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812년 평안도 정주성 전투의 경과 및 관군과 반군의 역량 비교

        강석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4

        Hong Gyeong-rae’s rebellion began in December 18th, 1811 and ended April 19th. 1812 during the middle age of Joseon Dynasty. Jeongju castle was besieged from December 29th, 1811 to April 19th, 1812, so the most part of the Hong Gyeong-rae’s rebellion was the battle of Jeongju castl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whole stages of the battle of Jeongju castle and compared capabilities of the government forces with the rebel armies. During the general attack, while the government forces used a new weapon called Yooncha(mobile carrier loaded with attack weapon), however, the rebels destroyed it with a new tool. As the long lasting siege exhausted their supplies such as food and weapons etc., the rebels dared to try advancing out of their castle only to fail. Because the rebels determined not to surrender for a long time, the government forces exploded the castle wall and captured those who survived. And then, except women and children, all of men patticipated in the rebellion, in total 1,917 ones were executed. With almost incompetent officers, the command center of the government forces could not give orders and make strategies, nor did it have enough combat powers including manning. The government forces could not hide sign of attack even in night and their siege weapons were useless without precision and endurance. They did not even use Hong’ipo to attack the rebels which was stored in Hullyeondogam(Central Army) located in Hanyang. But the rebels, acknowledging that they would fail by the lack of food and weapons, protected the castle by inventing and using effective defensive equipment until the end. The occupation of the castle was not the result of government forces’ victory, but the result of extinction of the rebels. This study focuses to review and analyze Hong Gyeong-rae’s rebellion and the battle of Jeongju castle by military perspectives which were not researched in former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is a part a proof to understand Hong Gyeong-rae’s rebellion in total. 홍경래란은 1811년 12월 18일에 시작하여 1812년 4월 19일에 종식되었다. 정주성 전투는 1811년 12월 29일부터 1812년 4월 19일까지 전개되었으며, 홍경래란 전 시기의 대부분은 정주성 전투의 기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주성 전투의 전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드러난 관군과 반군의 역량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총공격을 펼친 관군은 신무기 윤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으나, 반군 역시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윤차를 파괴하였다. 오랜 포위 때문에 식량과 무기가 부족해진 반군은 과감한 출성 공격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반군이 항복하지 않고 오래 버티자 관군은 성벽을 폭파한 후 진입하여 생존한 인원들을 모두 생포하였으며, 이들 중 여성과 어린이를 제외한 모든 성인 남성 1,917명을 전부 처형하였다. 관군의 지휘부는 몇몇 예외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전투 지휘나 군사 역량 발휘에 무능하였고, 병사들의 전투력 역시 매우 부족한 형편이었다. 관군은 야간에 전투를 시작하면서 공격 기도를 감추지 못하였고 공성도구는 정교함이나 견고성이 떨어져 쓸모가 없었으며, 한양의 훈련도감에 보관된 홍이포를 사용하지도 않았다. 이에 비해 반군은 식량과 무기 부족으로 결국 실패가 예정된 싸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방어 도구를 개발하여 이용하면서 최후까지 최선을 다해 성을 지켜내었다. 관군이 결국 성을 점령하였으나 관군의 승리라기보다는 이미 자멸한 반군의 마지막 숨을 끊은 것이었다. 본 연구는 홍경래란이나 정주성 전투에 관해 기존 연구에서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군사적 관점에 입각한 접근과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홍경래란의 종합적 이해를 위한 실증 작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반란에 대한 기억 혹은 기대

        이지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Jeon Nak-chung(1875∼1951)’s Hongchungrae-jeon(the story of Hong Kyung-rae) is the follow-up to his other novel, HongKyoungRae-jeon. As the title implies, the story shows descendants of Hong Kyung-rae rebellion attempt to rebel again. The novel uses historical events from the mid to late 19th century, such as the Taepyeong Kingdom's rebellion, Daewon-gun's Reformation, invasion of the French fleet in 1866 and a military revolt in 1882. The main character, Hong Joong-rae, meets Hong Kyung-rae, who fled to China after his failure of rebellion. Since Daewon-gun took power, Northwesterners expected for him to reform the Joseon Dynasty, but soon were disappointed with Daewon-gun, so they prepared another revolt which ended in failure. In these narratives, Jeon Nak-chung describes Joseon as an unequal society where discrimination prevails. He imagined the reform of unfair Joseon by featuring a heroic figure, but their attempts end in failure. In Hongchungrae-jeon, Jeon Nak-chung reveals his ambivalent feelings to Joseon, which is his Homeland even if negative memories. 전낙청(1875∼1951)의 <홍중래전>은 그가 쓴 또 다른 소설 <홍경래전>의 후속편으로, ‘洪重來’란 命名에서 짐작되듯 洪景來亂 주동자의 후손들이 다시 반란을 도모한다는 내용이다. 이 소설은 태평천국의 난, 대원군의 개혁, 병인양요, 임오군란 등 19세기 중후반의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주인공 홍중래는 중국에서 태평천국의 난 관련자인 석달개를 만나는데, 홍경래가 바로 석달개의 스승으로서 반란 실패 후 중국으로 피신한 것으로 나온다. 또한 서북인들은 대원군이 집권한 이후 개혁을 기대하나, 대원군이 서북 武人들을 믿지 못하자 실망한다. 이후 서북인들은 병인양요 때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논공행상에서 배제되자 대원군에 대해 더욱 실망한다. 또한 임오군란은 ‘실패한 반란’으로 가공되고 있다. 홍중래와 오가구는 禁軍들을 이용한 반란을 도모하지만, 독고랑이 병든 사이 금군들이 준비 없이 봉기하는 바람에 결국 실패하고 만다. <홍중래전>에서 조선은 차별이 만연한 나라로 그려지고 있다. 영웅적 인물을 등장시켜 조선의 개혁을 상상해보지만, 이들의 시도는 실패한다. 전낙청은 이를 통해서 불평등했던 고국에 대한 자신의 양가적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홍경래란의 기억과 문학적 형상화

        송하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The Hong Kyong-nae Rebellion was a shocking event that denied the overall social system in the 19th century Cheosun. Every comment about it written in the literature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was negative and no goodwill find there at all. Defending or even justifying Hong Kyong-nae was equal to confession of a rebellion. Any person who showed incorrect reaction at its initial stage or suspicious behaviors were attached by the society. They had to explain the reason of their every trivial reactions word by word. In here, we reviewed the texts written by Im sung-go, Baek Gyeong-hae, Yu Hyo-won, Lee Geun-joo, etc. Their writings showed how much they strived for saving their family and their own lives. The literary works such as Sinmirok also described and showed the results and impacts made by their fights.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many took the moral high ground over the deceased in order to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s and influences. “Sinmirok” was published for the public and even the women in the deep palace could read. This book drew basic frame to understand the rebellion. However, it failed to free from the mainstream discourse as it was based on the government records. New perspective was rising as 20th century begins. “Hongkyongnaesilgy” and “Hongkyongnaejeon” gave a new assessment on the person by using new concepts including human rights, equality, people and revolution. The domination idea from the past could not explain the reality no more and the new era needed to call the past event and assign a new meaning on it. 홍경래란은 19세기 조선의 사회 체제를 정면으로 부정한 사건이었다. 19세기 말까지의 문헌에서 홍경래를 언급한 말은 모두 부정적인 뜻이었다. 그에 대한 온정적인 태도는 어디에도 발붙일 곳이 없었다. 당시에 홍경래를 변호한다는 건 스스로를 불온한 무리라고 자인하는 꼴이었기 때문이다. 홍경래란 때 대응을 잘못했거나 행적이 의심스러웠던 인사는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행적을 낱낱이 소명해야 했다. 이 논문에서는 임성고(任聖皐)・백경해(白慶楷)・유효원(柳孝源)・이근주(李近冑)와 관련된 자료를 검토했다. 그들이 남긴 글에는 개인의 생존과 가문의 존립을 위해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신미록』・『정주가』 같은 문학 작품에 형상화된 양상을 통해 그런 노력이 어떤 효과를 거뒀는지도 살폈다. 아울러 죽은 자들의 후광을 빌어 산 자들의 도덕적 우위를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지위와 영향력을 유지하려 한 경우도 확인했다. 『신미록』은 방각본으로 간행돼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었고, 궁중의 여인들까지도 읽을 수 있었다. 광범위한 독자들에게 홍경래란을 이해하는 기본틀을 제시한 셈이다. 『신미록』은 관변(官邊)의 기록에 바탕을 둔 작품인 만큼 주류 담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새로운 시각으로 홍경래란을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홍경래실기』・『홍경래전』은 ‘인권’・‘평등’・‘민중’・‘혁명’ 등 새로운 관점을 동원해 홍경래를 재평가했다. 새로 맞이한 환경을 설명할 수 있는 역사적 기억을 불러내야 했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야 했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홍경래란을 바라보는 시선

        정환국(Jung Hwan Kuk)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5 No.-

        이 글은 1811년 서북 지역에서 발생한 홍경래란에 대한 19세기 지식인들의 시선을 따져보고, 그 이후 서사 작품에 나타난 홍경래와 난에 대한 ‘다른 시선’에 주목한 것이다. 이는 이 시선이 19세기 이후 한국 사회의 인식의 층위와 그 착종양상을 규명하는 관건 중에 하나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한다. 먼저 문인지식인들에게 포착된 홍경래란은 ‘변방에서 逆徒가 일으킨 반란’으로 규정된다. 물론 논자들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고, 표면적인 제스처 차원에서 자신들의 의지와는 무관한 견해를 피력한 예도 있어 보인다. 또 정약용 같은 지식인은 이 사건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개안된 시선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럼에도 홍경래를 적도로 규정하는 일방적 시선은 여전하며, 그럼으로써 19세기 지식인의 인식과 그 한계를 대변한다. 반면, 19세기 중반 이후 성립되었을 것으로 추단되는 관련 서사작품에서는 이와는 상황이 다르다. 홍경래가 점차 긍정되어 민중의 영웅으로까지 부각되기에 이른다. 이는 이전에 이미 ‘홍경래불사설’이 민간에 회자되는 등 상층의 입장과는 다른 이야기들이 흡수된 결과이다. 이런 서로 다른 시선은 19세기 한국사회의 상하층의 괴리와 착종 현상을 잘 보여준다. 그와 동시에 홍경래란이 상층의 입장에서는 애써 덮어버려야 할 치부이며, 하층으로서는 그들의 원망(願望)을 투과한 사건으로 부상한다. 이처럼 19세기 이후 한국사회의 상은 길항과 착종 속에 계속 흔들리고 있었다. 지금의 한국사회도 이런 현상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홍경래란은 여전히 진행형인 사안이다. This paper is to do a research into the 19th century intellectual's look in question about Hong Gyeong Rae's rebellion that has taken place at the Northwest of Korea in 1911, and then put attention on ‘the other look’ of Hong Gyeong Rae and the rebellion in narrations. This treats of a critical mind that the look of Hong Gyeong Rae's war is one of a key point that examines closely layers of Korean social recognition and its tangle after the 19th century. First, Hong Gyeong Rae's rebellion grasped by the literary intellectuals is stipulated as ‘rebellion caused by rebel in the frontier’ Of course, each writer has a little difference, and occasionally stated the other view from their will in superficial gesture. Also It can be detected the opened look that Jeong Yak Yong approached to this problem in a systematic dimension. Nevertheless, the unilateral look that stipulates Hong Gyeong Rae as a rebel still exists, which speaks for the 19th century intellectual's recognition and its limit.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is different from the related narration that is inferred to be established after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As Hong Gyeong Rae has been gradually affirmed, he is highlighted as people's hero. This is a result absorbed by the other stories from the upper classes' view such as ‘Immortality Rumor of Hong Gyeong Rae’ previously been on everybody's mouth. These different views show the tangle and the disparity between upper and lower class in the 19th century of Korean society. In the meantime, the Hong Gyeong Rae's rebellion becomes clear that the upper class ought to be ashamed to have such as weak point and the lower class accept it as a mirror of their dream. As a result, a feature of Korean society after the 19th century has been continuously moved between the disparity and the tangle. Hong Gyeong Rae's rebellion keep being an issue because actual Korean society is still not being free from this case.

      • KCI등재

        金笠의 作品性向 硏究

        김형중(Kim Hyungjoong) 한국언어문학회 2007 한국언어문학 Vol.62 No.-

          This research references existing research for bard Kim-rip and his poem, examined his work tendency in detail. His work can divide to satirical poem, Hangul poem, word amusements(破字戱詩), descriptive poem, love poem, spiritual being poem(詠物詩), animal(insect) poem etc. Recognized his writer mind through his work world that did literature activity through poem of various genre in addition.<BR>  Kim-rip was Andong-Kim"s descendants who is best nobility pedigree, but his parentage fell because of Hong-gyeongrae"s rebellion. He satirical inconsistency of society system and hypocrisy of control class fluently present age through his poem. It is as result that his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could not but give up own learning and knowledge that learn to take part in politics on groundwork of these work is reflected.<BR>  Critical sight for Kim-rip"s satire and jest, hypocrisy of control class is expressed well at his Hangul poem and word amusements. These work that mix Chinese character and Hangul properly, express subject by pronunciation sometimes, to Chinese character meaning sometimes. He understood by principal parts genre of Hangul poem and word amusements that a maid of honor and peoples enjoyed and Chinese poem that the nobility class enjoys the age.<BR>  Kim-rip created descriptive poems that praise the Korean famous mountain and nature sceneries that witness by oneself through life of wandering beautifully. Also, he created much love poems that exchange with kisaeng or various women for tiring wandering period. His descriptive poems showed superior artistic talent of delicate and brand new scenery delineation with sense of beauty which is polished for nature. His love poems sought sense of freedom about instinctive love of human which was prohibited in restraint of feudalism.<BR>  Spiritual being poem, animal(insect) poem used thing which can find easily in our surrounding to site of work. For example, there were the domestic animals such as a dog and rooster, parasite such as a louse and flea, life articles such as chamber pot, brazier, pipe and so on. He escapes conservative view of the world which the nobility culture has and expressed civilianization"s life in his work. Such his work tendency produced result that only the nobility class magnifies Chinese poem that enjoyed by public"s life.

      • 신미민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 정주가를 중심으로

        정영문 崇實語文學會 2003 崇實語文 Vol.19 No.-

        억눌린 삶을 살았던 백성들에 의해 민란은 발생했다. 그들의 봉기는 억눌린 자신들의 삶뿐만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사회 전체, 심지어는 후대에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민란 중에서 대표적 사건이라 할만한 신미민란은 평안도를 중심으로 일어나 전국토에 영향을 주었다. 혁명적이라 할만한 커다란 사건이었기에 발생 당대뿐만이 아니라 후대에 걸쳐 다양한 시각에서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들 문학작품들을 통하여 당시와 후대의 사람들이 그 사건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동시에 급격한 혼란 속에서 사회를 이끌어 나갈 지식인들이 그 사건을 맞이하여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도 읽어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가사문학으로 형상화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신미민란의 의미와 변이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장에서 기록한 가사 〈정주승전곡〉과 10여 년이라는 시공간적 차이를 두고 기록된 〈정주가〉에서 신미민란을 인식하는 양상이 얼마나 다르게 인식되는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사건은 후대로 올수록 산문화되고 소설화되어 갔다. 그로 인해 사건 위주의 기록이 인물중심으로 변이 되었고,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적 차이도 근대의식의 유입에 따라 이전의 가사문학과는 달라졌다. 일정한 한계성을 지닐 수밖에 없었던 민란의 의미가 근대의식의 유입으로 새로운 모습으로 변이되어 간 것이다. 그 과정 속에서 지식인들의 유형들도 그 의미가 역전되는 현상을 보이게 된 것이다.

      • KCI등재

        <정주가(定州歌)>의 구조와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1 No.-

        Jeongjuga is a work of Gasa written by Lee, Hi-hyeon in the early part of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It deals with Hong, Gyeong-rae's rebellion risen in 1811.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Jeongjuga. In Jeongjuga Hong, Gyeong-rae's rebellion is narrated from rising to being suppressed in order of time. But in this work the author did not pursue the detailed descriptions and organic relations of events and scenes. Instead of that the partial events and scenes are extended as occasion calls, and the related persons' attitudes or behaviors are represented critically. In this way it is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are to blame for Hong, Gyeong-rae's rebellion. Of course the author reproached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and their troops. But immediately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the author manifested that not only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but also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responsible for the pain and calamity of war, in spite of his social status belonging to the governing class. This author's consciousness provides Jeongjuga with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Jeongjuga and the aspects of Gasa in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洪景來亂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 「辛未錄」의 형성맥락에 대하여 -

        이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3

        Sinmilok is a narrative about Honggyungrae rebellion which rose in 19th Pyongan province. There are Two version of text. One is the woodblock printed in 1861 and the other is a manuscript which is housed in Changseogak palace Library. The manuscript has older vocabularys and spellings, and less mistakes in comparison with the woodblock printing. So I supposed the original text had written before the woodblock text, and the fact that the both version used ‘your majesty’ instead Sunjo tells Sinmilok had been written before the year 1832. The advanced research said that Sinmilok was affected by Jingjungilgi,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 between them, above all the difference of viewpoint. The similarity between them arose from the characteristic of Jingjungilgi which took extensive record on Honggyungrae rebellion. So I think Sinmilok is not a novel but a kind of record that had been produced by memory on Honggyungrae rebellion, of those days and some people. 「辛未錄」은 坊刻本과 藏書閣 소장의 筆寫本 두 종의 異本이 전하는데, 필사본이 방각본보다 표기나 어휘가 古形이며 오류가 적다. 이로 보아 필사본이 原本에 더 가깝다고 추정된다. 두 이본 모두 序頭에 ‘純祖’를 ‘我朝 聖上’이라고 한 것을 주목하면 原本은 1834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刊記나 한 면당 글자수 변화 등의 특징으로 보아, 1861년 간행본은 선행하는 刊本의 후반부를 새로 板刻하여 再刊行한 것으로 추정된다. 「辛未錄」은 『陣中日記』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義兵보다는 京軍을 더 비중 있게 다루고 朴基豊을 긍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는 『陣中日記』와 거리가 있다. 홍경래란에 대한 한 쪽의 시각에 의해서 재구성된 기억이라고 할 수 있으며, ‘殉節한 官吏’의 유형에 맞게 허구화 된 가산군수의 죽음으로도 알 수 있듯 「辛未錄」은 허구적인 ‘소설’이 아닌 홍경래란에 대한 또 하나의 記憶/記錄으로 존재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