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退溪 李滉의 인문적 聖學과 旅軒 張顯光의 자연적 聖學 -도설자료로 본 旅軒의 退溪 聖學觀 수용 및 변용-

        이원준 한국고전번역원 2024 民族文化 Vol.67 No.-

        본 연구는 退溪 李滉(1501∼1570)의 聖學十圖 와 旅軒 張顯光(1554∼1637)의 易學圖說 卷6 「類究」편 「敎學」장을 통해 두 학자의 성학관을 비교한 것이다. 旅軒의 「敎學」은 다른 우주만물과 마찬가지로 ‘학문’ 또한 역의 순환구조 하에 놓여 있음을 밝히기 위해 20개의 圖式을 수록한 것으로, 旅軒은 이를 저술하는 과정에서 聖學十圖 에 수록된 네 가지 圖式인 「小學圖」와 「大學圖」, 「敬齋箴圖」와 「夙興夜寐箴圖」를 인용하였다. 네 圖式은 聖學十圖 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는 圖式들로, 이로 인해 旅軒의 「敎學」은 退溪의 聖學十圖 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退溪와 旅軒의 도설 자료는 모두 인간이 학문을 통해 본연의 도덕성을 깨닫는 방법을 명시한 저작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退溪의 聖學十圖 는 ‘본원-교육-실현-실천’의 선형적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여기에 수록된 열 개의 圖式을 일관하는 가치는 인간의 내면적 수양을 중시하는 ‘敬’이다. 반면, 旅軒의 「敎學」은 ‘본원-교육-실천-실현-본원’으로 가장 마지막 圖式과 가장 처음의 圖式의 성격이 일치하는 원형적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적 순환을 상징하는 ‘易’의 원리를 보여준다. 聖學十圖 의 선형성은 退溪의 聖學이 인간의 본성 회복에 중점을 둔 ‘인문적 聖學’에 가까움을 보여준다면, 「敎學」의 원형성은 旅軒의 聖學이 학문 또한 ‘易’의 순환구조 하에 놓여있음을 증명한 ‘자연적 聖學’에 가까움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views on “sage learning” expounded by Toegye Yi Hwang (1501-1570) in Seonghaksipdo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by Yeoheon Jang Hyungwang in the Kyohak chapter from the sixth volume of Yeokhakdoseol (The Collective Diagrams on the Book of Changes). Yeoheon's Kyohak contains 20 diagrams, illustrating that Confucian learning, like all other elements of the universe, is governed by the cyclical structure of the yi (易, in The Book of Changes). In crafting this chapter, Yeoheon referenced four diagrams from Toegye's Seonghaksipdo, including Sohakdo (The Diagram of the Elementary Learning), Daehakdo (The Diagram of the Great Learning), Gyeongjaejamdo (The Diagram of the Admonition for Mindfulness Studio), and Sukheungyamejamdo (The Diagram of the Admonition on Rising Early and Retiring Late). These four diagram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Seonghaksipdo, leading to a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Yeoheon's Kyohak and Toegye's work. Consequently, the diagrammatic writings of both Toegye and Yeoheon can be seen as works that specify methods by which humans realize their inherent morality through Confucian learning. Toegye's Seonghaksipdo adopts a linear structure of “origin-education- realization-practice,” unified by the value of reverence (敬, gyeong), which emphasizes inner moral cultivation. In contrast, Yeoheon's Kyohak follows a cyclical structure of “origin-education-practice-realization-origin,” where the character of the last and first diagrams aligns, symbolizing the principle of change (易, yi) and natural cycles. The linearity in Seonghaksipdo reflects Toegye's focus on humanistic sacred learning aimed at restoring human nature, while the cyclicality in Yeoheon's Kyohak suggests that learning itself is embedded within the cyclical structure of the yi, indicating a naturalistic approach to sage learnng.

      • KCI등재

        旅軒의 “理氣經緯” 사상에 대한 시론 - 한국 성리학의 또 다른 시각

        邢麗菊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旅軒 張顯光(1554-1637)이다. 그는 한국 16-17세기의 저명한 사상가이다. 그의 사상은 퇴계와 율곡의 학설을 흡수하고 계승하였을 뿐 아니라 자신의 독창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는 퇴계와 율곡의 이기설을 극복하고 종합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理氣經緯說”을 제기하였고, 그로 인해 한국 성리학의 특색을 갖춘 인물이 되었다. 그는 經緯의 構造로 理氣의 관계를 관찰하고 분석하였으며, “理(經)”를 불변의 표준으로 삼고 “氣(緯)”를 가변적인 作用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성리학의 理氣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세계 구성을 理氣의 측면에서 현상론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理氣一物, 理氣經緯는 理氣一元論으로 해석될 수 있다. 理氣經緯說의 前提는 分合論으로 이어진다고 본 다. 합(先)-분(今)-합(後)은 시간적 순서, 형이상하적 구분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儒敎的 成就에 관한 現象學的 이해를 위한 시론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4 No.-

        본 연구는 유학 연구를 현상학적 관점과 방법을 통해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관점과 방법이란 특히 메를로퐁티의 인간과 세계의 접촉점으로서의 원본적인 체험인 ‘지각’체험을 현상학적으로 기술한다는 관점을 근거로 주장되는 것이다. 즉 유학자들에게서 이에 해당하는 체험들을 재정리함으로써 유교의 현상학적 연구가 가능함을 보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論語로부터 공자의 이러한 지각 체험들을 선정하여 지각 체험이 그의 학문적 방법의 중추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증명했다. 아울러 조선의 성리학자들 중에서 특히 退溪와 旅軒의 문집에 기록된 그들의 의식상의 체험들을 근거로 공자의 학문방법이 조선의 성리학에 전수되어 발전하였음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현상학적 관점에 입각한 연구는 인지과학적 연구방법의 일인칭방법론에 해당하며, 이를 유학사상 연구에 적용하는 것은 앞으로 유학의 학문적 자산을 현대화하는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한국의 유학적 전통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계승하는 중요한 학문적 바탕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아울러 논의된 사항이다.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argue necessity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onfucian studie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cused here is allied with the method of securing the inner world of experience by E. Husserl’s phenomenological ephoche a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perception experience by M. Merleau-ponty’s viewpoint. That is, to show possibility of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fucianism is the point of this paper. For the point, many sentences mentioned by Confucius in the Analects are tested for new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possibility is successfully argued with discovery that in the Analects such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more persuasive and proper way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onfucian learning. That’s because Confucius originally stressed on the change of experiential structure on one’s mind through long term self cultivation. And especially in Joseon Korea Dynasty the Neo-Confucian scholars had emphasized on such Confucius’ idea and commonly made efforts to improve the experiential structure of every mind and as results of the efforts many of them left many descriptions of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mind. Therefore, being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have been focusing on analyses of theories and evaluation of their advancemen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onfucian scholars’s experiences will shed lights on a new area of understanding of history of Confucianism. This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relevant to the first-person methodology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to future studies of Confucianism is believed to open a way to put the Confucian heritage into the context of present time sciences.

      • KCI등재

        旅軒 張顯光의 學校敎育論과 그 道德敎育的 함의

        朴鶴來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8

        본고는 退溪와 栗谷 이후 조선 성리학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旅軒 張顯光(1554~1637)의 학교 교육, 특히 鄕校 敎育에 대한 입장과 구체적인 활동을 검토하고,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16세기를 전후한 시기부터 구체화된 향교 교육의 폐단에 대해 퇴계와 율곡은 모두 그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에 대한 처방에서는 구별되는 입장을 드러냈다. 퇴계가 향교 교육의 폐단을 지적하면서 유학 교육의 면모를 일신하기 위해 書院의 건립과 위상 강화에 주목하였다면, 율곡은 관학 교육기관으로서 향교의 교육 개혁에 보다 관심을 기울였고, 이를 통해 학교 교육의 면모를 일신하고 인재 양성과 윤리기강의 확립을 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퇴계와 율곡의 구별되는 학교 교육 개혁에 대한 입장에 유의하면서 여헌의 학교 교육에 입장을 고찰하였다. 특히 임진왜란 이후 피폐해진 향촌 사회의 도덕 질서 회복에 주목한 그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향교 교육과 연결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그의 향교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그가 제시한 인동 향교의 교육 조목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가 의도한 향교 교육의 내용과 실체가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검토하였다. 나아가 여헌의 향교 교육에 대한 관심과 활동이 도덕교육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피고, 현재 교육 현실과 연관하여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試論的인 입장을 제시하였다. Jang Hyeongwang i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since the era of Toe’gye and Yulgok in Korean Confucianism. Thus, this paper will summarize his schooling, i.e., education in local school(Hyanggyo), specific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Although Toe’gye and Yulgok recognized the problems of local school and their indictment revealed in 16th century, they sought different solutions to overcome the issues. Toe’gye paid attention to establishment of local academy(Seowon) and strengthening its stature in order to renew Confucian education while Yulgok kept an eye on reformation of local school as governme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revitalizing schooling, fostering the talented and establishing moral discipline. In this context, I will summarize Yeoheon’s perspective on schooling in terms of the difference with Toe’gye and Yulgok’s ideas. Especially, I will analyze his problematique paying attention to restoration of moral order in local communities devastated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ow it makes connection with local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 Furthermore, I will systematically examine the educational regulation of Indong local school(Indong Hyanggyo) he proposed and what its contents and real body he intended. In addition to these, I will suggest how much Yeohon’s ideas on local education are meaningful in moral education and what kind of insightful things they would give us in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旅軒 張顯光의 學問成就와 마음이해에 관한 연구

        유권종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장현광의 위기지학적 추구와 관련하여 마음의 위상과 역할을 고찰하고, 또 마음에 현상되는 경험에 대한 여헌의 진술을 통해서 위기지학의 實效에 대한 그의 자각적 내용을 살피고자 하였다. 누구보다도 유학을 사업, 특히 우주간 사업으로 간주하는 여헌의 유학에서는 전체적 체계와 과정이 위기지학의 체계임을 잘 보여준다. 이 경우 위기지학의 실효에 대한 자각적 내용은 다름 아닌 당사자 자신의 마음에 현상되는 내용을 자료로 삼는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접근이 되는 것이고, 따라서 이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자료들을 논의의 소재로 간주함으로써 여헌의 위기지학의 설계와 그것의 실증적 증거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자 한 연구이다. 이 논의를 통해서 위기지학을 추구한 유학자들의 자기 학문의 진전과 성취에 관한 내면적 체험을 학문적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그 결과 조선조 유학에 관한 연구의 시야를 확장하고자 한다. This is a study on Jang Hyeon Gwang’s understanding of his own mind corresponding to his self-cultivation. Especially focusing on his descriptions of his realization that came to him as the result of the self-cultivation,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phenomenological reality of his mind experience. He counted Confucian study as a long-term undertaking for creative building of a moralized character in an individual organized a systematic program of self-organization of a moral and virtuous self. This study has a kind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is descriptions of his impressive experiences in his mind that resulted in the practical effect of such self-organizing during long time, and intends to check corresponding points between his design of the self-organization/self-cultivation learning and real effects from the learning that were awared and experienced in his mind. In term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open the sluice gate of discussion about internal experience of advancement and achievement of a scholar’s slef-cultivation and thus to expand the horizon of studying Confucianism.

      • KCI등재

        澗松 趙任道의 학문과 사상 - 旅軒 張顯光과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

        김우형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9 No.-

        澗松 趙任道(1585∼1664)는 전란의 시기에 道를 독실하게 추구하고 실천하려 했던 학자였다. 그는 객관적인 진리와 선의 실천을 추구하는 구도자적 정신을 가지고 이기주의에 물든 세태를 자유롭게 비판했던 진정한 山林이었다. 간송은 경상도 함안에서 태어나 남명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또 퇴계학파에 속하는 반천 김중청과 두곡 고응척에게 수업을 받았기에 퇴계 학통에 연결되지만, 가장 결정적인 영향은 旅軒 張顯光(1554~1637)으로부터 받았다. 간송은 16세 때 처음 여헌을 만난 이후로 계속 그를 從遊하였는데, 그의 이름을 바꾸도록 조언한 것에서 단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간송은 여헌에게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인생에 있어 깊은 영향을 받았다. 학문과 사상 측면에서, 간송 조임도는 고원한 형이상학적 탐구보다 反躬과 守約 같은 일상의 절실하고 가까운 실천과 수양을 중시한 점, 수양에 있어 마음의 立志와 외물에 원활하게 酬酌 응대하는 것을 강조한 점, 自得과 體得을 중시하되 자기의견을 주장하지 않는 점, 그리고 초세속적으로 도를 추구하는 초탈주의와 자유정신, 호방한 기상 등에 있어 여헌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요컨대, 간송 조임도의 수양론과 실천주의 사상은 여헌 장현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점에서 여헌 사상은 실천적 관점에서 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Gansong Cho Imdo(1585∼1664) is the scholar who tries to pursue the Do (道, Tao) and put it in practices sincerely. He is the true sanlim (山林, recluse) who freely criticizes the selfish way of the world with the spirit of seeking after the objective truth and the practice of good. He comes from Haman (咸安) province where the influence of Cho Sik remains. He also takes a lesson from Kim Jungchŏng and Ko Eungchŏk who belong to the Yi Hwang's school. However, he receives the most decisive influence from Yeoheon (旅軒) Jang Hyunkwang (張顯光, 1554~1637). As fragmentarily presented by the episode that Jang makes his original name 'Kido' changed into 'Imdo' that has more positive meaning than the original one, he is deeply influenced by Jang not only in learning but also in everyday life. Cho Imdo regards the concrete practice and self-cultivation of everyday life like the reflection of self and the keeping simple mind as more important thing than scholastic and metaphysical study in learning and thought. He puts special emphasis on the setting up of moral will and the active response to the outer things and events in self-cultivation. He attaches importance to self-acquirement and personal experience. He does not have the insistence on his opinion. He is so large-minded that his mind is free from the mundane bias in seeking after the Do (道). It seems that the character of his thought about self-cultivation and practicality stems from the thought of Jang Hyunkwang.

      • KCI등재

        인동장씨 남산파의 가학 전통과 그 계승 - 여헌학<SUB>旅軒學</SUB>의 형성과 계승에 유의하여

        박학래(朴鶴來)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인동장씨 가문의 가학 전통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지파 중 하나는 ‘남산파’이다. 15세기에 이르러 종중宗中에서 분파된 남산파는 17세기에 접어들어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학자인 장현광張顯光(1554~1637)을 배출하며 특징적인 가학 전통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장복추張福樞(1815~1900), 장석영張錫英(1851~1929), 장지연張志淵(1864~1921) 등 조선유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가학 전통을 계승‧발전시켰다. 본고에서는 가학이 포괄하는 다양한 내용적 범주에 유의하면서 장현광에 의해 구체화된 남산파의 가학 전통, 즉 여헌학이 남산파 문중 인사들에 의해 어떻게 구체화되고 계승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산파의 가학 전통은 그 수립과 계승의 측면에서 배타적인 성격이 없었던 만큼, 남산파 이외의 다른 지파의 인사들에 의해 계승된 내용도 일정 정도 포괄하여 남산파 가학 전통의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18세기 이후 대립과 갈등이 적지 않았던 영남 학계 내부에서 남산파 가학이 보여준 통합의 학문 정신에 대해 남산파 가학 중심인 여헌학의 긍정적인 변주이자 남산파 가학 전통의 새로운 변화라 평가하였다. One of the most notable faction in relation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Indong Jang Family is the ‘Namsan faction’(南山派). ‘Namsan faction’ was divided into central families in the 15th century, and in the 17th century, it produced the forest scholar Yeoheon Jang Hyun-kwang(旅軒 張顯光, 1554~1637), who represents the study of Yeongnam, and embodied the characteristic family’s academic tradition. In addition, thereafter, many notable scholars from Chosun Confucianism such as Samiheon Jang Bok-Chu(四未軒 張福樞, 1815~1900), Hoedang Jang Seok-yeong(晦堂 張錫英, 1851~1929), and Wiam Jang Ji-yeon(韋庵張志淵, 1864~1921) hav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that is, the Yeoheon’s Learning(旅軒學), embodied by Jang Hyun-kwang, was embodied and succeeded by later the Namsan people, while paying attention to various contents categories encompassing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As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Namsan family had no exclusive character in terms of its establishment and success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by covering the contents inherited by other factions other than the Namsan family. Especially, it was evaluated as a positive variation of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ality and a new change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about the academic spirit of integration shown by the Namsan academic tradition within the Yeongnam academic world where there were many conflicts and conflicts since the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인동장씨 남산파의 가학 전통과 그 계승— 여헌학旅軒學의 형성과 계승에 유의하여

        박학래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One of the most notable faction in relation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Indong Jang Family is the ‘Namsan faction’(南山派). ‘Namsan faction’ was divided into central families in the 15th century, and in the 17th century, it produced the forest scholar Yeoheon Jang Hyun-kwang(旅軒 張顯光, 1554~1637), who represents the study of Yeongnam, and embodied the characteristic family’s academic tradition. In addition, thereafter, many notable scholars from Chosun Confucianism such as Samiheon Jang Bok-Chu(四未軒 張福樞, 1815~1900), Hoedang Jang Seok-yeong(晦堂 張錫英, 1851~1929), and Wiam Jang Ji-yeon(韋庵 張志淵, 1864~1921) hav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that is, the Yeoheon’s Learning(旅軒學), embodied by Jang Hyun-kwang, was embodied and succeeded by later the Namsan people, while paying attention to various contents categories encompassing the family’s academic tradition. As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Namsan family had no exclusive character in terms of its establishment and succession, this study at tempt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by covering the contents inherited by other factions other than the Namsan family. Especially, it was evaluated as a positive variation of the study of the constitutionality and a new change of the Namsan family academic tradition about the academic spirit of integration shown by the Namsan academic tradition within the Yeongnam academic world where there were many conflicts and conflicts since the 18th century. 인동장씨 가문의 가학 전통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지파 중 하나는 ‘남산파’이다. 15세기에 이르러 종중宗中에서 분파된 남산파는 17세기에 접어들어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학자인 장현광張顯光(1554~1637)을 배출하며 특징적인 가학 전통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장복추張福樞(1815~1900), 장석영張錫英(1851~1929), 장지연張志淵(1864~1921) 등 조선유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가학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다. 본고에서는 가학이 포괄하는 다양한 내용적 범주에 유의하면서 장현광에 의해 구체화된 남산파의 가학 전통, 즉 여헌학이 남산파 문중 인사들에 의해 어떻게 구체화되고 계승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산파의 가학 전통은 그 수립과 계승의 측면에서 배타적인 성격이 없었던 만큼, 남산파 이외의 다른 지파의 인사들에 의해 계승된 내용도 일정 정도 포괄하여 남산파 가학 전통의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18세기 이후 대립과 갈등이 적지 않았던 영남 학계 내부에서 남산파 가학이 보여준 통합의 학문 정신에 대해 남산파 가학 중심인 여헌학의 긍정적인 변주이자 남산파 가학 전통의 새로운 변화라 평가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