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성리설을 율곡 이이 이후의 전통적 기호학파의 입장에서 비판하는 것이었으며, 둘째는 ‘심본성心本性’ㆍ‘성존심비性尊心卑’ㆍ‘성사심제性師心弟’ 등으로 대표되는 자기 설의 정립이다. 전우의 문하에 문인들이 본격적으로 모이기 시작한 것은 40대 이후 본격화된 강회를 통해서였다. 전우는 제자들의 요청에 따라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을 순회하며 수시로 강회를 열었고, 학문탐구와 강학을 위해 수개월 동안 강학처에 머물면서 자신의 학문체계를 다지면서 강회를 진행하였다. 심지어 제자들의 요청에 따라 강학을 위해 가족들의 거처를 수시로 옮기기도 하였다. 전우가 독서와 강학을 위해 산사에 머물거나 거처를 옮길 때 늘 문인들이 시종하여 전우를 따라 거처를 옮기거나 아예 자신의 고향을 떠나 가족들과 함께 이주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전우와 문인들 사이의 학문적 결속력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전우의 성사심제설, 성존심비설 등에 대한 기호학파 내부의 비판 및 한주학파와의 논쟁에서 전우의 문인들이 앞다투어 스승의 학설을 옹호하고 반비판에 나서게 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처럼 전우의 문인들은 스승인 전우의 길을 따라 유교적 도의道義 교육과 계승을 위해 평생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들은 강학과 수의守義로 점철한 삶을 살았는데, 이는 간재학파의 최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이 견지했던 전우의 성사심제ㆍr성존심비설은 인간의 자의성을 견제하고 도덕규범의 객관적 표준에 순응하기를 요구하는 규범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고, 이런 면에 다른 학파보다 좀 더 보수적이고 엄격성이 강한 특징을 지니게 된다. 전우의 문인들의 삶은 이런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었고, 지금도 재전 혹은 삼전 제자들을 통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A school of Chosun Neo-Confucianism can be divided into two schools: The G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But when it comes to Chosun Neo-Confucianism of 19th century, in fact the division above becomes meaningless by the theoretical contents of Xing-Li theory and there come out many cases forming the original inception. Thus the schools can be divided numerously according to the leaders, but in terms of the depth of its academic contents or the constitution of their members, we can say Jungje school(定齋學派)ㆍHwaseo school(華西學派)ㆍNosa school(蘆沙學派)ㆍHanjoo school(寒洲學派)ㆍGanje school(艮齋學派) are the representative schools of Chosun Neo-Confucianism. Here I want to look over and talk about the meaning of the one aspect of Chosun Neo-Confucianism in 19th century by seeing the origin, formation and ideological features of Ganje school, one of the main schools of this confucianism. Ganje(艮齋) Jeonwoo(田愚, 1841~1922) is the main figure who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Giho school following Yoolgok(栗谷) Eee(李珥) and Wooam(尤庵) Song Shiyeol(宋時烈) decorated the last part of Chosun Neo-Confucianism. Jeonwoo's Xing-Li theory had affected much by Nakron school continued from Kim Changhyup by its ideologic characteristic. His theory was developed into two ways. First way was to criticize the theory of people, Lee HangroㆍNosa(蘆沙) Gi Jungjin(奇正鎭)ㆍHanjoo(寒洲) Lee Jinsang(李震相), who tried to establish Neo-Confucianism in a new way with the thought of traditional Giho school after Yoolgok Eee. Second way was to establish the theory of Ego which includes ‘Shimbonsung(心本性)’, ‘Sungjonshimbi (性尊心卑)’, ‘Sungsashimje(性師心弟)’, etc. After Jeonwoo's 40s, literary men gathered under his instruction in earnest through the full-out lectures. He regarded that the learning of Imheon club was handed down to himself and there were requests from his pupils so he traveled Chungchong, Gyeongsang, and Chulla Provinces giving lectures occasionally. While staying at lecture place for several months for studying and lectures, he developed the system of his theory further and continued giving lectures. He even moved with his family for lectures requested by his pupils. In reference to the formation of groups of literary men and educational expansion on theories, it is remarkable that the literary men also moved following Jeonwoo when he moved to other place for his reading and lectures. Even some men left his hometown with his families. This made the academic connection between Jeonwoo and his men stronger. Since then, his pupils supported his theory enthusiastically and confronted the controversy with Hanjoo school and criticism from the inside of Giho school which was against Jeonwoo's theories such as Sungsashimje, Sungjonshimbi, etc. Like this, Jeonwoo's literary men followed their leader Jeonwoo and made great efforts to educate and inherit Confucian morality through their whole lives. Their lives were filled with lectures and wills to maintain the justice which is now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Ganje school. Jeonwoo's Sungsashimjeㆍ.Sungjonshimbi theories restrained human's arbitariness and were close to prescriptivism demanding acceptance of objective moral standard from people. Therefore this school has been known as little bit more conservative and strict than other schools and still nowadays the lives of Jeonwoo's men have continued through his pupils in following generations.

      • KCI등재

        자유주제 : 艮齋(간재) 田愚(전우)의 序跋文(서발문)에 나타난 世敎(세교)와 道本文末(도본문말)에 대한 考察(고찰)

        나종선 ( Jong-seon Na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艮齋 田愚(1841~1922)는 조선왕조가 국권을 상실하는 역사의 전환기에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학자이다. 간재는 序 92편과 跋 186편의 序跋文을 썼는데, 그중 ‘世敎’와 관련한 것이 16편, ‘道本文末’에 관련한 것이 15편이다. 序跋文에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 그것을 타개할 타개책이 들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는 간재의 序跋文을 통하여 스스로 세상을 등지고 講學에 진력하여 후세에 도를 전하고자 하였던 그의 수도의식과 세교가 일맥상통하는 관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未曾有의 난세를 맞이하여 문학이 백성의 윤리와 감화에 보탬이 된다는 관점에서 ‘世敎의 발현 양상’과 ‘道本文末의 文藝觀’을 통해 간재가 생각한 도의 전달 매체로서의 문학관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구한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유자로써 간재 스스로가 짊어졌던 책무가 무엇이었는지 확인해보았다. 간재는 세교를 통해 도학이 바로서야 국가가 존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올바른 선비의 양성이 세교인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들을 교육해야만 나라를 다시 세울수 있다고 보았다. 글 짓는 참된 자세에 대하여 문장은 화려함을 뽐내는 것이 아니라, 덕과 의로부터 나와야 되고, 공명과 이욕을 쫓는 모습이 없어야 되고, 또한 모든 문장과 글은 도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간재의 생각을 확인하였다. 간재는 도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실천하여 맥을 잇고자 하는 신념이 있었다. 세교와 도학사상은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spent an eventful life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tory when the Joseon Dynasty was losing its sovereignty. In the situation of the turbulent period marked by the collapse of traditions and the loss of national power as a result of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intellects in those days had a consciousness of crisis and coped with the situation in various ways. Ganjae might deliberate on what the scope of practice of principles was to humans, and how far the actions of Confucian scholars should reach in such a troubled time. Ganjae(艮齋)’s scholarship was practical science for opening a new era by re.creating and developing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until that time, and it provided a ground for establishing the modern value of Neo.Confucianism.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Ganjae Society and active studies on his Confucian ideas and Neo.Confucianism, the significances of Ganjae’s thoughts are newly illuminated. While most of previous research works focused on his Neo. Confucianism,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his literature although he left a large number of poems and prosaic writings and therefore his literary character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Ganjae wrote 92 prologues and 186 epilogues. In the extensive prologues and epilogues, it is believed that Ganjae recorded solutions to break through the national cris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find the viewpoint penetrating the general knowledge of the world (世敎) and his consciousness of self.discipline, which he, as a scholar who turned his back on the world and pursued study, wanted to transmit to his descendents through his prologues and epilogues. Literature is merely a minor artistic skill but it has the power to rule the temper and to spread public morals infinitely throughout the world. From the viewpoint that literature contributes to people’s ethics and conversion in such an unprecedented troubled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expressing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explored how Ganjae’s view of literature as a means to transmit the way, which Ganjae thought, was expressed through ‘Tobonmunmal (道本文末-The way is first and literature is the next).’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hat his intention that he wanted to disclose clearly like the sun and the moon will be revealed and that the literary character of his prose will also be explained.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역학관 시론

        이선경 ( Yi Suhn-gyoh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68

        이 논문은 간재의 역학사상을 주제로 한 첫 번째 연구이다. 간재(艮齋)는 방대한 문집을 남겼음에도, 그의 역학사상을 고찰할 수 있을 만한 번듯한 자료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호가 『주역』의 간괘(艮卦)에서 왔음을 생각할 때, 그가 역(易)을 소홀히 하였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이 논문은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간재의 문집가운데, 역학과 관련된 단편들을 수습하고, 주고받은 서신을 통해 간괘에 대해 언급한 내용을 종합하여, 간재의 역학관을 시론한 것이다. 간재는 술수학적 호기심을 경계하고, 「정전(程傳)」중심의 의리역학을 지향한다. 간재는 『역학계몽(易學啟蒙)』에 실린 ‘역유태극(易有太極)’에서의 태극은 ‘실리처’로부터 말한 것으로, ‘비록 음양과 섞여있더라도, 태극은 그 자체로 리(理)’라고 주장한다. 또한 「독원형이정설(讀元亨利貞說)」등에서와 같이 역을 소재로 ‘심(心)은 유위(有爲)이고, 성(性)은 무위(無爲)’라는 심성의 구별에 치중함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간학(艮學)’ ‘돈간지학(敦艮之學)’이라는 용어를 쓰며, 간괘를 수양의 요체로 중시한다. ‘그 등에 그친다[艮其背]’의 배(背)는 ‘이치의 극치’이고 간(艮)은 ‘마음의 공효’로서, 이는 심(心)과 리(理)가 하나가 되어 편안한 성인(聖人)의 궁극적 경지라 한다. 간재는 간괘(艮卦)가 경(敬)과 주정(主靜)공부의 근원이자 시중(時中)으로 나아가는 토대가 된다고 보고, 평생을 ‘간학(艮學)’에 힘썼지만 여전히 이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토로한다. 간재는 유일하게 대과괘(大過卦)에 대해서만 「독대과대상(讀大過大象)」을 지어, 대과(大過)의 시절에 행해야 할 대과(大過)의 방식, 즉 ‘남들과 다른 크게 지나친 대처법’에 대해 논한다. 간괘(艮卦)에서 얻는 그 자신이 그칠 바로서의 시중(時中)의 자리가 비상한 시국을 살았던 간재에게는 대과괘로 구현되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n the subject of the Yijing thought of Ganjae (GenZhai艮齋) Jeon Woo (TianYu田愚, 1841~1922). Although A left a vast collection of writings, no substantial material has been found so far to consider his thoughts on Yijing. This paper is a collection of fragments related to Yijing thought among the literary works of Ganjae, and a demonstration of his Yijing thought. He criticizes the way Yijing is interpreted in images and numbers, and studies Yijing from a humanistic point of view. He values Gan (Gen 艮□)Hexagram as the core of cultivation. He uses the term of “Mindfullness of Gen Hexagram”, it means that he valued the meaning of Gan (Gen) Hexagram very much. Especially his pen name came from Gan (Gen) Hexagram. Gan (Gen艮) means ‘stilling’ or ‘stopping’. He notes the meaning of “stilling the back” in Guaesa (Guachi 卦辭). The back is an invisible place. Because you can't see it with your eyes, your mind doesn't work. Therefore, greed does not arise. He says that 'back' is 'extreme reason' and 'a' or 'stopping' is 'a function of mind.' A can be said to be a saint whose mind's work and principles are united. He also say ‘reverent attentiveness (Gyung; jing 敬)’in Neo-confucianism derive from stilling of Gan (Gen). In the face of his country's collapse, he found a spot in Daguo (大過, surpassing by the Great) Hexagram where he himself should stop and stay. Despite many criticisms against him, who did not fight for independence at the time, he determined that his mission at the time was to preserve the truth of Confucianism, and walked the path firmly. That is the lesson of Daegua (Daguo 大過) he found, and dynamic equilibrium (時中) he found.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간재학파(艮齋學派) 연구 현황 및 과제

        박학래 ( Hak Rae Park ) 한국공자학회 2016 공자학 Vol.30 No.-

        본고는 근현대 한국 유학을 대표하는 성리학자 중 한 사람인艮齋 田愚(1841~1922) 및 그를 중심으로 한 문인 집단인 艮齋學派에 관한 연구 현황을 정리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간재 및 간재학파는 근대 이행기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국 각지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며 한국 유학의 맥락을 이루어왔으며, 지금도 그 학맥이 이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유학자 집단이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지난 30여년간 유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부각되기 시작한 간재 및 그의 문인에 대한 연구 개황을 정리하고, 간재 및 간재학파를 대상으로 한 개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그 내용적 특징을 검토한 후, 간재학파를 포함한 한국 근현대 유학에 대한 연구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to summarize and analyze current research trends of Ganjae艮齋 Jeon, woo田愚(1841~1922),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in modern Korean Confucianism, and his School and to suggest its prospect.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Korea and Japanese colonial era, Ganjae and his School has been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group to succeed the tradition of Korean Confucianism and to be so far continued the academic line with the nation-wide influence. Researchers for Confucianism have studied Ganjae and his School For about the past 30years. Thus, I will sketch the landscapeof research on Ganjae and his students, which started to be highlighte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suggest its prospect for research on modern Korean Confucianism by examining some features of outcomes of studies on Ganjae and his School.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자존의식과 강학활동

        이천승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3

        This paper explored the spirit of Seonbi from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a Confucian scholar who was devoted to preserving Confucian culture through his sense of self-esteem in relation to traditional culture and education around the dawn of the 20th century. First, I identified in Ganjae one single aspect of an intellectual who lived through the chaotic period of rapid collapse of traditional value set. Albeit fame he earned early on, Ganjae went through a series of anger and frustration. The society had changed into the one that would not embrace his strong ambition to bring traditional values into full fruition. His sense of self-esteem that desired to recover Confucian-based spirits and civil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demonstrates the spirit of scholar trying to hold our cultural identify right. Second, I noticed education he chose; and aspiration for the new age he presented and laid the foundation for as a means to preserve Confucian value. Even in extreme situations in which future seemed elusive, he never gave up having seed of hope sown to flourish. An idea that any psychology and behavior should at all times be judged primarily based on moral compass or value of norms laid the theoretical groundwork of his such behavior. And this is considered as one of his major academic achievements. Academic activities of literary figures following Ganjae have influenced the academic circle for generations. Albeit limits in getting the messages through to the real world, strict self-discipline and call for awakening about human nature that Ganjae and other literary figures presented formed a type of ethical values that was never swayed even in the time of rapid transformation. 이 논문은 기호학맥의 흐름을 올곧이 계승하려 노력했던 간재 전우(艮齋 田愚)의 삶과 철학, 그리고 일상에 녹아내린 교육활동을 통해 당대 지식인의 문화자존의식과 유교문화를 사수하려는 불굴의 지향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기존의 가치체계가 급격하고 송두리째 붕괴되던 시대적 혼돈 속에서 간재가 열망했던 인간다운 삶의 가치와 그러한 삶의 방식을 묵수하려는 과정에서 존재의미를 찾았던 지성인의 한 모습을 살펴보았다. 개인의 영민성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유림계에서 명성을 지녔던 간재의 삶은 분노와 좌절의 연속이었다. 이미 전통적 가치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싶었던 그의 결기어린 선비정신을 더 이상 이해하고 포용할 사회가 아니었던 것이다. 단발령, 창씨개명 등 노골화된 일제의 식민지배는 유학을 기반으로 하는 조선이 지탱해온 정신문명의 근간을 흔들었다. 일제의 문명개화를 앞세운 타율적 근대화가 전방위적으로 강요되는 상황에서 간재는 꺼져가는 유학의 불씨를 사수하는 선봉에 섰다. 유학의 정신을 바탕으로 형성된 정신문화에 대한 당대 지식인의 자각과 그 실현 주체로서 느끼는 문화자존감은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길이 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불굴의 선비정신은 간재를 마지막까지 간재답게 자리매김해 주었다고 평가된다. 둘째, 일제강점기라는 참담한 현실에서 유학적 가치를 고수하려는 방법으로 간재가 택한 교육과 그를 통한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을 살펴보았다. 그는 미래를 기약할 수 없는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의 싹을 뿌리는 길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그 이론적 토대로서 간재의 학문은 도덕적 본성의 준수에 따른 인간다움의 가치를 고양시키는 일에 집중되었다. 어떠한 심리나 행동이든 항상 도덕적 본성 내지 규범의 가치를 우선적인 기준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는 점, 우리가 추구해야 될 본성은 존재 그 자체로 변함없는 의미를 지닌다는 점 등은 그의 학문적 성취로 손꼽힌다. 조선유학의 말미에서 정리된 간재의 그러한 사유들은 다름 아닌 유학을 근간으로 하는 문화자존의식의 재천명이었다. 즉 인간은 멋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살아야 한다는 신념의 표현이었다. 간재의 정신은 그를 중심으로 결집된 문인들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하나의 목소리로 모아지면서 꺼져가는 전통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다. 현실에 좌절하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희망의 싹을 키워나가려는 간재의 노력이 일궈낸 결과들이다. 이를 이은 간재문인들의 학문 활동은 세대를 넘어 학계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고,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보이지 않는 저수지 역할을 하였다. 비록 현실과의 소통에 한계는 있었지만, 간재와 그 문인들이 보여준 엄격한 자기절제와 본성에 대한 각성의 촉구가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 흔들리지 않는 윤리적 가치규범의 한 전형으로 자리매김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가 남긴 철리시(哲理詩) 연구(硏究) - 그의 역사적인 위상(位相)과 관련하여

        유영봉 ( Yoo Yeongbong ) 우리한문학회 2017 漢文學報 Vol.37 No.-

        구한말의 우국지사였던 勉菴 崔益鉉(서기 1833~1906)과 艮齋 田愚(서기 1841~1922)는 각각 충남 청양군 정산면 薇山과 전북 부안군 계화면 繼華島에 은거하였다. 면암은 伯夷와 叔齊의 절조를 본받고자 함이었고, 간재는 후진양성을 통해 유학의 맥을 부지하기 위함이었다. 면암은 결국 1906년 丙午倡義를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에서 순국하였다. 그의 죽음은 전국 각지에 의병봉기를 촉구하는 기폭제가 되었으니, 피의 순교를 이룬 것이다. 간재는 계화도 양지 마을을 무대 삼아 儒學 種子의 보존에 노년을 바쳤으니, 땀의 순교를 행한 것이다. 간재의 철리시는 주로 성현들이 남긴 가르침을 현실 안에서 재확인하는 내용과 끊임없이 자아각성의 자세를 다짐한 시들로 양분된다. 그리하여 그는 충청과 전라 지방을 꾸준히 돌아다니며 강학활동을 펼쳤으니, 道統의 繼承이라는 大義名分의 實踐이었다. 결과적으로 면암은 一狂 鄭時海(서기 1872~1906)를 필두로, 전국에서 일어난 수많은 의병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간재는 惟夢 鄭寅昌(서기 1862~1922)과 같은 제자를 숱하게 두었다. 그러나 1910년 치욕의 한일합방이 이루어졌다. 조선을 지키고자 목숨을 바친 면암의 소망은 허사가 되었다. 물밀듯 밀어닥친 서양 사조와 풍습에 밀려 유교적인 이상사회의 부활이라는 간재의 희망도 물거품이 되었다. 하지만 면암의 죽음은 의병활동에서 독립운동으로 번져갔다. 간재의 노력은 미풍양속의 보전과 유교적인 인재의 배양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피의 순교자 면암은 피의 순교자로써 자신의 역할과 소임을 다했다고 이를 수 있으며, 땀의 순교자 간재 또한 땀의 순교자로써 자신의 역할과 소임을 다했다고 이를 수 있으리라. 덧붙여 간재가 남긴 철리시 안에서 聖賢의 가르침이 露呈되는 현상은 지극히 당연한 귀결이라고 하겠다. 아울러 그지없이 혼란한 세상을 만나 끊임없이 自我를 覺醒하면서 자신의 責務를 되새김질했던 간재의 표상 또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이다. Myonam Choi-Ikhyon(勉菴 崔益鉉 1833~1906) retired to hermitage in Misan(薇山) and Ganjae Jeon-woo(艮齋 田愚 1841~1922) retired to hermitage in Gyehwado(繼華島). Myonam emulated Baegi(伯夷) and Sookje(叔齊)'s fidelity. Ganjae workd hard to train the upcoming generation for guard Confucianism. Finally Myonam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loyalty and died for his country at Daemado(對馬島) in 1906. Ganjae strived for preservation of Confucianism in Gyehwado. Ganjae's Philosophical poems were divided into two equal parts. He checked the sage of the sages in the real world and awaked himself to his own responsibility. Thus, he moved steadily around Chungcheong provinces and Jeolla provinces, and practiced the cause of the practice of continuity. As a result, it became the spiritual pillar of numerous soldiers nationwide in the wake of the Cheong-sihae(一狂 鄭時海 1872~1906), the first of its kind. Ganjae had many disciples such as Cheong-inchang(惟夢 鄭寅昌 1862~1922). Myonam was a martyr to the blood and Ganjae was a martyr to the sweat. They could fulfill his role as a martyr.

      • KCI등재후보

        艮齋의 義理精神과 處世觀

        도민재 한국철학사연구회 2004 한국 철학논집 Vol.0 No.14

        본 논문은 한말의 유학자인 艮齋 田愚(1841~1921)의 의리정신을 尊華攘夷의 의리론과 守道論的 처세관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간재의 의리정신은 性을 높임으로써 보편적 도덕성을 확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점은 바로 '性卽理'라고 하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도덕원리에 입각하여 도덕실천의 주체를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간재는 국가의 주권이 침탈당하는 당시의 시대상황에서 도덕성의 확보를 위한 道의 保存과 傳授를 자신의 처세의 기준으로 삼았다. 이에 간재의 의리정신은 주로 도덕 수양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수도론적인 경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한말의 국가적 변란에 대해 간재는 '去之守舊'하는 자세를 취하였고, 이러한 간재의 현실대응 방법은 당시로부터 많은 是非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렇지만 간재가 취한 태도는 단순히 자신의 한 몸을 보존하려는 것이 아니라, 道學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하는 확고한 신념에서 나온 것이라 하겠다. 즉 간재는 당시의 道가 행해지지 않는 시대상황에서 道의 純粹性을 지키고, 나아가 무너져버린 道를 다시 현실에 구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전라도 문인집단 형성-『觀善錄』의 전라도 문인을 중심으로-

        서종태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8 No.-

        The books of Gwanseollok, a list of literary scholars written by Ganjae Jeon Woo kept in the central libra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sts his literary men in chronological order. This study analyzed these literary scholars in the books of Gwanseollok by region and period and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his Jeolla-do literary group by dividing his lecture activities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When he was giving a lecture around Chungcheong-do, he nurtured a total of 29 literary scholars including 27 from seven villages in Jeonbuk and 2 from two villages in Jeonnam. The production of Jeolla-do literary scholars by Ganjae during this period was influenced by the renowned regional figures he got along with. Therefore, it was Buan which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literary men, where the number of the scholars he spent time with was the highest. When he was teaching in Jeolla-do, he produced a total of 107 literary scholars including 87 from eleven villages in Jeonbuk and 20 from six villages in Jeonnam. The production of Jeolla-do literary scholars during this period was usually influenced by his lecture activities. Therefore, a lot of literary scholars were produced in Jeongeup, Buan, Jeonju and Gochang where he was very active in lecture. When he was giving a lecture in solitary islands, in contrast, he produced a total of 553 literary scholars from 33 villages including 249 from 14villages in Jeonbuk and 304 from 19 villages in Jeonnam. Even though he just gave a lecture in Haedo only, the production of literary scholars by him spread all across Jeolla-do this time. In addition, even though he almost didn’t give a lecture in Jeonnam, and the number of renowned figures he spent time with was just one third of Jeonbuk, Jeonnam was greater than Jeonbuk by 55 in terms of the number of literary scholars produced by him. Furthermore, the number of literary men produced by him in Jeolla-do since 1916 has doubled because a lot of conservative scholars in Jeolla-do wanted to be taught by him since 1916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his reputation was very high after compiling a theory of Seongsasimje(性師心弟) while giving a lecture in Haedo; most conservative scholars lived a secluded life, teaching students together with Ganjae after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failed in 1910; most leading figures from other sects in Jeolla-do passed away before 1916. 충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간재 전우의 문인록인 『관선록(觀善錄)』에는 그의 문인들이 연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관선록』에 실려 있는 전라도 문인들을 시기와 지역별로 분석하여, 간재가 강학활동을 펼친 세 시기로 나누어 그의 전라도 문인집단 형성을 살펴보았다.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하던 시기에는 전북 7개 고을에서 27명, 전남 2개 고을에서 2명 도합 9개 고을에서 29명의 간재 문인이 배출되었다. 이 시기 간재의 전라도 문인 배출은 주로 그가 종유했던 각 지역 인물들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그가 종유한 인물이 제일 많은 부안에서 가장 많은 문인이 배출되었다. 간재가 전라도를 중심으로 강학하던 시기에는 전북 11개 고을에서 87명, 전남 6개 고을에서 20명, 전라도 통틀어 17개 고을에서 107명의 문인이 배출되었다. 이 시기 간재의 전라도 문인 배출은 주로 그의 강학활동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의 강학활동이 활발히 전개된 정읍, 부안, 전주, 고창 등의 고을에서 많은 문인이 배출되었다. 간재가 해도(海島)에서 강학하던 시기에는 전북 14개 고을에서 249명, 전남 19개 고을에서 304명, 전라도 통틀어 33개 고을에서 553명의 문인이 배출되었다. 간재가 그 이전과 달리 해도에서만 강학을 했는데도 이 시기에 와서 그의 문인 배출이 전라도 거의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간재가 강학활동을 거의 전개하지 않고, 그가 종유한 인물의 수가 전북의 3분의 1도 안 되는 전남에서 전북보다 55명이나 더 많은 문인이 배출되었다. 아울러 1916년부터 전라도에서 배출된 그의 문인 수가 2배 넘게 늘었다. 이는 간재가 해도에서 강학하던 시기에 독자적인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을 완성하여 신망이 갈수록 높아진 점, 1910년 의병운동이 좌절된 뒤 보수 유학자 대부분이 간재와 같이 은거하여 후학을 양성하게 된 점, 전라도에서 문인집단을 형성한 다른 학파의 주된 인물들이 1916년 이전에 거의 다 세상을 떠난 점 등의 이유로 1916년부터 보수 유학자들이 전라도 전역에서 간재의 문하로 대거 몰려왔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신정통주의 성리학

        선병삼 ( Sun Byeongsam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는 조선 말기부터 근대 초기를 살다간 성리학자로 기호학맥의 도통을 마무리한 큰 선비다. 본 논문은 독존주자(獨尊朱子)적 학문관과 독선수교(獨善垂敎)의 실천관을 견지한 간재 전우의 성리학을 신정통주의라는 입장을 가지고 조망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현실을 외면한 주자학 묵수주의라는 부정적 평가를 완화하고 간재 성리학의 본래적 의의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지를 전개했다. ‘경전(사서)으로 돌아가자’는 경학사상과 ‘주자의 참뜻으로 돌아가자’는 성리학을 통해 간재 성리학의 신정통주의적 특성을 살폈다. 간재 학설의 종설인 성사심제(이심학성)를 분석해 보면, 성사심제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공부하는 주체가 마음임을 분명히 하여 주자학 말류가 심신 공부를 소홀히 한 병폐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또한 공부하는 대상을 본성으로 상정하여 양명학처럼 이단의 학문이 시심자용(恃心自用) 하여 창광방자 하는 병폐를 막고자 했다. 정리하면, 온 나라의 명운이 백척간두의 끝에 내몰리던 그 한말에 간재는 주자학 말류가 실천을 중시하지 않고 이론적 탐색에 몰두한 폐단을 극복하면서도 창광방자(猖狂放恣) 하는 양명학의 병폐를 막아낼 수 있는 학설을 모색했고 그 결과물이 이 심학성의 성사심제론이었던 것이다. 이것이 간재 도학의 본질이고 간재의 성리학을 신정통주의라고 규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셈이다. Ganjae Jeon Woo(1841-1922) who inherited the Yulgok school tradition and fought to protect the originality of the Yulgok school is a great confucianist of moder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 summarize his theory and practice as dok-zon-zhu xi(獨尊朱子: accepting zhu xi’s theory only) and dok-seon-su-gyo(獨善垂敎: self-regulating to influence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lay stress on his confucian theory in terms of neo-orthodoxy in order to free him from criticism such as turning away from crisis of Joseon Dynasty and adhering to Zhu xi’s theory only. seong-sa-sim-jae(性師心弟: human natur is a master and mind-heart is a disciple) is a Gangae Jeon woo’s overall theory in his confucianism, using it for going with his criticism on the other schools such as Hwaseo Lee Hangro, Nosa Gi Jungjin, Hanju Lee Jinsang. Especially, by theoretical analyzing yi-sim-hak-seong(以心學性: mind-heart conforms hunman nature), which is his another overall theory, we can reach the conclusion what makes him give stress on the seong-sa-sim-jae(性師心弟: human natur is a master and mind-heart is a disciple). By it, he endeavors to overcome zhu xi school’s defect of looking down on mind-heart, also tries to correct yang ming school’s default of follow one's own whims.

      • KCI등재

        艮齋 田愚의 臼山先生風雅의 체재와 구성

        김보성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Gan-Jae Jeon-u (1841-1922)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meantime, many academic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Gan-Jae's Confucianism and Philosophical Thoughts. And a few papers on Gan-Jae'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literature were published. Gan-Jae i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who believed that the crisis of the country could be overcome through Neo-Confucianism. Therefore, it is only natural that there are relatively many studies on his Confucianism and philosophy. Howev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cholar Gan-Ja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iterary works that contain his thoughts. This paper focuses on the poetry of Gan-Jae, which is particularly lacking in research. Gan-Jae'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s divided into three types. One is the Yongdong version published in Yongdong (Nonsan) by Lee In-gu, and the other is the Jinju version published in Jinju by Oh Jin-young. And there is Hwa-Do Su-Jeong version, which was completed by copying the texts compiled in 1922 by Choi Byeong-shim and Kim Taek-sul. The poetry of Gan-Jae, published in three different books, differs in the order in which the poems are arranged, the titles of the poems, and the words of the poems. The poetry of Gan-Jae is not only divided into several books, but also exists as a separate book. That's GuSan-SeonSaeng-PungaA (two volumes, one book). GuSan-SeonSaeng-PungaA is the only collection of poems by Gan-Jae that exists separately, and contains various poems. In GuSan-SeonSaeng-PungaA, there are four types of unpublished trials. In general, these poems are poems given to unspecified number of disciples, poems in response to poems by writers with both moral and literary aptitude, poems about really personal things, or poems of a turbulent individual in a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As it were, GuSan-SeonSaeng-PungaA contains all of the poems that show the aspects of famous Confucian scholar, good writer, great teacher, caring father and emotionally rich individual. Therefore, GuSan-SeonSaeng-PungaA can be said to be a reference showing various aspects of Gan-Jae rather than the three types of books. 艮齋 田愚(1841~1922)는 조선 말기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동안 간재의 경학․철학 사상을 연구한 논문이 다수 배출되었고, 간재 문집이나 문학을 주목한 논문도 간간이 이어졌다. 간재는 전통적 성리학을 통해 나라의 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은 대표적인 유학자이므로 그의 경학․철학관을 탐구한 연구성과가 비교적 많이 축적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간재를 온전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의 사상을 문학적으로 담아낸 작품들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연구가 특히 미흡한 간재의 한시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간재의 문집은 크게 세 판본으로 나뉜다. 이인구가 논산 ‘용동’에서 간행한 용동본, 오진영이 ‘진주’에서 간행한 진주본, 그리고 최병심․김택술이 1922년 정리된 원고를 필사하여 완성한 화도수정본이다. 세 판본에 실린 간재의 한시는 편차, 시 제목, 시어 등에서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인다. 간재의 한시는 여러 판본에 산재하는 형태로 존재할 뿐 아니라, 별도로 묶인 형태로도 존재한다. 바로 臼山先生風雅 (2권 1책)이다. 구산선생풍아 는 유일하게 별본으로 존재하는 간재의 한시집으로서 다양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구산선생풍아 에는 세 판본에 실리지 않은 한시가 적지 않은데, 대체로 불특정 다수의 제자에게 남긴 시, 도학적 자질과 문학적 소양을 모두 발휘한 문인의 작품에 차운한 시, 지극히 개인적인 일을 읊은 시, 외세의 영향에 격렬한 감정을 담은 시라는 특징을 보인다. 즉, 구산선생풍아 는 간재의 유학자와 문장가, 스승과 가장, 문명의 전환기에 격동하는 개인의 면모를 보여주는 한시 작품을 두루 수록하고 있어, 주요 세 판본보다 간재의 다양한 이면을 망라한 자료집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