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도 인근 주요 부속도서(비양도, 마라도, 차귀도, 가파도, 우도)의 곤충상 및 외래곤충 조사

        이희조,김동언,송해룡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제주특별자치도 인근 주요 부속도서인 비양도, 마라도, 차귀도, 가파도, 우도의 육상곤충상 조사를 외래곤충을 중심으로 2015년 5~6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주간에 초지, 경작지, 산지 등을 도보로 돌며 조사하였으며, 외래곤충의 주요서식처인 도로변, 주택가, 경작지, 항구주변 등의 교란된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5개 부속도서의 조사결과 총 8목 55과 136종이 조사되었으며, 비양도 46종, 마라도 30종, 차귀도 37종, 가파도 62종, 우도 51종의 육상곤충이 각각 조사되었다. 상기 섬들은 제주도 본섬과 육지에 비해 지형과 식생이 단순하고 서식처가 제한적이며, 조사 시기가 6월 중순 이전으로 곤충류의 출현이 활발하지 않은 시기였다. 또한, 부속도서 특성상 조사 시간과 횟수의 제한이 있었으며, 주로 교란된 지역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총 종수가 비교적 적게 조사된 것으로 판단된다. 각 섬별로 조사결과를 비교 하였을 때, 식생이 다양하고 면적이 큰 섬에서 비교적 다양한 종이 조사되었다. 무인도서인 차귀도와 마라도는 비교적 면적이 작고 대부분 초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본 또는 관목으로 식생이 매우 단순하여 종수가 적게 조사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본 조사에서 확인된 외래곤충은 비양도, 가파도, 우도에서 알팔파바구미(Hypera postica), 비양도, 가파도에서 유럽좁쌀바구미(Ceutorhynchus obstructus)가 확인되었다. 또한, 국내 미기록 배벌류(Scolia sp.) 1종과 남한에서 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막긴노린재류(Lamproplax sp.) 1종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I):

        고기원(Gi Won Koh),박준범(Jun Beom Par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1

        이 연구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가파도와 마라도를 구성하는 용암류에 대한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를 포함한 암석학적 특징을 보고하고 그 화산활동에 대해 고찰한다. 가파도의 용암류는 판상절리가 발달되어 있고 담황색 내지 담회색을 띠는 비현정질 부분과 진회색의 괴상질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암질에 따라 차별적 풍화 침식을 받았다. 한 편, 마라도의 용암류는 비록 용암단위별로 그 조직이 미약한 차이를 가지지만, 주로 다공질 혹은 취반상 조직의 용암 류이다. 시추코어의 지화학 자료는 가파공의 경우 현무암질 조면안산암(SiO2 52.6-53.6 wt%, Na2O+K2O 7.3-7.5 wt%) 이, 마라공은 솔리아이트질 안산암(SiO2 51.7-52.8 wt%, Na2O+K2O 3.6-4.1 wt%)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가 파도 암류의 40Ar-39Ar 절대연대는 824±32 Ka에서 758±9 Ka로서, 인접한 산방산 조면암(Won et al., 1986)에 대비된 다. 한편, 마라도의 것은 259±168 Ka로서, 비록 오차 범위가 넓어 정확한 연대를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인접한 덕수 공과 상모2호공에서의 암석 성분과 연대 관계를 고려하면 260-150 Ka기간 동안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암 류의 산상, 인접 시추공과의 대비 및 해수면하의 지형을 고려하면, 제주도 남서부 지역에서 가파도는 산방산 조면암 의 분출시기와 유사한 시기에 화산활동으로 한편, 마라도는 이후 260-150 Ka기간 동안 화산활동에 의해 각각 육상 환 경에서 독립된 화산체를 이루었으며, 이후 해침에 의해 침식이 많이 진행되어 현재의 형태를 이루었음을 지시한다. We report petrologic characteristics including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lavas recovered from borehole cores in two islets, Marado and Gapado,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Jeju in southernmost Korea and discuss on the volcanism in the region. The lavas in Gapado are apparently divided into one unit with bright colored, aphanitic texture and sheet jointed, and another unit with dark colored and massive. The outcrops often show differentially weathered pattern due to textural difference. While, the lavas in Marado have vesicular and glomerporphyric texture, even though each lava flow unit in Marado has slight unique texture with variation of vesicularity and phenocrys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rock core samples from Gapa borehole and Mara borehole shows that the lavas from Gapado and Marado are classified into basaltic trachyandesite(SiO2 52.6-53.6 wt%, Na2O+K2O 7.3-7.5 wt%) and tholeiitic andesite(SiO2 51.7-52.8 wt%, Na2O+K2O 3.6-4.1 wt%), respectively. The measured 40Ar-39Ar plateau ages range from 824±32 Ka(MSL -69 m) to 758±9 Ka(MSL 19 m) for core samples of Gapa borehole and 259±168 Ka(MSL -26 m) for a core sample of Mara borehole, respectively. The absolute age of Gapado basaltic trachyandesite is well correlated with that of Sanbangsan trachyte(Won et al., 1986). Meanwhile, the age of a sample in Marado has 259±168 Ka(MSL -26 m) with poor plateau age formation and high error range. We report the data in caution but the rock composition and absolute age of Marado tholeiitic andesite are rel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lava units from Duksu and Sangmo-2 boreholes, indicating the volcanism during 260-150 Ka. On the basis of interpretation of occurrences of exposed and subsurface volcanic rocks of the study area, stratigraphic relationship with adjacent borehole cores and the bathymetry chart of surrounding area, it indicates that the lavas in Gapado were formed around 800 Ka during relatively early stage of volcanic activity in Jeju Island. Meanwhile, Marado may have originated around 260-150 Ka during relatively young stage of volcanism in Jeju Island. It is inferred that the volcanisms have originated in land and these islets were individual ancient volcanoes. The apparent topography has been re-shaped by tidal erosion due to transgression.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가파도 전통마을의 영(靈)적공간 형성 및 특징연구

        변경화(Byun, Kyeong-Hwa),강은정(Kang, Eun-Jung),이정림(Lee, Jeong-Lim),김규한(Kim, Kyu-Han)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space in a traditional village of island focusing on Gapa Island, Jejudo. The spiritual space in this study are described as religiou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paces which residents of Gapa Island have customarily something in common. The study employ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interviewing island residents and field survey about those spaces. The study identified twelve spiritual spaces on Gapa Island which i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village faith spaces, in other words, Shamanism spaces, general religious facilities, cemetery, and taboo spaces. These spaces we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lander’s spiritual spaces which were built at the same time when the village had been established and was extended. Since these spiritual spaces were built by islanders, they have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village and new culture from the outside. spiritual spaces settled from the community point of view are using up to the present. Three spiritual spaces of altar, Halmang-Dang of Sangdong and Hadong are essential in religiou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of village residents because those three spaces have settled as village faith. In regards to the arrangement of spiritual spaces, the village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areas according to the inner road that connects Sangdong port and Handong port. The alter and cemetery were arranged to the quiet places of the island, East side which was difficult to catch fish due to high wave and the death of water. However, the west side of island which woman divers were able to catch seafood was characterized as active and living area.

      • KCI등재후보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and studying the vocabularies in three inhabited dependent islets of Jeju Island, U-do, Biyang-do and Gapa-do. One on one or one on two interviews with Informants over mid-seventies in these islets were conducted on 304 dialect vocabularies. Just 62 words (21.67%) are commonly used in those three islets and 131 words (including duplicate 135 words, 45.80%) are used in two islets. Different forms of 73 words (25.52% of all categories) are researched in each islet. 59 words (45.03%) in both Biyang and Gapa-do, 37 words (28.24%) in both Gapa and U-do, and 35 words (26.71%) in both U and Biyang-do are commonly used. The result that various forms of dialect vocabulary are found in these three islets has a connection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of Goryeo Dynasty, Dongdohyeon and Seodohyeon. Common word forms in Biyang-do and Gapa-do, which used to be part of Seodohyeon, are more than those in U-do, which used to be part of Dongdohyeon, and Biyang-do, and U-do and Gapa-do. Each islet is located separately so language is divided into different forms. That is why 73 different words (25.52%) are used in these small islets. One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se islets is unique linguistic forms and high frequency of ancient language. There used to be less interchange with the main island, Jeju, before transportation system is developed. Because of the unique culture, different word forms and conservatism of language is shown. Moreover, some of vocabulary found in the main Jeju island is not researched in these small isle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and life environment. It can explain that linguistic environment is affected by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are 13 words about plants out of 25 words which are not used anymore.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 등 제주도 안의 4개 도서를 3지점으로 나누어 어촌생활어를 생태학적으로 조사, 연구한 것이다. 조사된 어휘 가운데 바 다동물 관련 35개 어휘와 바다식물 관련 16개 어휘 등 51개 어휘를 포함하여 총 8개 분야 106개 어휘에 대하여, 생태 측정을 위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 문 조사는 30·40대, 50대, 70대 이상 등 3세대로 나눠 실시하였다. 30대와 40 대를 묶어서 조사한 것은 조사 지점이 도서지역이어서 30대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70대 이상 응답자들은 51개의 해산물 관련 어휘 중 52.9%인 27 개 어휘에서 방언형을 100% 쓰고 있으나, 50대에선 29.4%인 15개 어휘, 30대 에선 11.7%인 6개 어휘만 방언형을 쓰고 있다. 생태 지수가 50% 이하인 어휘 는 70대 이상에서 13.7%인 7개 어휘이고, 50대에서는 5.9%인 3개 어휘, 30·40 대에서는 27.5%인 14개 어휘로 나타났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을 보인 어휘는 70대에서 ``듬북`` 외 6개 어휘, 50대에선 ``보제기`` 외 9개 어휘로 나타났다. 30대에서는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응답한 어휘가 72.5%인 37개나 되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세대가 낮을수록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많아 생태 지수 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해당 지역의 30대·40대 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세대가 어로 활동과 관련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언어 사멸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멸되거나 사멸의 길을 걷는 어촌생활 어는 물론 환경 등의 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제주도방언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Vocabularies about ocean creatures (ocean animals and ocean plants) in islets near Jeju Island are searched and systematized ecologically. 4 islets near Jeju Island, U-do, Biyang-do, Gapa-do and Mara-d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re searched for this study. After that, 51 words are chosen including 35 words about ocean animals and 16 words about ocean plants. Then the survey form with 106 questions is made from the result. The survey for three age groups is conducted to check ecological index. The age groups are the thirties-forties, the fifties and over seventies. There are not so many people in their thirties in these islets so one groups have to be consisted of the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 shows younger generation doesn`t understand dialect more and this means their ecological index is low. There are a few young peopl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nd they usually don`t have fishery jobs so it quickens extinction of the language. That is why we need a methodical approach to extinct or endangered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nd endangered Jeju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