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일본어 작문 연구와 교육의 현황

        조남성 ( Cho Nam-s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6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6

        본고에서는 한국에서의 일본어 작문 연구와 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에서 일본어 작문에 관한 학회지 등의 논문은 124편으로, 언어 사항 습득 및 사용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다(61.2%). (2) 한국 대학원 일본어(교육) 관련 학과에서 작문에 관한 석사(23편).박사(1편)학위논문은 24편이다. 그 중에서 오용.습득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다(42.9%). (3) 한국 대학교(66개교)의 일본어 관련 학과(71개)의 과목(849개) 중에서, 일본어(4기능) 과목 비율은 회화 29.7%,강독ㆍ독해 16.4%, 청해ㆍ시청각 14.4%, 작문 10.6%로, 작문 과목의 비율이 가장 낮다. (4)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일본어 4기능 중에서 작문 능력이 가장 낮고, 작문을 학습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 주된 원인을 ‘한자 (쓰기)능력의 부족’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작문 수업 내용은 ‘어휘나 쉬운 문법 사항을 사용한 단문 작성’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N1 수준의 학습자는 ‘실용문(비즈니스 문서) 작성’, N2-3 수준의 학습자는 ‘한국어 단문(틀리기 쉬운 사항을 포함) 번역’을 가장 늘렸으면 하는 수업 내용으로 생각하고 있다. (5) 한국에서 출판된(1972~2015년) 일본어 작문 교재는 86종으로, 초급 51.2%, 중급 39.5%, 고급 9.3%로, 고급 교재의 비율이 가장 낮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education on Japanese writing in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mong 124 papers on Japanese writing in academic journals, a large proportion of these papers are on language acquisition and usage (61.2%). (2) In Japanese related majors in Korean graduate schools, the number of master’s degree (23) and doctor’s degree (1) theses on writing is at a total of 24. Among these, a large proportion are on error and acquisition (42.9%). (3) Composition of subjects (849) in Japanese related majors (71) among Korean universities (66) in terms of four skills of Japanese show that speaking is 29.7%, reading 16.4%, listening 14.4% and writing 10.6% in which the proportion of writing is the lowest. (4)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learners, they lack writing skills and find it most difficult to learn writing amongst the four skills of Japanese. The main reason is due to the ‘lack of Chinese character (writing) abilities’. Writing classes were mainly on ‘writing short sentences using vocabulary or easy grammar terms’. Also, JLPT N1 level learners think they need more classes on ‘writing practical documents (business documents)’, whereas N2 and N3 level learners on ‘translation of short sentence (including error-prone terms) in Korean’. (5) During 1972 to 2015, 86 textbooks on Japanese writing were published in Korea in which elementary level made up 51.2%, intermediate level 39.% and advanced level 9.3%.

      • KCI등재

        중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에 관한 고찰

        오현정(吳玹定)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고에서는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생활일본어 8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쓰기 활동이 어떻게 유도되고 있는가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행 중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은 대부분 통제 작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도 작문이나 자유 작문의 도입은 매우 미진하였다. Rivers(1981)의 쓰기 지도 단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제 1단계 ‘베껴쓰기’는 20.1%, 제 2단계 ‘재현’은 61.9%, 제 3단계 ‘재배열’은 11.4%, 제 4단계 ‘유도 작문’은 5.0%, 제 5단계 ‘자유 작문’은 1.6%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 7차 개정교육과정 쓰기 활동의 문제점을 제시하면, ①쓰기 교육을 기준으로 볼 때 교과서 간 편차가 매우 크다 ②전체적으로 ‘통제 작문’ 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특히 ‘재현’ 단계의 편중도가 높다 ③‘자유 작문’의 비중이 매우 낮다 ④‘베껴쓰기’ 단계에서 가타카나 쓰기의 비중이 낮다 등이다. 쓰기 활동은 사고 및 창조 활동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다른 기능에 비해 난이도가 높고 복잡하기 때문에 문자를 쓰는 단계에서 낱말과 문장으로 쓰기 단위를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자유 작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어 모어화자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에세이 작문에 나타난 산출 어휘의 특징

        잇시키 마이코,주현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 No.57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에세이 작문에 나타난 어휘 사용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I-JAS 데이터베이스 중 한국인 95명, 일본인 48명이 작성한 에세이 작문을 대상으로 삼았다. jReadability 분석을 통한 문장 난이도를 비교하고 텍스트 마이닝 분석으로 명사, 동사, 형용사의 출현 빈도순 어휘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jReadability 분석 결과, 일본어 모어화자의 에세이에서는 형태소 수와 총 문자 수, 문장 당 평균 단어 수가 더 많이 나타났지만 난이도의 관점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특히 중급 후반의 레벨에 도달한 학습자는 모어 화자의 문장 난이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학습자들이 에세이 작문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중급 후반 레벨을 선행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로 학습자는 ‘사는 것’과 ‘먹는 것’을 같은 선상에서 작문을 하였다는 점과 식생활에 드는 시간과 그 빠르기를 나타내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모어화자는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데 “考える(생각하다)”를 다용하였으며 “~ていく(해 가다)”의 표현을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가는 과정을 설명한 표현이 많았다는 점이 학습자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 화자간의 어휘 사용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혔다. 일본어 학습자가 높은 작문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중급 후반의 레벨에 도달하는 것을 선행 목표로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어휘 선택에 있어서 두 그룹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lexical usage patterns within the context of essay writing, with a focus on distinguishing between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To achieve this goal, a selection of essays authored by 95 Korean learners and 48 native Japanese speakers, all retrieved from the I-JAS database, were utilized as the primary dataset. The study employed jReadability analysis to assess sentence complexity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noun, verb, and adjective usage patterns via frequency-based text mining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jReadability analysis revealed that essays written by native Japanese speakers exhibited a higher frequency of morphemes, total character count, and average words per sentence, although there were no substantial disparities in terms of textual complexity. Notably, learners who had achieved a higher intermediate proficiency level demonstrated comparable sentence difficulty levels to those of native speakers,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aiming for a higher intermediate stage to enhance essay writ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text mining analysis show that the learner writes along the same lines of ‘living‘ and ‘eating‘ and uses many expressions to indicate the time it takes to eat and the speed of eating. On the other hand, the native speakers differed from the learners in that they used "kangaeru (think)"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used the expression "-te iku" to describe the process of changing over time. This study illuminates both the parallels and distinctions in vocabulary utiliz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guiding Japanese learners towards achieving proficiency of higher intermediate level to cultivate advanced writing skills. Furthermore, by comprehending the disparities in vocabulary selection between these two groups, educators can develop more efficacious teaching methodologies for learners.

      • KCI등재

        일본어 자유 작문에서의 오용 분석

        조남성(趙南星)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9

        본고에서는 대학교 2학년 일본어 전공자의 자유 작문에 나타난 오용을 조사했다. 개개의 오용 분석보다는 2학년 학습자에 나타나는 오용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그 주요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대학교 2학년 일본어 전공자의 자유 작문에 나타난 오용을 보면, 통사?의미론 47.9%, 어휘론 27.1, 문자론[표기] 12.8, 음운론[발음] 6.5, 형태론[활용] 5.8의 순으로 비율이 높다. (2)음운론에는 어중의 장음 첨가, 탁음 첨가, 촉음 탈락 등의 오용이 있다. (3)문자론에는 오쿠리가나 표기가 잘못 된 것과 한국어 한자음이 같은 다른 한자로, 형태가 비슷한 한자로, 구자체로 표기한 것이 있다. (4)어휘론에는 품사의 혼동(형용동사를 동사, 형용동사를 명사, 동사를 형용사로 사용), 유의 동사, 보조동사(-ておく, -てみる, -ている), 관용적인 동사구(-になる형), 형용사, 형용동사(?念だ), ダ의 첨가?탈락과 부정형, 명사(こと, 유의 한자어, 접미어), 부사(もっと), 연체사(ある), コソア(その所 →そこ, その/それ, あの/その), 부정어(か), 수량사, 접속사 등의 오용이 있다. (5)형태론에는 동사 ナイ, (ヨ)ウ, (ラ)レル, マス, テ형(촉음 첨가)과 연체형, 형용사와 タイ의 과거형, 형용사와 ナイ의 テ형 등의 오용이 있다. (6)통사?의미론에서 보어에는 격조사ガ(を→が), ヲ(‘が, と, に, で’→を이외 を의 첨가?탈락), ニ(を→に, に 첨가, が→に, で→に), デ(に→で), ト(を→と), カラ(で→から), トシテ(で→として), ニトッテ (に→にとって), 연체조사ノ(탈락) 등의 오용이 있다. 태에는 수동, 사역, 가능, 자?타동사의 구별, ヤリモライ 등의 오용이 약간 있다. 시제?상에는 ル→タ, タ→ル, ル→テイル의 오용이 있다. 접속에는 テ형, 연용형, 동사구의 병렬, 부사적 연용수식, 인용 등의 오용이 있다. 모달리티에는 ハ(첨가, 탈락), モ(첨가), ダケ, 서법, 문체, ノダ의 오용이 있다.

      • KCI등재

        2015年改訂教育課程 高等学校日本語教科書の会話、作文活動分析

        이경수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2 No.-

        As the textbook i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eight Japanese Textbooks are not completely true.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the advanced level and language culture curriculum.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textbook is not well reflected. Conversation activities have a common focus on communication. Conversation practice involves too many conversation activities.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2015 revision of the Japanese language curriculum is rarely reflected in Japanese language and nonlanguage culture. Voice features should be actively incorporated.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is is not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field. Japanese Lguage and nonverbal behavior should be separated from basic expressions of communication and treated as a crosssection of culture. Conversation and writing should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회화 활동은 (1)음성적 특징에 유의하여 말하기 (2)낱말 또는 짧은 문장으로 자신의 의사나 정보 표현하기 (3)의사소통 기본표현과 관련된 짧고 쉬운 대화하기 (4)일본인의 언어・비언어 문화에 맞게 표현하기 (5)상대방의 지위나 친밀도 등의 차이를 인지하고 상황에 맞게 말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8종 교과서의 내용이 이에 부합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4)와 (5)는 매우 부족하다.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교육과정 자체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것인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회화 활동은 의사소통 기본표현을 중심으로 대화를 전개해야 하는데, 연습 단계에 너무 치우쳐 있다. 단어나 짧은 문장으로 말하기, 질문하고 대답하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2015 개정 일본어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중 (1)음성적 특징에 유의하여 말하기와 (4)일본인의 언어・비언어 문화에 맞게 표현하기는 실제 교과서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 (5)상대의 지위나 친밀도 등의 차이를 인지하고 상황에 맞게 말하기 항목은,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필요하지만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서 꼭 필요하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실제 교과서에 반영될 비율은 매우 낮아 보인다. 어쩌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현장을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회화 활동의 주요 학습 요소는 기본어휘표, 의사소통 기본표현, 언어・비언어 문화이지만, 이 중에서 언어・비언어 문화는 의사소통 기본표현에서 분리시켜 문화 항목으로 다루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일본어 교육에서 작문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작문 활동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통제 작문, 유도 작문, 자유 작문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8종의 교과서를 살펴보면 통제 작문은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지만 유도 작문은 그렇지 못하다. 자유 작문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통제 작문이 가장 많은 교과서는 001(81), 가장 적은 교과서는 007(41)로 2배 정도의 차이가 난다. 유도 작문은 006(11), 007(0), 008(1) 교과서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자유 작문이 가장 많은 교과서는 007(11)이며, 001(1)과 004(1)가 가장 적다. 이처럼 작문 활동은 교과서에 따라 편차가 크다. 교과서 8종의 작문 활동을 보면, 통제 작문은 전체 합해서 467개, 평균 58개이다. 유도 작문은 전체 39개 평균 5개이며, 자유 작문은 전체 46개 평균 6개이다. 따라서 통제 작문을 일부 줄이고, 대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을 늘려 균형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반영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효과적인 작문 교육을 위한 제안

        손정숙 ( Jeong Suk So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1

        학습자의 니즈에 따라 일본어 교육관련 교재가 다양하게 출판되고 있다. 그러나 작문교재의 비율은 9.7%로 언어의4가지 양성기능 중에서 작문.청해 교육관련 연구와 교재 개발이 부족하여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교재개발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1965년부터 2014년까지 출판된 104종의 작문교재에 대하여 연대별 출판현황과 교재분석, 수준별 작문지도법과 작문상에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작문 교육을 위한 교재개발 방향과 지도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80년대까지 6권, 1990년대 전 후반 각각 26권, 22권, 2000년대 이후 70권으로, 1990년 후반을 기점으로 활성화됨을 알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대의 제작 경향으로는 편지쓰기 펜팔 이 메일 작성과 관련된 교재가 눈에 띄며, 대학 수업 교재로 내국인 교원이 집필한 교재가 많았다. 2000년대에는 내국인 교원 단독 집필뿐만 아니라 원어민 교원의 공동 집필이 많았으며, 일본 현지 출판사와 라이센스를 맺어 출간된 서적도 증가하고 있다. 교재의 내용은 첫째, 문법을 중시한 문형중심의 초 중급 교재 둘째, 문맥이나 어휘선택을 중시한 표현중심의 중, 상급 교재, 셋째 일반인이나 회사원을 대상으로 한 일기문, 편지문등의 특수한 문장력을 요구하는 교재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급지도 교재는 기본문법과 문형학습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고, 중급이상의 레벨에서는 한.일양언어의 발상법을 잘 이해시키고 전환할 수 있는 힘과 오용문장을 고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과제를 제시하여 단락구성의식과 올바른 문장 표현력을 길러야 한다. 작문 지도에는 레벨이나 지도법에 관계없이 많은 연습과 피드백, 다양한 형태의 문체를 접하게 하여 어휘나 술어의 활용훈련이 필수적이며 온라인상의 일본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일이 없도록 지도해야할 것이다. A textbook related Japanese education through various learner needs have released. but writing textbook of portion is 9.7%. this is very insufficient among listening,talking,writting,reading. so we need to research a Writing & Listening textbook and to study Writing & Listening area. This document suggested error in a graded method of guidance about published kind of 104 from 1965 to 2014 and in writing chronological present condition published and studed effective the textbook research way. The result is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 is revitalized post 2000.(6 volume 1980 , 26 volume first 1990 and 22 volume second half 1990 ) A production of textbook tendency was writing letter, email and pen pal. anda large number of class material in college was made by Korean. Not only is Korean writter but also a lot of native writter co-write in 2000. Also The textbook made with publish company in japan was increased. The contents of textbook was fall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Pattern Practice Method and gramma are main for basic grade. second, the point is expressed in context or selection of vocabulary for middle and higher grade. third, A writing diary or letter required special writing skill for general person or company workers. The basie textbook required making one sentence in five word phrase with basic gramma and sentence structure. Specially the intermediate textbook asked understand idea expression method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change from korean to Japanese and asked fixing misuse sentence and suggesting various pattern assignment. so learner can learn structure of paragraph and sentence expression. I think that teaching composition needs a lot of practice and feedback, regardless level and teaching way and leaners need to touch various style of writing for acquiring vocabulary or predicate of use. also we need to educate a student who not to use online vocabulary indiscriminately.

      • KCI등재

        WEB을 활용한 일본어 작문 지도

        한원형,이동욱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8 No.-

        Observe the process of the Japanese composition class, the teacher decides the goal of learning and makes the subject and the related contents learn. Then the learner makes and submits the composition concerning the contents, and the teacher produces and gives feedback such as the composition’s corrections. It is common for learners to correct their own mistakes. In this process, when the learner tries to compose an expression that has not been learned, he or she refers to a dictionary etc. 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but the learner uses words or expressions obtained by reference. It is difficult for the learner to judge whether the expression is suitable for the content that the student intends to express. In this paper, when a Japanese learner does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learner intends to express information obtained in a dictionary etc. Introduce and explain how to use WEB (Google) as. 일본어 작문 수업의 과정을 살펴보면,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 목표에 맞추어 주제를 설정하여 관련된 내용을 학습시키고 학습자는 주어진 내용에 맞추어 작문을 수행하여 제출하고 교수자는 제출된 작문을 첨삭 등을 통하여 피드백을 하면 학습자는 이를 통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작문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존의 학습에서 습득하지 못한 일본어 표현을 작문하려고 할 경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전 등을 참고하지만, 참고한 단어나 표현이 학습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적합한 표현인지 아닌지를 학습자 스스로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본고에서는 일본어 학습자들이 작문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전 등을 통하여 얻은 단편적인 정보를 학습자가 원하는 표현인지 아닌지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WEB(Google)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 설명한다.

      • KCI등재

        ‘일본어 작문 패턴’을 활용한 논설문 작성 교육 방안 및 그 유효성에 관한 분석

        이해미(李海渼)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5

        This paper aims to offer formalized writing patterns and major language expressions of each sentence in the writing pattern so that anyone can write an essay if s/he knows the meaning and utilization of common Japanese grammar. For this, it analyzes the validity of writing patterns as to whether or not they can be used in Japanese writing education. A special lecture was given to 41 intermediate-level Japanese learners on how to write a Japanese essay within 75 minutes. Every student who took the special lecture wrote a 1,500-character essay. Methods of analysis are as follows. Writing cases of Japanese writing patterns and major language expressio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elements: title, lead, fact, comment, and ending. Further, I analyzed a learner’s essay that best utilized the Japanese writing pattern and expressions. It was found that the formalized writing pattern was useful in that it provided Japanese learners who were unaccustomed to writing essay with a guide of how to develop ideas for an essa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Japanese education should also provide a series of sentence structure forms, such as the writing technique that is actively used in English education. This type of teaching method can also be used as one of the effective writing teaching methods.

      • KCI등재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杉本加代子(Sugimoto, Kayoko),李承珉(Lee, Seung-Min),瀧口恵,子(Takiguchi, Keiko)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4 No.-

        本稿は啓明大学校の日本語寮(JIKU)の中·上級者の学習者を対象にした作文指導の実践報告であり、その目的は学習者の個性や発想力を引き出すことに重点をおいた指導方法と評価方法の提案である。 実践報告の対象は2021年1学期の作文授業である。その学習効果と学習者の意識については、学期末に実施したアンケート調査結果と提出作文をもとに考察した。学習者が主体的かつ意欲的に作文に取り組むためには、テーマ設定の多様さ·斬新さが重要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ため、指導に有効なテーマを類型化した。また、読む·書く·聞く·話すという総合的な日本語学習を目指し、興味をもって楽しく書くことができるよう、作文と他の科目とを組み合わせた形式の指導案をまとめた。さらに、学習者を枠にとらわれない創作へと導き、採点の効率化にもつながる評価法とあわせて「JIKU式メソッド」として提案する。 This study is an action report of writing guidance of teaching composition as to the subjects, classified as Middle and High-Level Learners only, in the Japanese- speaking dormitory of Keimyung Unicersity(JIKU). It purports to suggest some methods of guidance and evaluation to elicit latent faculties of personality and ideas. The study was made in terms of ‘Writing’ class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of 2021. As to the reaction and effects of the learner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learners’ composition papers and the survey given at the end of the semester. Teaching guidance line was pre-categorized for the effective issues or topics, since importance of variety and freshness in topic establishment has already been known in order for the learners of ‘Writing’ class to be able to participate autonomously and voluntarily. This sort of imagination and independent point of view would show students’ ability or capability not only in Writing but in various other areas. This analysis also suggests that Writing should be better and interestingly performed when it is associated with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a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Japanese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LMS사용에 관한 학습자 평가

        신은진(Shin Eun-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4

        본고에서는 국내 대학교 교육현장에서 학습관리시스템(이하, LMS)를 활용한 블렌디드러닝(이하, BL) 기반의 일본어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을 구축하기 위하여 LMS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2017학년도 1학기 ‘일본어작문’의 BL수업 실천을 통하여 설문지조사 (협력자 배경 조사, 수업만족도 조사, 이클래스 관련 조사)를 실시하고 학습자의 LMS 사용 및 평가를 분석,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수업 전체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 성취도, 수업에서의 LMS 활용 및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상호간 유의한 상관은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LMS 사용만족도와 학습자 자신의 활용도는 비례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가 LMS 기능 중 필요로 하는 것은 코멘트, 토론 등 상호교류 중심 기능이 아니라 수업 동영상 업로드와 같은 오프라인 환경보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향후 대학교 교육현장에서 LMS를 활용하여 참가자가 상호작용하는 BL수업을 설계, 운영하기 위해서는 LMS의 인터페이스 및 기능 개발, 정비가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 입장에서는 LMS를 전제로 한 교수법과 수업운영 기법 등 교육학적, 교육공학적 시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make instructional strategy of Japanese lecture based on Blended Learning (BL) us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the use of LMS in the Korean universities. In addition, on the first term of the 2017, the questionnaire survey (learner’s background and class satisfaction, e-class survey) was conducted in the ‘Japanese Writing’ based on BL. As a result, Satisfaction with Japanese writing classes,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use of LMS in class, satisfaction with LMS use all points were scored high.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LMS use.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of LMS use was proportional to learners" own utilization. Also, the learner needed not a commucation or interaction function. they want some complementary feature of offline environment such as class video uploading. To utilizing LMS in universities, the interface and functio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LMS should be done first. And it wll be designing and operating Japanese class based on BL as participants interact and communicate each other. Finally, university teachers should has perspectives such as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