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하대초기의 왕위계승과 태후의 역할

        이현주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In the Early Part of Late Shilla Dynasty,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and system of the Crown Prince were used to establish legitimacy. Soon after the king was crowned, parental status increased. These practices were to establish the orthodox system of the king and declare the legitimacy of the throne. After the king dies, in the absence of a clear successor prince, the widow of the dead king, the Empress Dowager, plays an influential role in deciding on succession. In the aftermath of King Heungdeok(흥덕왕) 's death, there was a struggle for the throne. The war for the throne after King Heungdeok(흥덕왕) was the result of the role of King Hundeok(헌덕왕)’ queen, Gwiseung(귀승). After the death of King Heung-deok, she selected the next king among various candidates, leading to conflict over the throne. Thus, in the early days of Late Shilla as the struggle over succession grew fierce, Matrilineal kinship became as important as Patrilineal kinship. This led to an undermining of the legitimacy of the throne and the legitimacy of the kingship system. As the royal succession process changed, so the status and role of the Empress Dowager, the queen, became important, resulting in a strengthening of the status of royal women. 신라 하대초기의 왕은 즉위 직후에 종묘제와 태자제를 통해 부계적 정통성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는 왕의 수직적 계통성을 수립하여 부계적 정통성을 천명하고, 왕위의 정당성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원성왕 사후에 적손인 준옹이 소성왕으로 즉위하고, 이어서 소성왕의 아들인 애장왕이 즉위하였는데, 이는 적자계승원리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헌덕왕이 애장왕을 시해하고 즉위하고, 흥덕왕은 헌덕왕의 동모제로서 왕위를 계승함에 따라 왕위의 적자계승원리를 적용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흥덕왕의 사후에는 왕위계승분쟁이 일어났는데, 이는 적자계승의 왕위계승원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자 발생한 것이었다. 하대초기의 왕은 모두 원성왕계이고, 이들 중 소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민애왕은 인겸계이고, 희강왕,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은 예영계이다. 하대초기의 왕위계승분쟁은 왕위의 정통성과 연관된 사안이었다. 왕의 부계적 정통성이 차별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모계, 즉 태후의 출신과 지위가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혜충대왕(인겸)-성목태후의 자녀는 소성왕, 헌덕왕, 흥덕왕, 충공이다. 헌덕왕, 흥덕왕, 충공은 동모형제(同母兄弟)의 혈연적 결연을 매개로 왕실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성목태후가 지닌 태후이자 대비로서의 위상은 인겸계의 구심점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차기왕위계승권자인 태자가 부재할 경우, 왕위계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는 선왕의 부인, 즉 태후이다. 귀승랑은 헌덕왕의 왕비로, 흥덕왕 사후에 왕위계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후였다. 즉 흥덕왕 사후에 예영계 간의 왕위계승분쟁이 야기되었던 것은 예영계인 귀승랑이 태후로서 차기 왕위계승권에 간여한 결과였다. 이처럼 하대초기는 왕위계승분쟁이 치열했던 만큼 부계 못지않게 모계 및 처계도 중요하였다. 왕위가 부자로 계승되지 않은 경우에 왕위의 정통성과 왕권의 정당성이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에 왕은 즉위 직후에 그의 부모를 추봉함으로써 왕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하대초기에 원성왕계 간의 왕위계승분쟁은 부계적으로 동일하므로 상대적으로 모계 및 처계의 위상이 중요해졌다. 또한 하대에 당의 제도에 대한 이해가 더욱 심화되었고, 이는 왕실여성, 특히 태후의 지위와 역할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신라 태자제의 수용과 왕실의 ‘家族’ 인식

        이현주 신라사학회 2022 新羅史學報 Vol.- No.55

        본 연구는 신라의 태자제 수용과 왕실의 ‘家族’ 인식의 상관성을 고찰한 것이다. 태자는 현왕의 적장자로서 차기 왕위계승권자이다. 태자의 왕위계승권은 왕실 ‘家’의 계승 및 상속과 연관된 사안이다. 신라의 태자제는 왕실의 ‘家族’ 인식 하에 고찰할 필요가 있다. 태자의 자격 조건인 ‘적장자’는 중국의 종법제를 기반으로 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에서 기인한 것이다. 태자제는 왕실의 위상을 높이고, 왕권을 강화하는 주요한 제도였다. 태자제는 차기왕위계승권자를 미리 공식화하는 제도로서 왕위계승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왕권강화의 추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신라는 중고기에 태자의 칭호를 도입하여 왕실의 신성성을 고양하였고, 중대에 태자제를 수용하여 왕실의 존엄성을 확보하였다. 신라 중대의 첫 왕인 태종 무열왕은 진골로서 왕위를 계승하였기 때문에 왕권 강화를 위하여 중고기의 성골왕권의 정통성을 극복하고, 진골귀족과의 차별성을 규정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중대왕실은 왕위계승의 정당성을 천명하기 위해 부모를 추봉하고, 태자제를 수용하였다. 또한 왕계의 정통성을 수립하기 위해 종묘제를 도입하고, 후비제를 수용하였다. 중대왕실을 존숭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는 왕실의 ‘家族’ 인식 형성으로 이어졌다. 신라 왕실 ‘家’ 의 기본구조는 ‘祖父母-父母-夫妻(본인)-子’였다. 다만 신라 왕실의 중첩된 족내혼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외조부모와 처부모를 포함한 확대된 ‘家’의 구조, 즉 <祖父母와 外祖父母-父母와 妻父母-(본인의)夫妻-子女>로 인식하였다. 신라의 왕위계승은 태자제가 수용된 이후 상시의 경우에는 왕의 맏아들에게 왕위계승의 우선권이 주어졌으나, 비상시의 경우에는 부계친 중심의 수직적 계통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상시의 경우, 신라 왕실의 ‘가족’ 구조에 기반하여 왕위계승의 우선권이 부여되었다. 신라 왕실의 가족 구조에서는 중첩된 족내혼으로 인해 부계와 아울러 모계 및 처계의 계통성도 중시되었다. 이와 같은 인식 하에 신라의 왕위계승은 부계친의 적장자 계승뿐만 아니라 女(女壻), 兄弟, 庶子, 外孫의 계승이 이루어졌다. 신라의 태자제는 중국의 종법제적 가족제도에 기반한 왕위계승제도를 수용한 것이다. 신라는 태자제를 수용하고 운용하면서 신라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였다. 태자제는 종묘제, 후비제와 함께 신라 왕실의 ‘家族’ 인식이 형성되는 요소 중 하나였다.

      • KCI등재

        “%lma yna”: 다윗 왕위 계승 순위의 뒤틀림

        손종희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2

        Who will succeed the throne of David? This has been an issue of utmost importance not only for the people of Israel but also within the court of Davi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imogeniture as a fait accompli in Israel, Amnon is David's eldest son and therefore the heir to the throne. However, the line of succession within the royal palace is completely twisted and eventually Solomon succeeds David. Regal power in David's house is not smoothly transferred, and thus the court is exposed to urgent crisis with continuous power struggles among the princes related to the succession. What is the reason for such a twist? Was there a redactor's activity? Why was the Succession Narrative (2 Sam 9-20 and 1 Kgs 1-2), which revolves around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writte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looks at each of the four candidates for the throne in order, and searches for the purpose and intentions of the author of the Succession Narrative. The author of the Succession Narrative, who worked as Solomon's apologist, reveals the reasons why Amnon, Absalom, and Adonijah were all rejected as David's successor, although they were the most privileged. The author records that Solomon is the only lawful successor set by Yahweh. The three candidates violated the law of Yahweh and committed crimes such as rape, murder, and rebellion, even though they had the legitimacy and rights to succeed David's throne. Thus those who committed crucial sins against the law cannot claim the throne, even though they are David the King's eldest son or the second one. In the eyes of the author of the Succession Narrative, therefore, Solomon's accession is the fulfillment of the Davidic covenant and a legitimate, natural result which accords with the will of Yahweh. The author explains through such a theological analysis why Solomon, the youngest son and thus the last candidate for the throne, was able to succeed the throne, and he seeks to find a solution to the immediate political crisis during the early years of Solomon's reign. Thus the Succession Narrative functions as Solomon's political propaganda, which is an apologetic account of the court to resolve public suspicions and accusations. 누가 다윗의 왕위를 계승할 것인가? 이 질문은 이스라엘 백성들뿐 아니라 다윗 왕궁 내의 초유의 관심사였다. 전통적인 고대 이스라엘의 왕위 계승법에 의하면, 다윗의 장남 암논이 왕위를 이어야 하나, 다윗 왕궁에서는 계승 순위가 완전히 뒤틀려 솔로몬이 왕위에 오르게 된다. 다윗 왕가에서는 계승이 순조롭지 못하였으며, 궁중에서는 왕위계승을 둘러싼 왕자들의 피비린내 나는 권력 암투가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왕궁은 풍전등화의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뒤틀림의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편집의 손길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왜 왕위 계승을 주제로 하는 계승 내러티브 (삼하 9-20 & 왕상 1-2)가 기록되었을까?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하여, 네 명의 왕위 후보자들을 순위대로 살펴보고 계승 내러티브 저자가 이 내러티브를 기록한 목적과 의도를 탐구하는 것이다. 솔로몬의 변증가로 활동한 계승 내러티브의 저자는 왕위 계승에서 우선권을 가졌던 암논, 압살롬, 아도니야가 왜 계승에서 탈락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들을 밝히고, 오직 솔로몬만이 야훼의 정하신 합법적인 왕위 계승자임을 자신의 펜으로 피력하였다. 이 세 후보들은 다윗의 왕위를 계승할 수 있는 특권과 정당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야훼의 율법을 어기고 강간, 살인, 반역 등의 죄를 범한 인물들이다. 이처럼 율법의 중대한 죄를 범한 자들은 아무리 다윗의 장남이나 차남일지라도 왕위를 계승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승 내러티브의 저자의 눈에는 솔로몬의 등극이 다윗언약의 성취이며, 야훼의 뜻에 의한 합법적이고 당연한 결과이다. 그는 이러한 신학적 해석을 통하여 계승 순위에서 최하위였던 솔로몬이 왕위를 잇게 된 이유를 설명하며 솔로몬 집권 초기에 당면한 정치적 위기에 해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계승내러티브는 대중의 의혹과 비난을 해소하기 위한 의도로 기록된 궁중 변증서로서 솔로몬의 정치적 선전물(political propaganda)의 기능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육수화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조선의 왕은 일반 사대부들보다 더욱 엄격하고 치열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했고, 왕실과 국가는 왕위계승에 부족함이 없는 후계자를 양성하기 위한 최고의 교육환경과 교육체계를 구축하였다. 성장과정에 따라 적합한 교육기관을 설치하였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의례를 거행하였다. 왕위계승자들은 성장과정에 따라 교육기관을 달리 설치하였다. 3세를 전후하여 보육기관인 보양청이 설치되고, 5세를 전후하여 조기교육기관인 강학청이 설치되며, 왕세손시절엔 세손강서원에서, 왕세자시절엔 세자시강원에서 각각 교육을 전담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방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왕위계승자의 교육과정은 주자의 공부론에 입각하여,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대략적으로는 소학을 이수한 이후에 사서삼경과 사서를 순차적으로 이수하였다. 조선후기 서연이 조선전기와 달라진 점이 있다면, 성리학의 발전과 함께 조선에서 지어진 책이나 편찬한 책들이 교재로 활용되었다는 것이다. 왕위계승자들의 책봉의식은 ‘종통의 승계’를 상징하는 의식이었고, 입학례는 ‘도통의 승계’를 상징하는 의식이었다. 왕위계승자로서 권위를 부여하고,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지도자로서의 소명의식을 내면화시켜 나가는 잠재적 교육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왕실교육기관은 태종대에 기반이 조성되었으며, 세종대에 이르러 교육제도가 정착되었다. 정교일치를 표방한 유교사회에서 종통과 학통에 대한 정통성 확보는 왕권강화와 왕실위상에 상당히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조선후기에는 왕권과 왕실의 위상이 약화되고 격하되어 왕실교육의 강화를 통해 왕통의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갑오개혁 이후 다시 약화되어 왕실교육기관은 축소 개편되었다. 이는 왕위계승교육은 왕실의 위상과 궤를 함께하는 것임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It was ruled by Kings of the Royal family that had secured the orthodoxy of clan rules under Confucian ideas. Royal family was the main prop of Confucian culture and Kings were leaders who leaded society and culture from the top. Therefore, Kings should complete more strict and intense education than noblemen. The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establish prim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systems to foster successors qualified for the throne. This study examined concretely what educational courses did they complete and how were the educational systems established, through the education for throne succession in the late Joseon. The reason why the successors in the late Joseon were selected as subjects is to certify how could they, who kept relatively weak orthodoxy of clan rules compared with their ancestors in the early Joseon, secure the required mental ability and morality to show leadership as a monarch.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es and educational ceremonies. Study on educational institutes could clarify the purposes of educational institutes that were installed along the growth of throne successors and the educational courses that successors completed by each period. On the other hand, study on educational ceremonies could make it clear how were throne successors given with authority and did they internalize the duty of sense as the leader to lead next generation. In addition, by tracing the form with which politics and education had combined each other through ceremonies,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ceremonies of Joseon Dynasty had have a unique 'educational function'. Education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ideas and culture of those days and at the same time the cornerstone on which new ideas and culture can be created. In the Confucian society where the un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were claimed, politics and education had an indivisible relation. Also, power and education were in organic relation.

      • KCI등재

        성덕왕의 왕위 계승 과정 검토

        배재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신라 중대 성덕왕의 왕위 계승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성덕왕은 효소왕의 동생으로, 신문왕과 신목왕후의 소생인 것으로 서술된 다. 그래서 형인 효소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그가 왕위를 계승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그의 왕위계승은 ‘국인(國人)’의 추대에 의한 것이었다. 또한, 그 는 효소왕의 생전에 태자로 책봉된 바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는 비정상적 방법에 의 한 왕위계승일 가능성이 있다. 『삼국유사』에는 「대산오만진신(臺山五萬眞身)」과 「명주오대산보질도태자전기(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라는 성 덕왕의 왕위계승과 관련된 정황을 다룬 기록이 전하고 있다. 이 기록 속에는 오대산 신앙이 신라에 토착화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 효명태자와 정신(보질도, 보천)태자의 사적이 담겨 있다. 그런데 효명태자가 왕 이 되어 오대산에 세운 진여원(眞如院)은 성덕왕 4년(705)에 개창되었다. 따라서 효 명은 곧 성덕왕을 의미한다. 삼국유사의 찬자인 일연은 이 때문에 위의 두 기록이 성덕왕 대의 역사적 사실 을 전하는 것이라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르면, 효명과 정신은 태자로서 오대산 지역에 유람을 왔다가 불교에 뜻을 두고 출가한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훗 날 왕(효소왕)과 그 아우가 서로 왕위를 두고 싸우자 국인들은 이들을 폐위시키고, 오대산으로 대표를 보내 효명을 왕으로 옹립했다. 이로써 효소왕과 성덕왕은 각기 다른 어머니를 둔 배다른 형제가 되고, 성덕왕은 신문왕과 신목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는 성덕 왕이 왜 ‘국인’의 추대를 통해서 왕이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된다. 그리고 이는 신라 중대의 왕권이 이미 효소왕 대에 이완하기 시작했으며, 성덕왕 대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진골귀족들의 영향력이 커졌음을 보여준다. 성덕왕이 국인의 추대에 의해 왕이 된 사실은 그의 후계들에게는 하나의 약점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후대의 공식 기록 속에 이와 관련된 기록들은 대부분 폐기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남겨진 정보는 성덕왕의 왕위 계승을 정당한 것으로, 그 사이의 불협화음은 없었던 것으로 조작된 채 유통되었을 것이다. 일연은 13세기까지 고려 사회에 남아 있던 효소왕 대와 관련된 기록들을 폭넓게 접할 수 있었다. 그는 이러한 기록들이『삼국사기』를 비롯한 정사 기록에 남겨지지 않은 효소왕 대의 정국과 성덕왕의 즉위 과정을 전하는 것이라 판단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효소왕 대의 움직임에 대한 전승들을 수집하여 『삼국유사』에 기록하였다. 그중에서 「대산오만진신」과 「명주오대산보질도태자전기」는 비록 불교사와 관련된 분야로 치우치긴 하였지만, 성덕왕의 즉위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한편으로 이러한 작업은 소략하고 건조한 서술로 끝을 맺은 『삼국사기』속에 기술된 당시의 정황을 이 두 기록으로 보충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했던 일연의 ‘유사(遺 事)’에 대한 지향을 드러내준다. This treatise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of King Seong-deok during the Mid-Period of Silla. It is described in the records of Samguksagi, revealing that King Seong-deok is a younger brother of King Hyo-so, and the son of King Sinmum and Queen Sinmok.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it was possible for King Seong-deok to be enthroned because King Hyo-so died without leaving a son to carry on his name. However, he was enthroned by ‘Kook-in(國人)’. In addition, he was not formally appointed as a Crown prince when King Hyo-so was alive. This makes us speculate that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would be likely to be done in an unordinary way. ‘Daesanomanjjnshin(臺山五萬眞身)’ and ‘the biography of Crown Prince, Myeongjuodaesanbojildo(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 addressing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King Seong-deok’s succession to the throne were transmitted in the records of Samgukyusa. The historic affairs of Crown prince, ‘Hyo-myeong’ and Crown Prince ‘Chǒng-sin(Bocheon, Bojildo)’,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digenization of Odaesan faith in Silla, are contained in the records of Samgukyusa. At any rate, Crown Prince, Hyo-myeong became the king and established Jinyeowon(眞如院) in Odaesan, which was opened in the fourth year of King Seong-deok(705).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Hyo-myeong represents King Seong-deok himself. For this reason, the compiler of Samgukyusa, Il-yeon seems to have judged that two records above reveal the historical facts of the King Seong-deok’s time. According to Il-yeon, Crown Prince, Hyo-myeong and Crown prince Chǒng-sin turned to Buddhism and became Buddhist monks when they made a tour of Odaesan area. However, afterwards, when King Hyo-so and his younger brother fought against each other to take up the position of the king, Kook-in dethroned them, and sent a messenger to Odaesan to enthrone Hyo-myeong to the position of the king. This reveals that King Hyo-so and King Seong-deok were step-brothers with different mothers, and King Seong-deok was not a legitimate son between King Shinmun and Queen Shinmok. Therefore, the fact that King Seong-deok became the king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Kook-in could be explained, Furthermore, this shows that the kinship of Silla already began to be loose during the period of king Hyo-so, while, the influence of Jin-gol(眞骨) aristocracy became higher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g-deok. The enthronement of King Song-deok by Kook-in may have been a weakness for his successors. For this reason, most records in association with the official documents may have been discarded. In addition, information, which was left behind, may have been fabricated or distributed with the emphasis that King Seong-deok’s succession of king to the throne was legitimate and there was no dissonance for his enthronement. Il-yeon could discover a wide range of records for the period of King Hyo-so, left in the Koryo Society until the 13th century.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for him to judge that these records convey the political situation of King Hyo-so, which was not preserved in official history, including Samguksagi and the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Seong-deok. Thus, Il-yeon collected historic affairs in relation to King Hyo-so that had been handed down and recorded them in Samgukyusa. However, ‘Daesanomanjishin’ and ‘The biography of Crown Prince, Myeongjudaesanbojildo’ are prone to be preponderant on the realms of Buddhism history. Nonetheless, they may have been selected as records for King Seong-Deok’s succession to the throne. Meanwhile, it is judged that the compensation of these two records regard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described in Samguksagi, confined to the rough and arid description, reveals the aim of Il-yeon, who was willing to convey historical facts to the future generations, in relation to the history which has been handed down.

      • KCI등재

        신라 하대 景文王系왕실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

        송은일(Song, Eun-il)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은 신라 하대 경문왕계에 왕실의 왕위계승ㆍ왕의 자실ㆍ정국운영에 대해 최치원의 인식은 물론이고 그 자신은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생각을 지니고 있었던 것인가를 살펴본 것이다. 우선 경문왕계 왕들의 왕위계승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과 그가 생각했었던 이상적인 왕위계승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는데,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진성왕의 왕위계승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했었다. 최치원이 이 같이 생각했었던 이유는 경문왕과 진성왕은 능력과 재능을 갖추었기 때문이었고, 헌강왕의 경우 태자로서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정상적인 왕위계승이라고 여겼으며, 헌강왕의 동생된 자격으로 왕위에 오른 정강왕의 경우도 당시 정치적 상황 하에서는 정상적인 왕위계승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경문왕계 왕들의 자실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과 함께 그가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했었던 왕의 자질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경문왕은 검박하면서 겸양의 미덕을 지닌 군주로, 헌강왕에 대해서는 문인풍으로 충간을 잘 들어주면서 백성들을 위호할 줄 알기는 하였으되 유약한 군주로, 진성왕은 聖德을 체득하고 사욕은 없으나 병약한 군주로 인식하였다. 최치원이 생각한 군주의 자질은 仁으로 정치를 펼쳐야 하며 백성들의 교화는 효로서 삼아야 한다는 것인데 왕도정치의 실현이 바로 이곳에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문왕계 왕들의 정국운영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과 함께 그가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했었던 정국운영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경문왕에 대해서는 유교적 정치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의 제도를 수용하여 관부의 개편과 인재등용 정책을 적극 시행했던 결과 덕화정치를 펼 수 있었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헌강왕은 중국의 문화와 제도를 잘 수용하여 개혁정치를 펼쳤었고 인재를 중시하였으며, 간언을 잘 받아 들여 나라가 화평했었던 것으로 인식했었다. 마지막으로 진성왕대에는 모든 환란이 한꺼번에 밀려와 나라가 존망의 위기에 놓여 있었던 시기였는데, 진성왕은 이러한 환란에 대해 적극 대처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 진성왕은 최치원이 생각했었던 정국운영에 대 한 구상을 그대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군주로 보기도 하였다. 최치원은 정국운영과 관련하여 군주는 인으로 정치를 펼쳐야 하며, 백성의 교화는 효로서 그 근본을 삼아야만 왕도정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소양을 갖춘 인재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최치원은 경문왕계 왕실이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했었던 왕위계승ㆍ왕의 자질ㆍ정국운영 등과 매우 부합한다고 보았던 것 같은데, 그가 경문왕계 왕실과 정치적 생명을 다했었던 것은 대개 이러한 이유때문이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hoi Chi-won’s perceptions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during the lattet period of Silla in term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qualities of the king, and operat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s, as well as his own ideas of those aspects. First examined were his perception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y the kings from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and his ideas of ideal succession to the throne. He had an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y King Gyeongmun, Heongang, Jeonggang, and Jinseong on the grounds that King Gyeongmun and Jinseong had the abilities and talents required from a king, that King Heongang ascended to the throne in a legitimate way as the Crown Prince, and that King Jeonggang succeeded to the throne 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Heongang, which was deemed to be legitimate under the political conditions at that time by Choi. Then his perceptions of the qualities of the kings from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were examined along with his ideas of the most ideal qualities of a king. He thought that King Gyeongmun was a monarch with such virtues as frugality and humbleness, that King Heongang was a literary man and weak monarch that listened carefully to loyal remonstrances and cared for the people, and that King Jinseong was an invalid monarch that obtained royal virtues and had no personal greed. Choi believed that an ideal monarch would rule the nation with perfect virtue and educate the people through filial piety, which embodies the idea of benevolent royal government. Finally, his perceptions of the ways the kings from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ran the political situations were examined along with his ideas of the most ideal ways. He perceived that King Gyeongmun actively introduced the Chinese systems to implement the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and worked hard on the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the policy of recruiting talents, thus doing virtue-based politics. He believed that the entire nation enjoyed peace under the rule of King Heongang, who reformed politics by carefully introducing the Chinese culture and systems, placed importance on talents, and accepted admonitions well. Silla was in the face of all kinds of hardship and disaster at the same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Jinseong, being driven to the verge of collapse. Choi saw that King Jinseong actively dealt with the hardships and disasters and did his best to overcome them. Choi regarded King Jinseong as a monarch who had the abilities to carry out his ideas about the operation as a monarch who had the abilities to carry out his ideas about the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Choi also believed that a monarch should base his politics on perfect virtue and find the essence of the tenets for the people in filial piety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thus implementing benevolent royal government based on the support of talents with academic qualities. In short, Choi perceived that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much corresponded with his ideals in succession to the throne, qualities of the king, and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which explains why his political life was ended with the fall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 KCI등재

        신라 상고기 왕위계승연구의 세대 연구방법론 모색을 위한 시론—나물왕의 왕위계승을 중심으로—

        이천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2 N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generation research methodology in looking at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ancient Shilla Dynasty.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using ‘generation’,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only the concept of generation in a limited sense of relative genealogy was used without specifying a specific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generation and setting the category. For this reas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generation and its categories, and introduced generation theory that had been discussed up to Karl Mannheim. Through this, we tried to analyse the applicability of ‘generation’ in the study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ancient Shilla Dynasty. In the process,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im family’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the fact that the temporal gap between the blood ties and the birth and death dates confirmed in the records related to King Naemul was rather a person who could be free from the tendency to be studied mainly on blood ties and households. By creating a generation entellecki called Kim’s ancestral genealogy setting, the group of the King Naemul was able to move from a generational position to a real generation and succeed to the throne by developing to a generational unit through specific genealogy setting. In the process, it was assumed that the generation that failed to create generation entellecki was omitted in the process of future transmission due to being incorporated into the previous or later generations. As a result,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King Naemul was recorded as the son-in-law of the King Michu, even though there was a time difference of more than 100 years between the ascension of King Michu and the King Naemul. According to the above, it was judged that the generation research methodology would be a valid analysis tool in studying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ancient Shilla Dynasty. Nevertheless, when looking at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King Naemul,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economic, military, cultural, and ideological aspects of various groups, including the King Naemul, must be considered together, but this study was not covered. This will be covered in future tasks. 본 연구는 신라 상고기의 왕위계승을 바라봄에 있어 세대 연구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기존에도 ‘세대’를 활용한 왕위계승 연구가 몇 차례 시도되었으나, 세대 개념에 대한 정의와 범주에 대한 설정이 규정되지 않은 채 친족계보상의 제한적 의미의 개념만이 사용되었다. 또한 하나의 세대를 30년으로 규정하여 세대수를 계산하는 방식은 관행적으로 사용하던 방법이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의 개념과 그 범주를 설정하고 주로 사회학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세대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신라 상고기 왕위계승 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때 나물왕을 대상으로 삼은 것은 그의 왕위계승이 김씨 왕위계승의 확립이란 시발점이 되는 사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록에서 혈연관계와 생몰연대 간의 시간적 간극이 오히려 기존에 혈연과 가계 위주로 연구되어 온 경향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점도 작용했다. 나물왕 집단은 김씨의 조상계보 설정이라는 세대 엔텔레키를 창출해냄으로써 세대위치에서 실제세대로 나아갈 수 있었고, 구체적 계보설정을 통한 세대단위로까지 발전하면서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세대 엔텔레키를 창출해내지 못한 세대는 이전 혹은 이후의 세대에 편입됨으로 인해 후대 전승 과정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이로 인해 미추왕과 나물왕의 즉위 사이에 100년 이상의 간극에도 불구하고 나물왕이 미추왕의 사위로 기록된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나물왕의 왕위계승은 여러 집단들의 경제적⋅군사적⋅문화적⋅사상적 측면 등을 비롯한 다양한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함에도 본 연구에서는 미처 다루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향후 과제에서 다룰 예정이다. 그럼에도 신라 상고기 왕위계승을 연구함에 있어 세대 연구방법론은 유효한 분석 도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신라상대 왕실에 있어서 외손의 왕위계승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성태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4 고문화 Vol.63 No.-

        Scholars have been discussed about Korean Family History till now, however it is very doubtful that the maternal mother’s family was disregarded. Perhaps, the stem of Korean family is a patrilineal society so that the maternal mother’s family was disregarded. The writer insists that basically Korean society is patrilineal society. As a consequenc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maternal mother’s family, Korean society has been maintained the patrilineal society. Among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changes, a patrilineal society had been adapted realistically one of the mechanisms of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the maternal mother’s family. Also this is the main idea of this article. If we consider that Shilla society is the “powerful” patrilineal society, as a result,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o son-in-law including Talhae is no wonder. But, a succession to the throne to son-in-law is in place of wife, so a husband merely took the place of wife’s throne in the male dominated society. Therefore, the husband who took over the wife’s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can not be given the crown to his own child. And yet, descendents in daughter’s line can take over the crown who doesn’t have his own child. Through this theory,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handed down from Park family to Seok Family and again to Kim Family. That is to say that “No son, the crown will be given to grandchild-in-law.” According to the simple genealogical succession theory, the throne is handed down from Park family, to Seok family and again from Seok family to Kim family. This article analyzes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according to the theory as stated above. Even if the historical facts were cooked up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we still understand the rule of descent in Koryo period. The matters of the maternal mother’s family and descendents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Korean rules of descent. 지금까지 한국 가족사를 논의하면서 외가에 대한 언급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마도 한국가족의 근간이 부계사회에 있다는 지나친 고정관념으로 인해 외가의 중요성이 애써 무시되어져 왔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한국사회는 부계사회임을 주장하며, 한국사회가 면면히 부계사회를 유지하게 된 것은 이 외가의 존재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말하자면 사회 정치 경제적인 변화 속에서 부계사회구조가 현실적으로 적응해 나가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하나의 기제로 외가의 존재를 이해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 논문의 중요한 단초이기도 하다. 신라사회가 여성도 자신이 태어난 본가의 성원권을 가지는 “강력한” 부계출계사회라고 본다면 탈해를 위시한 사위가 왕위를 계승하는 사례는 당연한 것이다. 다만 사위의 왕위계승은 부인을 대신하는 것으로 남권위주사회에서 그 역할을 남편이 대신하는 것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인 대신 왕위를 계승한 사위는 자기 자식에게 바로 왕위를 계승할 수 없다. 다만 친손이 없을 때 비로소 외손이 왕위를 계승하는 것이며 그런 논리에 의해서 왕위는 박씨에서 석씨로 그리고 다시 김씨로 계승된 것이다.즉 “분할될 수 없는 상속형태(제사나 왕위상속)는 친손이 없을 때 외손에게로 상속권이 넘어 간다”는 단순한 상속논리에 따라 왕위는 박씨에서 석씨로 다시 석씨에서 김씨에게로 넘어간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논리에 따라 그 왕위계승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설사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의 왕력이 조작되었다 손치더라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편찬한 고려시대의 출계원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출계원리에서 차지하는 외가와 외손에 대한 문제는 대단히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신라 경순왕의 즉위를 통해 본 신라 하대의 왕위 계승 원리-혈연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천우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4

        It was written with a focus on 'blood factors' as it looked at the ascension factors of King Gyeongsun, the last king of Silla. This resulted from previous studies reviewing the ascension of King Gyeongsoon, focusing only on political factors surrounding the "Poseokjeong Incident." Above all, the question of who had the right to succeed the throne was the starting point without specific criteria for the principle of succession to the lower Silla Dynasty. In looking at the process of Silla's succession to the throne, it was judged that the blood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were not factors to be dealt with on a par with. In other words, if the blood-related factors set the standard for several candidates to assume the throne, it is thought that a particular candidate could be crowned by various political factors among them. Therefore, this book focused on the question of the difference in records between the librarians 'jogje(族弟)' and 'pyoje(表弟)' in Chapter II in order to identify the blood-related factors that King Gyeongsoon was able to succeed.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state that it was used differently from the concepts currently understood based on the examples of 'jogje(族弟)' and 'pyoje(表弟)' found in 『Goryeosa(高麗史)』. Chapter III mentioned the importance of the blood relationship with the king before and based on this, he wanted to look at principles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late Silla Dynast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regard King Gyeongsun as a figure who has the right to succeed to the lower Silla Dynasty, the term 'jogje(族弟)' was used to supplement his qualifications for succession to the throne while securing the legitimacy of his succession. key word : King Gyeongsu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late Silla dynasty, jogje(族弟), pyoje(表弟) 본고는 신라의 마지막 왕이었던 경순왕의 즉위 요인을 살펴보면서 ‘혈연적 요인’에초점을 두어 작성되었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경순왕의 즉위를 검토함에 있어 ‘포석정 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요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문제제기에서 비롯되었다. 무엇보다도 신라 하대 왕위 계승 원리에 대한 특정한 기준 없이 누가 왕위 계승권을가진 인물이었는지에 대한 논의로 확장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출발점이었다. 신라의 왕위 계승 과정을 살펴봄에 있어 혈연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은 등치되어 다루어질 요소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즉, 혈연적 요인이 여러 명의 왕위 계승 후보자들이 상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면, 그들 가운데 여러 정치적 요인들에 의해 특정 후보자가 왕위에 오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때문에 본고는 경순왕이즉위할 수 있었던 혈연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장에서는 ‘족제’와 ‘표제’라는 사서간의 기록 차이에 대한 의문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였다. 특히 고려사에서 확인되는 ‘족제’와 ‘표제’의 용례를 바탕으로 현재 이해되는 개념과는 달리 사용되었음을밝히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신라 왕위 계승에 있어 직전 왕과의 혈연관계에 중요성을 언급한 뒤 이를 바탕으로 신라 하대 왕위 계승 원리를 새롭게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경순왕이 실제로는 신라 하대 왕위 계승권을 가진 인물로 보기는 어렵지만, ‘족제’라는 부계적 혈통의 용어를 통해 왕위 계승 자격의 미흡함을 보완하는 동시에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신라(新羅) 진골(眞骨)의 `가계(家系) 분지화(分枝化)`에 대한 재검토-사위의 왕위계승권을 중심으로-

        이재환 ( Lee Jaehwan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7 No.-

        지금까지 신라 중대 이후 진골이 단일한 父系 친족집단에서 여러 개의 家系 및 小家系로 분지화해 나갔고, 하대에 들어서면 이렇게 형성된 小家系들의 대표자들이 왕위를 두고 서로 경쟁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널리 받아들여져 왔다. 그런데 중대 말·하대 초에 왕위를 둘러싼 대립이 첨예화되어 무력 분쟁에 이른 것은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특정 조상을 공유하는 家系가 세력 단위로 표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왕위 계승에서 나타나는 신라의 특수성은 家系의 분지화가 아니라 사위(女壻)를 통한 왕통의 전달을 인정하는 데 있었다. 사위의 왕위계승권은 상고기의 왕위 계승에 관한 전승에서 나타나며, 이후 憲安王의 사위로서 즉위한 景文王처럼 사위의 자격으로 왕위를 이어받았던 사례들이 보인다. 神德王이나 경순왕 또한 憲康王의 사위와 외손이라는 관계가 왕위 계승의 근거가 되었음을 五廟 배향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분지화한 家系가 왕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충돌한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져 왔던 興德王 사후의 왕위계승 분쟁 또한 계승권자인 忠恭의 아들과 사위들이 왕위를 놓고 충돌한 것으로서, 소가계 분지화의 사례로는 보기 어렵다. 결국 신라 중·하대에 확인되는 왕위를 둘러싼 분쟁의 사례들은 `왕권`과 그 반대편의 `귀족` 간에 벌어진 정치적 주도권 다툼이 아니라 왕위에 접근할 자격을 갖춘 이들 사이에서 왕위의 획득을 두고 벌어진 것이었다. 무열왕대 이후 신라에서는 `왕족`과 그 외의 진골 간의 명확한 구분을 설정하기 어렵게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rue-bone` status has branched from a single patrilineal group to several lineages and the leaders of the lineages fought each other for the throne in the late age(下代) of Silla. However, during the armed conflicts around the throne from the end of the middle age(中代) to the early of the late age(下代), there was no case that a group sharing a particular ancestor was designated as a unit of power. The peculiarity of Silla in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was not the branching of lineages but that the king`s son-in-law could succeed the throne too. The right of succession of son-in-law is shown in the story about succession to the throne at the ealry-late period(上古期), and there are also actual cases like the King Kyeongmun(景文王) who was the son-in-law of the King Heonan(憲安王).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ist of the ancestors enshrined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五廟) that the king Shindeok(神德王) and the king Kyeongsun(敬順王) could succeed the throne as son-in-law and daughter`s son of former king Heongang(憲康王). Wars of succession after the death of the king Heungdeok(興德王), which were regarded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llisions between branched lineages, were also battles between sons and son-in-laws of Chunggong(忠恭) who was the rightful successor. Thus, the cases of the dispute over the throne in the middle and the late Silla were not the struggles between the `kingship` and the `nobles`, but the conflicts among those who deserve access to the throne. By the time King Muyeoul(太宗武烈王) was crowned, it became difficult to establish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oyal family` and the other `true-bone` sta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manson97@s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