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漢譯된 禪經류가 초기 중국불교 수행론에 끼친 영향

        최은영(Choi Eun-Young)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鳩摩羅什을 포함하여 그 전후 시기에 한역된 禪經類들을 고찰하여, 초기에 중국에 전래된 修行法의 모습과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BR>  선경류에 드러난 수행법들은 선수행자를 위해 중심되었던 초기불교 선수행법을 소개하고, 여기에 초기불교 수행법에는 자세하게 설명되지 않았고 비교적 후대에 성립되었을 것 같은 관경류들의 관법이 섞여들어가 있다. 구마라집이 한역한 선경류들도 주로 소승적 수행법과 觀佛, 觀四無量心 등이 혼재된 형태이다. 특히 ??坐禪三昧經??에서 단도직입적으로 수행하는데 장애가 큰 요소를 對治하는 수행법을 소개한 것은 이후 중국불교 수행론, 특히 천태수행법에 있어서는 근간이 된다고 볼 수 있다.<BR>  본 논문은 초기 선경류에 소개된 구체적 수행법의 내용 중에서 특히 界差別觀과 念佛觀을 중심으로 해서, 그에 따라 영향을 받았을 초기 중국불교 수행법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BR>  초기에 한역된 경전에서 계차별관 용어는 不淨觀에서 몸관찰하는 방법의 일부로 설명되거나, 분명하게 용어가 발견되지 않았다. 후대 중국불교 수행 속에서 계차별관은 주로 華嚴과 天台의 수행법으로 자세히 소개되었다. 그러나 천태나 화엄 모두 이전시대에 유행하였던 초기 선경류 속에서 5門과 5停心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았던 영향으로 인해, 염불관과 계차별관에 대해 혼재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BR>  초기 선경류에서 계차별관이 거의 소개되지 않은 반면, 간단하면서도 널리 소개된 念佛觀(相)法은 중국적 사고의 특성상 매우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복잡하고 세세한 阿毘達磨 계열의 수행법을 피하여 단순하면서도 집중력이 높았던 염불의 방법을 활용한 것이 초기 중국불교수행의 한 특성이 되었다고 논자는 생각한다. 나아가 밀교와 관련된 경전의 도래로 염불이나 圖像과 관련된 觀相法과 의례들이 전래된 후에는 계차 별관보다 염불관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바꾸어 말하면 중국에서는 5停心보다는 5門의 禪經 수행법이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thesis, I have looked into seongyeong(Chanjing)ryu translated into Chinese as well as Kumarajiva at around its contemporary times, while reviewing and investigating figures and characteristics of Zen meditation method Zen meditation method handed over from China at the beginning.<BR>  The Zen meditation method found in seongyeongryu introduced Zen meditation method at the beginning of Buddhism centered for Zen meditation trainee, and was mixed with vipassana(觀法) such as gwanggyeong(guanjing; 觀經)ryu that might have been set up in the relatively latter period of the times without explaining what Zen meditation method was like at the beginning of Buddhism. Seongyeongryu, translated into Chinese by Kumarajiva, shows us that they were mainly mixed types between seoseung Zen meditation method and seeing-Buddha(觀佛), seeing-four-unlimited heart (觀四無量心), etc. In particular, It is deemed to form a basis in Zen meditation theory of Chinese Buddhism, especially, Tiantai Zen meditation method that they had introduced Zen meditation method which had been a big obstacle to conducting Jwaseonsammaegyeong(坐禪三昧經).<BR>  In this thesis, I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Zen meditation method at the beginning of Chinese Buddhism that might have been affected based upon gye-cha-byeol view(界差別觀) and buddha"s-sati(念佛觀) among Zen meditation methods that were introduced in seongyeongryu at the beginning.<BR>  The term of gye-cha-byeol view, when used in scriptures of translated-into-Chinese version was regarded as part of methods that observe the body in the impurity-view(不淨觀), or it didn"t mean anything clear to us. gye-cha-byeol view, in the latter period of Buddhistic training of China, was introduced mainly as Huayen and Tiantai"s Zen meditation method. But, Tiantai or Huayen had a confused stance over yeombulgwan and gyechabeolgwan because the five path of meditation(五門禪) and five-jeongshim(五停心) were not clearly divided in light of seongyeongryu at the beginning that were popular in the form er period of the times.<BR>  While gye-cha-byeol view was hardly introduced in the beginning of seongyeongryu, a simple and widespread buddha"s-sati method is deemed, I think, to have been easily acceptable to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point of Chinese way of thinking. It is, as far as I am concern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of Chinese Buddhism at the beginning that they had adopted a method of a Buddhist invocation that was simple, but concentrating, getting away from a complicated and delicate Zen meditation method of an abhidharma system. Further, with an advent of scriptures such as esoteric Buddhism, they had been more likely to appeal to buddha"s-sati rather than gye-cha-byeol view ever since a Buddhist invocation, picture, and related vipassana"s method, and rituals were introduced.

      • KCI등재

        담연 최종건의 기업문화관과 선경문화

        고승희(Seung-Hee Koh) 한국경영사학회 2012 經營史學 Vol.61 No.-

        본 논문은 선경그룹(현SK그룹)의 창업자인 담연 최종건의 기업문화적 가치관을 조명하고 그의 시대에 형성된 기업문화를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담연의 기업가활동을 통하여 나타난 창업정신과 기업가적 자질을 조명하였음은 물론, 창업자의 기업문화관을 조명하여 그의 시대에 형성된 선경의 기업문화를 체계화 하였다. 담연은 경영활동에서 창출된 기업이윤을 사업기반을 구축하고 기업성장에 재투자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기업이윤의 사회 환원을 실천한 기업가였다. 선경의 창업자시대(1953-1973)는 도전과 개척의 역사였다. 도전과 개척을 통한 선경의 성장사(史)는 창업자에 의해 구축된 선경문화가 뿌리내리고 진화의 과정이었다. “석유에서 섬유”까지의 수직계열화를 실현시켜 성장의 기틀을 다져간 도전적 개척주의문화, 신의성실의 정도경영문화, 인간중시와 인화에 의한 상조공생의 노사화합주의문화, 장인정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개발주의문화, 이윤극대화 지향의 성장주의문화가 구축 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담연의 기업가정신에 따라 구현된 경영이념을 기본 축으로 하는 선경인들의 깊은 사고력과 도전적인 행동자세는 선경의 독특한 기(氣)의 문화를 잉태하였고 사업보국주의문화를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담연시대의 기업문화는 노사 관계에도 반영되어 노사분규가 없는 선경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선경(SK)의 발전사는 선경정신(SK정신)의 형성사요, 선경문화(SK文化)의 개척사였다. 이것은 신념과 열정의 기업가로 일컬어지는 담연의 사업의지와 기업가정신에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여기에 선경의 창업정신과 경영이념이 있고, 그것이 선경정신으로 승화되어 경영자원으로서의 기업가치와 경영전략적 가치를 지닌 선경문화가 정착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This paper is written about his corporate cultural view and the business culture of Sun-Kyeong group in the era of Chey, Jong-Kun, its founder from 1953 to 1973. The business philosophy of the founder is a guiding principles of the employee s behavior at work in Sun-Kyeong group. This is embodied the Group s most important basic value as SK-manship. Initial spirits of Sun-Kyeong group are derived from the family mottoes of its establisher, Chey, Jong-Kun and his business thought. His entrepreneurship of the founder has been captured what the Sun-Kyeong group is calling the spirit of Sun-Kyeong or SK-manship. It is a belief that is genuinely held throughout the group. It is as follows : (1) The patriotic spirit thorough business activity. (2) The business thought to set much value on man of talent. (3) The business thought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technology. (4) The business thought recognizing credit and reliability. (5) The thought of ardor and belief. (6) The thought of diligence, thrift and harmony among the members. (7) Challenge and frontier spirit. In these corporate philosophies, the SK-man of ambitious spirit as common values of Sun-Kyeong group is involved ① business thoughts of diligence, thrift and harmony among the members through creative thinking, ② the thoughts of social responsibility, ③ the spirits making progress of cultures as his entrepreneurship. The corporate culture in the era of founder is given form to two step. First step is corporate culture formed in the period of foundation from 1953 to 1961. Second step is corporate culture made up in the period of business growth and take-off from 1962 to 1973. The corporate cultures of Sun-Kyeong group are developed from first step into second step.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Sun-Kyeong s corporate cultures are derived from above Jong-Kun Chey s business thoughts comprising in his basic business principles. So that, Sun-Kyeong group is applying corporate cultures in founder s era from 1953 to 1973. Hereupon, we can find that corporate cultures of Sun-Kyeong group is formulated by SK-manship based on the management creeds of founder.

      • KCI등재

        SK의 성장과 한국경제발전의 기여도에 관한 연구

        남명수(Myung-Soo Nam) 한국경영사학회 2011 經營史學 Vol.60 No.-

        본 논문에서는 선경직물을 창립하여 SK그룹(구 선경그룹)이라는 업계의 거목으로 키운 담연 최종건 창업회장의 발자취를 한국경제발전사적관점에서 추적하였다. 본 논문은 담연 최종건 창업회장의 모습을 통계적인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는 선경그룹이 비록 대연각 화재로 인해 자료가 상당부문 사라졌지만 선경이라는 그룹은 시대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남아 있기에 가장 객관적이고 명확한 설명이 가능한 숫자를 통해 선경그룹과 최종건 창업회장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선경그룹의 발전을 태동기(1944~1952), 창업기(1953~1961), 성장기(1962~ 1971), 도약기(1972~1973)로 대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각 기간마다 선경그룹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 노력을 하였고, 이를 위해 신제품 개발 및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되면서 조그마한 인견직업체에 불과했던 선경을 대기업으로 키울 수 있었다. 한 국가가 성장하는 단계를 보면 경공업에서 중공업으로, 이어 고부가가치 산업인 3 차 산업으로 발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경그룹 역시 인견사를 통해 인견직물을 만드는 경공업에서 시작해, 많은 자본이 소요되는 기간산업인 화학섬유 산업으로, 이어 워커힐을 인수하여 사업을 다각화하는 단계를 거쳤음을 볼 수 있다. 최종건 회장은 이런 단계들을 하나하나 밟아나가면서 회사를 키웠고, 3차 산업의 초입기 까지 선경그룹 을 이끌어 나갔던 것이다. 선경그룹의 발전은 대외적으로 본격적인 공업화를 추진했던 시기에 정부의 수출 드라이브, 중화학공업화 등 규모 확장을 위한 정책에 보조를 맞추었던 것이 컸다. 하지만 단순히 정책보조만으로는 지금의 SK그룹이 있지 않았을 것이다. 창업주이신 최종건 회장이 이런 정책적 시류를 잘 활용하였으며, 또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저돌적인 추진력과 보스적 기질, 인적 네트워크를 훌륭히 활용하는 친화력, 도전정신을 갖고 있었기에 오늘날과 같은 SK그룹의 성장과 발전의 초석을 놓을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ole of the late Chairman Jong-gun Choe, the founder of Sunkyoung Group (presently, SK) by the development phases of the Korean Economy through the analysis of a variety of numeric data remaining in a vestige of the past. Looking at the industry developmental phases of a nation, they feature the growth from the light industry through heavy to high pay-off industry (the tertiary industry). Likewise, Sunkyoung Group has also initiated its enterprise with a light industry of producing man-weaved fabrics from artificial silk yarn, evolved into a basic industry of chemical fiber industry which requires lots of capital, and diversified its business by taking over the Walker Hill. Chairman Jong-gun Choe had grown the enterprise step by step through these phases, and had led Sunkyoung Group until the onset of the tertiary indust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jor factor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unkyoung Group were his insight to grasp the policy environments such as the government­led export drive and the nourishment of heavy chemical industries; his unique challenging mind­set; his powerful driving force; and his capability to use human networks and etc. This study will categorize the development of Sunkyoung Group into the embryonic stage (1944~1952), commencement stage of the enterprise (1953~1961), development stage (1962~1971), and take-off stage (1972~1973), and will look for the capabilities necessary for current managers who are facing diverse challenges, through reviewing the efforts made by the late chairman Jong-gun Choe for the survival of Sunkyoung Group at each and every stage.

      • KCI등재

        SK 창업과 성장과정의 경영사적 연구

        김성수(Sung-Soo Kim),김신(Shin Kim) 한국경영사학회 2012 經營史學 Vol.61 No.-

        본 연구는 SK(구, 선경)창업과 성장과정의 경영사적 고찰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SK 최종건 창업회장시대를 중심으로, SK의 창업과 성장과정의 역사적시대구 분 문제를 규정하고, SK창업과 성장과정을 경영사적으로 고찰하며, SK의 성장기의 발전 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SK의 창업과 성장과정의 경영사적 시대구분은 (1) 태동기: 창업 준비와 그 배경, (2) 창업기: 섬유산업의 발전배경과 선경직물의 창업, (3) 성장기: 경제개발계획(제1차~2차)의 성공과 선경의 성장기 (4) 도약기: 석유에서 섬유까지, 그리고 워커 힐 인수 등 최종건 창업회장시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1기의 태동기는 1940년대(1944~1952)로서 일제하 국내섬유산업구조와 해방을 맞은 적산관리하의 선경직물과 6.25동란과 섬유업계의 피해, 최종건의 직기 재조립 분석의 시기를 조명하였다. 제2기의 창업기는 1950년대(1953~1961)로서 선경직물의 창업과 인기상품인 닭표 인 조견, 당시 혼수감의 대명사로 불리는 봉황새 이불감 출하 등 한국기업사에 크게 두각 을 나타내는 기업 중의 하나로 성장을 예고한 SK의 합성직물 생산시대 개막의 과정을 사적으로 규명하였다. 제3기의 성장기는 1960년(1962~1971)로서 제1,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에서 선경의 성장기 섬유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더욱이 원자재에서 완제품까지 섬유의 수직계열화 실현을 위한 (1)해외섬유의 인수 및 확장 (2) 울산직물의 설립 (3) 선산섬유의 설립, (4) 선경복장의 설립 (5) 스카이론(SKYRON)상표의 탄생 등 아세테이트와 폴리에스터 생산, 선경화섬과 선경합섬의 설립, 직물생산에서 수출과정, 그리고 화학섬유공업체제의 진입 등 생산기의 사적 규명을 하였다. 제4기의 도약기는 1970년대(1972년~영면), 선경의 다각화시기로서 서해개발의 설립, 최종건회장의 마지막 불꽃, 워커 힐 인수, 석유에서 섬유까지 수직계열화의 태동의 인증, 선경석유주식회사 설립 등과 최종건 창업회장의 영면과 그간의 공훈 수상실적들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SK창업과 성장기의 경영사적 고찰을 통하여, SK의 성장과 발전요인을 규명하는 데도 큰 의의를 두었다. SK의 창업과 성장기의 발전요인은 첫째, 정부의 경제개발정 책의 성공적 대응, 둘째, 경영관리 혁신과 전략경영의 성공, 셋째, 최종건 창업회장의 성장의지와 도전과 개척, 열정과 사업보국주의 기업가정신 등 그리고 넷째는 최종건 창업자의 성공의 4가지 힘(力), 즉, 결단력, 추진력, 인내력, 성취력 등의 발휘이었다. 이상과 같은 SK의 창업과 성장기의 발전요인은 이미 선경시대 1973년~1974년도에 SK그룹 형성의 초석이 되었으며, 우리나라 10대 기업집단(재벌)로 부상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d detect the foundation and growth process of SK group. SK group was Founded in October 1953 in korea. since then, it has rapidly grown korea. the growth of SK group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e in Textile industry of Chey, Jong-Kun and the petrochemistr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Chey, Jong-Hyon, such this, SK group is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al to share a role of brother, that is, the founder. Chey, Jong-Kun prepared the base of SK group to be accept Sun-Kyung Textile company from government in 1953. also the second founded of SK group. Chey, Jong-Hyon has developed more their SK group as growth and development. Since the birth of Sun-Kyung Industries Co., Ltd in 1953. the company has strived to lead the new textile life style entrepreneurship and completed SK group through the vertical integration. The period division of the founder Chairman Chey, Jong-Kun of SK group is as follows. First stage : the quickening period (1944~1952), it s background on the preparatory period of foundation age. Second stage : the foundation age (1953~1961),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the textile industrial and foundation of Sun Kyung Textile Co,.Third stage : growth period (1962~1971), the first five-year plan period (1962~1966) and during the second five-year plan period(1967~1971)and growth period of Sun-kyung. Fourth stage : the take-off period (1972~death), the vertical integration of the company under the motto of from petroleum to textiles industry and Sheraton Walker-Hill co,. The growth factors and foundation of Sun-Kyung in the business history was to successfully strategy with facing each other of economical development plan. Also, growth factors of Sun-Kyung was to innovation of business management and success of business management strategy and the entrepreneurship and growth will of founder chairman Chey, Jong-Kun, and focused of success factor s of founder chairman Chey, Jong-Kun, his might is success, accomplishment energy. The Chairman Chey, Jong-Kun of SK group, South Korea s giant business conglomerates, are a unique and critical aspect of the korean economy.

      • KCI등재

        瀛洲十景으로 본 朝鮮 儒學者의 仙境 인식과 그 태도

        김치완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59 No.-

        이 연구에서는 朝鮮 儒學者의 仙境 인식 중에서도 특히 瀛洲山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성리학적 질서에 충실했던 이들이 성리학적이라고 말하기 곤란한 仙境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면, 그 이유를 통해 오늘날 우리의 제주도 인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우선 朝鮮後期에 유행했던 조선 儒學者의 遊山 행위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遊山은 疏通에 목적을 둔 遊覽 행위 가운데 하나로서, 조선 유학자들은 이를 통해 山이 지닌 내재적 의미를 탐미하고, 그 계기를 통해서 性理學的 修養論을 실천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遊山은 山을 직접 오르는 형식만이 아니라, 先代 遊覽者들이 남겨 놓은 遊山記를 읽거나 그림을 보는 臥遊의 형식까지 포함했다. 한편, 동아시아의 仙境 인식은 戰國時代의 혼란한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요구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조선후기 들어 이 仙境 인식이 새롭게 등장한 이유는 두 번의 전쟁 이후 이상향에의 동경이 극대화되었고, 동시에 당시 동아시아의 문화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瀛洲山은 실재하는 자연경관이라기보다는 인문학적으로 창조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예로부터 漢拏山을 瀛洲山, 濟州를 瀛洲라고 한 까닭이 그 천혜의 자연경관 때문이라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조선 유학자들의 瀛洲十景詩에 따르면, 修身과 爲己之學, 그리고 兼善天下라는 儒家的 修養論을 실천할 수 있는 인문학적 공간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제주가 그들에게 익숙한 공간이 아니라 ‘낯선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濟州의 지역특수성은 제주를 찾는 사람들이 느끼는 ‘낯설음’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때로는 이 ‘낯설음’이 자연경관에서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인문학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제주가 진정한 仙境이 되려면 교감과 반성, 그리고 소통적 공간으로서 재발견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ach and perception of humanities on especially Yeongju Mountain(瀛洲山) among the perceptions on Immortal Land(仙境) of Confucianists in Joseon. The reason why is that it was expected that if the Confucianists who were faithful to the order of Neo-Confucianism had a perception on Immortal Land which is tough to say to be Neo-Confucianistic, the problems of our perception on Jeju Island today and the solutions would be able to be groped for through the reason. First, the Mountain Excursion(遊山) of Confucianists of Joseon, which was in fash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pproached in the way of humanities. Mountain Excursion was one of the actions of sightseeing aiming at communication, and the Confucianists in Joseon intended to appreciate the immanent meaning of mountains and to practice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moral cultivation through the opportunity. Therefore, Mountain Excursion included not only the form to climb a mountain in person but also the form of nature stroll at home(臥遊), which means reading mountain climbing writings or viewing pictures of the sightseers of the previous age. Meanwhile, the perception on Immortal Land of East Asia arose from the demands to escape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age of civil wars. The reason why this perception of Immortal Land emerged anew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at the yearning for the Utopia was maximized after two wars and the cultural exchanges in East Asia was active at that time. In this connection, Yeongju Mountain(瀛洲山) can be called as a space created in the way of humanities rather than an actual natural scene. We have thought that Halla Mountain(漢拏山) has been called Yeongju Mountain(瀛洲山) and Jeju has been called Yeongju(瀛洲) from old times because of the natural scene with Heaven's blessing. However, according to the poems on the ten scenic views of Yeongju(瀛洲十景詩) of the Confucianists in Joseon, there is a strong significance that it is a space of humanities in which the Confucianistic theory of moral cultivation that tells to practice morals, to learn to become a sage and to do good things with the world can be practic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because Jeju was not a familiar space but a strange space to them. In short, the regional peculiarity of Jeju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provides a moment of 'strangeness' felt by those who visit Jeju. Sometimes, this 'strangeness' can be felt in the natural scenes, but ultimately it is possible only when the opportunity that enables the self-examination in the way of humanities is provided. In this connection, in order for Jeju to become a true Immortal Land, it should be rediscovered as a space of sympathy,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2롤 교정공정에서 인발선재의 선경변화

        문창선(Changsun Moon),김낙수(Nak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7 No.3

        상온에서의 2롤 교정공정은 인발선재의 진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공방법이다. 인발과정에서 생긴 인발선재의 내부 및 외부에 남아 있는 잔류응력은 2롤 교정을 거치면서 변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인발선재의 선경에도 변화가 생긴다. 인발후 잔류응력이 남아 있는 소재에 대하여 롤사이의 거리(h)와 롤의 교차각도( u α , d α )에 따른 선경변화를 분석하고 최종제품의 잔류응력과 선경변화를 예측하였다. 2롤 교정을 통한 최종제품의 선경변화를 예측해 실험값과 비교 및 검증한 결과 타당한 계산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부롤과 하부롤의 교차각도는 잔류응력과 선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반면에, 롤사이의 거리(h)는 잔류응력과 선경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two cross-roll straightening process at room temperature is a manufactur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traightness of a drawn wire. The distribution and magnitude of the internal and surface residual stresses of the drawn wire are changed after the wire-drawing process through the two cross-rolls; this also results in a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drawn wire. The remaining residual stresses of the drawn wire after the wire-drawing dimensional chang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s, oblique angle between the axes of the roll and the wire, predicted residual stresses, and dimensional change in the final product. The oblique angle between the concave and convex rolls did not affect the residual stresses or dimensional change, but the distance between rolls did.

      • KCI등재

        발아된 자기동일성, 『신춘시』 지면의 박정만 시

        이수경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2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oems of Park , Jung-Man as a member of coterie 『Shinchunsi(新春時)」 and to study these 14 poems of the 『Shinchunsi(新春時)」, how they are connected with others at the point of view as the ‘ self- identity(自己同一性) ’ The homogeneity of Park, Jung-Man and coterie 『Shinchunsi(新春時)」 is based on the long form poem(長型時) and critical perspective view of the 60s’. His poems of the 『Shinchunsi(新春時)」 shows 2 prominent features as his self-identity(自己同一性) , penetrated his whole poems. First one is the transformation of ‘Seon Kyung Hoo Jung(仙境後情) of Gyeonggichega(景幾體歌)’. His transformation of The form of Gyeonggichega(景幾體歌), transformed from Seon Kyung Hoo Jung(仙境後情) to ‘ Seon Kyung(仙境) -> Hoo Jung(後情) ->Hoo Kyung(後境) ’ , as his identical form , makes to cut off and to control the overwhelmed feelings by repeats and climaxes of the uttering or emotion of the poetic narrator. Second one is the appearing of the poetic narrator at the front of the scenery of poem. This technique makes the readers focus 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poetic narrator , 'I' , constantly and does us recognize the dialectical change of the cognition of poetic narrator , carved in his mind deeply by ‘ the revolution and the failure of 60s’. Also this feature is connected precisely with the long form poet and theme of the poems of him , expressing the hope of the coming future. Park, Jung-Man engaged in participating in and published 14 poems on this coterie from 13th collection to 19th collection except 18th collection. Only 7 poems were reprinted at his first issue 『The Sleeping Stone(잠자는 돌)』(1979), but the other 7 poems were forgotten without any acceptable or assuming reason. Those are 「Soldiers(兵士들)」, 「Night·City(밤·도시)」 on 13th collection, 「Dedicating Flower(獻花)」, 「The Face Of New Bride(새신부의 얼굴)」 on the 14th, 「The Day Of The Spiritual Communication(靈交日)」 on the 15th, 「The Puppets(인형들)」 on the 16th and 「The Ear Of Sanggamchungja-The Invisible Hand 5(상감청자의 귀-보이지 않는 손⬝5)」 on the 19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7 poems have a change to be lighted , for the first time , and finally have a chance to be analyzed to verify that those are also the sprout of his poetic identity. This study is the proof that the identity of Park , Jung-Man sprouted as early as he wrote poems as a member of coterie 『Shinchunsi(新春時)」 with having critical point of view and trying to write ‘ the long form poem(長型時)’, and he continually went through , mentioned above , and he achieved his self-identity(自己同一性) by transforming of Gyeonggichega(경기체가), Seon Kyung Hoo Jung(仙境後情) and by creating inner dialectical discourses of poetic narrator. 본고의 목적은 생애사적 연구 중심의 기존 박정만 연구에서 벗어나 『신춘시』라는 동인지 활동과 연관하여 살펴보고, 동인지를 통해 발표한 초기작들이 어떤 양상으로 박정만 시와 맥을 같이 하는지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박정만 시와 『신춘시』는 ‘장형시’와 ‘현실비판의식’이라는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신춘시』에 발표된 초기작들은 박정만 시 전체를 관통하는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장형시인 선경후정의 경기체가를 시적으로 변용, 형상화한 것이다. ‘선경후정’이라는 경기체가의 형식을 ‘선경->후정->서정화된 후경’이라는 그만의 시적 형상화로 변모시켜, 범람하기 쉬운 감정을 절제하는 기제로 형상화하여 자기동일성의 한 기저를 확보하였다. 또한, 선경후정의 장형시를 통해서 시적 화자가 시의 전면에 드러나서 화자의 인식변모를 응시하게 함으로써 60년대 공유된 문학인의 비판적 현실 인식과 극복을 시적 화자의 변증법적 변모 과정인 내적 발화를 통해 형상화하여 정신적 깊이와 함께 시적 아름다움을 성취하였다. 본고는 『신춘시』에 발표된 시 14편 중 재수록 되지 않고 시 연구에서 이제까지 배제되어왔던 시 7편을 새롭게 발굴, 분석하여 박정만 시 연구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연구사에서 소홀히 되었던 시들에 새롭게 주목하여 박정만 시가 갖는 경기체가의 선경후정의 변용, 시적 화자의 내적 발화를 통한 비판적 현실인식과 시미학의 형상화라는 자기동일성이 시작 초기부터 발아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K그룹 담연 최종건 창업회장의 창업과 기업성장

        신용대(Shin Yong Dai),김대순(Kim Dae Soon) 韓國貿易學會 2008 國際學術大會 論文集 Vol.2008 No.12

        본 논문에서는 SK그룹의 초기 역사는 곧 최종건 SK그룹 창업회장의 역사라는 시각에서 그의 창업이념이 生前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추적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선경그룹의 성장과 발전을 창업준비기(1944-53), 창업기(1953-61), 도약기(1962-70), 다변화 시동기(1971-73) 등의 4期로 시대구분(periodization) 하여 살펴보았다. SK그룹의 초기 성장과 발전을 가능케 하였던 기업의 내적, 외적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그 대외적인 요인으로는, 선경그룹의 도약기 이후의 시기가 한국경제의 외연적 성장기와 일치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한국경제는 1960년대 이후 공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이 시기는 SK그룹의 도약기 이후와 일치한다. 정부정책은 개발초기부터 ‘경제제일주의’, ‘수출입국’, ‘중화학공업화’ 등의 슬로건을 내걸고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였으며, 기업수출실적에 따른 각종 포상제도도 실시하였다. 정부의 산업정책의 방향도 대부분 기업규모 확장을 지지하는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이와 같은 정부의 정책방향은 선경그룹이 비약적으로 성장 · 발전하는데 유리한 환경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SK그룹의 성장과 발전을 가능하게 한 내적 요인은 대한민국의 건국을 전후한 중요한 시기에 최종건이란 재계의 巨木이 이루어 놓고 간 그의 정신에서 찾을 수 있다. 최종건이 활동한 시기의 기업외적인 환경이 친기업적이라 하더라도 모두 그 기회를 공유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최종건 회장은 창업가형 기업가로서의 저돌적인 추진력, 보스적 기질과 사람들을 끌어드리는 친화력, 기술 능력과 도전정신을 지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창업형 기업가로서의 자질이 선경그룹의 성장과 발전에 초석이 되었다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배규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 신종교의 대표적 평화사상인 해원상생사상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원상생과 해원공사를 후천선경 건설의 원리와 실행기제로 보고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해원상생사상에 내포된 사상적 특성으로 인간과 세계의 미래를 논리적으로 추론해 보는 것이다. 해원상생사상은 해원과 상생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개념이다. 해원은 인간ㆍ신명ㆍ세계에 쌓인 원한과 원한의 구조를 풀어가는 것이고 상생은 서로 간에 잘 되게 하는 작용 또는 잘 산다는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은 원한을 풀고 서로 잘 산다는 말이다. 대순진리회에서의 해원상생은 그 개념이 외연적으로 더욱 확대되어 나타난다. 해원상생은 전 세계의 평화이며 전 인류의 화평으로 확장된다. 선행연구의 통합적 분석과 필자의 새로운 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미는 원리ㆍ법리ㆍ윤리ㆍ이념으로써 공통적으로 인존, 상생, 평화, 조화, 후천, 선경 등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해원상생이 가지는 어원적 의미보다 해원상생사상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에 관해 투영되는 가치적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는 것을 말해준다. 인존과 상생, 평화와 조화, 후천과 선경이 가지는 공통의 특성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꿈꿔온 대망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이점이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이유이다. 해원공사는 상극이 지배하는 선천시대의 원한을 해소하고 상생으로 유지되는 후천세계를 건설하는 강증산의 종교적 행위이다. 그래서 해원상생의 원리는 해원공사에 의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를 변화시키는 작용력을 가진다. 이 글에서는 해원상생이 ‘인간욕망의 충족’과 인간과 세계의 ‘상생적 조화관계’를 이룸으로써 인간은 인존(人尊)으로, 세계는 선경(仙境)으로, 미래는 평화로 변화시킨다고 추론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사상은 사회-세계-우주의 변화원리로서 작용하며, 해원상생의 사회적 실현은 인존ㆍ선경ㆍ평화의 객관적 실재로서의 그 미래를 창출한다. 해원상생사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어려운 여건 속에서 소수의 학자들에게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해원(解冤)ㆍ상생(相生)ㆍ인존(人尊)ㆍ선경(仙境)ㆍ평화(平和)를 실현하는 해원상생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되어 세계종교사상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re are three purposes to this study: first,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meaning of Haewon-sangsaeng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ought, which can be taken as representative thought regarding peace in Korean new religions. Next, Haewon-sangsaeng Thought and the works for Haewon (resolving grievances) will be examined as principles and practical mechanisms for building the paradise of the Later World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is system of thought. Lastly, logical inferences will be made regarding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through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mplied by Haewon-sangsaeng Thought. Haewon-sangsaeng Thought contains the complicated concepts of Haewon and Sangsaeng. Haewon is the resolution of the enmity and grievances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realms of humanity and deities. Sangsaeng indicates the action of mutually benefiting one another or a state wherein people live in prosperity and peace. In Daesoon Jinrihoe, the concept of Haewon-sangsaeng is expressed explicitly and has broad applications. It can be expanded for the global peace and the harmony of all humanity. As the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stated that Haewon-sangsaeng has values and meanings in terms of principles, laws, ethics, and ideology all of which are commonly connected to Injon (Human Nobility), Sangsaeng, peace, harmony, the Later World, and paradise. This indicates that its valuable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is deeper and wider than its mere etymological meaning. The common factor among paired ideas such as human nobility and Sangsaeng, peace and harmony, and Later World and paradise is the realization of humanity’s greatest wish. This is the reason why the value and meaning of Haewon-sangsaeng can be expanded globally. The works of Haewon were a religious act of Kang Jeungsan who resolved the grievances of the Former World which was under the rule of mutual conflict and built a Later World that will operate according to mutual beneficence. Therefore, the principle of Haewon-sangsaeng has a motivative power,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which can transform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as Haewon-sangsaeng ‘fulfills human desires’ and forms a ‘harmonious relations of Sangsaeng’ between humans and world, humans will be transformed into Injon (Human Nobility) while the world turns into a paradise, and the future turns into period of peace. Therefore, Haewon-sangsaeng Thought works as a principle that changes society, the world, and the universe. The social actualization of Haewon-sangsaeng is tantamount to bringing the future of Injon, paradise, and peace into objective reality. Previous studies on Haewon-sangsaeng Thought had been carried out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For all the above reasons,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studies made on the topic of Haewon-sangsaeng Thought, which seeks the realization of Haew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human nobility, paradise, and peace. I hope it will emerge as a main subject in global religious thought.

      • KCI등재

        담연 최종건 회장의 생애와 기업가정신

        김한원(Han-Won Kim) 한국경영사학회 2011 經營史學 Vol.60 No.-

        본 논문은 글로벌 SK그룹(구 선경그룹)을 창업하여 사업보국 정신으로 한국 근대화에 기여한 담연 최종건 창업회장의 생애와 기업가정신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경 그룹(현 SK그룹) 창업주 최종건 회장은 창업가형 기업가답게 그의 생애를 불사르며 선경을 창업하여 키웠다. 특히 국내 첫 엔지니어출신으로 글로벌기업을 창업한 기업가라는 특징과 국내 직물업계 최초로 인견직물에 이어 원사를 해외에 수출함으로써 한국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굴지의 대기업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닦은 창업가형 기업가이다. 그는 1953년 5월초 한국전쟁으로 잿더미가 된 공장의 폐허에서 직조기 부품들을 모아 네 대의 직조기를 조립한다. 조립되어 가동되는 직조기에서 꿈과 희망의 씨앗을 본 것이다. 그의 꿈은 우리나라 제일의 종합섬유제조업자가 되는 것이었다. 최종건 회장의 꿈은 더 원대 해졌다. 그는 국내 최고의 섬유기업집단으로써 필요한 원자재를 필요한 시기에 직접 통제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수직 계열화를 이룬다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해야하는 또 하나의 사실은 직물생산기업이 원사생산과 정유사업으로 나가는 후방연계(backward linkage)를 확립한 것이다. 특히 1973년 초 선경유화와 선경석유(정유공장)의 설립은 그 꿈을 실현 시키려는 최종건 회 장의 ‘석유에서 섬유까지’의 열정과 신념의 기록이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낸 그의 개척자 정신과 강력한 추진력으로 이룬 업적이다. 최종건 회장의 도전과 개척정신의 발로인 것이다. 최종건 회장의 개척자 정신, 열정과 신념, 품질우위 정신, 사업보국의 정신이 있었기에 창업이 가능했고, 인재와 기술 그리고 신용을 중시한 기업가정신이 선경그룹(현 SK 그룹)의 도약을 가능하게 했다. 담연 최종건 SK그룹 창업회장은 이러한 경영이념과 기업가정신으로 짧은 생애였지만 SK그룹 100년의 기반을 닦았고 한국경제발전에 큰 족적을 남겼다.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the life and the entrepreneurship of Jong Kun Chey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by establishing and running the SK Group as a way of serving the country. Jong Kun Chey was a business man who deserved to be called an entrepreneur. Actually, he was the first engineer who raised up his business to become global and finally materialize into one of the leading conglomerates of South Korea. Also, he adde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by expanding textile foreign trade to include yarn besides artificial silk. In early May of 1953, he collected components of loom from the ruins of textile factories after the Korean War, and successfully assembled those parts into 4 units of loom. He saw hope and a new dream when the assembled loom began working. His new dream was to become the largest general textile manufacturer in South Korea. President Chey’s visions became more ambitious afterwards. He intended to cut costs and save time by directly controling the flow of raw materials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s the leading general textile company. Another remarkable fact is that he established a backward linkage through which oil refining business was incorporated with the yarn business. Two establishment of 1973, that is, Sunkyung Yuhwa (DMT) and Sunkyung Refinery were a record of President Chey’s long cherished passion and conviction to cover from textile to petroleum. SK Group was a product of President Chey’s pioneership and strong drive to make something great out of nothing. It was a manifestation of his challenging spirit and frontiership. It was President Chey’s frontiership, passion and conviction, spirit of superior quality, patriotic orientation of running businesses that made possible the creation of the SK Group. On the other hand, hi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technology, and credibility worked as a basis of the SK Group’s far-reaching jump afterwards. President Chey’s values and entrepreneurship, thus, lay a foundation for the SK Group’s 100 years progress and left a big footprint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though short was 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