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般論文 : 차퇴계시(次退溪詩)를 통해 본 퇴계시의 계승 양상과 의미

        이명숙 ( Myeong Suk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5 No.-

        퇴계시는 농암 이현보로부터 시작하여 만구 이종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중기 이후에 꾸준히 차운되어 왔다. 그리고 107명의 작가가 284제의 작품으로 퇴계시를 차운하였다. 영남 지역 작가 가운데 퇴계 문인인 황준량의 차운시가 53제, 권호문의 것이 26제, 구봉령의 것이 21제나 된다. 이들은 모두 퇴계 생전에 활발히 교유했던 작가들이다. 또한 여타 지역의 문인도 퇴계시를 차운하였는데 서울·경기 지역, 충청지역, 강화도에 이르기까지 각 지역의 문인들이 사승관계와는 상관없이 퇴계시를 차운하고 있다. 이를 통해퇴계시가 영남 지역뿐만 아니라 여타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알수 있다. 이처럼 퇴계시는 영남 지역을 넘어서 전국적으로 여러 문인들에 의해 꾸준히 차운되었다. 이는 차운시를 통해 퇴계에 대한 흠모의 정을 표출하고, 퇴계의 정신을 계승하려고 했기 때문으로 파악할 수 있다. From Nongam, Lee Hyun-bo to Mangu, Lee Jong-gi, Toegye`s poetry has been consistently used rhythms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nd 107 writers have used rhythms of Toegye`s poetry with 284 pieces. Among writers in Yeongnam area, Hwang Joon-ryang as the Toegye school wrote 57 pieces of Chaun Poetry; Kwon Ho-moon 25 pieces; Gu Bong-lyeong 21 pieces. They all are the writers who kept company with lively in his living years. Also writers in other areas have used rhythms and writers in each area, ranging Seoul and Chungcheong area to Ganghwa Island have used rhythms without his followers. This goes to show that Toegye`s poetry has an effect not only Yeongnam area but also other areas. Like this, Toegye`s poetry has been consistently used rhythms by various writers beyond Yeongnam area into all over the nation. With Chaun Poetry, they expressed their affection of adoration about Toegye and we could find out that they tried to succeed the spirit of Toegye.

      • KCI등재

        퇴계 시의 자연 사상

        김봉건 퇴계학부산연구원 2007 퇴계학논총 Vol.13 No.-

        퇴계는 소박하게 자연을 사랑했다. 그는 산수를 사랑했고 자연물과 대화를 나누는가 하면 자연을 세속에서 얻은 병의 치유처로 여겼다. 퇴계는 또한 그가 처한 주위의 산수가 선계(仙界)로 통하는 길이라는 생각을 했다. 뿐만 아니라 어떨 때는 주위의 산수를 바로 선계와 동일시하기도 했다. 퇴계는 또한 자연과 산수를 소박하게 즐기면서도 이러한 현상적인 자연과 산수를 넘어선 근원자인 천도(天道)를 잊지 않는다. 퇴계의 시에서는 생생불식(生生不息)하는 천지자연의 생의를 읊은 시가 많다. 그리고 이 천지의 생의는 곧 음양(陰陽)과 건곤(乾坤)의 이치로 구체적으로 사사물물의 운행에 작용한다는 취지의 시도 많다. 그의 시에서는 또 이러한 초월적인 우주의 원리는 각개 사물의 내면에 구유되고 있다는 내재관적인 사유(思惟)도 있다. 퇴계의 시에서 재삼 확인되는 것은 그는 역시 도학자이고 철학자라는 사실이다 . 그는 산수를 대하면서도 자신의 도학 수련과 덕성함양에 주안점을 두는 자세가 시종 흐트러지지 않는다. 흔히들 도학자는 자칫 정서적인 면이 결여된 것처럼 여겨지지만, 원래 유교에서는 시교(詩敎)라는 것이 있어서 인간의 정서를 순화(純化)·징련(澄하는 예술적 자질의 함양을 중시한다 이런 점에서 퇴계 시에 나) . 練타난 그의 면모는 고도로 승화된 정서적 감성을 지니면서도 자기성찰과 천도(天道)에의 합치에 진력하는 투철한 이성의 소유자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그는 이와 같이 자연과 합치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단순히 주자학도(朱子學徒)를 넘어 그 자신 사해동포(四海同胞)의 포용심과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대 우주관을 지닌 웅혼한 사상가로 되어 갔던 것이다. T'oegye liked the nature ingenuously. He liked a naural scenery and had a talk with natural objects. He regarded the natural world as the clinic to cure an illness that man takes in the trivialities of life. And he thought that natural world is not only the way to the fairyland, but also is in itself the fairyland. In Chosun, confucians rejected the taocian thought entirely. T'oegye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who studied and taught the confucian thought in Chosun at 16th century. But he praised the taocian fairyland freely. It means that he was not a radical confucian to be absorbed in the economy and the ethics but a aestheticist to glorify the beauty of natural world. T'oegye did not only admire a natural scenery for its beauty, but also studied the logos of cosmos beyond it. In confucianism the logos of cosmos is "the will to be given life to all things"(生 意). There is a sentence in Yi-ching: the greatest virtue of Heaven and Earth is the generation(天地之大德曰生). This sentence means that the logos of cosmos is the basis of the world. There are many poems in which T'oegye praises the will of Heaven and Earth to be given life to all things ceaseless and to affect the movement of all things in its principles operating the universe: "Yin-yang"(陰陽) and "the Heavenly and the Earthy"(乾坤). But in some poems he manifested an immanence theory that all things had already the principles in it. In this viewpoint, multiple is the nature to be expressed in the poems T'oegye has composed. His poems clarify him to be a confucian philosophist. He cultivates his mind and body admiring mountain and river. It is important in the confucianism that a confucian philosophist has to train aesthetic aptitude to purify his passion. For this training the confucian students have to learn poeticizing. T'oegye poeticized also mountain and river in this meaning. He does not have only a feeling to purify all things, but also a reason to reflect himself and to direct his efforts to know the logos of cosmos and submit to it. In this respect he was not mere a student of Chu-xi(朱熹). Instead he developed into a great philosophist who has a cosmopolitan tolerance and a cosmological view to assert conformity of cosmos and man.

      • KCI등재
      • KCI등재

        論退溪詩與天人合一思想

        마정응 ( Zheng Ying Ma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7 동양예술 Vol.12 No.-

        통계에 의하면 退溪 李滉은 일생 동안 대량의 시가를 창작했고 현재 2,000여수가 남아 있다. 퇴계는 비록 國是와 민생의 疾苦에 관심을 갖지 않은 때가 없었고 內聖之學의 정치와 사회 효용에 관심을 가졌지만 관료가 되고자하는 심정은 없었다. 퇴계는 산림에 은거하여 인격정신의 추구 및 격물궁리의 실천공부의 결실을 중시하였다. 이런 삶을 산 퇴계의 시론은 자신의 성정론을 철학기초를 삼는다. 퇴계는 비록 禪家와 道家 사상의 영향을 받은 적이 없고 불가와 도가를 극력 배척하기도 하였지만, 그 시가에는 ‘文以載道’의 유가전통이 있으면서 또 도가가 자연을 숭상하는 문예사상과도 우연히 일치하는 특색을 보인다. 퇴계가 표현한 것은 주체와 자연의 천이 계합한 것, 즉 천인합일의 경지인데, 비록 퇴계가 이론적 측면에서 道家를 극력 배척하였지만 그 시가 중에는 도가사상을 암암리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퇴계는 특히 장자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안다’라는 사물과 나 둘이 冥合하여 표현해 낸 경지를 매우 欣賞하였다. 퇴계는 이처럼 자연과 매우 친근하였고, 이에 心靈과 자연은 융합하여 하나가 되고, 自我와 자연의 和諧의 세계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퇴계의 심미이론은 그 성정관에서부터 출발한다. 이황은 먼저 시가를 통하여 天理의 유행을 엿보고 천인합일의 경지에 契合하고자 한다. 퇴계는 본체로서의 理와 현상으로서의 詩를 체용관계를 통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퇴계 성정론은 천인합일에 도달하는 태도와 방법의 철학 기초가 된다. 퇴계는 詩歌는 性情에 작용하고, 성정이 발하는 것은 心體가 外物에 응하는 日用 공부 중에서 품부받은 氣의 맑음에 자뢰한다고 말한다. 퇴계는 “시는 비록 末技지만 性情에 근본한다”고 말한다. 특히 퇴계는 대자연의 운동 중에서 일종의 ‘즐거움[樂]’의 경지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이런 점에서 물질적인 자연산수를 형이상학화하여 義理의 도로 삼았다. 그리고 퇴계는 “天理가 유행함에 인욕이 사이할까를 두려워하였다. 이에 심령은 모름지기 物欲에 累가 되어서는 안 되고 功利에 움직여서도 안 된다고 보았다. 즉 마음의 虛明은 明鏡止水와 같아야 비로소 진정으로 도를 깨닫고 灑落한 천인합일의 경지에 진입한다는 것이다.다른 일방면으로 퇴계는 직접 자연산수에 들어가 그 말로 표현할 수 없지만 그것을 통해 깨달은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가 읊은 시는 歸隱하고자 하는 뜻과 산림에 대한 정감이 言表에 넘친다. 유가는 자연으로 매개를 삼아 도의에 通向하고 심성의 즐거움을 이養한다. 그것이 玄虛한 것을 숭상하거나 고상한 것을 일삼든지 혹은 道義에 기뻐하거나 心性을 기르는 것을 막론하고 모두 功利를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퇴계는 도리어 유가의 도의에 기뻐하거나 심성을 기르는 즐거움을 糟粕으로 생각한다. 이 때문에 퇴계가 시를 통해 말하고자 한 천인합일적 심미사상은 초공리적이고 비윤리적인 성분을 띠고 있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인간과 산수의 감성적이고 자연적인 契合을 더욱 중시하였다. 퇴계는 진정한 樂趣는 자연산수 자체에 머무름에 있다고 보았다. 2000여수의 시를 쓴 퇴계는 景과 意가 합쳐지는 천인합일을 더욱 중시하였고, 아울러 산림의 즐거움을 순수한 심미로서 원했다. 그리고 일체 事功 心理를 포기하고 심령을 明鏡止水하고 至虛至靜하게 하여 자유롭게 마음 그대로 즐기는 것과 감성적인 인생 樂趣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퇴계 시가미학사상 및 시가 창작 중에는 유가 ‘文以載道’의 이론이 분명하게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가가 자연을 숭상하는 문예사상도 암암리에 담고 있다. Yi Toegye’s poetics is philosophically based on his theory of Xing-Qing (similarly means natural instinct and sentiment), poetries act on Xing-Qing, leading mind to the correspondence between man andnature. His poetries are not only consistent with the classical thought of Confucianists on literature, which is embodied by the thinking of Confucian idealist on the original nature of morality, that is say, the form of beauty is no long an objective but for the realm of moral esthetics; but also contain the thought of the Taoists on literature, which is embodied on his view on nature like a Taoist, that to say, mind and scene are harmoniously closed to each other.

      • KCI등재후보

        연민 이가원의 퇴계학(退溪學) 연구에 대한 소고

        허권수 ( Heo Kweon-soo ) 연민학회 2019 淵民學志 Vol.32 No.-

        연민 이가원은 근세 한국을 대표하는 한문학 분야의 대학자이다. 그는 퇴계의 14대 후손으로서 퇴계가에서 나서 자라면서 우리나라 학자 가운데서 퇴계학에 대한 기초를 가장 튼튼히 하였다. 자라서는 문학을 연구하고 교육함으로 인해서 퇴계의 문학 분야를 위주로 연구하였는데, 특히 퇴계의 시가(詩歌)에 관한 연구가 많다. 특히 퇴계 시가의 산수지락(山水之樂)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여 시 속에 스며든 퇴계의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이 문학 속에 잘 나타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퇴계의 시 가운데서 원집(原集)에 실려 있는 것은 모두 다 번역하여 퇴계 시가 널리 보급되게 하여, 퇴계 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일어나게 한 공로가 있다. 그리고 연민이 지은 『한국한문학사(韓國漢文學史)』 등 문학사 3종에 퇴계의 한문학과 시조문학, 가사문학 작품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퇴계가 성리학 등에 정통한 대학자로서 유림(儒林)의 종사(宗師)에 오른 대학자이면서, 문학적으로도 우리나라를 대표할 우뚝한 위치에 올라 도문일치(道文一致)를 직접 실현한 문학자 임을 밝혀 문학사 상의 위상을 확정하였다. 연민은 또한 퇴계 제자 및 그 후학들의 5백 년에 걸친 계보를 밝혀 퇴계학파의 범주를 확정하였고, 학자 상호 간의 관계도 밝혔다. 특히 노론이 위주인 기호학파가 퇴계학파에 연원을 두었음을 밝혀, 학파 간의 융합에 도움이 될 것이다. 『퇴계제자열전(退溪弟子列傳)』은 퇴계 제자들의 학문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저작이다. 퇴계의 제자록인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이 전기적(傳記的) 내용과 퇴계와의 관계에 주중(注重)한 데 비하면, 제자의 학문과 사상을 깊이 있게 다룬 특장이 있다. 연민 나름대로 제자의 비중을 두어 서열을 정하였다. 연민은 퇴계의 문학과 학파 계보에 관한 연구를 하여 퇴계와 그 학문을 밝혀 현대에 퇴계학이 다시 살아나게 하는 데 학문적으로 큰 공헌을 하였다. 전공을 문학에 한정하여 성리학 등 퇴계 철학에는 연구가 미치지 못하였지만, 퇴계를 가장 종합적으로 깊이 있게 연구하는 데도 가장 뛰어났다고 볼 수 있다. Yi Kawon was an eminent Classical Chinese scholar of early modern Korea. He was a leading scholar of Yi T’oegye as a fourteenth-generation descendant and member of his scholarly lineage. Yi studied literature growing up, later studying his ancestor’s literary writings, particularly his poetry. He focused on T’oegye’s poems appreciating landscapes, as they were imbued with his philosophy of Heaven and Man being one. Yi also translated all the poems in T’oegye’s first edition anthologies, helping to disseminate them widely and set the groundwork for research on his poetry. In A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Hanguk hanmunhak sa), he expounded on the three categories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especially of his own ancestor), sijo poetry, and kasa poetry. This book confirmed T’oegye’s place in Korean literature by demonstrating how his writing encapsulated his moral philosophy as a grandmaster of the rural Neo-Confucian scholars Yi Kawon also traced the scholarly lineages of T’oegye’s disciples through five centuries, broadening the T’oegye school’s reach and explori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scholars. In particular, he demonstrated how the Noron faction, based on the Kiho school, found its origins in the T’oegye school as a helpful example of combining intellectual lineages. Biographies of T’oegye’s Disciples (T’oegye jeja yolchon) was an important work on the scholarship of the T’oegye school. With more biographic details on the relationship of the disciples with their master than Record of the Gentlemen Disciples of Tosan (Tosan kŭmmun chehyollok), it was remarkable for its in-depth analysis of their scholarship and ideologies. Yi also ranked their importance according to his own judgement. Through these scholarly endeavors, Yi Kawon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reviving T’oegye studies in the modern day. Although his specialization in literature limited him from studying Yi T’oegye’s philosophy or Neo-Confucianism, his research allowed him to become the greatest scholar on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f the man.

      • 퇴계 이황의 시와 천일합일 사상을 논함

        马正应 한국동양예술학회 2007 동양예술 Vol.12 No.-

        退溪诗论以其性情论为哲学基础,诗歌作用于性情,使人心于动静之际,窥天理之流行,契天人合一之境。其诗歌实践既有“文以载道”的儒家传统,表现为理学家对理、对天德彝伦的本原性质的思索,美的形式本身并不是目的,而是循此进入道德审美境界;又暗合于道家崇尚自然的文艺思想,表现为道家对自然的亲近之情,景与.意会,获得自由赏适的、感性的人生乐趣。

      • KCI등재

        退溪詩作中呈現的中華印象考

        李燕 ( Li Ya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39 No.-

        대유학자인 이황은 뛰어난 시인이기도 하다. 그가 생애에 남긴 시편은 2천여 편이며, 형식이 다양하고, 길이도 다 똑같지 않으며, 소재가 풍부하고, 기교가 능숙하며, 인용된 고전도 풍부하여 연구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전적과의 관계, 정신 세계의 중화 요소를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중년에 지은 대표적인 23편의 시를 골라 해석하고, 이황이 평생 열람한 중국 고대 경전의 광범성과 그 위에서 구축된 정신 세계의 중화 요소를 발견하였다. 이황은 잘 알려진 유가의 경전 외에도 경사자집 중 『史記』 『漢書』 『晉書』 등으로 대표되는 史部, 『莊子』 『世說新語』로 대표되는 子部, 唐宋明의 각종 시인의 시집으로 대표되는 集部 등 폭넓은 중국 고대 경전을 섭렵했고, 『咸淳臨安志』 『武夷志』로 대표되는 지방지 등도 포함하여 섭렵했다. 이방대한 중국 고대 경전의 독서를 바탕으로 ‘長江’ ‘白蓮社’ ‘蜀道’를 비롯해 杜牧, 夏侯玄, 樊姬 등 중화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시가에 들어가 정신세계의 어떤 상징이 되고 후세에 중화에 대한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作為一代大儒的李滉, 同時也是一位傑出的詩人。其一生所留詩篇兩千餘首,體例多樣, 長短不一, 題材豐富, 手法嫻熟, 用典繁多, 具有極大的研究價值。本文僅從分析其與中國典籍的關係、精神世界中的中華元素出發, 選取了其創作於中年時期的具有代表性的二十三首詩作進行剖析, 並發現了李滉平生所閱覽漢典的廣泛性及在此基礎上建構的精神世界中的中華因子。李滉除了眾所周知的儒家經典以外, 還涉獵了經史子集中以『史記』 『漢書』 『晉書』等為代表的史部、以『莊子』 『世說新語』為代表的子部、以唐宋明各大詩人詩集為代表的集部等廣範圍的漢典, 另外還包括以『咸淳臨安志』 『武夷志』為代表的地方志等。在這龐大的漢典閱讀基礎上, ‘長江’‘白蓮社’‘蜀道’及杜牧、夏侯玄、樊姬等中華因素都自然而然地進入其詩歌中, 稱為其精神世界的某種象徵, 也為後人呈現出了其對中華的印象。 As a great Confucian scholar, Yi Hwang is also an outstanding poet. He left more than 2,000 poems in his life, with various styles, different lengths, rich themes, skilled techniques, and a lot of dictionaries, which have great research value. Based on the analysis of its relationship with Chinese classics and the Chinese elements in the spiritual world, this paper selects 23 representative poems written in the middle-aged period for analysis, and finds the extensiveness of the Chinese classics that Yi Hwang read in his life, and also the Chinese factor in the spiritual world constructed on this reading basis.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Confucian classics, Yi Hwang also dabbled in the history section represented by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Book of Han, Book of Jin, etc., scholar section represented by Zhuang Zhou and A New Account of the Tales of the World, literature section represented by the poetry collections of many famous poets from Tang dynasty, Song dynasty to Ming dynasty. The Chorography of Lin’an During Xianchun Era and The Chorography of Wuyi are included, too. Based on reading this huge Chinese scriptures, Chinese factors such as ‘Yangtze River’, ‘White Lotus Society’, ‘Shu Road’, Du Mu, Xiahouxuan, Fan Ji all naturally entered his poems, which are called some symbols of his spiritual world, and also presented his impression of China for later generations.

      • KCI등재

        퇴계의 음악,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립을 위한 가능성 모색

        박정련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The theoretical basis of musical therapies now in practice in Korea is on the thoughts of ancient Greek philosophers. Accepting and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iques and methods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ories and musical pedagogics, Korean musical therapie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Korean people and societ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e pioneers of the Western musical therapeutics, thought every disease came from the loss of order, and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body and mind should be regained by the use of music. Their emphasis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tol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order and harmony. Those Joseon scholars who accepted confucianism thoroughly recognized that body and mind, social interactions, nature and all creatures are intertwined as one organism by people’s using music as a way of training their body and mind. I examined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by Toegye’s idea on music. His idea on music originated from the music of ancient saints and it stood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beings, society and all creatures. He also suggested that music should manifest human being’s good will. Toegye transcribed Hwalinsimbang in order to make people keep their health, control their emotions and live long lives together. The book says that human body has a close relation with music, and harmonized emotion through music can bring in health. Not only did he menti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health,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emotion in many writings but he led it by personal example by creating “Dosansibigok” at the age of sixty-five. The purposes of “Dosansibigok” are: First, to change an individual’s character and trait; Second, to replace obscenity, gaudiness, pride, and debauchery with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He confirmed who needs the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and mentioned clearly the ways and effects of musical therapy in the epilogue of “Dosansibigok”. The music of Toegye could be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and could be a cornerstone for healing. 현재 한국에 성행하는 음악치료의 이론적 근거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유에서 출발하여, 서양의 여러 심리이론과 음악교육방법론 등 다양한 음악치료의 기법과 방법들을 형성하며 발전하였고, 나아가 인간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서양 음악치료학의 토대를 이루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모든 질병을 질서의 상실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았고, 음악의 사용을 통해 육체와 마음 사이의 질서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동아시아의 정신세계를 오랫동안 지배해온 유가(儒家)의 음악사상, 즉 우주만물의 질서와 조화의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유가의 사상을 수용한 조선조 선비들은 심신수양(心身修養)의 일환으로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몸과 마음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맺음과 자연과 우주만물이 하나의 유기체로 형성되어 조화와 질서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철저하게 인식하였다. 필자는 한국의 유학자를 대표하는 퇴계의 음악관으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해 보았다. 퇴계의 음악관은 고대 성현들의 음악을 지향한데서부터 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인간과 사회, 천지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표방한다. 또한 사람의 선한 성정의 발로체가 음악이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감정을 잘 다스려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다 함께 오래살수 있도록 하기위해 『 활인심방』을 필사하여 전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몸과 음악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을 통한 조화로운 감정상태가 건강을 결정지어주는 중요한 당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음악과 건강, 음악과 감정과의 관계를 여러 글에서 언급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도산십이곡」에서 음악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도산십이곡」의 창작목적은 한 개인의 성정과 기질을 변화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에 전반적으로 확산된 음란하고 현란함이 묻어나는 정서와, 오만하고 방탕하며, 방자하게 희롱하는 공동체의 분위기, 세상을 희롱하며 공손하지 않는 정서를 온화하고 너그러우며 독실하고 중후한 정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퇴계는 「도산십이곡발문」에서 ‘온화하고 너그럽고, 독실하고 중후한’[溫柔敦厚] 정서가 필요한 대상이 누구인지, 그리고 음악치유의 방법과 그 기대효과가 무엇인지 명확히 언급하였다. 이는 퇴계의 음악이 치유적 측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자의 사유를 토대로 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 KCI등재

        퇴계의 음악,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을 위한 가능성 모색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현재 한국에 성행하는 음악치료의 이론적 근거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유에서 출발하여, 서양의 여러 심리이론과 음악교육방법론 등 다양한 음악치료의 기법과 방법들을 형성하며 발전하였고, 나아가 인간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서양 음악치료학의 토대를 이루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모든 질병을 질서의 상실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았고, 음악의 사용을 통해 육체와 마음 사이의 질서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동아시아의 정신세계를 오랫동안 지배해온 유가(儒家)의 음악사상, 즉 우주만물의 질서와 조화의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유가의 사상을 수용한 조선조 선비들은 심신수양(心身修養)의 일환으로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몸과 마음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맺음과 자연과 우주만물이 하나의 유기체로 형성되어 조화와 질서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철저하게 인식하였다. 필자는 한국의 유학자를 대표하는 퇴계의 음악관으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해 보았다. 퇴계의 음악관은 고대 성현들의 음악을 지향한데서부터 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인간과 사회, 천지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표방한다. 또한 사람의 선한 성정의 발로체가 음악이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감정을 잘 다스려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다 함께 오래살수 있도록 하기위해 『활인심방』을 필사하여 전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몸과 음악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을 통한 조화로운 감정상태가 건강을 결정지어주는 중요한 당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음악과 건강, 음악과 감정과의 관계를 여러 글에서 언급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도산십이곡」에서 음악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도산십이곡」의 창작목적은 한 개인의 성정과 기질을 변화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에 전반적으로 확산된 음란하고 현란함이 묻어나는 정서와, 오만하고 방탕하며, 방자하게 희롱하는 공동체의 분위기, 세상을 희롱하며 공손하지 않는 정서를 온화하고 너그러우며 독실하고 중후한 정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퇴계는 「도산십이곡발문」에서 ‘온화하고 너그럽고, 독실하고 중후한’[溫柔敦厚] 정서가 필요한 대상이 누구인지, 그리고 음악치유의 방법과 그 기대효과가 무엇인지 명확히 언급하였다. 이는 퇴계의 음악이 치유적 측면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자의 사유를 토대로 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The theoretical basis of musical therapies now in practice in Korea is on the thoughts of ancient Greek philosophers. Accepting and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iques and methods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ories and musical pedagogics, Korean musical therapie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Korean people and societ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e pioneers of the Western musical therapeutics, thought every disease came from the loss of order, and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body and mind should be regained by the use of music. Their emphasis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tol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order and harmony. Those Joseon scholars who accepted confucianism thoroughly recognized that body and mind, social interactions, nature and all creatures are intertwined as one organism by people’s using music as a way of training their body and mind. I examined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by Toegye’s idea on music. His idea on music originated from the music of ancient saints and it stood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beings, society and all creatures. He also suggested that music should manifest human being’s good will. Toegye transcribed Hwalinsimbang in order to make people keep their health, control their emotions and live long lives together. The book says that human body has a close relation with music, and harmonized emotion through music can bring in health. Not only did he menti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health,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emotion in many writings but he led it by personal example by creating “Dosansibigok” at the age of sixty-five. The purposes of “Dosansibigok” are: First, to change an individual’s character and trait; Second, to replace obscenity, gaudiness, pride, and debauchery with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He confirmed who needs the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and mentioned clearly the ways and effects of musical therapy in the epilogue of “Dosansibigok”. The music of Toegye could be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and could be a cornerstone for he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