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소결합규칙 기반 조선어 인명자동식별 방법과 실현

        마미령(?美?)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1 중국조선어문 Vol.235 No.-

        자연언어정보처리에서 인명의 자동인식기술은 시종 학술계의 연구 초점이자 난점으로 되고 있다. 국내의 인명자동인식 연구를 보면 한어말뭉치에 대한 인명자동처리 연구는 활성화되여 많은 성과를 이룩하였지만 중국 조선어 말뭉치에 대한 인명자동인식 연구는 매우 결핍한 상태에 있다. 본 론문은 중국 조선어 말뭉치에 나타난 인명자동인식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데 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34,216개 인명(《연변일보》에서 수집된 인명 10,452개, 연변주 중소학교 재학생 인명 23,764개)을 대상으로 컴퓨터언어학의 시각에서 인명의 음소결합에 대해 전면적으로 통계분석을 진행하여 인명의 음소결합규칙을 찾아내고 음소결합규칙을 토대로 인명식별용 모형을 설계하여 기타 인명 견본 말뭉치로 본 론문에서 설계한 인명자동식별 시스템의 정확도를 검증할 것이다.

      • KCI등재

        고유어 인명의 명명 특징

        김정태 ( Jeong Tae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4

        고유어 인명은 언어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유명사로서, 사람과 사람을 구별하기 위하여 누군가가 사람마다 부여한 고유의 이름이다. 근래 여아를 중심으로 고유어 인명의 명명이 유행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는 우리말 사용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우리말 활용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해 현재의 고유어 인명을 분석하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이에 본고가 국어학적인 측면에서 고유어 인명의 명명 특징, 이를테면, 단어로서의 이름이 명명자에 의해 명명되는 과정과 결과에서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규명코자 하였다. 첫째, 고유어 인명의 음운적인 특징은 ``조음``의 수월성을 제고한 것이다. 발음하기 쉽고, 어감이 좋은 어휘를 주로 사용한 점이다. 이를 위해 폐음절을 개음절화하거나, 받침으로 공명음을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고유어 인명의 명명에서 형태상의 특징은 줄임법을 사용하거나 굴절 형태를 인명에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줄임법을 사용하는 혼태식 인명은 일상어와 동궤의 것이나, 굴절형에 의한 명명은 고유어 인명의 중요한 특징이 된다. 셋째, 고유어 인명의 명명에서 어휘의 선택은 특징적이다. 일상어의 활용이 적극적임은 전통적인 것과 동궤의 것이다. ``한(大), 나래(翼), 온(百), 누리(世), 새암(泉), 새별(明星), ?다(愛), ??(江)`` 등등 고어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심지어 ``서울``같은 지명까지도 활용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소담하다``의 어근 ``소담``이라는 고유어 인명 등을 한자어 ``韶湛`` 등으로 명명하고 있음은 옛날의 음차표기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또한 비규범적이고, 비통사적 인명도 특징적인 명명이라 할 수 있다. Original Korean names have certain linguistic characteristics. Everybody has his or her own nam as a proper noun in order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s. When naming names, persons who name a person`s name put a certain meaning on it by various ways. It is clear that recently, for girls` name, original Korean names become popular. This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age use. Therefore, to discover another possibility for application of Korean original language,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of the current Korean original names. Classification of subjects is the fastest way to understand this phenomena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naming Korean original nam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Korean original names in terms of Korean linguistic aspects: for example, how names as words are named and what is the result. This paper classifies thos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honology, morphology and lexicality. First, a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riginal names is to consider the easiness of ``articulation``. Words that are easy to pronounce and have good sound nuance are usually used. To do that, implosive closed words become open sounds or in the ending of a word resonance sounds are us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the family name and the given name are considered to connect their meanings as well as their clear sounds. Second, 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naming Korean original names is to use blending forms or inflected forms. The blending form of mixed type names is the same rule of the everyday life language but naming by inflected form is a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naming Korean original names. Third, in naming Korean original names, selecting words is another characteristic. This active use of everyday life words is traditional. Here, when using open words or resonance sounds, easiness of articulation is also considered. In addition, many archaic words such as ``Han (大), Narae (翼), On (百), Nuri (世), Saeam (?암, 泉), Saebyeol (明星), D?tda (?다, 愛), g?r?m (??, 江)` are used and name of locations are used as well. Lastly, naming Korean original name "sodam," a root of ``sodamhada`` with Chinese word, Sodam (韶湛) is a trace of ancient sound borrowing. Also, non-normative, non-syntactical names are characteristics of naming Korean original names.

      • KCI등재

        신라시대 人名의 行列字 사용과 그 의미

        김창겸(Kim, Chang-kyum)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9 No.-

        이 글에서는 신라시대 인명에 항렬자의 사용과 추이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는 중국과의 교류과정에서 성씨문화를 수용하여 왕족과 일부 최고 귀족층에서 사용하면서, 이와 더불어 신라 고유 순수식 이름은 중국 한자식 이름으로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명에 돌림자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중고기 신라왕실은 신성화와 왕권강화의 방법으로 남자는 물론 여자에게도 불교식 인명으로 돌림자를 표기하였다. 이후 친당정책을 시행하면서, 중대에는 유교식 이름과 돌림자가 왕족과 일부 진골귀족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또 하대에는 왕족과 진골귀족, 유학지식인들이 부계친의 형제를 넘어 從兄弟 범위로 확대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 중에는 왕경에서 지방으로 이주함으로써 지방에서도 인명에 항렬자 표기가 나타났다. 더욱이 이 시기에 이르면 지방의 고위 신분층 중에는 동일직계 내에서 각 세대별로 인명에 항렬자의 위치를 앞뒤로 다르게 하는 발전된 현상을 보인다. 그리고 신라 말에는 왕족과 진골귀족은 물론 6두품 중심의 유교지식인, 그리고 지방 세력가들 사이에는 성씨제와 함께 인명에 항렬자 사용이 확산되었고, 유교적 부계친족제가 강화되어 갔다.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는 점차적으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에도 전파되었다. 지방의 세력가와 지식인들은 여기에 자극과 영향을 받아 혈연과 세력집단을 표현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스스로 稱姓과 함께 한자식에 항렬자를 가진 인명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성씨의 확산과 유교식 이름의 항렬자 사용은 궤를 같이하며 부계친족제를 강고화해 나갔다고 보겠다. 한편 인명의 항렬자 사용은 신라말, 즉 후삼국기와 고려 초기에는 좀더 확대되었다. 다만, 동일부계친이라도 어머니가 다른 경우에는 항렬자를 달리하여 모계를 아울러 표기하였다. 고려 초기 지배층에서는 성씨본관제 확립과 함께 인명에 항렬자 사용도 확대되고, 그리하여 부계친족제가 보다 강화되어 간 것으로 보겠다. 결국 신라시대 왕족과 일부 지배층에서는 인명에 行列이 존재하였다. 비록 그것이 고려와 조선시대 사용된 동일부계친 내에서 전후 세대간에 걸친 전형적인 항렬형식과 족보항렬에 비하면 비체계적이고 제도화되지 못했지만, 이것은 부계친족집단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use of the same generation name of person names and change process, and its meaning in Silla. Silla accepted the Sung(姓) culture from China. This was us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Silla dynasty and some of the highest nobles. The Silla unique names of person changed to Chinese name. And the use of the same letters began in the family"s names.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illa, the royal man and woman marked the Buddhist name with the same letter. Whe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e name with the same letter as the Confucian name began. In the Late Period of Silla, This method was used to expand into cousins as well as brothers of paternal families. It was also the case in the local community. Furthermore, the upper class used the developed form of this: the same letter position was moved back and forth by each generation within paternal kinship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end of Silla, The use of letters representing the same generation(行列字) in person names, by the royal family, Jingol(眞骨) nobles, Confucian scholars, and local powers, along with the surname system, has spread. The Confucian paternal kinship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end, in Silla, the name of the same generation was used in the person name. Although this was neither systematic nor institutionalized, compared to the form of this and used on Genealogical Table(族譜) in the Goryeo-Joseon Dynasty. Nevertheless, this shows that paternal kinship group existed in Silla.

      • KCI등재

        『동문선(東文選)』의 인명설(人名說) 고찰 - 이름과 이름짓기를 중심으로 -

        권익기(Kwon, Ik-k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8 No.-

        한문 산문체인 설의 한 유형인 인명설은 이름을 지은 후 그 뜻을 풀이하여 실천하면서 살 것을 당부하는 문학 작품이다. 인명설은 도입과 뜻풀이, 당부의 세 부문으로 형식화되어 있고, 관례의 한 의례로 명자설이 자리 잡았기 때문에 양이 많고 널리 알려져서 인명설을 대표한다. 『동문선』에는 고려후기 <경보설>부터 조선초기 <산은설>까지 약 200년 동안 13명의 명자설 26편, 호설 8편, 자설 3편, 본명설 2편 등 총 39편의 인명설이 실려 있다. 『동문선』의 인명설을 이름과 이름짓기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자·호가 널리 사용되기 전 본성으로 당사자를 특정한 것과 이름관련 글이 문체로 600년 성행한 것 등에서 이름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둘째, 명자설을 보면 본명에 연관하여 자를 짓고 있으므로 본명과 자는 짝이 되는 이름 유형이다. 셋째, 여말선초 당시 이름짓기 유형은 한자자의밖에 없다는 주장과 달리, 음양과 주역, 도가사상, 모습과 사실, 행동, 소리 등도 활용되고 있다. 넷째, 이름관련 전통적 개념인 항렬자와 피휘, 선호문자, 형제간 순서 등이 인명설의 이름에서 나타난다. 다섯째, 명자설이나 자설 중 한 편도 관례 시에 짓지 않았고 관례보다 인명설이 먼저 정착하였으므로, 관례 시에 자를 짓고 설하였다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 여섯째, 인명설의 작명 노력과 개명 성행 등을 보면 여말선초 당시 이름에 의한 개운론은 민속적 바탕 문화였음도 확인된다. 일곱째, 인명설은 이름 자체보다 이름의 뜻 해석이 주였으므로 고명사의는 인명설의 핵심이지 이름이나 이름짓기의 핵심으로 볼 수 없다. Inmyeongseol, a type of Seol(說) which is a genre of Chinese character prose styles, is a work of literature. Inmyeongseol is formalized into three categories: introduction, definition, and request. Since it was established as on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Myeongjaseol is widely known and represents it. There are total 39 works of Inmyeongseol in 『Dongmunseun』 including 26 works of Myeongjaseol, 8 works of Hoseol, 3 works of Jaseol, and 2 works of Bonmyeongseol by 13 people for 200 years from <Kyeongboseol(敬父說)>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to <Saneunseol(散隱說)>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research of 『Dongmunseun』 focusing on the name and naming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name is identified in the prevalence for more than 600 years of Inmyeongseol, referring to a specific person by clan seat and surname before the widespread use of Ja(字) and Ho(號). Second, Myeongjaseol of Inmyeongseol is the type that Bonmyeong(本名) and Ja make a pair because Ja is mostly related to Bonmyeong. Third, unlike the assertion that a type of naming was only Hanjajaeui(漢字字意)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Yin-Yang, Zhouyi, taoist thoughts, appearances and facts, behaviors, and sounds were utilized in it. Fourth, Inmyeongseol of 『Dongmunseun』 are analyzed traditional concepts related to the name such as Hangnyeolja(行列字), Pihwi(避諱), preferred characters, and sibling orders. Fifth, it is not acceptable to be known for naming and explaining of Ja at the coming-of-age ceremony.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name of Ja during the coming-of-age ceremony and Inmyeongseol was settled before the coming-of-age ceremony. Sixth, Inmyeongseol"s naming efforts and several renaming have found that Gaeunlon(開運論) by name was culture based on folk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Seventh, because Inmyeongseol focuses on interpreting meanings of name rather than themselves, Gomyeongsaeui(顧名思義) is thought to be the core of Inmyeongseol, not name or naming.

      • 固有語式 人名 硏究 -公州郡 儀堂面 戶籍簿上의 人名을 中心으로-

        강병륜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00 公州敎大論叢 Vol.37 No.1

        民籍簿가 작성되기 시작한 1910년부터 日帝의 創氏改名制가 실시된 1940년 2월까지 公 州郡 儀堂面 戶籍簿에 나타나는 固有語式 人名을 중심으로 素材와 命名觀,國語語彙,接 尾辭 등을 살펴보았다.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上層民은 陰陽, 五行 (金木水火土) , 數 , 字 意 등을 고려하여 漢字式으로 작명하였으나 20세기 前半期까지도 下層民 은 ‘바우,개똥이,돼지’ 나 ‘이뿐이, 간난이,언년이’처럼 國語의 語彙를 그대로 이름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2) 戶籍簿에 등재된 人名 중 완벽한 漢字式을 제외하고 圃有語式으로 생각되는 것만 고르면 383종이다. 同名異人이 가장 많은 人名은 ‘順伊’로 19명이나 되고,다음이 ‘阿只’ 18 명 ,‘ 十 欄 ’ 15명 ,‘ 牙 只 ’ 14명 ,‘ 小 飢 ’ 10명의 순이다. 同名異人 5명 이상의 人名이 8종, 4명이 9종, 3명이 21종, 2명이 34종이다. 반대로 同名異人이 없는 人名은 306종이나 된다. 同名異 人 이 많 은 ‘ 阿只,十攔, 牙只, 小姐,言年,阿 其,小兒,言連 , 仁伊,召史,於人年’ 등은 固有名 詞的 件格보다는 유通名훼的 件格이 높다 하겠다. (3)固有語式 人名 使用者 603명 가운데 男子는 121명으로 20%에 불과한 반면,80%는 女子이다. 또 5명 이상의 高頻度를 보이는 人名 13개 중에서 男子 이름은 하나도 없다. 이로써 固有語式 人名은 男子보다 女子에게서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固有語式 人名의 命名 動機로 작용하는 桌材로는 動物,植物,容貌,性格•行 動,場 所,器具,巖石,宗敎,十支•數字•季節,出十,祈願 등이 있다. 그리고 命名觀도 賤名爲福 思想, 男性中心 思考,賣兒風俗,棄兒風俗,好惡,男兒選好,壽福•富貴 祈願 등 다양하다. (5) 固有語式 人名은 動•械物名,容貌,件格, 行動,場所,器具, 千支,祈願 등을 그대로 담아 지은 이름이기 때문에 國語의 語彙가 그대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20세기 前半期의 固有語式 人名에 나타난 國語語觉 로 는 '간난이,사나이, 조이,아지/아기, 언 년이’ 등 80여 개나 된다. 80여 개의 어휘를 品詞別로 보면 名詞가 56개로 절반이 넘고 있 다. 다음으로는 形容詞,副詞,動詞 순으로 나타나고 句와 節의 肜態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6) 固有語式 人名에 나타난 接尾辭는 '-남(男), -녀(女)/ -년(年•連 )/ -례( 禮 ),-돌(乭), - 동 (同 •童) , - 봉(奉),-보(甫),-분(分•粉•紛),-쇠(釗•金),-순(頓),-이(伊•二•而•以)’ 등이다. 그리고 ‘-一广'는 아직 일반화되지 않았음인지 10여명 정도만 등장하고 있을 뿐이다 (7) 漢字表記로는 訓借보다는 作借表記가 절대적으로 우세하다. 그리고 많지는 않지만 終聲末音表記를 위하여 造字한 上下結合字 '乭(돌),餡(엇), 灼(언)’과 左右結合字 '於仁(언), 暮音(놈)’과 같은 國字와 우리 나라 特有의 音이 형성된 國作字 ‘釗(쇠)’가 사용되고 있다.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여성 인명(人名)의 언어인류학적 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7

        언어인류학적 입장에서 보면 모든 언어는 화자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들을 구분하고 범주화하는 문화적인 고유한 방식을 제공해주는데, 특히 인명(人名)은 개인의 정체성을 구분하고 유형화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이론적인 틀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몽골비사』에서 실제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47개의 여성 인명(人名)에 초점을 두면서 몽골 여성의 인명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유목문화적인 특징을 언어인류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서, 『몽골비사』의 여성 인명은 몽골 유목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들의 정체성, 사회적 지위, 역할 등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즉 몽골 인명은 남성과 여성을 구분해주는 문화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남성 혹은 여성을 상징하는 특정한 용어를 포함함으로써 인명은 성(性, gender)을 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하여 『몽골비사』에 표기되어 있는 여성 인명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특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몽골비사』에는 여성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jin‘이 덧붙여진 인명을 제법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몽골비사』 38절에 보면 처음 만난 여성에게 다음과 같이 묻고 그 질문에 여성이 대답하는 내용이 잘 기술되어 있다. 즉 13-14세기 몽골 여성들은 상황에 따라서는 인명(人名) 보다 씨족명과 여성이 속한 공동체 집단의 이름이 더 중요한 경우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ǰin‘ 혹은 ’-čin‘이 포함된 여성 인명의 경우에는 다시 이중적으로 여성을 상징하는 어휘와 친족용어 그리고 칭호 등이 중복해서 첨가된 사례와 여성 인명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ǰin‘ 혹은 ’-čin‘이 결합한 후 다시 여성을 나타내는 어휘인 ’ɤo’a‘가 첨가되고 여기에 여성을 의미하는 친족용어인 아내(gergei)가 마지막으로 덧붙여지는 삼중구조도 볼 수 있다. In linguistic anthropology human names provide various cultural categories, such as social identity, gender, status, taboo, etc. In many societies women’s names are differentiated from men’s names and thus women’s names often contain specific characters and furthermore symbolic substances associated with women. On the bases of this aspect, I investigate women’s name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ll together 47 women’s names are mentioned and I intend to analyse these by folklore taxonomy. These 47 women’s names consist of single names as well as names with additional terms which are attached to these names. For example, the suffix ‘-jin’ and ‘-čin’ indicate women’s characters and some honorific terms (e.g. üǰin, beki, qatun) are also attached to women’s names. In addition, kinship terms (e.g. mother, little mother, grandmother, wife) are used with women’s names in order to clarify their social role and status. Several distinctive cultural elements can be found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of women’s name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irstly, some women’s names such as ‘Barɤuǰin-ɤo’a’, ‘Qo’a<ɤ>čin emegen’, ‘Qoriǰin qatun’ show that double cultural substances of women’s characters are embedded into those names. Secondly, particularly women’s names like ‘Mongɤolǰin-ɤo’a gergei’ and ‘Boroɤčin-ɤo’a gergei’ even present triple cultural elements and symbols.

      • KCI등재

        분황원효와 영호정호의 만남과 대화

        이인석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3 불교 철학 Vol.13 No.-

        본 고는 분황원효(芬皇元曉)와 영호정호(映湖鼎鎬)의 인명학(因明學)의특성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먼저 분황원효는 언어와 논리를 초월한깨달음의 입장인 일심이문(一心二門)의 원리 가운데 “있지 않지만 없지도 않다”는 수연(隨緣)의 입장에 인명학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그의 인명학의 논리가 속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중도(中道) 가 현실에서 수연될 경우 중도를 여의지 않으면서도 매우 엄정하고 효율적인 논리가 성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는 논증식을 통해이를 증명한다. 이러한 증명은 그의 저술인 판비량론 을 통해 잘 드러나며 본고는제9절을 통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제9절에 나타나는 원효 논증식의 결론은 소승도 제6식의 소의로서의 별도의 식체를 인정한다는 것, 그리고그러한 이유로 소승도 의미상의 별도의 식체인 제7식과 제8식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소승경전인 잡아함경(雜阿含經)� 과 구사론(俱舍論) 을 통해 경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효의 논증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도의 수연의 입장을 여의지 않으면서도 논증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논점만을정확하게 지적하여 논증의 목적을 성취하고 있다. 그리고 부인할 수없는 경증을 제시하여 논파를 방지하고 있으며 상대의 논점을 정확히파악하는 까닭에 효율성의 극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편, 영호정호의 인명학은 속제적 논리학(論理學)의 특성을 가지고있다. 자신을 깨닫게 하는 방법인 현량(現量)과 비량(比量), 남을 깨닫게 하는 방법인 능립(能立)과 능파(能破)의 총합으로서 성립되는 속제적 논리학이 그의 인명론의 특성이다. 그에게 있어서 현량은 전오식(前五識)에 기반한 직접적인 지각이며이는 오관(五官)에 의해 빨간 사물을 보고 “그 사물이 빨갛다”는 것을아는 것이다. 한편 비량은 현량에 의해 형성된 지각에 기반하여 제6의식이 사물의상태를 요별(了別)하고 추론(推論)하는 것이다. 현량과 비량이라는 방법에 의해 스스로를 위한 바른 인식이 성립되면 이어 남을 깨닫게 할수 있는 방법인 능립과 능파가 더해져 바른 지식인 논리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형성되는 영호정호의 인명학은 깨달음의 증득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인명학이 아닌 속제적 지식으로서의 논리학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속제와 진제는 불일불이(不 一不二)의 관계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불교의 기본교의이다. 그러므로 속제적 지식을 위한 논리학으로서의 인명학도 깨달음의 증득을위한 방법으로서의 인명학과 동등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of reasoning (因明學, Skt. hetu-vidyā) by Bunhwang Wonhyo and Youngho Jungho. First, Bunhwang Wonhyo assigns the position of the science of reasoning to the position of the natural working of the principle of dependent arising (隨緣), which means that “it is not there, but it is not nonexistent.” among the principles of one mind and two aspects — the two positions of enlightenment that transcend language and logic. This implies that Wonhyo’s logic of reasoning science (Skt. hetu-vidyā) is not limited to conventional truth (世俗諦, Skt. saṃvṛti-satya). In other words, if the middle way acts according to the reality of dependent arising, this logic is established without any effort from the phenomenon realm. This logic is clear and efficient. For this reason, Wonhyo’s science of reasoning is considered to be logic that originates out of enlightenment. The conclusion of Wonhyo’s argument, expressed in Chapter 9 of Treatise on the Critique of Inference, is that, even in the case of Hinayana, a separate consciousness is recognized as what the sixth consciousness relies upon. For this reason, Hinayana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separate conscious bodies such as the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 in meaning, and is proven through the Theravada sutras — such as Āgama of Combined Discourse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This characteristic of Wonhyo's logic is that he achieves the purpose of the argument by accurately pointing out the point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argument, preventing refutation by presenting undeniable evidence, and by understanding the opponent’s argument accurately. This leads to efficiency maximization. Meanwhile, Youngho Jungho's science of reasoni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logic for conventional truth (世俗諦, Skt. saṃvṛtisatya). His logic is established when direct perception (現量, Skt. pratyakṣa-pramāṇa) and inference (比量, Skt. anumāna) — which are methods of helping oneself realize the correct truth — and inferential proof (能立, Skt. sādhana) and valid refutation(能破, Skt. dūṣana) — which are methods of helping others realize the truth — are combined. This logic is characteristic of his science of reasoning (因明學, Skt. hetu-vidyā). For him, direct perception concerned the gaining of information based on the five sensory organs, without any concepts involved. This means that, when somebody sees a red object, and knows “that object is red” through direct perception of the five senses, the concept of “red” is not yet involved. Meanwhile, inference (比量, Skt. anumāna) means developing knowledge regarding the state of an object allowing the involvement of concept, recognition, and inference based on perception formed by direct perception. If correct knowledge for oneself is provided through methods of direct perception and inference, inferential proof, and valid refutation — methods for enlightening others — are also added and logic is formed. Youngho Jungho's science of reasoning, formed through this path, takes the form of logic as knowledge of conventional truth rather than as a method for gaining enlightenment. Fundamentally, however, the conventional and ultimate truths are neither identical nor different. Therefore, the science of reasoning, as logic for conventional truth, also has an equally important meaning as the ultimate truth.

      • KCI등재

        원효의 논리사상

        김성철(Kim Sung-chul)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6 No.-

          본고는 원효의 논리사상을 조망하기 위해 원효의 저술에서 인명학 관련 술어의 출현 빈도를 조사했는데 『중변분별론소』의 경우 그 전체가 온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인명학의 영향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변분별론소』는 원효가 현장의 인명학을 익히기 전에 저술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BR>  원효의 논리사상을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문헌은 『판비량론』이다. 본고 제Ⅱ장에서는 『판비량론』에서 현장에 대한 원효의 비판과 유식학 관련 논의 및 인명학 관련 논의들을 분석했다. 『판비량론』에서 원효는 인명학의 오류론을 도구로 삼아 현장이 고안했던 추론식, 또는 현장이 소개한 불전들에 실려 있는 추론들을 비판하기도 하고 그 스스로 추론식을 고안하여 제시하기도 한다. 혹자는 『판비량론』의 논리 사상을 칸트나 괴델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원효 스스로 추론식을 구성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판비량론』의 원효는 이들과 입장이 상반된다.<BR>  원효는 인명을 자주 이용하나 논리지상주의자였던 것은 아니었다. 『무량수경종요』의 경문을 해설하면서 부처의 네 가지 지혜[불지(佛智)]는 “추론적 사유에서 벗어난 것이기에 믿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원효는 이율배반적 논법인 특유의 화쟁적(和諍的) 논법을 사용한다. 『판비량론』의 원효는 인명학의 오류론에 입각하여 치밀한 논리를 구사하였다. 그러나 『무량수경종요』의 원효는 불지(佛智)에 대해서 화쟁의 논법으로 설명하고 믿음의 길을 얘기한다. 원효는 때론 논리를 사용하고 때론 논리를 넘어선다. ‘화쟁의 논법’과 ‘불지에 대한 믿음’은 모두 논리를 초월한 곳에 자리한다.   1. The influence of Buddhist Logic on 元曉"s works<BR>  We can find many logical terms in 元曉"s works. Some of them are derived from 如實論 or 俱舍釋論 that were translated by 眞諦(Param?rtha: 499~569C.E.) and some are from 因明入正理論 or 因明正理門論. The latter two were translated by 玄?(Xuan-Zang: 602~664C.E.). In 眞諦‘s translations we can find logical terms such as ‘道理’ or ‘相違’. But logical phrases as ‘由此道理 … 不相違’ and terms as ‘相違決定’, ‘不定過’, ‘證成’ etc. are found only in new translations of 玄?.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age of logical terms we can classify 元曉"s works as follows.<BR>  ① The works in which 玄?’s Buddhist logic is applied actively<BR>  判比量論, 十門和諍論, 二障義, 大乘起信論疏, 大乘起信論別記, 大慧度經宗要, 金剛三昧經論<BR>  ② The works with a little influence of 玄?’s Buddhist logic 無量壽經宗要, 阿彌陀經疏, 遊心安樂道, 彌勒上生經宗要, 涅槃宗要, 法華宗要, 菩薩瓔珞本業經疏<BR>  ③ The works with no influence of 玄?’s Buddhist logic 菩薩戒本持犯要記, 發心修行章, 大乘六情懺悔, 解深密經疏序, 中邊分別論疏, 華嚴經疏序<BR>  2. 判比量論(Pan-Bi-Ryang-Ron) - A Treatise of Debates based on Buddhist Logic<BR>  判比量論 is a book of debates and all the debates are based on Buddhist logic of 因明入正理論. Some scholars insisted that logical thought in 判比量論 can be compared with "G?del"s Incompleteness Theorem’ or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BR>  But I think it to be misunderstanding. Kant or G?del"s philosophy is against logic. But 判比量論 is a logical treatise. In 判比量論, 元曉 criticizes many syllogisms that were designed by 玄? or found in 玄?‘s translations. 元曉"s criticisms are based on the logical fallacies described in 因明入正理論.<BR>  Moreover we can find 元曉 himself constructed several syllogisms that seem to be free from logical fallacies. For example a syllogism that proves the existence of the 8th Vij??na(Chapter9) or a syllogism that proves the 5th hetu in Dign?ga"s ‘9 kinds of hetus(九句因)’ to be a kind of ‘anaik?ntika hetu(不定因)’(Chapter11) or a syllogism that proves each hetus that is used in opposite syllogisms of "viruddh?vyabhic?r?(相違決定)" to be anaik?ntika hetu(Chapter12).<BR>  So we can say that 元曉 of 判比量論 is not a man of harmonization but a vigorous controversialist.<BR>  3. A Realm that transcends Logic - 和諍(Hwa-Jaeng) and Faith(仰信)<BR>  In the last part of 無量壽經宗要, 元曉 discussed about a realm that transcends our logical thought. That is a realm of the Wisdoms of Budddha.<BR>  Wisdoms of Budddha are of 4 kinds. In 無量壽經 each is called "Inconceivable Wisdom(不思議智)", "Unnameable Wisdom(不可稱智)", "Immense Wisdom of Mahayana(大乘廣智)" and "Uncomparable Victorious Wisdom(無等無倫最上勝智)". 元曉 compared these Wisdoms with 4 Wisdoms described in 成唯識論. The first is equal to "the Wisdom of accomplishing what is to be done(成所作智)", the second is equal to "the compassionate Wisdom of observing the ultimate equality of all beings(平等性智)", the third is "the Wisdom of accurate and wondrous observing(妙觀察智)" and the fourth is "the Wisdom of immense round mirror(大圓鏡智)".<BR>  元曉 presented antinomie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finitions of each Wisdom of Budddha. For example, the antinomy of Uncomparable Victorious Wisdom is as follows; "If this Wisdom of Buddha is gotten immediately without practice, every Sattva should have Buddha"s Wisdom, because both are not different in that they have not practiced. ↔ If this Wisdom of Buddha is gotten gradually with practice, it is not right, because Buddha"s wisdom is infinite and infiniteness cannot be consumed."<BR>  元曉 solved th

      • KCI등재

        ‘인명용 한자’ 자형 및 자음 표준화 방안 연구

        조성덕 ( Cho Sung-duk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우리나라의 ‘人名用漢字’는 여러 차례에 걸쳐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2009년에는 주민 인명용 한자와 호적 인명용 한자를 통일하여 주민등록 발급 및 열람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명용한자’ 확정에 명확한 원칙이 정해지지 않아 일부 자형과 자음에 혼선이 나타난다. 그 중에는 이체정보 오류로 인한 음가오류와 동일한 한자가 음가에 따라 이체자가 다른 경우가 있었다. 또 KS에 포함되지 않은 자형이 대표자로 수록된 경우와 속자가 대표자인 경우가 있었으며, 자형 판독 오류로 인해 자형이 중복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명용한자’의 기본 원칙의 수립이 필요하다. 한번 예외 조항을 두기 시작하면 결국 유사한 자형의 이체자와 이음자를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향후에 발생한 문제 및 오해의 소지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인명용한자’의 자형과 자음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국가기관이 주축이 되어 한자의 대표 자형을 체계적으로 제정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체자 정보 오류도 대표자 제정과 맞물려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정자를 규정하는 원칙이 세워지면 속자를 포함한 이체자 문제는 자연스럽게 정리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인명용한자’의 정리방안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현재 등록된 한자의 빈도를 추출하여 빈도순으로 정리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현재 등록된 한자의 이체관계를 검토하여 유형별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인명용한자표」에 나타난 문제가 개선될 것이다.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s names(人名用漢字)" has been expanded several times. In 2009, Chinese characters for residents names (人名用漢字表) and Chinese characters for family names are unified and used for issuing resident registra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principle in the "Chinese characters for human life", and some forms and consonants are mixed. Among them, there were cases wher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ranscendence according to the sound of the same kanji as the sound error due to the error of the transfer information error. In the cases where the characters not included in the KS code were recorded as representatives and the abstraction was representativ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tterns overlap.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basic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table for Koreans names". Once you begin to place an exception, you will eventually have to accept a similar type more and m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shape of "kanji mark for the name of life" and the consonant arrangement to prevent future trouble and mis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representative form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a or Japan as the main body of the government. The issue of the transferee is also an important issue in connection with the formulation of representatives. Once the principle of spermatozoa is established, the issue of transcendence, including the genus, will be sorted out naturally. sugget two ways of organizing the "Chinese characters for Krean name". The first is to extract the frequencies of the currently registered Chinese characters and arrange them in order of frequency. The second is to review the transfer relations of the currently registered Chinese characters and sort them by type. I think that a lot of kanji will be arranged in ‘kanji for the people’ by way of these two methods.

      • KCI등재

        백제의 인명(人名) 표기법(表記法)과 백제인의 신분인식

        박중환 ( Park Joong-wha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1 백제문화 Vol.0 No.64

        『삼국사기』나 『일본서기』 에는 백제 인명표기의 다양한 형태들이 혼재해 있지만 백제 당시에 제작된 출토 문자자료들에는 ‘지리정보 + 신분정보 + 인명’의 구조와 순서를 가진 기재원칙이 발견된다. 일부 요소들이 생략된 것은 문자자료 작성시 前提한 독자의 범위 때문에 생긴 축약표현이거나 표기된 인물의 신분적 특징이 반영된 생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의 백제 인명표기방법은 일정한 편찬 기준에 따른 簡略化된 기재법의 결과로 보이며 반대로 『일본서기』의 복잡한 표기법은 되도록 정보를 많이 채록하고자 한 부가적 기재 패턴의 결과로 보인다. 인명표기 관습으로 본다면 백제 사람들에게는 지리적 범주에 의한 귀속의식과 함께 관등 같은 신분적 귀속의식이 복합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혈연집단의 표식인 姓에 의한 귀속의식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문헌에 다수의 여성 이름이 등장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출토 문자자료에는 왕족부터 庶人에 이르기까지 백제 여성의 인명을 적지 않았다. 문헌에 실린 백제 여성의 이름들은 고구려, 한군현, 일본, 신라 등 다른 지역과 관련된 여성들이거나 백제 이외 지역의 기록문화에 의해 채록된 경우가 많다. 향후 백제 초중기 문자 자료의 발굴이 이루어지면 인명 표기에 반영된 시기별 백제 여성의 지위변화 양상이 더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백제 왕실 금석문에서는 1인 중심의 인명표기가 지배적이었다. 그 1인은 주로 왕이지만 왕비의 아버지이거나 장신구 제작기술자인 경우도 있어 그 정치적·사회적 함의가 주목된다. 하나의 기록물 안에 한 사람의 이름 만을 표기하는 것은 문장 내에서의 권력의 독점과 같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왕흥사 사리기의 명문에서 창왕의 인명표기는 ‘國名 + 王號 + 諱’로 구성되어 있다. 무령왕 지석과 비교하면 諱와 王號가 바뀐 것이다. 諱를 직접 사용하여 1인칭으로 쓴 이 금석문은 ‘왕’의 신분으로서가 아니라 자연인 ‘昌’으로서 불법 앞에 자신을 낮춘 恭愍의 자세가 베어 있다. 반면 미륵사 사리봉안기에서 중국의 황제에게 썼던 최고의 존칭 ‘陛下’를 사용하고 있었던 데에는 대신라 전쟁에서 확보된 무왕대 전제왕권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In Samguksagi - the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and Nihon Shoki, numerous name writing customs of Baekje times are visible. Due to such mixed tendency it is easily misunderstood that in Baekje times there were no clear rules or codes for name writing. However, based on the materials, which are contemporary to the Baekje times,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re was a clear tendency of name writing employed consistently. When written, names usually followed the structure of “geographic information + status information + given name”. Though some parts of such structure were left out at times when it was inferable from the contexts by readers. For instance, Deoksol, which was the name for a local governer, because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name, it was not necessary to men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the name. The Baekje name writing custom seen in Samguksagi may be the simplified version based on the name writing custom of the period when the book was written. On the other hand, the complex name writing custom that can be found in Nihon Shoki may be the result of an attempt to record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in one name.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Baekje people had a notion of belonging based on their geographic background in combination with the status/ positional background. Yet, belongingness based on their blood relations, which would be visible through the use of surnames, was not common. From the epigraphies made in Baekje times, women were not referred to their names even though they wer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Therefore, inherent queen names or princess names are not found from these materials. This would be the reason for the absence of the queen names and princess names from the Baekje royal inscriptions. The names of Baekje women that are known to us are invariably obtained from the historical recordings. These known names are of the foreign figures who are related to the other countries like Goguryeo, the Military Prefecture of Han, Japan and Silla. Otherwise they were passed down through the historic recordings of aforementioned countries. From such phenomena, it is possible that there was a tendency in Baekje name writing custom that “women’s names are not to be written down” in the official ceremonies and documents. In the ancient societies, the status of women were relatively mediocre in general. However, the fact that the women’s names were not written down in official terms shows that such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was more severe in Baekje compared to the other neighbouring countries at the same period. Wangheung temple’s Stone Urn for the Cremeted Remains has an inscription with King Chang’s name. The structure is consisted of “the country name + the official king name + the Whi (諱 - an official name of a king that was used when he has passed away). Compared to the inscription of King Muryeong, the order of the Whi and the official king name was switched. This inscription uses the Whi in the first person and it is to emphasize the human ‘Chang’ than himself as a king putting himself low with modesty in front of the Buddhist order such as Karma and rebirth. On the other hand, in the inscription of Miruek temple’s Urn, the title of honor “陛下” was used, which was for the emperor in China.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reflection of the Authoritarian Royal Power that was newly establised during the King Mu period after the war against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