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마쿠라 문학관의 관광활성화 사례연구 : 문학 스탬프랠리를 중심으로

        권민혁(Kwon, Min-hyeo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문학관을 도서관, 문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시설로 바라보는 논의 사이에서 그 기능을 복합문화공간, 라키비움에서 벗어나 주변 관광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문학관이 지역의 관광시설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가마쿠라 막부시대의 배경이었던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는 27,500개가 넘는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 역사의 도시로 일본 내에서도 인기 있는 관광지 중에 하나다. 특히 가마쿠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엔카쿠지(円覚寺), 쓰루가오카 하치만구(鶴岡八幡宮) 등 역사적 의미를 가진 사찰과 신사에 방문목적을 두는 경우가 많다. 가마쿠라 문학관에서 개최하는 ‘문학 스탬프랠리(文学スタンプラリー)’는 가마쿠라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주로 찾는 역사적 관광시설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각각의 시설에 관련된 가마쿠라의 문학, 작가를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가마쿠라 문학관이 지역의 관광시설로 기능하게 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문학 스탬프랠리 사례를 통해 문학관이 주변 관광시설과의 협력 속에서 지역의 관광시설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of the Museum of Literature as a cultural facility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n this way constituting a local tourist attrac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attractions. Dating back to the Shogunate period, Kamakura City in Kanagawa Prefecture is a historic city with over 27,500 heritage sites, and is one of the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in Japan. Tourists who go to Kamakura mainly visit temples and shrines that have historical significance, such as Engakuji temple and Tsurugaoka Hachimangu shrine. A program called ‘The Literary Stamp Rally’ is run by the Kamakura Museum of Literature. Through it, the most popular historical tourist attractions are promoted, and the literature and writers of Kamakura City are introduced to the public. In this light, it is plausible to see aspects of The Kamakura Museum of Literature as facets of a domestic tourist attraction in their own right. Kamakura s ‘Literary Stamp Rally’ shows that Museums of Literature can function as local tourist attractions, in partnership with other local tourist facilities and attractions.

      • 영락보린원(永楽保隣院)의 역사연구 : 가마쿠라(鎌倉)보육원 경성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범수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영락보린원의 역사연구 ―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에 관해 작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 영락보린원의 前史인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와 소다가이치의 활동내용, 1939년 설립된 신의주 보린원이 1947년 용산구 후암동으로 이전 영락보린원으로 명칭변경 활동해온 한경직의 사회사업과 관련된 주요내용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다루어졌다. 첫째로, 가마쿠라 보육원과 영락보린원의 연표를 참고하여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와 영락보린원의 주 요 사건일지를 분석한다. 또한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의 지부장이었던 소다가이치와 영락보린원의 초 대원장이었던 한경직에 관한 주요활동 내용을 기록 분석한다. 둘째는 가마쿠라보육원의 설립자인 사다케오토지로(佐竹音次郎)는 왜 일제강점기에 경성(京城)에 고아원 을 설립하였는지 설립 배경을 살펴본다. 셋째는 프린스턴대학원 신학교를 졸업 신의주에서 목사활동을 하던 한경직은 왜 고아사업을 시작하였는 지, 그리고 어떻게 용산구 후암동에 영락보린원을 설립하게 되었는지, 사회사업과 관련된 활동내용을 살 펴본다. 넷째는 한국의 영락보린원이 설립되어 있는 용산구 후암동의 전사(前史)가 되는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 부, 소다가이치와 영락보육원 한경직의 인류애, 크리스천으로서의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history of Youngnak Children's Home―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Kamakura Children's Home Seoul branch and Youngnak Children's Home―. This article describes the practices of Soda Gaichi who worked at Kamakura Children's Home Seoul Branch; former institute of Youngnak Children's Home in Hoam-dong, Yongsan-gu, Seoul. Additionally, this article analyzes Han Gyung-jik’s social work practices and his major other work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Sinuiju Children's Home established in 1939 to Youngnak Children's Home located at Yongsan-gu Huam-dong in 1947.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contents are covered. Firstly, the main event logs of Kamakura Children's Home Seoul Branch and Youngnak Children's Home are analyzed based on referring the chronology of Kamakura Children's Home and Youngnak Children's Home. Also, the major practices of Soda Gaichi and Han Gyung-jik are analyzed, who was the director of Kamakura Children's Home Seoul Branch and was the first director of Youngnak Children's Home, respectively. Secondly, the reason and background are explained about why Satake Otojiro, the founder of Kamakura Children's Home, established the Children’s Home in Seou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irdly, the practices related to social work of Han Gyung-jik are described in the article. Especially, why Han Gyung-jik, who was graduated from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was a pastor at Sinuiju, started to run a Children’s Home, and how he established the Youngnak Children’s Home at Huam-dong in Youngsan-gu. Lastly, the philanthropy of both Soda Gaichi and Han Gyung-jik is described, and the implication in the aspect of Christian religion is reviewed in this article.

      • 가마쿠라 문학관의 관광활성화 사례연구 문학 스탬프랠리를 중심으로

        권민혁 ( Kwon Min-hyeok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0

        본 논문은 문학관을 도서관, 문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시설로 바라보는 논의 사이에서 그 기능을 복합문화공간, 라키비움에서 벗어나 주변 관광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문학관이 지역의 관광시설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가마쿠라 막부시대의 배경이었던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는 27,500개가 넘는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 역사의 도시로 일본 내에서도 인기 있는 관광지 중에 하나다. 특히 가마쿠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엔카쿠지(円覚寺), 쓰루가오카 하치만구(鶴岡八幡宮) 등 역사적 의미를 가진 사찰과 신사에 방문목적을 두는 경우가 많다. 가마쿠라 문학관에서 개최하는 ‘문학 스탬프랠리(文学スタンプラリー)’는 가마쿠라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주로 찾는 역사적 관광시설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각각의 시설에 관련된 가마쿠라의 문학, 작가를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가마쿠라 문학관이 지역의 관광시설로 기능하게 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문학 스탬프랠리 사례를 통해 문학관이 주변 관광시설과의 협력 속에서 지역의 관광시설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of the Museum of Literature as a cultural facility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n this way constituting a local tourist attrac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attractions. Dating back to the Shogunate period, Kamakura City in Kanagawa Prefecture is a historic city with over 27,500 heritage sites, and is one of the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in Japan. Tourists who go to Kamakura mainly visit temples and shrines that have historical significance, such as Engakuji temple and Tsurugaoka Hachimangu shrine. A program called ‘The Literary Stamp Rally’ is run by the Kamakura Museum of Literature. Through it, the most popular historical tourist attractions are promoted, and the literature and writers of Kamakura City are introduced to the public. In this light, it is plausible to see aspects of The Kamakura Museum of Literature as facets of a domestic tourist attraction in their own right. Kamakura's ‘Literary Stamp Rally’ shows that Museums of Literature can function as local tourist attractions, in partnership with other local tourist facilities and attractions.

      • KCI등재

        ‘가마쿠라기 왜구’와 ‘무로마치기 왜구’의 성격과 그 주체 연구

        김보한(Bo-han Kim)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2 No.-

        20세기 초부터 고려 왜구의 연구는 고토 히데호(後藤秀穗)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는 고려 왜구가 ‘조큐의 난(1221)’이라는 일본의 대혼란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최초로 언급한 일본학자이다. 이후 아오야마 고료(靑山公亮)와 모리 가쓰미(森克己)가 고토의 견해를 계승하여 일본 해적이 13세기부터 고려를 침탈하였다는 사실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리고 패전 이후에도 나카무라 신타로(中村新太郞)가 일본 내 왜구의 근거지가 규슈 연안이며 ‘무사’, ‘어민’ 등이 그 주체세력이었다고 분명하게 언급하였다. 한편 다나카 다케오(田中健夫)는 ‘왜구’가 고려인의 의식에 분명하게 고정된 시점이 경인년(1350) 이후이며, 이것이 ‘전기왜구’로서 14~15세기의 왜구가 전기왜구라는 논리를 펼쳤다. 이에 대해 무라이 쇼스케(村井章介)는 ‘전기왜구’에서 누락된 13세기 왜구를 ‘초발기 왜구’라고 새롭게 규정하였다. 그러나 무라이의 주장도 전시기에 걸친 왜구의 전개과정에서 비추어 보면 전후의 연결성에서 부자유스런 감이 있으므로, 일본사의 시대구분에 맞추어 13세기 왜구를 ‘가마쿠라기 왜구’라고 명명해야 옳을 것 같다. 이후 1350년대에 접어들어 막부의 내홍으로 간노죠란(觀應擾亂, 1350)이 발발하여 규슈에서 재지무사들을 대혼란에 빠뜨렸고, 그 여파가 고려에서는 ‘경인년(1350) 이후 왜구’를 촉발하였다. 이것이 ‘무로마치기 왜구’인데 고려 말, 원 말, 명 초의 시기에 출몰하기 시작하였고, 고려의 남해안과 서해안, 산동반도와 중국 연해로 연결되는 무역로를 따라 동아시아로 확산되어 갔다. 1370년대 규슈탐제로 임명된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의 정치적 야망에 의해 규슈의 혼란은 더욱 가속화되는 경향이었다. 1370년대의 규슈의 극심한 혼란에 따라 재지를 이탈한 세력들이 왜구가 되어 고려에 수백 척의 선박과 수천 명을 이끌고 침입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고려가 나흥유, 안길상 등을 일본에 왜구금지 사신으로 보냈을 때, 일본에서는 승려를 보내와 왜구가 규슈의 ‘백성’과 ‘도망친 무리’라서 왜구 금지가 어렵다는 사실을 고려에 전달해 주었다. 아울러 ‘무로마치기 왜구’의 주체는 일본의 ‘백성’과 ‘도망친 무리’, ‘해상세력’, ‘악당’ 등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었다. The first research on wakou was written by Goto Hideho in the early 20th century. He was a historian who mentioned that wakou began with great confusion cased by Zyokyu"s Revolt in 1221. Moreover, Aoyama Koryo and Mori Gasumi supported his view and advanced the same opinions. After 1945, Nakamura Sintaro put forth that Kyusu"s coast served as a base for wakou in Japan and the main groups were warriors and fishermen. While, Tanaka Takeo laid out a logical argument that the first wakou started raiding after 1350 and defined these wakou as the first of their kind, Murai Syosuke defined the wakou in the 13th century as Chobalki wakou and left out the wakou of Takeo’s first period. However, considering the division of Japanese history into periods,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use the term wakou in the Kamakura period. Kanno’s disturbance broke out in 1350 due to the internal disturbance of the shogunate. This phenomenon triggered the flow of wakou to Goryeo after 1350, which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wakou of the Muromatsi Period. This period overlappe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end of the Yuan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wakou proliferated throughout coastal East Asia through trade routes which connected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the Goryeo to the Shandong peninsula and the eastern coast of China. The main groups of the wakou in the Muromatsi period mainly consisted of Japanese people, fugitives, maritime forces, and Akutou.

      • "가마쿠라기 왜구"와 "무로마치기 왜구"의 비교 연구

        김보한 ( Bo Han Kim ) 단국사학회 2014 史學志 Vol.49 No.-

        가마쿠라기 왜구는 ‘조큐(承久)의 난’이 발발한 이후 공가를 지지하던 서국 무사들이 소령을 몰수당하는 위기상황에 생존을 위한 해적 행위와 바다 건너 고려를 침탈하는 과정에서 출발하였다. 이 가마쿠라기 왜구는 『고려사』와 일본 사료에서도 똑같이 고려의 침탈 흔적을 남기는데, 경상도와 전라도 연안 일대를 중심으로 왜선 1-2척과 적은 인원으로 약탈에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로마치기 왜구는 막부의 내부 혼란이라는 간노죠란(觀應擾亂)의 영향으로 규슈의 불안한 정국이 이어지면서 고려에 갑자기 증가하는 왜구로서, 『고려사』에서는 ‘경인년(1350) 이후 왜구’로 소개되어 있다. 이 무로마치기 왜구는 수백 척의 선박과 수천 명의 구성원으로 대규모화되었고 약탈 지역도 이전의 경상도와 전라도 연안을 벗어나 양광도와 고려 수도 근처의 교동과 강화도에까지 확대되었다. 특히 규슈에 내려온 규슈탐제 이마가와료슌에 의한 남조와의 격렬한 전투로 재지에 큰 혼란을 가져왔기 때문에, 왜구의 침탈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가마쿠라기 왜구와 무로마치기 왜구는 약탈의 규모, 왜구 구성원의 숫자, 약탈의 횟수 등에서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무로마치기 왜구는 일본의 대규모 혼란기에 나타났기 때문에 고려와 조선의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결국 1392년 일본의 정국 안정이 시작되면서 점차 왜구의 출현이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조선 개국 직후 ‘무로마치기 왜구’의 출몰은 최대의 정치 현안이었다. 조선은 무로마치 막부, 다자이후, 대마도, 슈고(守護)세력 등과 수시로 사신을 주고받으며 다원적인 왜구금지 외교를 시도하였다. 또한 삼포(三浦)를 열고 조선에 투화한 왜인에게 생활 안정을 제공해 주는 유화정책을 통해 왜구를 진정시켜 나갔다. The revolt of Joukyu broken out in the Kamakura period, and the politics and the society of Japan was plunged in confusion. The Japanese pirate was Wakou that looted Koryeo. Koryeo sent envoys to Kamakura Bakufu in order to inhabit Wakou``s plunder and received a cover letter of amity from Dazafu. In conclusion, the diplomacy of Koryeo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had produced some successful results. After Kamakura Bakufu collapsed, Wakou kept appearing and disappearing around the coast of Koryeo through Kanno’s disturbance. Koryeo sent envoys to Bakufu and Tsusima and developed the diplomatic policy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Bakufu and Tsusima were in favor of Koryeo envoys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Therefore, a friendly attitude of Bakufu and Tsusima was the conclusive evidence to prove that Wakou kept appearing and disappearing around the coast of Koryeo in the Muromatsi period. The appearance of Wakou in the Muromatsi period was a top of the agenda since Joseon kingdom was founded. Joseon exchanged envoys with Muromachi Bakufu, Dazafu and Tsusima and attempted the multifactorial diplomatic policy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Also, Joseon adopted the appeasement policy that opened the Sampo and provided Japanese who was betook to submission and was naturalized as a Joseon man and with the stabilization of livelihood. This policy increased a financial burden to Joseon kingdom. But this was a peace-keeping charge to keep the domestic stability of Joseon kingdom.

      • KCI등재

        중세 일본의 외교권

        高銀美 ( Go Eun-m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가마쿠라시대에는 막부 측이 외교 안건에 대한 실질적인 결정권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형식적인 외교권은 여전히 천황에게 있었다고 평가된다. 그에 반해 무로마치시대에는 막부의 수장인 쇼군이 ‘일본 국왕’에 책봉되는 점을 들어, 가마쿠라시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외교관계가 형성된 시대로 평가한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천황에게 있었던 권한조차 쇼군이 흡수해가는 권력집중과정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무로마치시대의 외교방식이 가마쿠라시대의 방식을 기본적으로 계승하는 것이었으나, 중국의 교류 방식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차이점이 발생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양자 간의 차이는 천황과 쇼군 간의 권력 구조 변화가 아니라 일본을 둘러싼 주변 지역의 상황이 만들어 낸 것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 다만 쇼군이 외교사절과 접촉하고 답서를 전달하는 등 외교의 전면에 나서게 되면서 이전처럼 외교 안건을 조정에 보고하는 절차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게 된다. 외교 안건이 막부 관할 내에서 완결되게 되면서 조정은 형식적으로 외교 안건에 대해 심의하는 기능마저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Kamakura period, it is assumed the shogunate held the de facto decision-making authority over diplomacy, while formal diplomatic authority ostensibly remained in the hands of the Japanese emperor. On the other hand, in the Muromachi period, there was a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way in which foreign relations were established in comparison to the Kamakura period, given that the shogun, as the head of the military government, was referred to as the "king of Japan". This change occurr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entralization of power in which even some powers held by the emperor were absorbed by the shogun. However, this paper contends that, although Japan's diplomatic direction in the Muromachi period fundamentally succeeded that of the Kamakura era, there were differences that arose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hanges in China's style of foreign relations. Thus, this paper places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wo periods was caused due to circumstances in the region surrounding Japan, rather than changes in the internal power structure of Japan. In the latter era, however, the previous practice of reporting diplomatic issues to the Japanese imperial court was no longer identified, as the shogun came to the front of diplomacy and took on roles such as meeting diplomatic envoys from other countries and conveying official diplomatic responses. This implies that Japan’s diplomatic agenda was completely handled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hogunate, thus leading to the loss of the Japanese imperial court’s nominal function of deliberating on diplomatic issues.

      • KCI등재

        고려·조선의 對일본 외교와 왜구

        김보한(Kim Bo-han)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7 No.-

        1221년 가마쿠라 시대의 정치와 사회를 혼란의 소용돌이로 빠뜨리는 조큐(承久)의 난이 발발하였다. 이후 일본해적은 고려를 대상으로 약탈하는 왜구로 전환하였다. 고려는 가마쿠라 막부에 왜구금지 사신을 파견하였고, 다자이후로부터 매우 우호적인 첩장을 받아냈다. 결과적으로 고려의 왜구금지 외교는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하고,이어 발발한 간노죠란(觀應擾亂)의 영향으로 고려에 왜구가 더욱 자주 출몰하였다. 고려는 막부와 대마도에 사신을 파견하여 왜구금지 외교를 전개하였다. 막부와 대마도는 고려의 왜구금지 사신에게 매우 호의적이었다. 따라서 막부와 대마도의 고려에 대한 우호적 태도는 ‘무로마치기 왜구’가 바다 건너 고려에 출몰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정적 증거이다. 조선 개국 직후 ‘무로마치기 왜구’의 출몰은 대일본 외교의 최대 현안이었다. 조선은 무로마치 막부, 다자이후,대마도, 슈고(守護)세력 등과 수시로 사신을 주고받으며 다원적인 왜구금지 외교를 시도하였다. 또 조선은 삼포(三浦)를 열고 조선에 투화한 왜인에게 생활 안정을 제공해 주는 유화정책을 실시하였다. 이 같은 조선의 대왜인 정책은 조선에게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의 국내안정에 필요한 평화유지비용이었으며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고 일본에 대한 영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범국가적 외교행위였다. The revolt of Joukyu broken out in the Kamakura period, and the politics and the society of Japan was plunged in confusion. The Japanese pirate was Wakou that looted Koryeo. Koryeo sent envoys to Kamakura Bakufu in order to inhabit Wakou’s plunder and received a cover letter of amity from Dazafu. In conclusion, the diplomacy of Koryeo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had produced some successful result. After Kamakura Bakufu collapsed, Wakou kept appearing and disappearing around the coast of Koryeo through Kanno’s disturbance. Koryeo sent envoys to Bakufu and Tsusima and developed the diplomatic policy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 splunder. Bakufu and Tsusima were in favor of Koryeo envoys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Therefore, a friendly attitude of Bakufu and Tsusima was the conclusive evidence to prove that Wakou kept appearing and disappearing around the coast of Koryeo in the Muromatsi period. The appearance of Wakou in the Muromatsi period was a top of the agenda since Joseon kingdom was founded. Joseon exchanged envoys with Muromachi Bakufu, Dazafu and Tsusima and attempted the multifactorial diplomatic policy to the prohibition against Wakou’s plunder. Also, Joseon adopted the appeasement policy that opened the Sampo and provided Japanese who was betook to submission and was naturalized as a Joseon man and with the stabilization of livelihood. This policy increased a financial burden to Joseon kingdom. But this was a peace-keeping charge to keep the domestic stability of Joseon kingdom.

      • KCI등재

        신안선의 무역 모델과 의미

        조진욱(Jo Jinwo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5

        본고에서는 동시간대에 속하는 문자자료, 화물, 화물의 운반체인 선박이 모두 출수되는 수중 발굴된 신안선 및 그 적재품을 분석하여 14세기 동아시아 교역의 일부를 복원하고자 시도했다. 신안선은 원(元) 경원항에서 가마쿠라로 향하던 무역선이었다. 만약 신안선이 최종 목적지인 가마쿠라에 앞서 고려에 중계무역을 위해 기항했다면 당시 무역은 다자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될 것이며, 고려에 중계무역을 위해 기항하지 않았다면 당시의 무역은 양자 간의 무역이 될 것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 신안선의 항로와 출수지점에서 신안선이 무역 목적으로 고려에 기항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신안선 화물과 그 적재 상황, 문자 자료인 목간의 묵서명과 출수상황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안선은 고려에 무역 목적을 가지고 기항했거나할 의도가 없었을 것이며, 원과 가마쿠라 양자 간을 잇는 교역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정황을 여럿 발견하였다. 따라서 당시 동아시아 국제교역 중 일부는 양자 간의 물자교환이라는 형태로 발생했었다는 것과, 계절풍에 따라 대략 연단위로 이루어지는 형태였으리라는 것을 밝히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목간의 묵서명 등으로 미루어보아 신안선 운영에는 가마쿠라인의 의사가 상당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신안선 목간에 묵서된 ‘강사’라는 직책을 규명할 수 있는 근거를 상당부분 발견했다고 생각된다. I have tried to restore part of the trade in East Asia in the fourteenth century through the Sinan shipwreck,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by using written materials, cargo, and the ship itself. All of these objects have the same timeline. If the “Sinan ship” had called in Goryeo for trade before visiting Kamakura, in Japan, the trade in East Asia would be multinational. If the “Sinan ship” had not called in Goryeo for trade before visiting Kamakura, the trade in East Asia would be bilateral. I examine the possibilities that the “Sinan ship” could have called in Goryeo for trade at the site of its wreck through the cargo, wooden tablets, and the position of the cargo and the wooden table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inan ship” did not call in Goryeo for trade. Further, I found clues which indicate that the “Sinan ship” was involved in bilateral trade. The trade at that time would have been bilateral goods exchange, and that trade occurred annually. Also, people in Kamakura influenced the decision-making for the sail of the “Sinan ship,” as based upon written materials and departure periods. This will be one clue to discover the meaning of “Kang-Sa.”

      • KCI등재

        中世日本の「戦後」 : 『増鏡』を中心に

        사이토 아유미(Saito Ayumi)(斎藤歩)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마스카가미」(増鏡)는 일본 중세 가마쿠라(鎌倉)시대를 서술 대상으로 하는 역사 이야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세 초기의 전란이 종식된 시기를 검토했다. 「후지고로모(藤衣)」「미카미야미(三神山)」 두 권이다. 이 두 권은 귀족이 대두하고 있던 무사 정권에 도전했다가 압도적인 패배를 당한 「조큐의 난(承久の乱」 직후에 위치하고 있다. 필자는 이 시기를 전국적인 전란이 끝나고 또한 귀족 정권에서 무가 정권으로 넘어가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는 의미에서 「중세 일본의 전후(戰後)」 라고 정의했다. 이 과도기를 귀족층의 저서인 문학작품이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 서술은 직접적으로 사실을 검토하고 비판 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어떤 경우에는 전통적인 문학 작품의 방법을 사용하고 어떤 때에는 사실을 애매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단순히 인식하고 있지 않은 상태와 의식하고 그러한 서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혼재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과거에 대한 인식은 역사가 왕조에서 무가정권으로 이행해가는 흐름과 통하는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닐까. 본 논문이 다룬 시대는 가마쿠라 시대 중에서 전란기와 안정기의 사에에 해당한다. 그 역사적 의미는 결코 작은 것이 아니다. 그러나 문학 작품에서 이 시대를 직접 고찰한 논고는 아직 찾아 볼 수 없다. 본 논문은 그 검토의 실마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Masukagami" is a historical story depicting the Japanese medieval Kamakura era.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time the war ended in the first half of the middle ages. Two volumes "Fujigoromo" "Mikami-Yama" are equivalent to that period These volumes has been located after the Jōkyū war. Nobility was overwhelmingly defeated by samurai in that war. I have defined this period as the "post-war in medieval Japan." During this time, national war was over, and aristocrat regime have sifted to samurai regime.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how did this literary works (written by the nobility) depict this transition. The narrative does not consider historical fact directly. Critics also does not exist. The author has followed the way of traditional literary works. He represented the historical facts vaguely. On one occasion, the author might not recognize simply. But at other times, he chose that method consciously. Two cases are mixed. I think this recognition of the past is related to the transition to the samurai regime from dynasty. This paper dealing with the valley between the war period and the stable period of the Kamakura perio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s never small. However, there is no paper discussed the period in connection with the literature directly. This paper is positioned as a beginning of that study.

      • KCI등재

        헤이안쿄[平安京]의 변용과 중세 초기 정권도시

        오노 마사토시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1

        본고는 중세도시연구의 관점에서 도성 헤이안쿄(平安京)가 중세 교토(京都)로 변화하는 계기와 그 의미, 그것이 새로운 무가(武家) 정권도시(政權都市)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하여 논하였다. 율령제 마지막 도성인 헤이안쿄는 천황을 절대적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이 동심원구조로 구현된 '왕성(王城)의 땅'이었으나, 10세기 후반 이후 도성의 구심점이었던 내리(內裏)가 헤이안큐(平安宮) 밖으로 나오는 등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도성의 이념과 틀이 급속하게 해체 변용되었다. 또 고대왕권을 대신하여 새로운 형태로 왕권과 여러 권력을 담당한 원(院)과 롱관가(瀧關家), 대두하는 무가권력 등이 그 본거지에 권력의 개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새로운 경관과 공간원리를 생성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1) 큰 정토정원을 갖는 御堂(사찰)과 세트를 이룬 御所(천황의 거소). (2)황통(천황가 내의 계통)과 가족의 상징으로서 조상을 모신 분묘를 중심으로 한 도시형성. (3) 내리를 기점으로 남북으로 주축을 갖는 고대도성과 달리, 어당과 어소가 동서로 배열된 동서가로를 주축으로 한 도시계획. (4) 수도와 외부를 잇는 교통의 결절점에 입지하였고, 특히 하천변을 향해 적극적으로 확장된 도시. 일본 중세는 무가정권의 시대를 맞이하여 도고쿠(東國) 초기 무가정권의 본거지 히라이즈미(平泉)와 최초의 막부가 열린 가마쿠라(鎌倉)가 모델로 한 것은 '도성 헤이안큐'가 아니라 헤이안큐 수도 밖 신도시의 경관과 공간원리였다. 특히 히라이즈미와 가마쿠라 등이 가정기관(家政機關)과 조상의 묘를 중심으로 한 '가족 원리'에 따른 정권도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단순한 도시의 모방이 아니라 주종관계를 축으로 의제적인 '집(家) 원리'로 권력이 형성된 무가에는 더욱 어울리는 논리이며, 또 고대와는 다른 새로운 시대의 논리였기 때문이다. 그 한편으로 무가의 대들보로서 무사들에 의해 추대된 초기 무가정권은 도시의 논리와 경관을 도입하였을 뿐 아니라 그들과 공통의 가치관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였다. 그것이 최신의 도시를 모방한 어당과, 그것과는 대조적인 도고쿠 무가의 전통적인 어소의 병립이라는 종교공간과 정치 일상공간에서의 권위표상의 의식적인 분리에 의해 표현되었다. 히라이즈미와 가마쿠라에서는 유통, 상공업 등의 도시기능과 도시적인 경관이 정비되기까지 약 50년의 시간이 경과할 필요가 있었다. 12세기 일본의 무가정권은 스스로의 거점으로서 도시를 기획, 형성하는 의식과 실현하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었는가 검토가 필요하다. 명확한 동아시아모델의 도성을 실현함으로써 왕권의 존재를 드러낸 고대 율령정권과의 차이점은 매우 크다. 이후 무가가 권력의 의도를 도시구조로서 명확하게 드러낸 것은 15세기 후반의 전국시대 다이묘(大名)의 죠카마치(城下町)로부터이다. 특히 16세기 후반부터 천하통일을 실현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연합정권에서는 구체적인 성(城)과, 그 성을 중심으로 한 계층성을 명시한 죠카마치의 공간설계가 있었다. 여기서는 다시금 '도시의 경관'이 명확한 권력의 상징으로서 기능하게 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