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좌절과 학업소진, 수업이탈의 관계

        이은주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이 욕구만족과 독립적으로 개인의 부적응에 고유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 따라 기본심리욕구좌절이 학업소진, 수업이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좌절의 측정모형으로 B-ESEM을 적용하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좌절을 아우르는 욕구좌절 일반요인과 각 욕구좌절 영역특수요인으로 구분하여 욕구좌절의 중심개념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욕구좌절과 학업소진 및 수업이탈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능성좌절이 전반적 기본심리욕구좌절을 구성하는 중심 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좌절 일반요인은 학업소진 및 수업이탈을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전반적 욕구좌절을 통제한 후에도 자율성좌절은 여전히 독립적으로 학업소진과 수업이탈을, 유능성좌절은 학업소진을 높이는 고유한 효과가 있었지만, 관계성좌절은 모든 결과변인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효과가 없었다. 학생들의 학업부적응을 낮추기 위해서는 욕구좌절의 경험을 야기할 수 있는 욕구좌절적 조건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학업소진 및 수업이탈을 낮추기 위해서 학생들의 유능성욕구의 좌절을 막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교육적 함의 :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일반적 기본심리욕구좌절의 중심에 유능성욕구의 좌절이 있으며, 일반적 욕구좌절을 통제한 후에도 유능성좌절은 학업소진에 대해, 자율성좌절은 학업소진과 수업이탈에 대해 고유한 효과가 있었다. 수업이탈 및 학업소진을 막기 위해 기본심리욕구좌절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유능성욕구의 좌절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예측효과와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의 차이

        한승수(Seungsoo Han),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구별되지만 동시에 공존하는 구인이라는 가정에 따라 중학생의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을 탐색하고,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부모,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예측효과와 잠재프로파일 별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중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좌절형’, ‘만족형’, ‘평균형’과 함께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모두 높은 ‘만족-좌절 복합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높고 심리적 통제가 낮을수록 ‘좌절형’보다 ‘만족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특히 부모와 교사의 통제뿐만 아니라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높을수록 ‘만족-좌절 복합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좌절형’은 낮은 친사회적 행동과 높은 공격성을 나타낸 반면, ‘만족형’은 높은 친사회적 행동과 낮은 공격성을 나타냈다. 특히 ‘만족-좌절 복합형’은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는 ‘만족형’의 친사회적 행동, ‘좌절형’의 공격성과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모두 높은 집단이 존재함을 밝혀냈으며, 이 집단의 복합적 적응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본심리욕구의 낮은 만족과 좌절은 구분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고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서 욕구만족의 증진뿐만 아니라 욕구좌절의 예방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re distinct but potentially co-occurring, this study explored the combined relations between them.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t combinations of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had different antecedents, including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and different outcome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Apply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sample of 435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4 groups of students with distinc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profiles; ‘frustrated’, ‘satisfied’, ‘average’ and ‘satisfied-frustrated’ profiles. The higher the autonomy support and the lower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the higher is a student’s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atisfied’ rather than ‘frustrated’ profile. Particularly, not only the higher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but also the higher parents’ autonomy support predicted the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atisfied-frustrated’ profile, which had both high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urther, the ‘frustrated’ and ‘satisfied’ profiles showed low prosocial behavior and high aggression, and high prosocial behavior and low aggression, respectively. More interestingly, the ‘satisfied-frustrated’ profile showed high levels of prosocial behavior besides high levels of aggression, which were as high as prosocial behavior of ‘satisfied’ and aggression of ‘frustrated’ profiles. The findings evidence that there are some students experience both th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ighlighting tha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re distinct but co-occurring with specific antecedents and outcomes. To enhance prosocial behavior and to mitigate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recommended to make active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need satisfaction and prevention of need frustration of the adolescents.

      • KCI등재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윤소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overcoming frustration such as a cause of the frustra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counter in their development processes, its management, and a change caused by overcoming it. Methods A qualit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K who had experience of overcoming frustration,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Express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as they were through open coding and classified into high categories through categorization work comparing them repeatedly. Based on what was categorized, a confirmation process of the categories, which corrected and confirmed them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 mode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data, was carried out, and member check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x subcategories as a cause of frustration were derived from top categories of cause of frustration, method for frustration management, and change through over coming frustration: failure to respond adequately to the needs of a variety of education consumers, sense of shame and self-destruction of being incompetent as a teacher, desperate feelings that nothing is accomplished in spite of making an effort, difficulty in facing one’s wrongdoing and feelings, fear that a tough case is likely to recur at any minute, and school administration that is passive in helping to solve problems. Four methods were derived for frustration management: attempting to develop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or voluntary learning and reflection, taking courage from collaboration and empathy with fellow teachers and managers and their support, getting away from ascribing to external stimuli and promoting inner growth through exploration, and trying to forget every case and prevent from recurring by transferring to another school or choosing subject teacher. As for change through over coming frustration, five subcategories were derived: having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positive change in communication style, putting excessive greed aside and being able to perform a task with a calm and peaceful mind, accepting the limits of the teacher’s realistic role and maintaining affection for the students, becoming humble and mature through an expanded self-love and undestanding of other people, and having an open mind that overcoming completely is not possible and frustration may be able to happen again at any time. Conclusions A groundwork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over coming frustration was laid by systematically determin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 coming frustration, and perception and academic interest saying that frustration was an existential problem of human were arous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got away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which had focused on the stages of the teachers’ developmen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revealed the meaning and positive impact of over coming frustration in the teachers’ development processes.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그들의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좌절의 원인과 그에 대한 대처, 좌절의 극복으로 인한 변화 등 좌절극복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좌절 극복의 경험이 있는 K지역 초등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수정⋅확정하는 범주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확인법을 거쳤다. 결과 분석결과, ‘좌절의 원인’, ‘좌절에 대한 대처 방식’, ‘좌절극복을 통한 변화’라는 3개의 상위범주 아래 좌절의 원인으로 ‘다양한교육수요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함’, ‘교사로서 무능하다는 수치심과 자괴감’, ‘노력해도 되지 않더라는 자포자기의 심정’, ‘자신의 잘못과 감정에 직면하는 것이 어려움’, ‘힘든 사건이 금방이라도 재발할 것 같은 두려움’, ‘문제해결을 위한 도움에 소극적인학교행정’의 6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좌절에 대처하는 방식으로는 ‘학습공동체나 자발적 학습, 성찰을 통하여 발전을 시도’,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협업, 공감, 지지로 용기를 얻음’, ‘외부의 자극 탓에서 벗어나 탐색을 통해 내면적 성장을 도모’, ‘전근하거나전담을 선택하여 사건을 잊고 재발을 방지하고자 함’으로 4개가 도출되었다. 좌절극복을 통한 변화로는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깊은이해와 소통 방식의 긍정적 변화’, ‘지나친 욕심을 내려놓고 평온한 마음으로 직무를 수행하게 됨’, ‘현실적인 교사 역할의 한계를 받아들이면서 학생에 대한 애정을 유지함’, ‘자신에 대한 사랑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넓어져 겸허하고 성숙해짐’, ‘완전한 극복은 없고좌절은 언제고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열린생각’으로 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교사의 좌절 극복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힘으로써 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좌절은 인간의 실존적 문제라는 인식과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교사발달의 단계와 특성들에 중심을 두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교사 발달과정에서 좌절극복의 의미와 긍정적 영향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사들이 경험하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고찰을 토대로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397명의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B-ESEM을 적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을 아우르는 일반적 욕구충족과 개별 욕구의 만족 및 좌절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본심리욕구의 중심개념을 파악하고, 일반적 욕구충족과 개별 욕구의 만족 및 좌절과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경험하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은 욕구충족이 아니라 욕구미충족으로 수렴되었으며, 욕구미충족을 구성하는 중심 개념은 유능성의 만족과 좌절이었다. 기본심리욕구의 미충족은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욕구미충족이 통제된 후에도 자율성 좌절과 유능성 좌절이 심리적 소진을 예측하였으며, 자율성 좌절과 더불어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이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교사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들의 유능성 욕구가 만족되어야 하며, 특히 유능성 욕구가 좌절되지 않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of teachers. In that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hould be a primary step,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was appli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B-ESEM represents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Using a sample of 39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B-ESEM showed that teachers’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converged to need unfulfillment rather than need fulfillment, and competenc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as crucial for their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unfulfillment. The general factor of need un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Even after general need unfulfillment was taken into account, autonomy frustra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maintained unique effects of increasing psychological burnout. Satisfac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s well as autonomy frustration had unique effects of increasing job engagement. This suggests the establish the conditions that can promote competence satisfaction and block competence frustration to reduce teachers’ burnout and to enhance their job engagement.

      • KCI우수등재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이 각기 고유한 영역특수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전반적 욕구충족으로 수렴되는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욕구충족의 연속체를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학생 427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CFA, ESEM, B-CFA 모형에 비해 B-ESEM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각각 일반요인으로 상정한 이중 일반요인 모형에 비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포괄하는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단일 일반요인 모형이 자료에 더 부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의 단일 연속체 가설을 지지하였다. 유능성만족과 유능성좌절이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중심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반면, 자율성좌절은 가장 높은 영역특수성을 나타냈다. 욕구충족 일반요인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적응변인(수업참여, 친사회적 행동, 긍정정서, 내재동기와 동일시조절) 및 부적응변인(수업이탈, 공격성, 부정정서, 외적조절, 내사조절, 무동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각 욕구별 영역특수요인은 욕구충족 일반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다른 결과변인들과 여전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의 고유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서로 독립적이고 구별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단일 연속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의미와 요인구조,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framework.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ere better represented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or as two distinct constructs. Using a sample of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multidimensional B-ESEM representation including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dicators of both competenc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loaded strongly on the general factor, suggesting that competence was crucial for students’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ulfillment. Most items dropped into meaningful specificity once the global factor was accounted for, while autonomy frustration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Furthermore, global need 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all 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s,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ll mal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disengagement, aggression, negative emotions,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Specific factors explained the variance in certain outcome variables over and above the variance already explained by th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specific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global level of need fulfill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uld be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rather than as two distinct constructs.

      • KCI등재

        여대생의 미래지향이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에 미치는 영향과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

        손현겸(Hyeon-Gyeom, Son),유계숙(Gye-sook, Yoo)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여성연구 Vol.91 No.2

        본 연구는 여대생의 미래지향과 성역할 태도가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1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전반적인 미래지향은 직업과 진로, 결혼과 가족두 영역에서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여대생의 성역할 태도는 대체로 양성평등적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여대생의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 수준은 인식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 모두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과 하위 변인 중 좌절된 소속감의 경우는 여대생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족의 월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직업과 진로, 결혼과 가족영역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높아졌다. 다음으로 인식된 짐스러움의 경우는 가족의 월평균 소득액이 적을수록, 직업과 진로영역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결혼과 가족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높아졌다. 셋째, 여대생의 미래지향과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 간의 관계에서 성역할 태도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여대생은 결혼과 가족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지 않을수록,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과 하위 변인 중 좌절된 소속감 수준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관련성들은 여대생이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질수록 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 인지적 관점에서 20대 청년층 여성의 양성 평등의식 제고 및 자살 관련 대인욕구 좌절의 완화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orientation on suicide 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roles attitudes. Data were collected from 342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12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female students’ future orientation of their future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showed mostly high. Also, they showed substantially equal gender role attitudes with low levels of suicide-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Second, the levels of female students’ suicide-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and thwarted belongingness were found to be higher among older students. This was also true when their family income was lower, their future orientation of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weaker, and their gender role attitudes more traditional. As for the level of perceived burdensomeness, it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female students’ family income was lower, their future orientation of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weaker, and the gender role attitudes more traditional. Third,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suicide 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Female students with low levels of future orientation of marriage and family who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showed high levels of suicide-related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and thwarted belonging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therapy programs for young women to prevent their frustration of interpersonal needs

      • KCI등재

        좌절감정의 원인 및 극복행동과 제품선택에서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

        임아영 ( Ah Young Lim ),최낙환 ( Nak Hwan Choi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4

        이 연구는 부정감정인 좌절에 주목하고, 좌절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탐색하였으며, 좌절한 소비자가 좌절을 극복하는 과정을 식별하고, 또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도의 제품선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은,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있을 때 느껴지는 분노와 다르게, 목적달성의 실패가 확실하고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없는 환경요인에 있을 때 느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재도전을 통해 실패상황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보다는, 자신의 실패상황에 대한 감정적 지지와 위로를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받아서 실패상황을 감정적으로 극복하려 한다. 셋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제품의 선택에서 제품의 디자인이 강조심미성 보다는 조화 심미성을 느끼게 할 때에 더 선호한다. 따라서 마케팅관리자가좌절을 느낀 소비자에게 자신의 제품을 소구할 때에 제품 디자인에서 강조원리보다 조화의 원리에 의한 접근이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frustration emotion investigated the variables evoking frustration and the process in which sense of frustration would be overcome, and explored the principle of aesthetics the consumers under the frustration might prefer in choosing go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usually felt frustration rather than anger when it became obvious that their objectives could not be met and that they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due to uncontrollable cause. Second, consumers who felt frustration wanted to receive emotional support and comfort from close acquaintances rather than to cope actively with the unsuccessful situation by renewed challenges. Third, consumers, once frustrated, preferred harmony principle rather than emphasis principle in terms of esthetics in choosing design of goods. Therefore, marketing managers are advised to approach to the consumers who felt frustration on the basis of harmony principle in design of goods.

      • KCI등재

        30-40대 직장인의 경력개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절정경험과 좌절경험을 중심으로

        김영숙,왕은자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1

        In rapid changing modern society, office workers need to develop their careers on their own initiative and interest of emotions in relation to individual's motivation and career construction is rising in career counsel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office workers by focusing on the peak experience and frustration experience with a new approach that emphasizes emotions in career counseling. 8 workers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ed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e peak experiences such as; ‘fall into work with fun and interest’, ‘discovering the self-existence at work’, ‘become a rudder of career development’, ‘expand capabilities centered on oneself’, ‘passing by regard as passing emotion’ and the frustration experiences such as; ‘come to a crisis of frustration with stress and shock’, ‘go through an ordeal’, ‘frustration experience becomes a turning point in career development’, ‘living own life accompany with frustration experience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ssential structure of peak experience was ‘finding oneself through an inner voice at work’ and the frustration experience was ‘facing oneself through an ordeal and training oneself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ies of life’. With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e description and meaning of peak experience and frustration experience in career development, relevance to career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career development counseling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변화가 급격한 현대사회에서 직장인은 자기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경력개발상담에서도 개인의 경력 동기나 의도와 관련하여 정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개발상담에서 정서를 강조하는 새로운 접근으로 절정경험과 좌절경험을 중심으로 직장인의 경력개발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10년 이상 경력의 30-40대 직장인 8명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절정경험은 ‘흥미와 재미를 느껴 일에 빠져듦’, ‘일에서 자기존재감을 발견함’, ‘경력개발의 방향타가 됨’, ‘자기다움을 중심으로 역량을 넓혀감’, ‘순간의 감동으로 여기고 지나침’ 등으로 나타났으며, 좌절경험은 ‘스트레스와 충격으로 좌절의 위기를 느낌’, ‘좌절의 시련을 아프게 겪음’, ‘좌절경험이 경력개발의 전환점이 됨’, ‘좌절경험과 함께 살아감’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절정경험의 본질적 구조는 ‘내면의 울림을 통해 일에서 보다 자기다움을 찾아감’이며, 좌절경험은 ‘시련을 통해 자기를 만나고 현실에 맞게 자기를 다듬고 성장함’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 경력개발에서의 절정경험과 좌절경험의 현상과 의미, 경력개발과의 관련성, 경력개발상담에의 시사점의 관점에서 의의를 논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척도(BPNSFS)의 타당화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BPNSF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중·고등학생 9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판 BPNSFS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24문항 6요인 구조(자율성만족, 유능성만족, 관계성만족, 자율성좌절, 유능성좌절, 관계성좌절)가 지지되었으며, 양호한 수준의 내적합치도와 반분신뢰도,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중·고등학생 집단별, 성별, 내재동기의 수준별 차이 없이 측정동일성이 지지되었으며,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교차타당성도 확보되었다. 또한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긍정적 준거변인(동일시 조절, 내재적 조절, 수업참여)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부정적 준거변인(외적 조절, 내사 조절, 수업이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욕구좌절을 통제한 후에도 동일시 조절 및 내재적 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욕구만족을 통제한 후에도 외적 조절 및 내사 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결과는 한국판 BPNSFS가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도 활용될 수 있는 타당한 척도임을 의미한다. 한국판 BPNSFS의 활용을 통해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차별적 역할을 검증하는 연구가 활성화됨으로써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욕구좌절을 낮추기 위한 적극적 개입을 병행하려는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for adolescents (BPNSFS-KA). Data of a 927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videnced that a six-factor structure specifying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each psychological need as distinguishable constructs fits the data better than models specifying them as part of a continuum. Furthermore, the BPNSFS-KA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composit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six-factor structure of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was found to be equivalent across gender,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cross validity confirmed that the six-factor structure was generaliz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each of the three needs was foun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positive outcomes (autonomous motivation and class engagement), whereas frustration of the three need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negative outcomes (controlled motivation and class disengagement). Overall, the BPNSFS-KA prov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