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ください」が持つ待遇度について - 「~てください」と「お~ください」を中心に -

        韓援炯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일본학연구 Vol.30 No.-

        제2언어로서 일본어를 학습하는 제1언어가 한국어인 학습자의 「~ください」표현을 보면 부자연스러운 경우가 자주 보인다. 이것은 「~ください」 또는 「~ください」를 이용한 표현이 가지는 의미, 기능의 학습에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일찍이 森田의 「お手伝いください」의 언급이 발단이 되어 소위, 「~ください」논쟁이 된 「~てください」와 「お~ください」에 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어, 두 표현의 유사점, 상위점에 대하여 심도 있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ください」가 가지는 待遇度에 대하여는 「お~ください」는 「~てください」보다 정중한 표현이라는 언급 외에는 아무런 설명이 되어있지 않다. 두 표현의 待遇度을 비교하면서도 「お~ください」의 비교가 되는 「~てください」의 待遇度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이 어느 정도 정중한 표현인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ください」가 가지는 待遇度에 관하여 고찰하고, 특히 「~てください」는 待遇度가 낮은, 정중한 표현이 아님을 고찰하였다. It is often shown that Korean’s “~ください” expressions are unusual for Japanese. It is caused that “~ください” or “~ください” ’s expression is not familiar to Korean who studied Japanese as a second language and Korean are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ください” expressions. Since it was started from 森田’s「お手伝いください」comments, it has been many discussion of the expression of “~てください” and “お~ください” and it is been studie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se expression. However, there is no explanation of social deixis of ”~ください” for honorification except “お~ください” is more polite expression than “~てください”. Even though it has been compared the social deixis for honorification of the two difference expressions, there is no studying of the social deixis of “~てください” for honorification and it is hard to define how much this expression shows the respectfulness. Therefore, the social deixis of “~てください” for honorification has been studied on this paper and it is shown that the expression of “~てください” is not the respectful expression but less polite one.

      • KCI등재

        ‘~ください’의 한국어역에 관한 일고찰 - ‘(하)세요’ ‘(하)십시오’ ‘(해) 주세요’ ‘(해) 주십시오’를 중심으로 -

        한원형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4 No.-

        상대방에게 행위를 요구하는「~ください」의 한국어 번역을 보면 「(하)세요」 「(해) 주세요」 「(해) 보세요」 「-게 좋습니다」 「-지 않을래요」등, 여러 표현이 보이고 또한 「(하)렴」 「해」 「(해) 둬」등의 반말 표현도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역 중에 「(하)세요」 「(하)십시오」 「(해) 주세요」 「(해) 주십시오」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사항을 알 수 있다. 「~てください」는 상대방에 대한 대우도가 높지 않은 단계에서 사용되지만 한국어역에서는 「(해) 주세요」의 간접명령이 어느 정도 보인다. 이것은 한일 양언어의 표현 방법의 차이로 일본어에서는 직접명령의 표현이 적은 반면 한국어에서는 직접명령도 간접명령도 사용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한국어 직역의 영향도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한국어 「-주다」표현에는 사용제한이 있기 때문에 번역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お~ください」는 상대방에 대한 대우도가 높은 단계에서 사용되고 한국어역에서도 완곡한 표현으로 번역된다. 대우도가 높기 때문에 한국어역의 직접명령 표현은 사용되지 않으리라 예상되지만 한국어역의 「주다」사용의 제한 때문에 「(하)세요」 「(하)십시오」의 직접명령 표현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KUDASAI,” which is to ask for an act from a partner, has various Korean translations for “(HA)SEYO,” “(HAE) JO,” “(HAE) BOSEYO,” “-GE JOSUPNIDA,” and “-JI ANEULLAEYO”. Furthermore, it has the following terms in impolite speech: “(HA) RYUM,” “HAE,” and “(HAE) DWO.” This study focuses on “(HA)SEYO,” “(HA)SIPSIO,” “(HAE) JUSEYO,” and “(HAE) JUSIPSIO” translated to Korean. Although the term “~TEKUDASAI” is used to indicate a lesser degree of treatment to the partner, the indirect imperative of “(HAE) JUSEYO” is used for Korean translations.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of linguistic expression in Japanese and Korean. The direct imperative is rarely used in Japanese, but both direct and indirect imperatives are usually used in Korean. This is also affected by Korean literal translation. Translation necessitates careful attention, because a Korean expression of “-JUDA” is subject to restrictions. The term “O~KUDASAI” is used to indicate a high degree of treatment to the partner, and a euphemistic expression is even used in Korean translations. The use of an expression of the direct imperative of the Korean translations would not be expected, because the degree of treatment is high.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 direct imperative of “(HA)SEYO” “(HA)SIPSIO” should sometimes be used in Korean because of the restriction “-JUDA”.

      • KCI등재
      • KCI등재

        한일 포털사이트의 영어 번역에 관하여 – ‘위안부’ ‘강제징용’을 중심으로 –

        한원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6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words ‘위안부’ ‘강제징용’ that are part of an issue that are treated with great sensitivity in both Korea and Japan and has found problem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nd explanation of these words that can be found through the translation tool and dictionary of the web portals of the two countries. The following outcomes have been found through this study. The English translation for the words ‘위안부’, 성노예, 정신대, 慰安婦’ were looked up in line with the issue of ‘위안부’. When viewing the results of the translation in the case of Korea, other than the search results of the word ‘위안부’ ‘정신대’ on Google, ‘정신대’ on Daum, and ‘慰安婦’ on Google, other words were all translated into sexual slavery, which shows that they were relatively clear in describing ‘위안부’. In the case of Naver, it is notable that they have also included detail in Japanese to show that ‘위안부’ were the result of the actions of the ‘Japanese Military’. When viewing the results of the dictionary, most web portals aside from Naver translated the word ‘위안부’ into comfort women, which shows that they are using literal translation or the official translation of Japan that requires revisions. The issue in Japan is the fact that the word is translated into comfort women, which is their official, direct translation and is also translated into ianhu, which is a Japanese word that has become communized. The problem in both these translations is the fact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enforced by Japanese Military’. The English translation for the words ‘강제징용, 徴用工’ were looked up in line with the issue of ‘강제징용’. When viewing the results of the translation in the case of Korea, ‘강제징용’ is translated into forced labor that refers to the ‘강제징용 피해자’ and clearly delivers the meaning. In the case of dictionaries, only Google provides the definition of forced labor while Naver provides a direct translation and Daum does not even have a translation, which require revisions. In Japan, the words used to define ‘강제징용’ is ‘徴用工’ that does not reflect any aspect of force. Furthermore, ‘徴用工’ is directly translated into English, which does not contain the meaning of ‘강제’ in the translation. 한국과 일본에서 서로 민감하게 다루고 있는 사안인 ‘위안부’ ‘강제징용’ 용어(단어)가 한국과 일본 포털사이트의 번역기, 사전 등에서 영어로 어떻게 번역되고 설명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 ‘위안부’는 ‘‘위안부’, 성노예, 정신대, 慰安婦’의 영어 번역을 검색하였다. 번역기의 결과를 보면 한국의 경우Google의 ‘위안부’ ‘정신대’ Daum의 ‘정신대’ Google의 ‘慰安婦’를 제외하면 모두 sexual slavery로 번역되어있어 ‘위안부’를 비교적 정확히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Naver의 경우에는 ‘위안부’는 ‘일본군’에 의해 행하여졌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Japanese까지 넣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 사전의 결과를 보면 Naver 외에는 대부분이 comfort women으로 번역되어 기계적인 직역 혹은 일본의 공식적인 번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수정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기계적으로 번역하여 공식화 한 comfort women과 고유명사화 한 ianhu로 번역되어 ‘일본군의 강제성’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강제징용’은 ‘강제징용, 徴用工’의 영어 번역을 검색하였다. 번역기의 결과를 보면 한국의 경우는 forced labor로 번역되어 ‘강제징용’은 ‘강제징용 피해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내용이 잘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전의 경우는 Google만이 forced labor이고 Naver는 단어의 직역이 Daum은 번역이 없는 등 수정이필요한 부분이다. 일본에서는 ‘강제징용’에 대한 용어로서 강제성을 띄지 않는 ‘徴用工’를 사용하고 영어 번역도 ‘徴用工’를 그대로 직역하여 ‘강제’에 대한 의미가 포함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 KCI등재

        現代日本語の文末表現「ダロウ」とその後にくる他の要素との共起について

        한원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9 東洋學 Vol.46 No.-

        현대 일본어의 文末表現「ダロウ」와 그 뒤에 오는 다른 요소와의 共起에 관하여 본고는 현대 일본어의 文末表現 ダロウ와 ダロウ 뒤에 오는 요소(소위 終助詞, 接続助詞, 間投助詞)에 는 어떠한 것이 있고, 共起할 경우 그들은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살핀다. 문 중에 文末表現 ダロウ의 역할을 보면 단독으로 문 마지막에 나와 문을 끝내는 경우도 있고, ダロウ 단독이 아닌 뒤에 다른 요소를 세워 共起하여 끝내는 경우도 있다. 단독이 아닌 다른 요소와 共起할 경우 ダロウ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인가. 또한 共起하는 요소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면 ダロウ와 어떠한 관 계이고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인가. ダロウ와 共起하는 요소에는 「ネ, ナ, ヨ, ガ, ガ(!), カ(疑問), カ(自問), ニ, ケド, カラ, シ」가 있고, 「ダロウネ, ダロウナ, ダロウガ, ダロウガ(!), ダロウカ(疑問), ダロウカ(自問), ダロウニ, ダロウケド, ダ ロウカラ, ダロウシ」의 형태로 共起한다. 共起할 때의 ダロウ의 기능을 보면, 「ネ, ヨ, ナ, ガ, カ(自問), ニ, ケド, カラ, シ」와 共起하는 기능 은 「推測の機能」로, 「ガ(!)」와 共起하는 기능은 「確認の機能」로, 「カ(疑問)」와 共起하는 기능은 「配慮 の機能」다. 그리고, ダロウ와 다른 요소의 기능을 보면, ダロウ는 문말에 와서 발화를 완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ネ, ナ, ヨ, ガ(!), ガ, カ(自問), カ(疑問), ニ, ケド, カラ, シ」도 문말에 와서 문을 종결시키거나 일단 락 짓는 기능을 하므로, 양 쪽 모두 문 말에 와서 문을 종결시키거나 일단락 짓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共起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WEB을 활용한 일본어 작문 지도

        한원형,이동욱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8 No.-

        Observe the process of the Japanese composition class, the teacher decides the goal of learning and makes the subject and the related contents learn. Then the learner makes and submits the composition concerning the contents, and the teacher produces and gives feedback such as the composition’s corrections. It is common for learners to correct their own mistakes. In this process, when the learner tries to compose an expression that has not been learned, he or she refers to a dictionary etc. 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but the learner uses words or expressions obtained by reference. It is difficult for the learner to judge whether the expression is suitable for the content that the student intends to express. In this paper, when a Japanese learner does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learner intends to express information obtained in a dictionary etc. Introduce and explain how to use WEB (Google) as. 일본어 작문 수업의 과정을 살펴보면,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 목표에 맞추어 주제를 설정하여 관련된 내용을 학습시키고 학습자는 주어진 내용에 맞추어 작문을 수행하여 제출하고 교수자는 제출된 작문을 첨삭 등을 통하여 피드백을 하면 학습자는 이를 통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작문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존의 학습에서 습득하지 못한 일본어 표현을 작문하려고 할 경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전 등을 참고하지만, 참고한 단어나 표현이 학습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적합한 표현인지 아닌지를 학습자 스스로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본고에서는 일본어 학습자들이 작문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전 등을 통하여 얻은 단편적인 정보를 학습자가 원하는 표현인지 아닌지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WEB(Google)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 설명한다.

      • KCI등재

        환지방식 민간도시개발사업의 위험요인 분석 - AHP 분석을 활용하여 -

        한원형,진장익 한국부동산원 2022 부동산분석 Vol.8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land replotting used in private sector-led urban developments and to figure out the priority of risk factors for each stage in the developments. To this e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employed by data interviewed with expert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cooperate with cooperatives for landowners at the planning stage, whereas local governments should collaborate with privatecompanies at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among roles of participants by stages in the developmen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respondents’ groups, there is little difference from risk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construction companies among stages in the development but a big difference from risk factors of business agencies and cooperatives for landowners. This indicates that each participant has a different perspective on recognizing risk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solve risk factors caused by participants in urban developments all participant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risk factors that one thinks as well as them that others do.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주도 도시개발사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환지방식개발의 위험요인을 분석함과 동시에, 개발사업의 각 단계별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설문을 활용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와 조합(토지소유자) 간의 협력이 필요한 단계는 계획단계로 나타났으며, 민간기업과의 협력은 시행단계에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발단계별로 참여주체의 역할 중요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응답자 그룹별 비교 ․ 분석 결과, 지방자치단체와 시공사의 개발단계별 위험요인의 중요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업무대행사와 조합의 경우, 개발단계별 위험요인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여주체별로 문제를 인식하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도시개발사업시에 개발주체들 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이 생각하는 위험요인뿐만 아니라 다른 주체들이 위험요인으로 생각하는 문제들을 함께 고려하여 협력할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 KCI등재

        文末表現「~ソウダ」についての一考察

        韓援炯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7 No.-

        Sentence end expression a verbal inflection for concluding a sentence + SOUDA has been explained as expression of DENBUN and a verbal inflection for MASU + SOUDA has been explained as expression of SUIRYOU. Expression of DENBUN and expression of SUIRYOU have been explained as a separate expression. This study turns out that expression of DENBUN by ~(RU) SOUDA and expression of SUIRYOU by ~(SI)SOUDA show the grade of cognitive process of the speaker how a speaker catches the contents of utterance. It turns out that both expressions are explained by the stage of the cognition about a speaker s contents of utterance on the same line of cognitive process. It is explained that ~(RU)SOUDA and ~(SI)SOUDA are on the same line of the stage of the grade of cognitive process about speaker s contents of utterance, not unrelated. The below table shows the grade of cognitive process by speaker s contents of utterance are in order of INYOU, DENBUN, and SUIRYOU.

      • KCI등재

        ‘∼てください’에 관한 일고찰 ― 한국어역의 다양한 대우도(待遇度)를 통하여 ―

        한원형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3 No.-

        The Japanese expression of request ‘∼TEKUDASAI’ is usually translated into a Korean propositive expression ‘(hae) juseyo’ ‘(hae) jusipsio’. Furthermore, in textbooks of Japanese-language education, it is explained and translated into a Korean propositive expression ‘(hae) juseyo’ ‘(hae) jusipsio’. However, ‘∼TEKUDASAI’ is translated into ‘(hae) juseyo’ ‘(hae) jusipsio’ as well as ‘(hae)’ ‘(hae) jwo’ ‘(hae)yo’ ‘(hae) jwoyo’ all of which are low-treatment expressions and can conversely be translated into ‘(hae) boseyo’ ‘hanunge jossupnida’ ‘(ha)sigi barapnida’, which are high-treatment expressions. This case study used research and an analysi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Japanese ‘∼TEKUDASAI’ to determine that the Korean low-treatment translations have a ratio that reaches 25% of the whole. Conversely, Korean high-treatment translations have treatments on several levels. If ‘∼TEKUDASAI,’ which has treatments on several levels (especially when the ratio of low treatment is 25%) is explained and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by using the Korean propositive expression ‘(hae) juseyo’ ‘(hae) jusipsio’. This causes misunderstanding among learners and mistranslation. Therefore, this requires attention in Japanese Education. 상대방에게 행위를 요구하는 일본어 ‘∼てください’의 한국어역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해) 주세요’ ‘(해) 주십시오’의 청유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일본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교재를 보더라도 ‘(해) 주세요’ ‘(해) 주십시오’의 청유의 공손한 표현을 이용하여 번역하고 설명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てください’의 한국어역을 살펴보면 ‘(해) 주세요’ ‘(해) 주십시오’만이 아닌 ‘(해)’ ‘(해)줘’ ‘(해)요’ ‘(해)줘요’ 등의 상대방에 대한 대우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표현으로 번역되거나, 반대로 ‘(해) 보세요’ ‘하는 게 좋습니다’ ‘(하)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상대방을 높게 대우하는 표현도 보인다. 본고에서는 케이스 스터디로서 ‘∼てください’에 대한 한국어역을 조사 분석하여 ‘∼てください’의 한국어역이 상대방에 대한 대우의 정도가 낮게 번역된 예가 전체의 1/4이나 되는 비율을 보이는 것에 주목하여 설명하였고, 반대로 상대방에 대한 대우의 정도가 높게 번역된 일부 예에서는 대우의 단계가 여러 단계임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대우의 단계를 가지는 – 특히 상대방을 높지 않게 대우하는 표현의 비율이 1/4이나 보이는 ‘∼てください’ 표현을 일괄적으로 ‘∼(해) 주세요’ ‘∼(해) 주십시오’의 청유의 공손한 표현으로 설명하여 학습시키고 번역한다면 학습자에게 있어서 불완전한 학습으로 인한 오류의 여지가 생기고 오역의 위험성이 생길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