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複合助詞「上で」の用法と助詞「で」について

        신의식 ( Shin¸ Yi-shick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9

        본고는 일본어 복합조사 「上で」의 용법과 조사 「で」에 대해서 해당형식이 가진 문법적인 특징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上で」는 선행연구에서 그 의미와 용법이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으며, 특히 馬場(2006)의 분석에서는 「上で」가 격성분적 용법과 동시용법(접속조사적)으로 나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용법을 나누는 기준이 간단한 면이 있고, 「上で」가 가진 문법적 특성을 고려하면 간단히 나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해당 형식이 복합조사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우선 「上で」가 가진 문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上で」는 격성분적 특징과 접속조사적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고, 그러한 특징의 강약에 따라 격조사적 특징과 접속조사적 특징이 연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그러한 연속성 상에서 격조사적 특징이 강한 「上で①」과 접속조사적 특징이 강한 「上で②」가 존재한다. 한편 복합조사를 이루는 조사 「で」에 관해서도 분석하여, 해당조사가 본래의 격조사 「で」의 성질이 희박화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서도 「上で①」의 「で①」는 격조사의 성질이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上で②」의 「で②」는 격조사의 성질이 희박화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사 「で①②」간의 격조사 성질의 희박화도 연속성을 가지고 파악되고 있어, 이러한 연속성이 「上で①」와 「上で②」의 용법상의 연속성에 관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복합조사 「上で」를 「で」의 격조사성의 희박화와 함께 복합조사화 된 형식으로 파악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usage Japanese compound particle ue-de and particle de in detail. The meaning and usages of form ue-de have analyzed by precedent researches. In research of Baba(2006), especially ud-de has two uses that are Case use and Concurrent use(conjunctive use). However the criterion to distinguish these uses was simple, when we consider the grammatical features of ue-de, it is hard to divide the usages of this form. First, I analyzed ue-de which is compound particle. As the result, ue-de has the two feathers of case particle and conjunctive particle. I noticed that there is the continuity of between feachers of case particle and feacher of conjunctive particle by the strength of the these feachers. Therefore, there are ue-de① which has the feacher of case particle and ue-de② which has the feacher of conjunctive particle. Second, I grasped that particle de, which is an component of compound particle ue-de, is weaken. It was cleared that the de① of ue-de① has a little property of case, and de② od ue-de② has been weaken its property of case. Furthermore, the particles between de① and de② are analyzed on the dilution in the property of case.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dilution of the property of case in de①② concerns the continuity of ue-de① and ue-de②. In conclusion, it is understand that ue-de is the form which becomes the compound particle with the dilution of property of case de.

      • KCI등재

        釋讀口訣의 處格·冠形格 複合助詞

        김지오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forms of locative and genitive combinational case marker in Seoktokgugyeol, to classify those forms by semantic types and to discuss the problems of morphological analysis. In Seoktokgugyeol, there are three forms of locative and genitive combinational case markers which are ‘’ and ‘’ and ‘. In contrast with ‘앳’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15th century Korean, those forms are simply divided two semantic types. First type has this following form ; specific location or time presents on an antecedent noun phrase(NP1) and human or inhuman noun(situation) presents on a following noun phrase(NP2). At this time ‘’ is interpreted as ‘be located in/at,exist, happenㆍtake place in/at’. Second type has this following form ; a category presents on an antecedent noun phrase(NP1) and object belonged to the category presents on a following noun phrase(NP2). At this time ‘’ is interpreted as ‘among, of’. The combinational case marker is synchronically analyzed in locative and genitive,so ‘’ could be analyzed ‘’ and ‘’. But there is no locative case marker such as ‘’ in Seoktokgugyeol and grammatical function of ‘’ separated from ‘’ is completely equal to ‘’. This is estimated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by extinction of locative ‘’. Although morphologically ‘’ seems to be in succession to '阿叱' which is appeared on Hyangga, a grammatical function of ‘’ is substituted by ‘’. However, analysis of ‘’ is similar as ‘’. ‘’ is regarded as a combinational form of ‘’ and ‘’, seeing how grammatical function of ‘’separated from ‘’ is completely equal to ‘’. 석독구결의 처격ㆍ관형격 복합조사에는 ‘(앗)’ 이외에도 ‘(읫)’, ‘(긧)’이라는 형태가 더 존재한다. 다양한 의미 유형을 갖는 15세기 국어의 ‘앳’과달리 석독구결의 처격ㆍ관형격 복합조사에서는 두 가지 유형만이 확인된다. 첫 번째 유형은 선행명사에 구체적인 장소ㆍ시간이 제시되고, 후행명사에는그 장소ㆍ시간에 존재하는 유정물ㆍ무정물(사건)이 제시되는 유형으로, 이들은‘~에 있는, ~에 존재하는’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유형은 선행명사에 집단이나 범주가 제시되고, 후행명사에는 그 범주에 속하는 대상이나 그 범주의 등급이 제시되는 유형으로, ‘~중에서, ~가운데, ~의’로 해석된다. 한편 처격조사 ‘아’는 향가 자료에서만 확인되는 형태로 석독구결에는 보이지않는 형태이다. 이는 우연한 공백이 아니라 형태의 부재일 가능성이 크며 실제로 향가에 사용된 단독 처격의 ‘良(아)’가 다른 처격조사들로 대체되는 정황들도포착된다. 따라서 석독구결의 ‘(앗)’이 형태적으로는 향가의 ‘阿叱(앗)’을 계승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단독 처격 ‘아’의 쇠퇴로 인해 ‘(앗)’의 ‘(아)’가보여주는 문법적 기능은 ‘(아긔)’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읫)’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읫)’은 형태상으로는 특이처격의 ‘(의)’와 관형격의 ‘(ㅅ)’으로 분석되지만 ‘(읫)’의 ‘(의)’가 보여주는 문법적기능은 ‘(의)’가 아니라 ‘(의긔)’와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 KCI등재

        複合格助詞 「-を通じて」に関する一考察

        裵晋影(배진영) 동아시아일본학회 2013 일본문화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한국어 “~을 통해”에 대응하는 일본어 복학격조사 “~を通じて”와 “~を通して”의 문법교재를 중심으로 의미용법을 고찰하고 한국어 “~을 통해”에서 일본어 “~を通じて“로의 대응에서의 오용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문법서에 따른 복합격조사 “~を通じて”와 “~を通して”의 특징은 “문체”, “의지성”, “시각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따라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앙케이트 조사를 통해, “~을 통해”의 “~を通じて”로의 대응이 “적절하지 않다”가 30%나 되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그 중, 수단을 나타내는 문장의 경우, “~を通じて”으로의 대응에 “부적절”하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を通して” 또는 수단을 명확히 나타내는 조사 “で”、“によって” 등 으로의 대응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을 통해”에서 일본어로의 대응에는 의지적인 술어동사가 오는 경우 “~を通じて”의 대응에 대다수의 일본어 모어화자가 위화감을 느끼고, “~を通して”의 대응이 적절하게 느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복합 격조사에 대하여

        유경화(Liu, Qing-hua)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atalog,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korean complex adverbial case marker on the basis of the korean complex particle’s concep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firstly all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record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Yonsei Korean Dictionary’ were presented. And then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fluid forms and the complex adverbial case markers was set up.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is 8 complex adverbial case markers in korean. Finally, ‘eso, edaga’, ‘robuteo, roseo’, ‘ero’ which means ‘location’, ‘a starting point’, ‘direction’ were researched. And also ‘irago’, ‘bogo’, ‘hago’s’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were studied.

      • KCI등재

        접속조사로 기능하는 「ところを」에 대해서

        신의식 ( Yi Shick Sh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7 No.1

        본고에서는 「ところを」가 접속조사로 기능할 때의 구문을 대상으로 하여, 「ところを」의 의미적 특징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ところを」의 접속조사 용법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주로 「ところを」의 전반적인 의미내용과 용례를 중심으로 고찰되었으나, 그러한 특징이 구체적으로 문장 속에서 드러나는 방식에 대해서는 분석되어 있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ところを」가 접속조사로 기능할 시, 「ところを」절 내부 의 사태가 ‘당위성’, ‘사태미성립’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중 ‘당위성’은 「ところを」절 내부의 당위내용을 나타내는 모달리티 표현의 존재, 혹은 문맥적 표현으로 인해 드러난다. 또한 ‘사태미성립’에 대해서, 절 내 부의 사태는 당위성 판단을 위한 전제이므로 성립하지 않은 사태만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ところを」절 내부가 모탈리티적 특징을 가 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때 「ところを」절은 격조사용법이 아닌 접속조사용 법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이러한 「ところを」절 내부의 의미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모달리티적인 특성은, 문말표현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데, 그 문말표현으로「ところ だった」의 용법을 들 수 있다. 접속조사로 기능하는「ところを」는 문말표현 「ところだった」와 공통하는 의미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문장 속에서 교체가 가능한 것이 확인된다. 그러므로 양쪽의 「ところ」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ところ」에 붙는 조사「を」는, 「ところを」절 내부의 의 미적 특징으로 인해, 격관계표시기능이 약해진 것으로, 「ところを」와 같이 복합된 형태의 접속조사로 기능한다고 여겨진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ところを」는, 문말표현「ところ」와 격관계표시 기능이 약해진「を」가 결합한 접속조사로 볼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o", when "tokoro o" works as conjunctive particle in sentences. Precedent studies on The conjunctive particle use of "tokoro o" have been considered centering around meaning properties and examples, but it didn``t be analyzed in details that how this properties represent in sentences. In this study, I understood that inner event of "tokoro o" has "appropriateness" and "non material event", when "tokoro o" is used as conjunctive particle. The "appropriateness" is appeared by existence of modality expressions or contextual meanings that are included appropriateness in "tokoro o" clause. Besides, I grasped that event in its clause is "non material event". When these properties shows that "tokoro o" clause has modality feature,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okoro o" clause is not case particle use but conjunctive particle use. According to these meaning properties in "tokoro o" claus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s modality features are related to "tokoro da" representa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both representations can be exchanged in each sentence, because "tokoro o" of conjunctive particle use is similar to "tokoro da" on its meaning properties. Thus I conclude that both "tokoro" which of "tokoro o" and "tokoro da" are same. As there are these properties in "tokoro o" clause, case marking function of case particle "o" become weak and the "o" combines with "tokoro" in order to work conjunctive particle. From these considerations I conclude that "tokoro o" is work as conjunctive particle that "tokoro" which has modality features and "o" which is weakened function of case marking are combined.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복합격조사의 습득에 관한 연구 -일본어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중심으로-

        정혜지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일본언어문화 Vol.32 No.-

        In this paper, the learning situation of Korean Japanese learners of the middle and high levels who have studied Japanese complex case particles was investigated for the Japanese complex case particles having multiple forms such as 「nituite/ nitaisite」(=ey tayhayse in Korean), 「nitotte/nioite/niatte」(ey issese in Korean), 「nisotte/nisitagatte」(ey taraseo in Korean), and 「nikakete/niwatatte」(ey geolchoeseo in Korea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effective guidance methods using the differences among these complex case particles and their proper usage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complex case particles was 60.3% which indicates that the learning of complex case particles is not easy. Next, the complex case particles that receive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were 「nituite/nitaisite」, followed by 「nikakete/niwatatte」, 「nisotte/nisitagatte」, and 「nitotte/nioite/niatte」.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nituite/nitaisite」 was 86.7% and the lowest for 「nitotte/nioite/niatte」 was 48.2%. Thus, learning of the complex case particles 「nitotte/nioite/niatte」was much more difficult.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and the learners’ levels for each example sentence of complex case particle was examined. For example sentences that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higher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but some example sentences that showed low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learners’ levels.

      • KCI등재

        중세국어 복합조사 ‘엣’의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 ‘ㅅ’의 문법화 과정을 중심으로

        조영헌(Jo Young-Heon)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3 No.-

        본고에서는 존재동사의 문법화 가능성에 기반하여 ‘NP1이 NP2에 있다’ 구성을 중심으로 통사 단위 결합체 ‘-에 # 이시/잇-(존재동사)/시-(존재보조동사)’에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세국어 복합조사 ‘-엣’과 ‘-에셔’의 발달 과정을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문법화가 일어나는 ‘통사 단위 결합체’ ‘에 # 이시/잇-(존재동사)’에서 ‘-에 이셔 > -엣’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에 # 시-(존재 보조동사)’에서 ‘-에 # 시- + -어 > -에셔’로 발전하는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NP1이 NP2에 있다’ 구성에서 ‘에셔’로 발달했을 가능성을 추정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존재동사가 선행체언과 맺는 논항 관계와 ‘존재’, ‘소유’, ‘소재’의 의미를 통해 ‘-엣’으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엣’ and ‘-에셔’, a compound particles in the Middle Korean language, which are assumed to have developed from the syntactic unit combination ‘에 # 이시/잇- (existential verbs)/시- (existing auxiliary verb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grammaticalization of existential verbs,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NP1이 NP2에 있다’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yntactic unit combination where grammaticalization occurs from ‘에 # 이시/잇- (existential verbs)’ to ‘에 이셔 > -엣’ and from ‘에 # 시- (existing auxiliary verbs)’ to ‘-에 # 시- + -어 > -에셔’.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the composition of ‘NP1이 NP2에 있다’ to ‘에셔’. However, this paper presumes that it is not ‘에셔’ but ‘엣’ through the argument relation between existential verbs and preceding noun phrases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possession’, and ‘location’.

      • KCI등재

        복합격조사 「について」의 의미·용법의 분석

        정혜지(Hye Ji Jung) 언어과학회 2005 언어과학연구 Vol.32 No.-

        A complex case particle is composed of a case particle and an independent word, i.e,, a verb,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other case particles. Previous studies have explained just the meanings of 「について」, but have not made an analysis of its usage. And their object of studies have been just verb sentences co-occurring with 「について」, According to the results of usage examples, it has been revealed that adjective sentences and adjectival verb sentences can co-occur with 「について」. Therefore, it can safely be said that previous studies have not explored what predicates can co-occur with 「について」. So this paper makes an analysis of usage examples of verb sentences, adjective sentences, and adjectival verb sentences to classify the meanings and usages of 「について」, and explores in detail what kind of semantic relations 「について」 can have in its individual usages.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について」 and 「については」 in their meaning and usage is that, 「について」 has the function of establishing a theme which is the object of a action or state, while 「については」 has the function of offering an independent topic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sentence.

      • KCI등재

        복합격조사 「にとって」와 「に」의 교체에 관한 분석

        정혜지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4 일본언어문화 Vol.29 No.-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hange between 「nitotte(にとって)」 and dative subject 「ni(に)」 within the common environment of sentence structure and semantic classifications-(1) possession, (2) feeling, (3) emotion, (4) determination, (5) need, and (6) possibility; the result of which is as follows. (1) If 「nitotte(にとって)」 indicates the possession of an abstract thing (koto(こと)), the sentence with it constitutes a grammatical one, in which 「nitotte(にとって)」 can be exchanged with dative subject 「ni(に)」. (2) Dative subject 「ni(に)」 can be used with sense adjectives to indicate the subject who feels such sense while a sense adjective in the sentence using 「nitotte(にとって)」 makes the sentence grammatical only when it is interpreted to mean the emotion at an object. (3) Dative subject 「ni(に)」 and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indicates a subject who feel a sense within the relationship where a noun meaning a person is before the cases and a noun having a sense adjective meaning is after the cases; in which case,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and dative subject 「ni(に)」 can be exchanged each other. (4) Dative subject 「ni(に)」 and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is located between a noun indicating a person and subsequently a verb meaning value determination or evaluation on a limited basis, indicating a subject who determines subjective value or makes an evaluation; in which case,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and dative subject 「ni(に)」 can be used on an exchangeable basis. (5)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and dative subject 「ni(に)」 is indicating a subject who needs an object; in which case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and dative subject 「ni(に)」 can be used on an exchangeable basis. (6) Dative subject 「ni(に)」 takes the possibility expression in the predicate to indicate the ability for an object while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takes the impossibility expression in the predicate to indicate not an ability but an internal determination for an object. In this case, likewise, complex case 「nitotte(にとって)」 and dative subject 「ni(に)」 can be used on an exchangeable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