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성운학대성(元聲韻學大成)》에 나타난 입성자(入聲字) 변화 연구

        구현아 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語文學誌 Vol.0 No.65

        《元聲韻學大成》明代萬曆戊寅年(1587年)濮陽來編寫的韻書,這部韻書里入聲字顯示三種獨特的特征。第一、入聲字之下另注“北X”條,第二、-p, -t, -k韻尾想混,第三、有的入聲字派入到陰聲韻里。首先,《元聲韻學大成》里的“北X”條繼承了《中州音韻》,收錄字大致相同。《中州音韻》雖是中國南部的曲韻書,但《中原音韻》的基礎上編寫,作者也已經得知這個事實,因此把《中州音韻》里的語音寫成“北”音。還有,入聲韻尾的想混意味入聲韻尾已經弱化而變爲喉塞韻尾。部分入聲字的韻尾完全消失,派入到陰聲韻部。這種事實表示作者的方言里入聲字處於韻尾弱化或消失的過程。《元聲韻學大成》的聲、韻、調收到明代吳語的影響,但同樣以吳語爲基礎的《聲韻會通》和《倂音連聲字學集要》里入聲字韻尾不想混,于陽聲韻保持對立,因此不能確定《元聲韻學大成》里入聲弱化是否反映當時吳語。總之,《元聲韻學大成》里入聲字的表現在中國的歷史語音著作里非常革新的部分,通過這部分的分析能勾知道入聲韻尾弱化以及派入陰聲韻的實際過程。

      • KCI등재

        강회관화(江淮官話)〔-1〕입성운미(入聲韻尾)고찰

        모정열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4

        漢語方言存在在一種特殊的邊音韻尾現象, 對應於中古的某些入聲韻。趙元任、董爲光等已有論及, 主要分佈在今湘鄂□邊界部分地區(都屬於□方言區)。江淮官話也有這一現象。根據已經發表的材料, 江淮官話的邊音韻尾可見於桐城,寶應,灌南新安, 灌南長茂,響水南河, 濱海陳水, 卓寧陳集, 從楊, 靑陽, 廬江,漣水等方言中。本文以安徽省桐城方言和江蘇省寶應方言爲主要分析對象,結合對客□方言入聲韻尾的分析結果,集中考察江淮官話入聲韻尾的演變特征。我們認爲□方言中的〔-1〕入聲韻尾是中古〔-p〕、〔-t〕、〔-k〕三個入聲韻尾爲〔-1〕和〔-k〕(或〔-?〕)兩個入聲韻尾的過程當中出現的,而江淮官話中〔-1〕入聲韻尾在中古入聲韻尾合流爲〔-1〕和〔-k〕(或〔-?〕)兩個或〔-1〕一個后。因主要元音的高低差異而在此分化爲〔-1〕和〔-?〕兩個, 然後在合流爲喉塞音〔-?〕(或進一步弱化爲〔-ø〕)的階段。倂且本文通過較詳細系統的分析比較(桐城、寶應方言〔-1〕、〔-?〕、〔-ø〕等入聲韻尾在韻攝上的分佈及其成因,中古和現今主要元音結構比較, 與客□方言和周邊江淮官話入聲韻尾演變特征的比較等),歸納了桐城、寶應方言入聲韻尾的形成原因及歷史上的具體演變過程。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入声韻尾 비교 연구 - 양주(扬州)방언의 入聲字를 중심으로

        유가,임진호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중국 양주방언과 한국어의 입성운미 비교를 통해 양주방언과 한국어의 입성운미간의 관계성을 분석해 중국 양주 지역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 공부에 대한 효과적인 습득과 흥미 유발에 그 목적이 있다. 중국인 학습자가 생소한 한국어 발음을 배우는데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한국어 발음 중에 받침이 있는 경우 중국인 학습자가 정확한 발음을 하기 쉽지 않은데, 이는 중국 현대 표준어에서 입성자의 운미가 사라져 현재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 방언 중에는 한국어 발음과 비슷한 경우가 많이 남아있어 중국의 방언과 한국어의 발음 간에 어떤 대응관계가 있으며, 또 이러한 양자 간의 대응관계를 이해하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이해하고 익히는데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간략하게 한자의 전래와 한국어에 변용된 한자의 상황을 되짚어 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입성운미와 그 발음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어서 중국의 방언 중에서 현재까지 입성운미가 가장 많이 남아있는 방언 가운데 강회관화(江淮官話) 의 대표적인 방언인 양주방언의 입성운미를 중심으로 한국의 입성운미와 중국의 중고음(中古音)을 비교 대조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양주방언과 한국어 발음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지, 또한 그 變容 과정에서 한국어 입성운미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그 변화를 추적해 보고, 이를 토대로 양주방언의 입성운미와 한국어 입성운미 간에 나타나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양주방언을 사용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과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한국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llable ending of falling tone in Chinese and Korean by comparing the falling tone in Yangzhou dialect and Korean, enable Korean learners from Yangzhou area in China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and to learn word pronunciation more effectively. Korean pronunciation for Chinese learners is still a difficult part. Especially, the final consonant of the Korean pronunciation is not correct. This is because the falling tone of Mandarin have been lost. However, some Chinese dialects are similar to Korean pronunciatio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if there is a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Chinese dialect and Korean pronunciation, and if Korean learners learn about this relationship, it will make Korean learners to decrease a little dislike of Korean and cause interest. For this purpose, 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and the accultur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in Korea. In addition, found the phonetic feature of the falling Tone in Yangzhou dialect and Korean. Then, this study compared the falling tone of Yangzhou dialect with Korean pronunciation based on the Chinese middle ton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result, this study has systematically summarized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relationship between the syllable ending of falling tone in Yangzhou dialect and Korean.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use the Yangzhou dialect effectively.

      • 입성(入聲)의 음장 및 운미 변화에 관한 소고 : 홍콩 방언과 상하이 방언을 대상으로

        박규정 대한중국학회 2019 대한중국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9 No.1

        현대 중국어에서 ‘입성(入聲)’이란 중세 중국어의 사성(四聲) 중 하나인 입성에 연원을 두고 있는 ‘성조 범주(調類)’를 말하며, ‘짧은 음장’ 및 ‘파열음 운미(韻尾)’를 가진다는 점에서 나머지 성조범주와 구별된다. 이러한 입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홍콩 방언의 ‘中陰入/長陽入’와 같이 음장이 길어지거나 상하이 방언의 ‘陰入’과 같이 ‘운미’의 음가가 변하는 경로를 거치게 된다. 이렇게 입성이 변화하는 경로가 달라지는 것은 홍콩 방언의 ‘中陰入/長陽入’과 상하이 방언의 ‘陰入’에서 ‘제약의 등급 관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홍콩 방언에서 운미의 음가는 변하지 않고 음장만 증가한 것은 모라의 수를 유지시키는 충실성 제약(Dep(μ))보다 짧은 모음을 제한하는 유표성 제약 *ShortVowel이 더 높은 등급을 가지는 것이 원인이지만, 상하이 방언에서 ‘구강 파열음’ 운미가 ‘성문 파열음’ 운미로 변화한 것은 발음 위치를 유지시키는 충실성 제약 Ident(Place)가 ‘구강 파열음 Coda’를 제한하는 유표성 제약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 KCI등재

        『몽고자운(蒙古字韻)』과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박통사(朴通事)』의 입성운(入聲韻) 고찰

        홍현지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2

        入聲韻之陰聲韻化爲漢語北方音韻母系統變化中最爲突出之音變。『蒙古字韻』和『飜譯老乞大·朴通事』各成書於十三世紀末和十六世紀初,各反映元代和明代之北方音,而對於硏究近代北方音的音韻系統來說,其學術價値非常高。『蒙古字韻』和『飜譯老乞大·朴通事』都反映中古入聲韻向陰聲韻之過渡階段。本文通過對元代的『蒙古字韻』與朝鮮的『飜譯老乞大·朴通事』進行對應分析,幷參照『廣韻』之音韻體系,發現中古入聲韻有如下音變; 第一,中古入聲字的韻尾一律變爲喉塞尾。 第二,[-k]韻尾有複元音化的變化。 第三,『飜譯老乞大·朴通事』不少有與『蒙古字韻』相類似的音韻系統。 第四,[-k]韻尾的一部分字在『飜譯老乞大·朴通事』里有一字兩讀現象。 第五,受聲母的影響一部分[iuʔ]韻母字發生洪音化。 Middle Chinese had entering tone with [p], [t], [k] in the coda. These three different final stops merged into the glottal stop [ʔ] in Modern Northern Chinese, and finally, they are lost stop coda and merged into yinshengyun(陰聲韻, open syllable). Mengguziyun(MGZY) is an official rhyme book compiled by the Yuan court to provide an orthography for dushuyin of Northen Dialect in Yuan dynasty. FanyiLaoqida·Piaotongshi(FYLP) are a textbook for teaching Chinese to Koreans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nd they provide evidence for the transition period from rushengyun(入聲韻, closed syllable) towards yinshengyun. This study focuses on the rushengyun and compares the phonological system between MGZY and FYLP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of system in Modern Chinese.

      • KCI등재

        운서(韻書)와 방언(方言)에 반영된 "입(入)"자(字)의 음운변화(音韻變化) 과정(過程)

        배은한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5

        本文以"入"字的演變情況爲切入點和分析對象, 考察入聲演變和消失的種種跡象及其音變規律。本文的硏究進行方式分爲兩大方面, 一爲運用韻書資料分析"入"字的音韻地位及其演變情況, 一爲根據現代漢語方言資料驗證"入"字的通用音。韻書資料方面, 主要分析『洪武正韻』、『中州音韻』、『合倂字學集韻』等和相關韻書所收錄"入"字的分布情況以及入聲歸類的方式。方言資料方面, 主要分析北方方言所顯示"入"字的通俗音和規範音的定音過程。硏究結果表明: 『洪武正韻』的"初刊本"保留著中古漢語的傳統, 韻母方面仍舊保持"陰、陽、入"三分鼎立的傳統模式; 聲調層面亦同於中古漢語"平、上、去、入"四類的格局。至於『洪武正韻』的"修訂本", 確有入聲消變的前兆, 顯現[-p]、[-t]、[-k]三種韻尾相混而趨於合流的傾向。後來, 『中州音韻』一書所反映的入聲字的歸類方式及其標音, 眞實地反映了中古入聲字在音値方面已與陰聲韻合流的演變軌跡, 從而入聲韻的消變至此已告一段落。在『合倂字學集韻』所代表的17世紀北方音系中, 中古入聲字完全消失而更加接近於現代漢語。至於現代漢語北方方言中北京口語的通用音, 由於回避使用禁忌語的影響, 導致語音規範的脫變。

      • KCI등재

        《辨字摘要》 입성 글자 운미 병합의 음성적 조건에 관한 소고

        박규정 중국어문논역학회 2022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1

        Bianzizhaiyao is a copy book and rime dictionary known as written by Rao Yingzhao in 1751. This book has classified letters according to rimes(Ping, Shang, Qu, Ru) at first, then has gathered the letters with same initial and final. The checked-tone letters in Bianzizhaiyao shows that ‘-p, -t, -k’ from Middle Chinese has been merged in some parts. Phonetic conditions can be inferred form Modern Zhangshu dialect. First, front vowels in checked tone characters made ‘-p, -t, -k’ be merged. Second, if checked tone characters had back vowels, ‘-k’ had phonetic value independent of ‘-t’. The difference between merge and independence of finals has been made by the hierarchies among the constraints related with the front and back of vowels and phonetic value of finals in 18th century Qingjiang dialect. In some period after this, the change in the hierarchies among constraints led to the result that finals have merged regardless of vowels. 《辨字摘要》는 江西 清江縣에 본적을 둔 饒應召가 1757년에 펴낸 것으로 알려진 습자서(習字書) 및 운서(韻書)로, 글자를 우선 平上去入에 따라 분류한 후에 聲과 韻이 같은 것을 모아서 그 의미를 간략히 해설한 것이 특징이다. 《辨字摘要》의 입성 字組는 중세 중국어의 ‘-p, -t, -k’가 병합된 것과 동종 운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뉘는데, 그 음성적 조건을 현대 樟樹방언에서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첫째, 입성 글자의 韻腹이 전위 모음일 경우에 ‘-p, -t, -k’는 병합되어 음성적으로 구별이 되지 않는다. 둘째, 입성 글자의 韻腹이 후위 모음일 경우에는, -k 글자의 운미가 -t와는 독립된 음가를 유지한다. 이는 18세기 중엽의 淸江방언에서는 韻腹의 전/후위 및 운미의 음가와 관련된 모종의 제한조건 사이의 등급 관계가 운미의 병합과 차이를 만들어 내었고, 이후의 어느 시기에 제한조건 사이의 등급관계에 변화가 발생하여 韻腹에 관계없이 운미가 병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韻書 編纂과 淸代 古音學 受容 硏究 -특히 『奎章全韻』 편찬을 중심으로-

        신상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8 No.-

        In the 18th century of Chosun(朝鮮) dynasty, on a compilation of rime dictionaries, accept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developed by the Qing(淸) dynasty and are reflected. The first, In the Jeungbo-Samun-tonggo(增補三韻通考) compiled by Kim, Jae Gyeom(金濟謙, 1680∼1722) and Sung, Hyo Gi(成孝基, ?∼?), they quoted the opinion of Mao Qi Ling(毛奇齡, 1623∼1716) and Shao Zhang Heng(邵長蘅, 1637∼1704), put to Gountong(古韻通) in the end of book which were bound to same rime. The second, In the Hwadong-Hyeopeum-Tongsuk(華東叶音通釋) compiled by Park, Sung Won(朴性源, 1697∼1767), he accepted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system of Pan En(潘恩, ?∼?). And the third, In the Kyujang-Junun(奎章全韻) complied by Yi, Duk Moo(李德懋, 1741∼1793) and some scholars as a command of Jung Jo(正祖), they discussed sufficiently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developed by the Qing Dynasty and accepted the opinion of Shao Zhang Heng. This book has a Tongun(通韻) and Hyeopun(叶韻) the end of each rime, they defer to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of Shao Zhang Heng. The acception of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developed by the Qing dynasty has the meanings as follow. It is reflection as a Chosu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that used in china at that time or not. In this period chinese language has no ending sounds of /-p, -t, -k/, and ending sounds of /-m/ was changed /-n/, but Chosun language has ending sounds now and yet. If reflect these phenomenons of sounds as a Chosu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t will be rise the confusions in Chosun language. Therefore, compilers of rime dictionaries has been worried how to solve this problem, and agreed to need of standard sounds when reading chinese characters. Then, they found the key of solutions in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Because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has wholly the ending sounds, also Chosu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were influenced by archaic chinese language in the past periods. 이 논문은 18세기 조선에서 편찬된 운서 가운데 古音學을 수용한 흔적이 보이는 增補三韻通考ㆍ華東音通釋ㆍ奎章全韻을 대상으로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의 수용 양상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운서 편찬에서 고음학 수용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먼저 청대 고음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증보삼운통고에서는 卷末에 ‘古韻通’을 두어 毛奇齡과 邵長의 고운 분부 체계를 제시하여 通押할 때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화동협음통석에서는 총 86운 3,000여의 韻字만을 수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명나라 말 潘恩이 詩韻輯略에서 분부한 고운 체계와 협음자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규장전운에서는 매 운의 뒤에 ‘’과 ‘通’을 두어 각 운에 해당하는 韻과 通韻을 싣고 있는데, 이것은 이덕무 등 편찬에 참여한 학자들이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한 결과라고 하겠다. 그리하여 소장형이 古今韻略에서 수록한 韻字와 通韻字를 중심으로 하면서 고염무의 音學五書와 같은 당시의 주요 논의들을 참고로 취사선택하여 수용하고 있다.고음학 수용에서 특징적인 면으로는 대체로 소장형의 학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소장형이 편찬한 고금운략과 그의 학설이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충분히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古韻과 韻을 청대의 今音으로 증보한 것이어서 실생활에의 응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당시 조선에서 모범으로 삼기에 적당한 운서였기 때문이었다.이와 같이 조선후기 운서 편찬에서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수용하게 된 것은 원나라 이후 변화된 중국어의 영향으로 잘못 변화된 조선의 한자음을 바로잡고, 이를 규범화하는 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당시 중국 한자음은 入聲韻尾 /-p, -t, -k/의 소실과 韻尾 /-m/의 /-n/으로의 변화, 그리고 ‘兒化’ 현상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조선의 한자음에도 영향을 끼쳐 당시 음운생활과 經書의 讀音에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을 운서의 편찬을 통해서 바로잡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청대 고음학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변화된 조선의 한자음을 규범화하는 데에 활용하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어방언(漢語方言) 중 운섭(韻攝)에 따른 입성(入聲) 성조의 분화 현상 고찰 -계북평화(桂北平話)를 중심으로-

        모정열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3

        漢語方言聲調演變中,影響聲調變化的因素還有韻母. 最明顯的是入聲韻. 入聲韻母對入聲調類變化的影響往往是以中古韻攝爲單位進行的. 月、民、客工、平話等方言中都有這種現象. 本文以廣西省中北部的兩江、四塘平話(桂北平話)爲例,較詳細分析歸納了這壹地區方言的入聲按韻攝分調的原因及其變化機制,幷通過有關音韻特征的比較歸納出了兩江、四塘平話中古以來入聲演變的具體過程. 入聲按韻攝分調的原因(音韻條件)主要有兩種:壹主元音的高低洪細差異,二中古入聲韻尾的差異或部分韻攝入聲韻尾的合幷或弱化或脫落造成的調値變化. 但有韻攝分調的方言入聲演變過程中這兩種因素往往同時起作用.

      • KCI등재

        형성자의 상고음 성조규칙

        오종임 한국중국어문학회 2001 中國文學 Vol.36 No.-

        本文提出形聲字同音說,認爲在一個諧聲組 「X >X1 X2 X3 X4 X5」里聲符和各個形聲字是同音,包括聲調在內.如X=X1,X=X2, X=X3, X=X4, X=X5.基於這種認識,文中以說文解字所收全部聲符和形聲字爲資料,把每個聲符和個別形聲字的聲調接觸逐一做了統計,幷分別在陽聲韻與音聲韻里觀察統計數字所呈現的傾向,從而確定了陽聲韻與陰聲韻可能包含的調類.結果表明,在形聲字制作時,陽聲韻只有平聲,入聲韻有入聲,陰聲韻有平·上·去聲,而陰聲韻的上·去聲范疇與中古音不同,至於上古去聲是否帶入聲韻尾,現今尙不得確定.從中古音聲調看,在陽聲韻里,中古平·上·去聲都歸上古平聲.在陰聲韻里,中古平聲和入聲分別歸上古平聲和入聲,中古上聲在上古歸上聲,有的歸平聲,中古去聲最爲復雜,在上古有的歸平聲,有的歸上聲,有的歸去聲,又有的歸入聲. 聲符和形聲字之間的音韻規則是同音規則,卽“同諧聲字必同音”,就聲調來說,也就是同聲調規則.以p/P(平聲)· s/S(上聲)· q/Q(去聲)· r/R(入聲)爲例,首先在陽聲韻里,p>P(聲符>形聲字,下同)· s>P ·p> P均爲上古*p>*P. p>S · s>S ·p>S和p>Q · s>Qq>Q亦均爲*p>*P. p>R · s>R · q>R爲*p>*P或*r>*R.在陰聲韻里,p>P · s>P · q>P均爲*p>*P. r>P爲*p>*P或*r>*R. p>S爲*p>*P,s>S和q>S均爲*s>*S. r>S爲*r>*R或*s>*S. p>Q爲*p>*P,s>Q爲*s>*S. q>QS*p>*P或*s>*S或*q>*Q. r>Q爲*r>*R. p>R爲*p>*P或*r>*R. s>R爲*s>*S或*r>*R. q>R和r>R均爲*r>*R.本文認爲,這些諧聲組在上古音中无一不受到同聲調規則「*p>*P · *s>*S · *q>*Q · *r>*R」的支配,只是從中古聲調去看,似乎无規則可尋,原因主要來自上古上聲與去聲的調類變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