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명기 법전에 드러난 약자의 인권 -신명기 법전의 역사-문학적 비평 연구

        이용화(Lee, Yonghwa)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1 No.-

        In this time when the polarization between the strong and the vulnerable, both socially and economically, is becoming increasingly worse, I have naturally asked myself, ‘Is there any solution?’ As a theology major, I attempted to find a clue that could resolve this problem in the Old Testament. I looked first at the Covenant in the Book of Exodus, and subsequently at the Deuteronomic Code in Deuteronomy. While the Deuteronomic Code (Deut 12-26) makes comments on laws related to actual realities, I looked specifically at the part related to ‘human rights of the underprivileg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historic-literary criticism. The underprivileged classes that were typically characterized as the socially vulnerable at that time were ‘Hebrews, Gentiles, widows, orphans, and poor people,’ making them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nderprivileged in our society today. Even in today’s society, one does not have to look too far to find the modern-day equivalent of slaves, foreign workers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and orphans and poor people who are suffering at the lowest levels of society. Needless to say, we are much better off than in the past, but what the underprivileged need is the right to live as human beings, along with social attention, which means that human rights should be put ahead of anything else, not to mention material benefits. The Deuteronomic Code found the need to guarantee the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vulnerable due to Israel’s historical experience, namely, the experience of being liberated by the Lord from servitude to Egypt, and put forward the idea of equality as the main principle that the Israeli people were equal before the Lord. In the Deuteronomic Code, the security of human rights for the weak means that the strong must recognize the vulnerable as equals and treat them as brothers and sisters, rather than a trivial form of sympathy in which the strong take off some portion of the surplus and give it to those with less. This idea of equality is a key not only to securing the human rights of the vulnerable, but to keeping the community healthy. The fact that we can find a clue to resolving the polarization between the socially strong and the vulnerable in the spirit of ‘equality’ in the Deuteronomic Code of Old Testament times can teach us a great deal. 필자는 “사회-경제적 강자와 약자 간의 양극화 현상이 점점 심각하게 대두되는 이 시대에 이를 풀 수 있는 해법은 없는가?” 라는 자문을 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작은 단초를 신학을 공부하는 학도로서 구약성경에서 찾아보았다. 그 첫 번째 해결의 실마리를 탈출기에 나온 ‘계약법전’과, 그 후속으로 나온 신명기의 ‘신명기법전’을 통해 찾아보았다. 신명기법전(신명 12-26)은 여러 현실적 상황과 관련된 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필자는 특히 신명기법전에서 ‘약자의 인권’과 관련된 부분을 역사-문학적 비평을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당시 사회-경제적 소외계층은 ‘히브리 종’, ‘이방인, 과부, 고아, 가난한 이들’로, 이는 현재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과 별반 다르지 않다. 현 사회에서도 현대판 노예들이 있고, 차별대우 받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있으며, 고아와 가난한 이는 사회의 밑바닥에서 시름하고 있다. 물론 과거에 비해 현재의 삶이 풍요로운 것만은 틀림없지만, 소외 계층에 필요한 것은 물질적 혜택 이외에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인간답게 살 권리, 즉 ‘인권’이 우선되어야 한다. 신명기 법전은 사회-경제적 약자의 인권 보장에 대한 근거를 이스라엘의 역사적 체험, 즉 하느님이 이스라엘을 이집트의 종살이에서 해방시키셨다는 역사적 체험에서 찾으며, 모든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 앞에서 평등하다는 평등사상을 기치로 내세운다. 신명기법전에서 ‘약자의 인권 보장’이란 강자가 약자에게 남은 것을 일부 떼어 주는 얄팍한 동정이 아닌, 약자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그들을 형제자매로 평등하게 대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평등사상은 약자의 ‘인권’을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공동체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비결이기도 하다. 사회적 강자와 약자의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구약시대에 작성된 신명기법전의 ‘평등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신명체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하진숙 ( Jin Sook Ha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0 No.-

        신명은 한국인의 미적 정서이자 한국문화의 핵심적 가치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신명이 어떤 점에서 미적인 특질을 지니는지,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신명 체험이 단일한 성격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대답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신명체험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공통된 특질을 미적인 차원에서 조명하고 있다. 고전 자료에 나타난 신명(神明)의 의미 구조를 살펴보면, 신명(神明)은 외재적 신(神)과 내재적 명(明)이 결합된 용어이다. 신(神)은 신령이나 신령스러운 힘을 뜻하고 명(明)은 신령스러운 힘을 드러내는 직관이나 통찰력을 뜻한다. 신(神)과 명(明)의 결합은 북을 두드리고 춤을 추어 신의 뜻을 드러내 보이거나, 정신을 밝게 하여 천지변화의 이치를 깨닫거나, 눈과 마음의 작용을 버림으로써 대상과 합일되는 경지로 설명되고 있다. 신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될 수 있으며 체험의 유형에 따라 양태나 양상이 다르다. 신명체험은 접신체험으로서의 신명, 노동체험으로서의 신명, 한풀이로서의 신명, 예술적 체험으로서의 신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유형별 양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신과의 일체감, 감정적 고양, 직관적 통찰, 몽환적 부유, 황홀경, 무아경, 집단적 난장(亂場), 초월, 깨어있음, 밝음, 해방감, 치유, 씻김, 충만함, 창조적 비약, 전체로서의 세계인식, 인식의 용해, 몰입, 망아, 도취, 열광 등으로 나타난다. 이를 토대로 신명체험의 질적 공통성을 뽑아보면, 첫째, 신명체험은 관심과 몰입을 필요로 하는 특징이 있다. 신명은 적극적인 관심과 몰입에 의해 상호작용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체험된다. 신명이 경험 그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고 집중하면서 경험 안으로 빠져들 때 일어나는 적극적인 체험이라는 점에서 관심과 몰입은 신명체험에 전제된 미적 태도라 할 수 있다. 둘째, 신명체험은 자아의 실존적 지평이 상실되면서 존재의 확장과 초월을 경험하는 특징이 있다. 관심이 지향하는 바에 깊숙이 빠지게 되면 나와 세계를 구분하는 인식 작용이 멈추면서 나라는 존재는 망각되고 세계가 통합된 전체로 들어오게 된다. 이는 접신상태에서 느끼는 신과의 일체감, 열광과 도취에 빠져 타인과 내가 하나라고 느끼는 공동체적 융합, 맺힌 것이 풀어질 때 느끼는 해방감, 직관적 통찰에 의한 대상과의 합일로 드러난다. 이들 체험은 격렬한 행위로 표출되기도 하고 정적인 형태로 표출되기도 하지만 경험 그 자체에 주목하면서 경험에 빠져들 때 일어나는 체험이라는 점에서 이는 미적 체험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셋째, 신명체험은 어떤 형태로든 정서적 쾌감을 동반하는 특징이 있다. 체험의 양상은 다르지만 정서적으로 가장 고양된 상태에서 체험되고 밝고 즐거운 감정에 휩싸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황홀감, 권능감, 충만감, 해방감, 부유(浮游)감, 용해 등은 절정의 순간에서 맞이하는 정서적 쾌감의 성격들이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신명체험은 곧 하나의 미적 체험으로 이해될 수 있다. Shinmyong is being discussed as one of the essential values of Korean culture and Koreans` aesthetic feeling. Yet, it is difficult to answer in which ways Shinmyong has aesthetic qualifications and if various types of Shinmyong can be understood as a unique character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 would classify the types of diverse Shinmyong experiences and illuminate the common characterization on its aesthetic dimension. If we clarify its significance structure of Shinmyong, the term of Shinmyong has its meaning as the external God or some mysterious power and internal Light, which means God would be holy spirit and Light means insight or intuition emerging to men. The combination aspect between God and Light could be explained into the emergence of God`s will with drumming and dancing, an awakening to the principles of varying universe with a clear mind, and uniting with things with discarding the functions of eyes and mind. Shinmyong can be experienced into diverse types and its dimensions and asp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its types of experience. The types of experience could be classified into being possessed of a spirit, experiencing hard labor, satisfying one`s resentment, and experiencing aesthetic feeling. The aspects of the types are very diverse, so they can emerge as following: identity with god, emotional enhancement, intuitional insight, dreaming float, ecstasy, forgetting oneself, collective chaos, transcendence, being awake, being light, emancipation, healing, sit-gim(washing away), fulfillment, creative jump, world consciousness as a whole, resolved recognition, immersion, and forgetting oneself, etc. On basis of the data, to extract the common qualifications of Shinmyong experiences, at first, it has the characterization to need concern, concentration, and immersion. Shinmyong has the common qualification that it can be experienced when mutual interactions get ecstasy. Concerns and immersion can be aesthetic attitudes in that Shinmyong is positive experience. Second, Shinmyong experiences has the characterization of experiencing the extension and transcendence of beings, lost in existential horizon of self. Once one comes to immerse deeply into the world of concerns, one forgets the being of ‘I’ and the world comes into the being, stopping recognizing me and the other world as a difference. This means the emergence of the unity into the things by way of intuitional insight, the beings with God, the infusion of community people immersed into passion and pleasure, and the feeling of emancipation. These experiences express passionate actions, represent static emotions, but they have the characterizations of aesthetic experiences in that it is an experience which arise when it attends to the experience itself, being immersed into it. Third, it seems that Shinmyong experiences accompany any types of emotional pleasures. The aspects of the experience are diverse, but have the common trait of pleasant feeling and light upgraded emotion. Such feelings as ecstasy, capability, fulfillment, emancipation, floating feeling, and resolve have the characterization of emotional pleasure at the moment of ecstasy.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Shinmyong can be understood as the characteriz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신명사도(神明舍圖)」에 관한 연구

        이상호 한국윤리학회 2024 倫理硏究 Vol.145 No.1

        남명 조식은 「신명사도(神明舍圖)」로 도식화하여 마음을 다스리고 의로움을 실천하는 방법을 간단명료하게 드러냈다. 「신명사도(神明舍圖)」는 성벽의 안쪽, 성벽과 관문, 성벽 바깥, 「신명사명(神明舍銘)」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명은 「신명사도」에서 다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은 「신명사명」의 설명으로 보완하고 있다. 「신명사도(神明舍圖)」에서 남명은 성벽의 안쪽, 성곽과 성문, 성벽 바깥쪽을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 비유하여 보여주고 있다. 나라를 다스리는 일은 개인적으로 마음을 다스리는 일이다. 「신명사도(神明舍圖)」에서 태일군(太一君)은 신명사(神明舍)를 총괄하는 군주로서 인간의 도덕적 본성을 가리킨다. 경(敬)은 태일군의 바로 앞 중앙에 차지하여 마음을 다스리는 근본임을 나타낸다. '경(敬)'의 태도를 유지할 때 '천덕' 과 '왕도'도 실현될 수 있음을 도식화하고 있다. 남명은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항상 깨어 있으면서 주어진 상황에 집중하는 거경 공부와 의로움을 실천하는 행의(行 義) 공부를 중시했다. 남명은 임금이 안으로 본심을 보존하여 홀로 있을 때를 삼가는 천덕(天德)에 통달하고 덕으로 밖을 살펴서 어진 정치를 백성에게 힘써 실천하는 왕도정치를 실시하면 나라를 잘 살게 할 수 있고, 백성을 화합하게 할 수 있으며, 위태로움을 편안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Nammyeong Cho Shik schematized it into “Shinmyeongsado-Schema (神 明舍圖)” and clearly and simply revealed how to discipline the mind and practice righteousness. “Shinmyeongsado-Schema (神明舍圖)” consists of the inside of the rampart, the rampart and gateway, the outside of the rampart, and “Shinmyeongsamyeong (神明舍銘)”. Nammyeong supplements the parts that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Shinmyeongsado-Schema” with explanations in “Shinmyeongsamyeong”. In “Shinmyeongsado-Schema (神明舍圖),” Nammyeong shows the inside of the rampart, the rampart and its gates, and the outside of the rampart, comparing them to the work of governing a country. Governing a country is personally a matter of disciplining one's mind. In “Shinmyeong sado-Schema (神明舍圖),” Taeilgun-monarch (太一君) is the monarch who oversees Shinmyeongsa (神明舍) and refers to human moral nature. Veneration (敬) is located right in front and center of Taeilgun-monarch, indicating that it is the basis for governing the mind. It schematizes that 'heaven virtue' and 'Wangdo' can also be realized when the attitude of 'Veneration(敬)' is maintained. Nammyeong places emphasis on studying Geogyeong (居敬), which focuses on a given situation while behaving properly and always keeping one's mind awake, and studying the practice of righteousness (行義), which practices righteousness. Nammyeong sees that he can make the country prosper, bring people together, and make precariousness comfort, when a king preserves his true nature within himself, masters the heavenly virtue (天德) of refraining from being alone, and practices Wangdojeongchi, which looks outside with virtue and strives to put virtuous rules into practice for people.

      • KCI등재후보

        신명사도(神明舍圖)에 대한 역(易)의 구조적 고찰

        정문경(Moon Kyung Jung)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4 인간과자연 Vol.5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신명사도(神明舍圖)에 대한 역(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해 신명사도는 역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신명사도는 조선시대의 유학자인 남명(南冥) 조식(曺植)이 그린 그림이다. 연구 대상은 신명사도이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역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이며 신명사도 또한 음양오행이다는 것을 논하였다. 두 번째, 역은 내(內) 팔괘(八卦)와 외(外) 팔괘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신명사도 또한 내 팔괘와 외 팔괘로 되어 있다. 세 번째, 구관(口關)은 내외 팔괘의 구조를 가지며 태일군(太一君) 아래 3개의 사각형 도형에서 만들어진 내 팔괘, 성곽 3개의 성체에서 만들어진 외 팔괘를 구관의 내외 팔괘가 연결하여 내중외(內中外)가 삼위일체(三位一體)되는 구조이다. 네 번째, 신명사도는 내 35번째 괘인 화지진괘(火地晉卦)에 의해 경(敬)이 나타나고 외 35번째괘인 화지진괘에 의해 의(義)가 나타나는 구조이다. 다섯 번째, 역은 내 팔괘 외 팔괘에 의해 64괘가 형성되듯이 신명사도 또한 내 팔괘와 외 팔괘에 의해 64괘의 기본 교역(交易)이 이루어진다. 여섯째, 신명사도는 3개의 성체에서 자체적으로 구관 목관(目關) 이관(耳關)을 통해서 64괘의 교역이 이루어진다. 일곱 번째, 신명사도의 대장기(大壯旂) 3개는 천지오행(天之五行), 지지오행(地之五行), 인지오행(人之五行)을 나타내며 4×4×4=64 괘를 표현한 것이다. 여덟 번째, 신명사도라는 글자 자체가 신명사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신명사도는 역의 관점에서 볼 때 역을 나타낸 것이다. 이 논문은 신명사도에 대해 역의 관점으로 분석한 선행논문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분석하다보니 미비한 것은 사실이며 앞으로 신명사도에 대해 역의 관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하는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e Yoek(Change) through the structural consideration of the Yoek(Change). Sinmyeongsado was painted by Nammyeong Cho-sik, a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ubject of the study is Sinmyeongsado. The method of the study was first discussed that the station is the yin-yang five elements, and Sinmyeongsado is also the yin-yang five elements. Second, the station consists of an inner and an outer eight-gwa, and Sinmyeongsado is also composed of an inner and an outer eight-gwa. Third, The gate of the mouth has the structure of an inner and an outer eight-gwa. An inner eight-gwa made in three square shapes under Taeil-gun, the outer eight-gwa made in three castles, and the inner and outer eight-gwa made in the gate of the mouth are connected to form a trinity in the inner and outer centers. Fourth, Sinmyeongsado is a structure in which the Gyeong(Concentrating mind)appears by the Hwajijingwa, the 35th Gwa inside, and righteousness appears by the Hwajijingwa, the 35th Gwa outside. Fifth, as the 64 Gwa are formed by the inner and outer eight-gwa in the station, the Sinmyeongsado also has a basic trade of 64 Gwa by the inner and outer eight-gwa. Sixth, Sinmyeongsado is traded in 64 Gwa through the three gates of the mouth, the eyes, and the ears. Seventh, the three flags of Sinmyeongsado represent the five elements of sky, the five elements of the earth, and the five elements of a person, and express the 4×4×4=64 Gwa. Eighth, the word “Sinmyeongsado” itself is Sinmyeongsado.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Sinmyeongsado represents the Yoek(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ek(Change). It is true that this paper is insufficient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few prior papers that have analyzed Sinmyeongsad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ek(Change),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analyzing Sinmyeongsado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well 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ek(Change).

      • KCI등재후보

        전통춤 신명연구

        이미영 한국무용사학회 2010 한국무용사학 Vol.0 No.6

        Study on the Excitement in Traditional Dance Lee Mi Young* Korean dances convey unique emotions or concepts of grudge and excitement. Many fields, including Cultural Psychology, Folk Studies, Korean Studies, and even Dance Studies, have actively researched these concepts. Studies on grudge and excite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first, it is the study of the emotion of grudge or excitement in Korean dances and second, it is the experience of excitement directly felt by dancers. The commonness of the concept of excitement studied in Dance and in other fields is the characterized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excitement; that is, how quickly the emotion of excitement is transmitted to others. It is also about how to dance with excitement to inspire those who are watchi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tion of excitement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citeme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s to find out the elements of excitement in Korean dances.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exciteme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s were approached in terms of emotion, experience, entertainment and transmission, and group activity and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various traditional dances, including Jindo Drum Dance, Ganggangsulae, Talchum Mask Dance, were examined for the study of the generation and experience of excitement. The term excitement that is used in this study is mostly found in folk dances of Korea. In a macro view, however, it is unlikely to say that other dances besides folk dances do not have excitement. Therefore, I used the term inclusively for all kinds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It is essential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and learners to have the attitude to instruct or learn the essence and emotions of Korean dances rather than only the choreographies.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s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by discussing the gen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citement in them to be able to preserve and develop them in their true forms. Keyword:논문투고일:2010년 4월 29일 / 논문심사일:2010년 5월 14일 / 심사완료일:2010년 5월 21일 전통춤에 나타나는 신명은 마음에서부터 저절로 나오는 움직임, 몸을 통해 표현되는 신명으로서 그 발생상태가 본질적이다. 전통춤이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적이며, 몸과 마음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인 것과 같다. 몸과 마음이 일치되어 어느 하나가 우선되지 않는 그 상태, 춤을 보고 있어도 내 몸과 마음이 꿈틀 움직여지는 것, 저절로 그 자체로 발현되는 기운은 무엇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신명의 발생 상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명이 난다’는 신명의 발생 상태를 살펴보고 전통춤에 깃든 신명의 특성들을 분류하여 우리 춤에 깃든 신명의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또한 전통춤을 어떻게 하면 신명지게 잘 추고 보는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전통춤에 깃든 신명의 특성을 정서성과 체험성, 놀이성과 전이성, 집단성과 난장성으로 집약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 신명발생 상태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한 신명체험에 대한 연구를 신명의 대표적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여러 전통춤의 움직임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전통춤 신명 용어는 우리 춤의 종류 중 민속춤에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거시적으로 볼 때, 민속춤 외에 다른 춤에 신명이 없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전통춤에 깃든 신명이라고 언급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많은 전통춤을 다 열거하여 예를 들 수 없기에 전통춤 중 집단 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서 진도북춤과 강강술래, 탈춤을 언급한 점 등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춤을 지도할 때나 습득할 때, 단지 순서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우리 춤의 본질과 내적 정서를 올바르게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 지도자나, 무용인으로서의 필수적 자세라 하겠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 춤의 신명발생 상태와 특성을 살펴본다는 것은 전통춤의 본질을 제대로 탐색할 수 있으며, 전통춤을 올곧게 보전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증산 강일순의 신명(神明)사상

        김탁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Jeungsan, Kang Il-Sun (hereafter, Jeungsan)’s perspective on divine being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philosophical notion of divinity, which recognizes a variety of divine entities. Jeungsan insisted that all things embrace divine entities. Furthermore, he claimed that the backgrounds of all incidents were influenced by these gods. Jeungsan thought that the universe consists of the heavenly realm, the earthly realm and the underground realm. He insisted that there were many gods in each realm. And Jeungsan defined his times as the era of divine beings, which meant that the age was a time for divine beings to actively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ake the lead in world affairs. Divine beings were briskly involved in human affairs and could either reciprocate gratitude or attain revenge. They were also divine beings that could change the acts and perception of humans as well as judge human acts. However, Jeungsan predicted that by the time the paradisiacal land of immortals was established in the Later World, divine beings would instead run errands for humans. In addition, he forecast that divine beings would be entities likely to harbor grievances just like humans, yet they would ultimately become perfected beings in the Later World. Jeungsan further suggested a multitude of various concepts such as the mutual relationship wherein the realm of divine beings and the realm of humanity interrelate with each other, the mutual responses and functions between them, mutual itineration, co-existence, and the homogeneity of divine beings and humans, which described how both have the same innate characteristics. Jeungsan proposed the concept that ‘Divinity is an existential state experienced after one’s death.” In this regard, he is the one who formulated a new perspective of divinity. Moreover, Jeunsan stressed the immortality of humans (continuity or eternality) and the co-existence of divine beings and humans. He emphasized that divinity is intrinsically immanent and the realm of divine beings has a hierarchical system that maintains order and is akin to that of the human realm. Jeungsan recognized a revolutionary change and perspective based on humanity by suggesting a unique view of humanity. In other words, he was a religious figure who introduced an ingenious view of divinity and dramatically transformed this pattern of reasoning. In conclusion, Jeungsan re-interpreted traditional views of divinity in Korea and systemized them into a new concept of divinity in an ingenious way. 증산 강일순의 신관은 다양한 신적 존재를 인정하는 신명사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증산은 만물에 신적 존재가 깃들어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증산은 온갖 현상이 신(神)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사건의 배후에는 신이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우주가 천상계(天上界), 지상계(地上界), 지하계(地下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기 많은 신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증산은 자신이 살던 시기를 신명시대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신명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대라는 뜻이며, 신명들이 이 세상의 역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시간대라는 의미다. 신명은 인간사에 적극 개입하며, 인간에게 보은(報恩)과 앙갚음을 하는 존재이며, 인간의 행동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신격(神格)이며, 인간의 행위를 심판하는 존재다. 그런데 증산은 이상향인 후천선경(後天仙境)이 지상에 세워질 때가 되면 신명이 오히려 인간의 심부름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나아가 증산은 선천에서는 신명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원한을 지닐 수 있는 존재였는데, 후천이 되면 신명도 궁극적으로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증산은 신명계와 인간계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신인상관론, 신명과 인간은 상호작용하고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신인감응론, 신명계와 인간계는 상호 순환하는 관계에 있다는 신인순환론, 신명은 인간은 함께 어울려 존재한다는 신인공존론, 신명과 인간은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같다는 신인동질론을 주장했다. 증산은 “신(神)은 인간의 사후존재양식이다.”라고 주장하여 신관(神觀)을 새롭게 규정한 인물이다. 나아가 증산은 인간의 영혼불멸 혹은 존재의 영속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했으며, 인간과 신명의 공존(共存)을 주장했다. 그리고 증산은 만물에는 신성(神性)이 본질적으로 내재한다고 강조했으며, 신명계는 인간계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위계에 따른 질서가 유지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증산은 신명 중심에서 인간 중심의 신관으로 혁명적 변화와 새로운 인식을 강조하였다. 결국 증산은 새롭고 독창적인 신관을 제시하여 신명과 인간에 대한 사유방식의 대전환을 시도한 종교적 인물이다. 결론적으로 증산은 한국 전통적인 신관을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신명사상으로 체계화시킨 종교적 인물이다.

      • KCI등재

        신명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민,한성열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Present research was planned for validating the concept of Shinmyeong.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ose purposes. First, study 1, the Shinmyeong experience scale was developed by factor analysis with data of 333 participants. The scale was made of 68 items(16 items for causal conditions, 9 items for contextual conditions, 15 items for emotion, 7 items for behavior, 21 items for effects). Second, study 2,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hinmyeong was verified by path analysis with data of 230 participants. All path coefficients except for one(from ‘feeling of departure from everyday life’ to ‘behavior’) were significant, so hypothetical relations of variables which derived from qualitative analysis were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 Thir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concept of Shinmyeong by relations between positive variables and Shinmyeong experience. Shinmyeong experience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 esteem, self resiliency, subjective wellbeing, and satisfaction of life. 본 연구는 신명에 대한 질적 연구(한민, 한성열, 2007b)에서 도출된 신명경험의 과정과 구조를 양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우선, 신명경험 전반을 측정하는 총 68문항의 척도를 제작하였고, 구성된 척도를 바탕으로 경로모형을 사용하여 신명경험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신명의 인과조건인 ‘자기(혹은 집단)가치의 재발견’이 1차적 쾌감과 자기(혹은 집단)개입적인 2차적 쾌감 및 주위 사람들과의 공감을 포괄하는 ‘신명의 감정’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주변 분위기 등의 외부적 조건은 ‘신명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명의 감정’과 ‘신명 행동’은 서로에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쌍방향적 관계임이 확인되었으며, 신명의 감정과 행동은 각각 ‘신명의 기능 및 결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개인이 신명을 경험한 빈도와 신명 경험의 정도(감정+행동)와 기타 긍정적 의미를 갖는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명을 경험한 빈도와 신명 경험의 정도가 자아존중감 등의 긍정적 자기가치감과 일상적 생활만족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신명경험에 대한 질적인 분석 내용이 양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신명의 원인과 현상, 그리고 결과에 대한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의 양상을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론적 차원에 머물고 있던 신명에 대한 논의를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영역으로 확대하였다는 데 있다.

      • 「신명사도(神明舍圖)」의 현대적 해석 시도 -마음의 인지와 소통의 기능을 중심으로-

        조창섭 ( Cho,Chang-sub ) 남명학연구원 2019 南冥學硏究論叢 Vol.24 No.-

        남명의 「신명사도(神明舍圖)」는 마음을 왕이 통치하는 국가에 비유하여 도식화 해놓은 것이다. 도식화 되어 있는 마음은 마음을 수양하여 티 없이 맑고 밝도록 하여 세상사를 처리할 수 있는 이상적인 마음의 상태를 만들도록 도식화 해 놓은 수양론의 집약도이다. 그러므로 이 도식은 마음을 갈고 닦아 본성을 보존하여 선(善)에 나아가고, 내부의 인욕을 없애고 천지만물과 하나가 되어 존재의 일반원리와 합일되어 성학(聖學)을 추구하려는 노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신명사도」에 대한 연구의 모범은 후산(后山) 허유(許愈)나 복암(復菴) 조원순(曺垣淳)의 연구와 최근에 연구된 몇 편의 논문과 저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연구와 저서에서는 「신명사도(神明舍圖)」의 구조물이나 관직명 그리고 개념어(槪念語) 등을 성현들의 말씀과 일치시켜 훈고(訓誥)학적 방법으로 연구 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태일군(太一君)은 의사결정의 주체로서, 마음을 다스리는 통치자이다, 통치는 인덕(仁德)을 근본으로 하여 도리에 어긋남이 없는 왕도정치를 펼친다. 우주만물의 덕을 일깨우는 천덕(天德)을 경(敬)에서 얻어 가진다는 것을 중시하여 도식의 중앙에 천덕과 경을 배열시켜 놓았다. 타고난 마음을 훼손당하지 않도록 마음을 지키는 보존(保存), 명상과 같은 정적인 정신활동을 통하여 착한 마음을 기르는 존양(存養), 외부 세계를 접촉하는 동적인 활동에서 자신을 점검하는 성찰(省察), 감정과 욕심 그리고 충동을 이성적 의지로 눌러 이기는 극기(克己)는 성리학의 수양론에서 단계별로 나아가며 실천하여야 하는 덕목이다. 수양론의 이러한 실천덕목은 안으로 내면세계를 밝히는 경(敬)과, 밖으로 외부세계의 제반사를 올바르게 처리하도록 결단을 내리는 의(義)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경과 의는 지행합일을 이루어 남명의 실천유학을 성립시키는 근간을 이룬다. 지금까지의 『신명사도』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왕이 통치의 중심에 서 있었던 전제군주제와 가부장적 사회 체제를 근간으로 하여 그려진 이 「신명사도」에 대한 연구는 왕조시대에서 자유 민주주의 정치체제로의 사회 변화를 감안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가 제기된다. 본인은 「신명사도」의 구조물과 관직이름 그리고 개념어 등을 인지(認知)와 소통을 수행하는 요소들로 간주하고, 이들을 인지론의 핵심 요소인 지각(知覺), 기억(記憶), 상상(想像), 개념(槪念), 판단(判斷), 추리(推理)등으로 분류하여 그 역할과 기능을 밝히고, 마음의 교환이라는 대화를 소통(疏通)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연구를 위해 마음을 정신과 일치시키는 용어의 확대와 그리고 현재의 인문과학에서의 인지이론과 소통이론 그리고 스키마(Schema) 이론 등을 인용하여 「신명사도」해석에 활용할 것이다. The philosophical pursuit of the 16th century Neo- Confucianists in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xin 心(the mind-heart). Cho Sik (1501-1572), a.k.a. Nammyeong (his pen name), also was concerned with xin and explained it with a diagram called Sinmyeongsado 神明舍圖. However, unlike his contemporary Neo-Confucianists who analyzed xin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liqi 理氣(principle and vital force) doctrine, he explain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tructure and on the basis of mind-controlling self-cultivation theory. The diagram Sinmyeongsado 神明舍圖, which means ‘the picture (圖) of a house (舍) inhabited by the mind (神明)’, compares the mind to a kingdom, and encircles it with castle walls whose passages are the perceptive organs such as the eyes, ears, and mouth. ‘Cognition’ perceived by the cognitive structure means knowing something through a series of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The Neo-Confucianist xingli 性理(the principle of natural tendency) doctrine claims that man has the fundamental innate nature of siduan 四端(four beginnings), i.e., ren 仁(humanity), yi 義(rightness), li 禮 (ritual propriety, rituals), and zhi 智(wisdom), along with qiqing 七情(seven feelings) occurring from contact with things. Therefore, what is perceived by the cognitive structure is integrated into the mind by the innate siduan and qiqing. Nammyeong suggested that perceived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ind, whereas modern philosophers maintain that it is remembered by the brain. In order to explain Sinmyeongsado 神明舍圖in the framework of modern cognitive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the mind discussed by Neo-Confucianists is equivalent to the spirit in modern cognitive theory, and classifies the types of cognition as follows: 1. Cognition by way of the perception of objects through sensory organs, 2. Cognition by way of the memory that stores previous impressions or experiences, 3. Cognition by way of the imagination that visualizes unexperienced phenomena or things, 4. Cognition by way of the conceptualization of general knowledge regarding certain things and/or phenomena, 5. Cognition by way of the judgment of perceived things with logic or criteria, 6. Cognition by way of the inference of unknown things based on the known. This paper uses the above cognitive framework to discuss the roles that these cognition types play. Although Sinmyeongsado 神明舍圖does not address olfactory perception, gustatory perception, or tactile perception in discussing cognition by way of perception through sensory organs, it does present two spiritual elements, gui 鬼 (spiritual beings, ghosts), the spiritual being that communicates with the spiritual/ghost world, and meng 夢 (dreams), the hope or ideal desired to be materialized. Considering the academic atmosphere of that time, these ideas can be regarded as creative. The Neo-Confucianists’ xiuyanglun 修養論(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discusses wangdao 王道(the Way of the King), the method for a king to rule a country, and tiande, 天德(the morality of heaven). Wangdao 王道means ruling with humanity and morality; a king should pursue ruling under wangdao 王道, not badao 覇道(the Way of the Hegemon; rule by might), even when he has complete power to rule. Tiande 天德means that a ruler must have the morality of heaven that triggers the mind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Nammyeong took jing 敬(reverence) as the core theme of xiuyanglun 修養論, and yi 義(rightness) as the pillar of yililun 義理論(the Theory of Rightness and Principle), so he placed jing 敬and yi 義at the center of his personal and academic life. Jing 敬, which is the heart of xiuyanglun 修養論, is a guardian of the king’s mind that preserves, cultivates, and reflects upon the mind, leading it to self-control and self-denial. Here, to ‘preserve’ means to maintain one’s nature; to ‘cultivate’ means to cultivate one’s mind through static mental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to ‘reflect’ on one’s mind means to check oneself during dynamic contacts with the outside world; and to ‘self-control’ means to suppress one’s feelings, greed, or impulsivity with the power of reason. As Sinmyeongsado 神明舍圖discusses these function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ure Neo- Confucianism and thus embraces even Laozi’s and Zhuangzi’s philosophies.

      • KCI등재

        신명의 개념화 및 구조화 연구

        한민,한성열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about Shinmyeong experience. This study was execu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20 participan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participant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ree types of Shinmyeong experiences assumed by theoretical study were demonstrated and their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coding. The structures of their categories were concretized by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ausal condition was 'Recognition of self(or group) worth',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Negative perception of past self(or group)', the phenomena were 'Primary pleasure' and ’secondary pleasure',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sharing pleasure(co-experience)', the action/interaction was 'Radiating the self(or gourp) worth', and the consequence was ’sense of freedom', 'Acquirement of positive feelings' and so on. According to the results, Shinmyeong experience consists of three phases; pleasure from recognition(or expression) of one’s self-worth, sharing the feeling with other people, and radiating negative feeling through expressive behaviors. 본 연구는 한국사람들의 신명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신명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로 신명을 경험하는 일반인들의 자료를 개방형 설문 및 반구조화 면접의 방식으로 수집하고 근거이론의 절차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신명이 경험되는 과정과 신명경험의 구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명은 전환적 사건의 발생에 의해 자신의 자기가치감이 회복되거나 타인들에게 인정받았을 때, ‘우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과 어떠한 일을 함께 경험하면서 우리의식을 확인할 때, 그리고 자신의 가치와 관련된 것들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명을 경험하면 사람들은, 즐거움, 유쾌함 같은 1차적 쾌감과 함께, 자신의 자기가치감과 연계된 2차적 쾌감을 느끼며, 그러한 감정을 주위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경험하고, 그 사실에서 다시 쾌감을 느끼게 된다. 사람들은 그러한 감정들을 표출하기 위해 분출 및 몰입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명의 행동들은 신명의 감정들을 강화하며, 강화된 감정은 다시 신명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감정과 행동의 피드백을 통해 신명이 경험되고, 이후의 긍정적인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신명풀이의 변화양상과 판문화콘텐츠적 계승방안

        김진형(Kim, Jin-Hyung)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8

        신명풀이는 집단, 목적, 결실 면에서 과거와 현재가 변화된 양상을 보인다. 먼저 ‘집단’을 보면, 과거의 신명풀이는 피지배계급이 독자적으로 주도하여 당대의 가치 있는 예술문화로 발전시켰지만, 현재의 신명풀이는 지배 및 피지배계층 모두가 주도함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같은 문화로 발전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다음으로 ‘목적’을 보면, 과거의 신명풀이는 개인, 가족, 마을의 안녕을 목적으로 한 필수적 행위였지만, 현재의 신명풀이는 현대인들의 여가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선택적 행위에 가깝다. 마지막으로 ‘결실’을 보면, 과거의 신명풀이는 ① 인간정신의 건강성 확보, ② 부당한 현실에 대한 개조의식 확립, ③ 바람직한 문화창조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 등의 결실을 맺었지만, 현재의 신명풀이는 ①만 일정하게 맺을 뿐 ②와 ③은 맺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신명풀이의 세 결실을 다시 이루는 방법으로는 문화콘텐츠화가 효과적인데, 판문화를 실현시키는 ‘판문화콘텐츠’로 개발되었을 때 가장 이상적이다. 신명풀이는 판문화의 결과물로, 판문화라는 필수적인 토대를 통해 ‘신명풀이콘텐츠’가 운영될 수 있다. 신명풀이콘텐츠는 멀티유즈(Multi-Use) 방식으로 개발되었을 때 체험자들의 신명풀이체험을 ‘극대화’ 시키는데, 구체적으로 교육콘텐츠, 축제콘텐츠, 공연콘텐츠, 전시콘텐츠 등 네 가지 멀티유즈 유형이 서로 시너지를 발휘할 때 실질적으로 가능하다. 수용과 변용의 논리가 효과적으로 적용된 멀티유즈 방식의 신명풀이콘텐츠는, 건강한 미래문화를 창조하는 혁신적인 문화콘텐츠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Sinmyung-Puli has been changed to the present from the past in group, purpose, and outcome. First, as for ‘group’, subordinates group had independently led Sinmyung-Puli and had developed it toward an worthful culture by showing the directivity of creating culture in the past. However, in the present, even though both subordinates group and superiors group lead Sinmyung-Puli, they do not develop it like the past. Second, regarding ‘purpose’, the purpose of Sinmyung-Puli was to pray for the safety of a person, a family, and a village in the past, so it was a necessary performance at that time. However, Sinmyung-Puli in the present is an optional performance for the recreational activity of contemporary people. Lastly, in respect of ‘outcome’, Sinmyung-Puli in the past brought about outcomes like ① maintaining human being’s mental health, ②reforming national consciousness of unfair reality, and ③suggesting the reasonable directivity of creating culture. However, Sinmyung-Puli in the present accomplished the outcome of the only number ① without having number ② and ③.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three outcomes in Sinmyung-Puli in the present, cultural contents are effective and the Sinmyung-Puli should be developed toward ‘Pan’ cultural contents in the utmost ideal way. Sinmyung-Puli is the outcome of Pan culture, and ‘Sinmyung-Puli contents’ can be run under the indispensable foundation of Pan culture. When Sinmyung-Puli contents are developed in multi-use typ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maximization’ effect through Sinmyung-Puli. Concretely speaking, when the four multi-use types like education contents, festival contents, performance contents, and exhibition contents make the mutual synergy effects, Sinmyung-Puli contents are able to accomplish ‘maximization’ effect. The multi-use typed Sinmyung-Puli contents, which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are effectively applied, will become innovative cultural contents to create a sound cultur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