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語 中古音의 齒音 小考 : 『東國正韻』·『訓蒙字會』 齒音과의 비교를 통해

        김서영(Kim, Seo-Yeong)(金抒映),안영실(An, Ying-Shi)(安英實),김민경(Kim, Min-Gyeong)(金旼敬)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漢語 中古音의 聲母의 조음 방법을 연구함에 있어, 『東國正韻』(1447)과 『訓蒙字會』(1527)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漢語 中古音을 음소 문자로 표기한 최초의 문자는 파스파 문자이지만, 파스파 문자는 死語가 되어 음소의 변화 및 후대의 계승 양상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반면, 『東國正韻』 한자음은 漢語 中古音과 시기상으로는 거리가 있지만, 漢語 中古音의 운미 8개를 일률적으로 訓民正音으로 표기했고,1) 全淸·次淸·全濁·次濁 역시 『訓民正音』 「解例本」에서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2) 『訓蒙字會』는 우리 현실 한자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되므로, 『東國正韻』 한자음의 표기가 『訓蒙字會』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필 경우, 『東國正韻』의 편찬자가 분석한 漢語 中古音의 淸·濁音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이 중에서 漢語 中古音의 齒音을 고찰하면서, 淸音의 무성 마찰음 /s/와 全濁의 유성 마찰음 /z/에 대해서 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漢語 中古音의 全濁 齒音은 /z/로 추정되는데, 『東國正韻』 편찬자의 관점에서도 그러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東國正韻』 한자음의 성격에 대해 異論이 있어 본고에서는 논외로 하지만, 『訓蒙字會의 한자음과 비교해서 살펴봤을 때, 『東國正韻』은 표기에서 우리 한자음을 바탕으로 漢語 中古音 四聲七音의 원리를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을 근거로 본고에서의 논의를 전개한다. 따라서 당시 우리 현실 한자음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는 『訓蒙字會』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東國正韻』의 한자음과 면밀히 고찰해 볼 때, 漢語 中古音의 淸·濁音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The ‘Cheongeum(淸音)’ which refers to a clear consonant sound and the ‘Takeum(濁音)’ which refers to the voiced sound of the ancient Chinese language consonants are recorded as ‘Eumsomunja(音素文字)’ which means alphabetic - phonemic - writing within the Hunminjeongeum system in the Donggukjeongun(Standard Rhymes of the Eastern States) is a Korean dictionary of rhymes which sets out a standard practice for pronounc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It was compiled between 1446 and 1448 under the instructions of Sejong the Great, and serves as a companion volume to his Hunminjeongeum.). The Hunmongjahwae(A textbook written to teach Chinese characters in 1527 during the Joseon Dynasty’s King Jungjong’s reign.) on the other hand is evaluated as having recorded the most practical Koreanized Chinese character sounds at the time of its writing. If these two written records were to be compared for an in-depth study, a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in deciding whether the Cheongeum and the Takeum related to the articulating method could be defined as voiceless sounds or voiced sounds dictated by the modern phonology based on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IPA). As the transcription of the Cheongeum and the Takeum are deeply related to the transfer and copying of the Sanskrit to the Chinese language, it is of course a given that the Cheongeum and the Takeum’s voiced and voiceless sounds of Sanskrit corresponds extremely well but there is a need for a more objective contemplation of whether the articulation method of the Cheongeum and the Takeum can be def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iced and voiceless sound of the IPA.

      • KCI등재

        中古 漢語의 音韻(1)

        平山久雄,이준환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0 No.-

        「中古 漢語의 音韻」은 中古 漢語 연구에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보여 주었고, 학술적 성과에서도 탁월함을 인정받아 필독서가 된 것으로, 그간 漢字音 연구자들이 中古音을 연구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도움을주리라 의심하지 않는다. 이에 이번에 原文을 번역함은 물론이고,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같이 번역하여 소개하게 되었다. 다만 원문이 길어서 한 번에 싣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두 차례로 나누어, 音價 推定의 방법과 實例, 추정된 音價表는 다음에 싣기로 하였다. 이 번역본이 한자음 연구자들과 국어사 연구자들에게 두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中古 漢語는 『切韻』(601)의 기초가 되었던 方言의 音을 가리키는 것으로, 오늘날 우리가 그 전면적인 양상을 알 수 있는 最古의 것이다. 이런 중고 한어의音韻 體系는 『廣韻』(1008)을 중심으로 한 切韻系 韻書의 反切을 종합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통하여 전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切韻』이 반영하고 있는 方言은 陸法言이 쓰던 北方 標準音을 반영한 것으로, 南方系 韻書에서 정밀하게韻을 판정한 方式이 『切韻』의 分韻에 상당히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中古 漢語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漢語 音韻學의 기본 개념인 韻의 분류 방법,韻目, 小韻, 反切法, 聲母, 韻母 등을 이해하고, 가장 기본이 되는 연구 자료인韻書 『廣韻』과 韻圖 『韻鏡』 등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廣韻』과 『韻鏡』 등을 기본 자료로 하고 現代의 여러 方言音과 日本․韓國․越南의 漢字音과 梵漢對音․漢藏對音을 참고 자료로 활용하여 中古音의 音價를 추정하였다. 反切로부터 漢字音을 분석하여 연구할 때에는 反切 系聯法을 이용하여 中古音을 歸納할 수 있다. 그러나 變例의 경우에는 객관적인 판정의 기준이 없는 경우가 많고, 又切을 사용하여 계련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도 객관적인 운용이어렵고, 원본 이후의 增加와 관련된 부분이 많아서 신중을 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歸納的인 방법을 우선 사용하고 난 후, 韻圖의 조직을 이용하면서反切 系聯의 결과에 따라 韻圖의 조직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는 演繹的인 방법을 나중에 사용하는 형태로 中古音의 聲母와 韻母를 증명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방법에 따라 脣音은 幫滂並明만을 인정하고, 舌音은 娘母를 泥母의 구별은 인정하고, 齒音은 照穿牀審을 莊初崇生과 章昌船書으로 나누고, 喉音은喩母를 于母(喩3)와 羊母(喩4)로 나눈 수정된 36 字母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攝이 宋代에 들어서야 쓰인 개념이기는 하나, 이미 이전부터 이 개념이 있다고 보면 『韻鏡』을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16攝의 사고방식을 적용하여 『韻鏡』을이해하였다. 이를 통하여 음가 추정 작업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다.

      • KCI등재

        中古 漢語의 音韻(2)

        平山久雄,이준환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1 No.-

        이 글은 中古 漢語의 음가 추정 방법, 실례, 한계를 중심으로 中古 漢語의 音價가 어떻게 재구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 이렇게 재구된 中古 漢語가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는지를 다룬 것으로 「中古 漢語의 音韻(1)」에 이어 平山久雄의 「中古漢語の音韻」의 후반부를,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번역한 것이다. 음가 추정에 관해서 말하자면, 聲母의 음가는 36字母를 『廣韻』의 反切에 맞도록 약간 수정을 한 후에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全淸의 聲母는 無聲無氣音으로, 次淸의 聲母는 無聲有氣音으로, 全濁의 聲母는 有聲音으로 음가를 추정하였다. 牙音의 聲母를 가지고 예를 들자면, 見母 k-, 溪母 kʰ-, 群母 g-로 추정하였는데, 다른 聲母의 음가 추정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韻母의 음가는 『韻鏡』의 韻圖에 배당된 위치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데, 칼그렌에서는齊․先․蕭․靑․添韻을 拗音으로 추정한 것과는 달리, 1․2등에 배치된 韻母와 동일하게 直音의 反切上字를 취하는 것이 원칙임을 중시하여 直音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重紐에 따른 韻母의 대립이 支․脂․祭․眞․仙․宵․侵․鹽韻의 脣․牙喉音 聲母의 아래에서 있음을 인정하고, 韻圖의 4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A류>(또는 <甲類>), 韻圖의 3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B 류>(또는 <乙類>)라고 하였다. 重紐를 인정하는 데에는 越南漢字音의 脣音 聲母의 양상, 日本 萬葉假名에서의 イ列 甲類와 乙類에서의 A류와 B류의 구별,福州 방언, 廣州 방언 등의 현대 중국 방언 등의 양상을 근거로 들고 있다. 聲調의 調値에 관해서는 현대 여러 방언을 참고하여 서로 가까운 방언의 調値를 비교하여 그들의 <小祖語>의 調値를 추정하고, 그들 <小祖語> 調値의 비교로부터다시금 <祖語>의 調値를 추정하는 방법을 쓸 수 있음과, 외국 借音 자료 등을이용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렇게 재구된 中古音의 음운 체계는 唐代에 변화를 하기 시작하여 唐代 중기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韻母의 변화로는 東1․冬韻, 咍․灰․泰韻,覃․談韻 등의 1등 重韻의 합류, 止攝 支․脂․之 3韻의 합류 등이 있으며, 聲母의 변화로는 脣輕音의 독립 등이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音價의 변화로는 全濁音의 無聲化와 이로 인한 無氣音化와 有氣音化가 있고, 鼻音 聲母의非鼻音化가 있음을 들고 있는데, 음성 변화의 양상에 주목하면서 음운 변화를다루고 있다. 聲調의 변화로는 陰陽調의 분열이 있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이와같은 음운 체계의 변화의 원인으로는,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 기층 언어의 침투 등을 들고 있다. 이 중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는 輕脣音의 독립이韻母의 C류>B류의 변화에 수반하며, 輕脣音이 독립할 수 있는 조건 아래에서 C 류>B류의 韻母 변화가 脣音의 경우에만 쉽게 일어난다든지, 陰陽調의 발달은全濁音 聲母의 無聲音化의 경향에 수반하는 것이며, 반대로 이에 따라 無聲音化가 촉진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

        東國正韻 喉音의 ‘청⋅탁’ 연구 -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김서영,문성호,김민경,안영실,이길경 중국학연구회 2021 중국학연구 Vol.- No.96

        After Karlgren’s research was published, the phoneme quality of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of the Chinese ancient sounds began to be analyzed as a confrontation of voiceless sounds and voiced sounds. Having said that however,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 (濁/unclear) sounds of the Chinese ancient sounds before Karlgren’s research were not classified into conflicting sounds but described as qīng(輕) & zhòng(重) (heavy and light), gāo(高) & xià(下) (high and low) and finally as yīn(陰) & yáng(陽). The very first person to transcribe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of the Chinese ancient sounds into sound value characters was none other than King Sejong and if we were to look at Sejong’s Hunminjeongeum Haeryebon edition (訓民正音解例本) as well as his personal music scores, it is believed that King Sejong accepted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as suprasegmental qualities. In the Hunmongjahwae(訓蒙字會) written by Choi Sejin, unlike the Donggukjungwoon(東國正韻), the jeoncheong(全淸:voiceless consonant) ‘ㆆ’ and the jeontakja(全濁字:entering sounds of ‘ㄲ’, ‘ㄸ’, ‘ㅃ’, ‘ㅆ’, ‘ㅉ’, ‘ㆅ’ within the Hunminjeongeum) for the purpose of transcribing the gakjabyeongseo(各自並書:alignment of two consonants side by side) were not used so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n objective comparison of the phoneme quality of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In this paper, King Sejong, Choi Sejin and Kalgren’s transcription of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especially focusing on the hóuyīn(喉音/guttural sounds) sound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an analysis was made where it was shown that individual values were clearly present in transcribing the qualities of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of the Chinese ancient sounds. It appears that when King Sejong was transcribing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he was basing them upon the real Chinese sounds and it is actually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were demonstrated as suprasegmental qualities as evidenced by the Chinese southern dialects which still exists today. The reason as to why King Sejong strictly adhered to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 transcription, which does not reveal themselves in the Korea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can be found in the musical perspective of Confucius (Rújiā:儒家) and Zhōuyì(周易) philosophy. As to why Choi Sejin didn’t transcribe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he had the sole purpose of phonetically notating the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sounds. The reason why Kalgren viewed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of the Chinese ancient sounds as a confrontation between voiceless and voiced sounds appears to be an influence from the freshly established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system during that time. As it can be seen above until now, it is possible to surmise that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at work about the transcription of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However, it was concluded that the qualities of the qīngyīn(淸/clear) and zhuóyīn(濁/unclear) sounds which King Sejong analyzed have been ultimately deemed to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phonetic values of Chinese ancient sounds. 청⋅탁은 樂記에서부터 사용되었던 음악 용어였고, 전통적으로 음운학에서도 淸은 고음, 濁은 저음을 가리키는 것이 통설로 되어있었다고 한다. 淸代의 江永이 音學辨微(1759)에서 청⋅탁의 개념을 성모에 국한해서 쓰기 시작했고, 칼그렌(Klas Bernhard Johannes Karlgren, 1889∼1978)의연구 이후 청⋅탁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분절 자질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 한⋅중⋅일⋅베트남 어음을 살펴봤을 때, 후음에 해당하는 제로 음가와성문 마찰음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은 변별 자질로 활용되지 않는다. 이는 칼그렌이 주장의 근거로 삼았던 吳방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趙元任 (1892∼1982)의 五度表記法1) 창안으로 초분절 자질에 대한 객관적 접근이가능해졌는데, 漢語 中古音의 청⋅탁과 중국 남방 방언의 음조와 양조가대체로 대응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탁과 음조와 양조가대응하는 것의 의미하는 바는 크지만 이와 관련한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않았다. 東國正韻 후음 ‘ㆆ, ㅎ, ㆅ, ㅇ’은 조음 위치, 조음 방식, 청⋅탁표기를 위한 것이며, 여기서 청⋅탁은 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이해할 경우 납득할 만한 설명이 가능함을 訓蒙字會 및 칼그렌의 청⋅탁 재구음과 비교하여 고찰했다.

      • KCI등재

        지석영 『兒學編』(1908)의 漢語 韻母의 한글 표기와 漢語音

        이준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0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examine the Korean alphabet notation used to describe the Chinese final system in Ahakphyeon(1908). It is also intended to examine the Chinese phonemes that can be found through this Korean alphabet notation.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consider changes in Chinese based on Middle Chinese. So I tried to see how I could understand changes of final system in the Chinese language. As a result, Ahakphyeon faithfully reflects the changes in the Chinese language from Middle Chinese to Modern Chinese. There are many changes in the final system from Middle Chinese to Modern Chinese, for example the loss of the voiced and checked tone have led to a major change in the final system. The style of Korean alphabet notation in Ahakphyeon goes well with this kind of final system in Chinese language. In addition, individual unusual changes are faithfully reflected in the actual situation, faithfully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Chinese language. Among these unusual reflections is the fact that some southern dialects in Beijing have been affected by the influx or that they seem to reflect exchanges with southern dialects.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language but also human and physical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a, and human and physical exchanges in the Chinese region. And through the Korean alphabet written on these labels, you can try to approach Korean phonics at that time. Typically, B in place to write /-yɛ/ even the same A is understood to be used to indicate monotonic /e/, but ‘ㅔ’ in place to write down what became /-ei, -uei/ differs from the one used to indicate downward double vowel /ie/. In addition, Korean writing, which was used to write down Chinese, can be used to try to approach Korean phonics at that time. Typically, ‘ㅔ’ in place to write /-yɛ/ is understood to be used to indicate monotonic /e/, but even the same ‘ㅔ’ in place to write down what became /-ei, -uei/ differs from the one used to indicate downward double vowel /ie/. And as shown in ‘簿버 [並]’, the syllabic type “ㅓ” instead of “ㅗ” is an effective use of the fact that /ㅗ / and /ㅓ/ are at odds with each other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ound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ㆍ’ is not actually being used for Korean alphabet notation according to changes of /ㆍ/>/ㅏ/. However, the use can only be seen in ‘柰 ’ and ‘百 ’, ‘ㆍ’ in these examples cannot be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not distinguished /ㆍ/ from /ㅏ/. This style of Korean alphabet notation shows that they were conscious of the change in /ㆍ/>/ㅏ/. .

      • KCI등재

        고대국어(古代國語) 한자음(漢字音)에서 3등갑을(等甲乙)(지(止)·심섭(深攝))

        김무림(Moo Rim Kim)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0 No.-

        This thesis aims at phonological study on the sounds of ancient sino-Korean characters i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Generally the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of the middle age Korean based on the ancient Chinese. So the sound of the third A-class and B-class i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are not same sound in middle sino-Korean. But some of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in the ancient sino-Korean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ino-Korean. In this thesis I compared the reconstructed sounds of ancient sino-Korean to the sounds of sino-korean focused o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character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third A-class and B-class in Jiseop(止攝) and Simseop(深攝) are same sound in ancient sino-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