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가 포착한 일본의 일상 지식― 『해행총재(海行摠載)』의 문견록을 중심으로 ―

        김묘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3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confirm Japan's daily knowledge captured by the Joseon Tongsinsa, focusing on the Mungyunrok included in the Haehaenchonggjae. Accordingly, the discussion was aimed at focusing on the various records of those who visite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mong them, the main research subject was the Mungyunrok, which contains various daily lives of Japan. To summarize the matters discussed so far, Chapter 2 distinguishes the branches of daily knowledge captured by Joseon Tongsinsa, starting with the concept of daily knowledge. Subsequently, in Chapter 3, Japanese daily knowledge in Haehaenchonggjae Mungyunrok was divided into several topics. First,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Japan, the conversion from non-daily to everyday geographical space"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e expansion of human residence was directly linked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and various forms of exploratory behavior have expanded the scope of spatial knowledge. As a result, by schematizing Japan's daily geographic knowledge collection process, knowledge collection patterns at various levels were revealed. Second, the discussion was held under the theme of "Meeting Daily Life and Capturing Japanese Daily Culture" where we looked at how the Chosun News Agency recorded Japanese daily life and cultur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not only a data that can confirm 'daily life and events' among the research categories of everyday knowledge, but also a research subject that can grasp the area of 'the world of daily life: our world, their world'. Thir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Epistemological Exploration and Anthropological Approach to Daily Lif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dealt with epistemology, that is, whether Japan was viewed positively or negatively, we tried to analyze the Joseon Tongsinsa fro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gain. In conclusion,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ad Japan as 'daily life', 'knowledge', and even 'daily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Haehaenchonggjae contained in the Mungyunrok. This stems from the sense of problem that there is no research on 'daily knowledge' by extracting only Moon Gyeon-rok, although som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ndividual gambling records previously included in Haehaenchonggja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look into various knowledge contained in the text of the correspondence anthology in terms of geography, cultural history, and anthropology, away from the previous studies. 이 글은 해행총재(海行摠載) 에 수록된 문견록(聞見錄)을 중심으로 조선통신사가 포착한 일본의 일상 지식을 확인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에 따라 조선시대에 일본을 방문한 이들의 다양한 기록들이 담겨있는 해행총재 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했으며, 그중에서도 일본의 일상 지식이 자세히 담겨있는 문견록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일상 지식의 개념 정리를 필두로 조선통신사가 포착한 일상 지식의 갈래를 구분하였다. 이어서 3장에서는 해행총재(海行摠載) 문견록(聞見錄)에 나타난 일본의 일상 지식을 몇 가지 주제로 구획하였다. 첫 번째는 ‘일본, 비일상에서 일상적 지리 공간으로의 전향’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인간의 거주지 확대는 지식의 확대로 직결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탐험적 행위는 공간적 지식의 범위를 확대시켜왔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일본의 일상적 지리 지식 수집 과정을 도식화함으로써 다양한 층위의 지식 수집 양상을 밝혔다. 두 번째로는 ‘일상과 만남 그리고 일본의 일상 문화 포착’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의 일상과 문화를 어떻게 기록하였는지 살폈다. 이는 일상 지식의 연구 범주 가운데서도 ‘일상과 사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세계 : 우리 세계, 그들 세계’라는 영역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대상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세 번째로는 ‘일상생활에 관한 인식론적 탐색과 인류학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인식론, 즉 일본을 긍정적으로 보았는가 부정적으로 보았는가를 주로 다룬 선행 연구와 달리 인류학적인 시선에서 통신사행록을 다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해행총재(海行摠載) 에 수록된 문견록(聞見錄)을 다루면서도 일본을 ‘일상’ 그리고 ‘지식’, 나아가 ‘일상 지식’으로 읽어내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해행총재 에 수록된 개별 사행록에 대해서는 대략적으로 일정 부분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문견록만 추출하여 ‘일상 지식’을 살핀 연구가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울러 기존 선행 연구의 답습에서 벗어나 통신사행록 텍스트에 담긴 다양한 지식을 지리학, 문화사, 그리고 인류학 측면에서 들여다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통신사들의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인식 : 『해행총재(海行摠載)』 소재 관련기록을 중심으로

        강지희 포은학회 2013 포은학연구 Vol.11 No.-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가 일본에 사신으로 간 것은 1377년 9월의 일이었다. 우왕(禑王) 대에 이르러 더욱 잦아진 왜구의 침략은 고려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였고, 이에 대한 고려의 대응은 토벌과 외교적 교섭,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1377년 7월 일본의 패가대(覇家臺)에서 사신을 보내와 왜구 소탕 계획을 알리며 고려·일본 간의 우호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는데, 이에 대한 보빙사(報聘使)로 파견된 이가 포은이었다. 포은은 앞서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표류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일본 사행의 위험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과거 경상도 안렴사(慶尙道按廉使)가 되어 현장에서 직접 왜구의 침해와 그로 인한 민생의 고통을 목도하였기 때문에, 왜구에 대한 대책이 시급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다. 정치적인 계략과 현실적인 위험 부담이 뒤얽힌 사행길이었지만 그는 사신으로 떠날 것을 단호하게 결심하였다. 포은은 구주탐제(九州探題)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을 만나 금적(禁賊)을 요구하는 한편, 교린관계의 이해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 결과 왜구에게 잡혀갔던 고려 백성 수백 명을 귀국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마가와 료슌을 비롯한 일본인들은 정몽주의 박학다식과 인품에 감복하여 예우를 다해 대접했다. 포은은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포로 송환을 위해 노력하였고, 그 성과로 인해 왜인들까지도 그를 칭송하고 사모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일본과의 교린관계는 지속되었고, 통신사(通信使)가 파견된 것도 20회에 달하였다. 통신사는 그들이 방문한 곳마다 서화·시문·글씨 등을 많이 남겼고, 귀국한 후에는 일본에서 견문한 것을 기록으로 남기기도 하였다. 이들의 견문록과 통신사일기를 한데 모아 편집한 책이 『해행총재(海行摠載)』이다. 포은도 일본에 갔을 때 13편의 시를 썼는데, 이것이 『해행총재』의 앞부분에 실려 있다. 이는 고려 때의 유일한 일본왕환기록(日本往還記錄)이다. 포은이 남긴 시와 그의 일본에서의 행적은 이후 조선 통신사들의 기록에서도 종종 언급된다. 이는 포은의 일본왕환기록이 일본에 다녀온 고려 사신의 유일한 기록이며, 그가 거둔 외교적 성과가 역사적으로도 매우 의미가 있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행총재』에 남아 있는 포은 관련 기록들을 검토하여, 조선 통신사들이 포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양상은 대체로 네 가지, 즉 패가대에서의 포은에 대한 기억, 외교관으로서의 훌륭한 임무 수행, 이국의 풍물과 나그네의 정취를 절묘하게 표현한 시인으로서의 포은, 경술과 충렬을 겸비한 문신의 면모 등으로 압축될 수 있다. It was in September 1377 that Jeong Mong-ju went to Japan as a delegation. Frequent invasion from Japan was serious matter which Goryeo had to solve. Action of Goryeo about this proceeded in two ways: suppression and negotiation. In July 1377, an envoy was sent from Paegadae of Japan and he tried to promote friendly relations between Goryeo and Japan announcing a plan to sweep Japanese raiders. It was Jeong Mong-ju that Goryeo sent as an envoy to Japan. Jeong Mong-ju knew the risk of going to Japan as an envoy because previously he went adrift in the way of going to China. However he had become a governor of Gyeongsang-do and had witnessed invasion of Japanese raiders and the people's suffering so he deeply realized urgency to take a step against Japanese raiders. He firmly determined to go to Japan as an envoy although there was a danger of wind and waves in the sea. He met Imagawa Ryoshun, the governor of Kyushyu in Japan. He made a request for forbidding Japanese raiders from invading Goryeo's territory and explained benefits of a good-neighbor policy point to point. As a result, he could let fellow countrymen as a war prisoner return home. Imagawa and Japanese people admired him for his wide knowledge and noble character. They hosted him with devotion and care. Since then he consistently made efforts for the repatriation of prisoners of war. His diplomatic success made him a hero not only in Goryeo but in Japan. In the Joseon dynasty, we adhered to a good-neighbor policy against Japan and sent diplomatic delegation to Japan as many as twenty times. The Joseon envoys left poems, paintings or calligraphic works in every place they visited. In addition, after homecoming they recorded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in Japan. Their records of personal experience and diaries of a trip are included in Haehang-chongjae. Jeong Mong-ju also wrote thirteen poems when he went to Japan. His poems are included in the front part of Haehang-chongjae. This is only record of an envoy to Japan in the Goryeo dynasty. The Joseon envoys often mentioned poems of Jeong Mong-ju and his diplomatic ability in their records and diaries. Because they regarded his poems wrote in Japan and his diplomatic success as very important results in literature and history. In this paper, I analyzed Joseon envoys' perception of Jeong Mong-ju by examining related mentions in Haehang-chongjae. To sum up, there are four aspects: first, the memory about him at Paegadae; second, his diplomatic success in Japan; third, his poems including an exotic mood and the feeling of a lonely traveler; forth, his personality as a civil servant having both learning and loyalty.

      • KCI등재
      • KCI등재

        韓國 漢詩에 나타난 ‘바다’ 소재와 주제

        윤인현 한국한문학회 200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heme of "sea" in Korean poetry. For this purpose, Korean poetry on sea written by Chi Won Choi, Gyu Bo Lee, Shik Cho, Seon Do Yoon, Jung Hee Kim, and Ik Hyun Choi not because the theme had different meanings at different times, but to examine a brief chronological flow of this theme in Korean poetry. Also, the poems on "sea" contained in Haehaengchongjae were analyzed, because there are almost no other poem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were on the theme of sea. Chi Won Choi, Gyu Bo Lee, Shik Cho, Seon Do Yoon, Jung Hee Kim, and Ik Hyun Choi are Confucian scholars that existed between the late Shilla Empire and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rue Confucian literature implies active views of reality, constantly attempting to correct the world. This is shown as an attitude of not compromising with injustice or as valuing the academic process of training oneself and teaching others. Therefore, the true Confucian literature does not neglect the reality and constantly shows concerns for the reality even when it is singing about the nature.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how Confucian scholars showed their characters as Confucian followers in their poems on sea. Haehaengchongjae is a collection of records written by Korean envoys for Japan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It is written as a journal by Korean envoys who visited Japan, from Mong Joo Jung of the Goryeo Dynasty to Dae Yang Park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book contains Korean poetry on sea. It was examined how the thoughts of the nobility of the Joseon Dynasty who crossed the sea to visit Japan were expressed differently with time. 본고는, 한국 한시에 나타난 ‘바다’에 대한 소재와 주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고에서, 바다를 소재와 주제로 한 한시에서 시대별 특징이 반드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 아니라, 그 흐름의 대강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한시 중 ‘바다’를 배경으로 한 최치원·이규보·조식·윤선도·김정희·최익현 등의 시인들의 한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海行摠載』에 나타난 ‘바다’ 배경의 시에 관해서도 아울러 살펴보았는데, 조선 초기의 바다를 배경으로 한 한시 자료가 거의 없는 관계로 『海行摠載』에 수록된 ‘바다’ 배경의 한시를 주요 텍스트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최치원·이규보·조식·윤선도·김정희·최익현 등은 신라 말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儒者로 지칭되는 인물들이다. 참된 儒者의 문학에서는, 끊임없이 세상을 바로잡고자 하는 적극적인 현실관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불의와 타협하지 않은 자세로 나타나기도 하고, 修己治人의 학문적 과정을 중시하는 것으로도 나타난다. 따라서 참된 유자의 문학에서는, 자연을 노래하는 경우에도 현실을 망각한 채 단순히 賞自然의 단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현실을 염려하는 자세를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본고에서, 이 儒者들의 바다시에서 각각 儒者로서의 면모를 어떻게 드러냈는가를 고구해 보았다. 한편 『해행총재』는,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 나라 對日 외교 사신들의 생생한 기록집으로, 고려시대 정몽주부터 구한말 박대양에 이르기까지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온 과정을 기록한 일기 형식의 글이다. 그 기록집 중 일부에 바다와 관련된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 한시에서는, 바다 건너 일본에 대한 조선 사대부들의 생각은 시대에 따라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함께 고찰하였다.

      • KCI등재

        金履喬 著 『辛未通信日錄』의 사행록으로서의 성격

        구지현 한국한문고전학회 2023 漢文古典硏究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Sinmitongsinilrok(辛未通 信日錄)』 written by Kim Igyo(金履喬) as Travel Journals by the T’ongsinsa. Kim Igyo as a first-class envoy to Japan has been to Tsushima in 1811. His book covers official records related to travel, from the preparation stage of travel to the report of return in the face of the change of the Translocation Envoy. Therefore, his book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as historical records like 『Tongshinsadeungrok(通信使謄錄)』. However, if you look at the writing method of the book, you can see that it is in the same direction as other Travel Journals by the T’ongsinsa. In addition, similarities were found to the form of the book written at the time of the initial dispatch of envoys. And even if it is not in the form of a diary, individual experiences are mixed with public records, so the attitude of description is similar to that of other envoy's books. In summary, it can be said that 『Sinmitongsinilrok』 shows a form of speculative records that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y of envoy to Japan. 본 연구는 김이교(金履喬, 1764-1832)의 『신미통신일록(辛未通信日錄)』의 사행록으로서 지닌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이교는 1811년 일본에 파견된 통신사의 정사로 쓰시마에 다녀온 인물이다. 그의 저술 『신미통신일록』은역지통신이라는 변화를 맞이하여, 사행의 준비단계부터 복명까지 사행에 관련된 공식적인 기록을 망라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사등록(通信使謄錄)』과 같은 역사적 사료로서의 가치에 더 중점이 두어졌다. 그러나 『신미통신일록』의 글쓰기 방식을 살펴보면 사행에 관한 공적인 참고 자료의 집합체를 지향하는 『해행총재』 수록 사행록과 지향하는 바가 같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초기 회답겸쇄환사 파견 당시 작성되었던 사행록의 형태와 유사한 점도 발견되었다. 아울러 일기의 형식이 아니더라도 김이교 개인의 경험이 공적 문건을 작성하는 가운데 녹아 들어있어, 사신의 여타 사행록 서술 태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통신사 사행록은 다양한 체재와 형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신미통신일록』은 기본적인 기록 지향이나 기록 태도는 변함이 없으나 사행 방식의 변화에 따라 기존 체재를 선택하여 변화하는 사행록의 한 형태를 보여 준다고 할 수있다. 사행록이 『해행총재』로 집대성된 이후 다양해진 사행록이 한층 더 범위가 넓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통신사(通信使)의 일본에서의 연행(演行)

        강혜선(Kang, Hye-Su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조선 통신사행(通信使行)은 조선과 일본의 선린(善隣)관계를 위한 정치외교의 길이자, 양국의 경제와 문화가 교류되는 장이었다. 17, 18세기에는 동아시아의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그 결과 조선의 문화예술 관련 기록이 풍성하게 나타났다. 통신사는 기예인으로, 마상재(馬上才), 악공(樂工)을 위시하여 군관(軍官), 취수(吹手), 기수(旗手)소동(小童)등을 대동하였는데, 서울-부산-쓰시마(對馬島)-오사카(大坂)-교토(京都)-에도(江戶)로 이어지는 여정에서 공식, 비공식의 크고 작은 연행을 하였다. 악가무(樂歌舞)경우, 음악감독인 전악(典樂)2명과 실제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악공들, 취고수(吹鼓手), 세악수(細樂手), 풍악수(風樂手)등 50-60여 명에 달하는 이들이 각종 연향과 행진의 음악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삼사(三使)에 배속되어 각종 수요에 응하였다. 노래[歌, 歌唱]를 담당한 기예인은 따로 없었고, 군관 또는 자제군관(子弟軍官)중 노래에 능한 자가 맡았다. 또, 삼사의 시동인 소동이 가무를 맡았는데, 소동 춤은 궁중 여기(女妓)와 비슷한 복식으로 무동정재(舞童呈才)와 유사한 연행을 하였다. 통신사는 궁중음악인 아악(雅樂)의 악기 일부도 가져간 것으로 보아 아악도 연주하였던 것 같다. 가무관련 기록 중 마상재인(馬上才人)이 기생을 대신해 검무(劍舞)를 공연한 점이 특히 주목된다. 일본에서는 통신사를 위한 비공식적 연행이 수시로 열린 바, 삼사의 배에서 선상 음악회가 열리는가 하면, 육로의 숙소에서 비파나 피리 등의 독주나 노래를 곁들인 작은 공연이 수시로 열렸다. 타국에서 맞는 명절에는 잔치와 함께 공연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요청으로 대마도주(對馬島主)의 강호저택에서 대규모로 가무가 연행되었다. 마상재와 활쏘기[射藝]는 가장 대표적인 공식 공연으로, 조선 군대의 위용과 군사문화를 과시하였다. 마상재인으로 최고의 실력을 지닌 마병(馬兵)2인을 선발하고, 활쏘기는 군관이 담당하되 육량전(六兩箭)을 잘 쏘는 장사군관(壯士軍官)을 따로 선발하였다. 안동, 영천 등에서 연습과 준비를 명분으로 시연하곤 했는데, 통신사를 위한 유흥과 오락의 성격을 띠면서 동시에 지방 관민(官民)을 위한 특별 공연의 성격을 띠었다. 일본에서의 마상재, 활쏘기는 공식화, 관례화 되어, 대마도주의 대마도저택, 관백의 궁궐, 대마도주의 강호저택에서 각기 이루어졌다. 관백의 마상재 관람은 ‘곡마상람(曲馬上覽)’으로 명명되었으며, 그날의 성적과 관객 반응은 통신사 복명(復命)시 임금이 직접 탐문할 정도로 중시되었다. 대마도주의 강호저택에서 열린 공연은 일본이 통신사에게 제공한 화려하고 성대한 연향에 대한 화답의 성격을 지녔다. 광대놀음[倡優戱]과 잡기(雜技)경우 기록이 매우 소략하여 구체적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지만, 가장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 명단에 재담, 연기, 잡기를 담당한 자들이 따로 보이지 않지만, 배우 또는 광대, 잡기 기예인, 무당, 해학이나 만담[謔浪戱笑]에 능한 자 등이 다수 동행하였다. 이들은 격군(格軍), 사령(使令), 사노(使奴)등의 신분으로 동원되었다. 또한 풍악수(風樂手)가 삼현육각(三絃六角)을 연주하면서 창우희(倡優戱)나 광대담(廣大談)을 하기도 하였다. 잡기의 한 종목으로 줄타기가 있었다. 통신사의 공적인 의례(儀禮)도 일종의 연행으로 볼 수 있는 바, 대마도 입성 행차와 상견례(相見禮), 하선연(下船宴), 강호의 전명의례(傳命儀禮)는 대단한 볼거리였다. 각종 의장(儀仗)을 갖추고 풍악(風樂)을 울리며 각자의 신분과 임무에 부합하는 복장을 하고 행차(行次)하는 광경은 연도에 수많은 구경꾼들을 운집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행총재(海行摠載) 를 통해 보면, 통신사는 의례, 궁중음악(아악), 사대부의 시문과 서화, 실내악, 마상재와 활쏘기, 삼현육각의 민속음악, 소동 춤, 민간의 광대놀음과 잡기 등 조선의 다양한 공연문화를 일본에 소개하였다. 그런데 기행문을 남긴 조선의 문인들은 각종 공연을 긍정적으로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상층 문화로 자신들이 직접 참여한 시문, 서화 등의 활약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기술하였다. 그 결과 연주곡, 노래의 가사, 광대놀음이나 잡기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 기록되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 KCI등재

        日本地名의 表記에 대하여― 『海行摠載』收錄 4개 記錄의 경우―

        김은숙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2 No.1

        本稿は『海行摠載』の『日本行録』『海東諸國記』『扶桑錄』『海槎日記』を対象に、韓国語の漢字音を利用し、音訳した日本の地名を中心に、朝鮮時代の漢文の文献のなかで日本語の濁音や'チとツ'の表記が15世紀から17,8世紀にどのような変化があったのか、また音読ではなく、訓読による音訳について調べたものである。濁音'ガ/ギ/グ/ゴ'の表記のため、喉內鼻音の終声'ㅇ'の漢字를用いており、15,17,18世紀全部同じ方法で表記していた。濁音の'ザ/ジ/ゼ'を表記するため、舌內鼻音の終声'ㄴ'の漢字を用いており、『海槎日記』では、'ザ/ジ'の表記のため、濁音節の舌內鼻音の終声'ㄴ'の漢字を使わず、'自/之지'と表記しているのが特徴である。『日本行録』の'ビゼン: 肥全 비젼'のよう語頭の濁音'ビ'がすでに鼻音的要素を持っているので、濁音節の'ゼン'の前に舌內鼻音の漢字でない'肥비'を使っている例もあった。濁音の'ダ/ヅ/ド'の表記のため'舌內鼻音の終声'ㄴ'の漢字를用いており、韓国語の漢字音で表記することができない漢字の場合は、終声'ㄴ'を表記するため、前後の音節とは関係ない漢字の'隱은/溫온'を利用し記録していた。『扶桑錄』や『海槎日記』には'バ'行の例は見られないが、『日本行録』には、濁音節の前に終声'ㅇ'の漢字'胸'を用いており、韓国語の漢字音で表記できない漢字の場合は、終声'ㅁ'を表記するため、漢字'音음'を用いて記録している。『日本行録』や『海東諸國記』には訓読による地名の表記が見られる。タ行子音のうち、『日本行録』、『海東諸国記』には'チ'を'池知地디'、'ツ'を'豆頭두'と表記されているが、『扶桑錄』には'チ'を'至之志지'、'ツ'を'注주/住쥬/卽즉'と、『海槎日記』には'チ'を'只之지'、'ツ'だけを韓国語の'즈'と表記されている。これは韓国語の口蓋音化と関連づけると日本語の破擦音化と韓國語の口蓋音化の年代を明確にするのに必要な資料と言えるだろう。この研究で『海行摠載』に収録されている文献が日本語の研究資料として価値がある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これからの研究では、今回研究の対象の文献以外の文献で地名やその他の語彙を調べ、日本語の表記の変化について研究したい。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통신사선의 항해기록과 항해술

        문경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8 해양문화재 Vol.11 No.-

        The sailing routes, navigational technologies and the risks during sailing were looked into in this paper based on 20 volumes of the navigational records of envoy of Joseon Dynansty for 1607-1811 recorded in 『Haehang-chongjae(海行摠載)』. The navigational records of envoy of Joseon Dynasty became important data for preparing against the travelling of envoys despatched and endangering. The royal court produced the envoy’s ship by instructing to the military administration once the dispatching of envoy was decided. The fleet of the delegation group was constituted of 6 ships, and its majesty was shown by the brilliant decoration on the ship. Out of 6 ships, 3 ships were Kisun (Cruiser) and 3 ships were Boksun (Cargo carrier) Travelling of envoys of Joseon Dynasty to Japan was a long road of 4,745 Ri(1,863㎞) along the sea route and inland route. In this route, the cruising of the envoy’s ship was 3,370 Ri(1,323㎞) to Osaka. The envoys boarded on the steel made boat provided by Japan at Osaka, and reached to Edo via inland route after landing. At that time, the most dangerous point was a spot called as Soojong in between Busan and Tsushima Island. The ships were destroyed or shaken severly when they reached at Soojong. It was too early to feel comfortable on the second part of the route from Tsushima Island to Osaka as winding routes were positioned at everywhere. Therefore, Japan launched the tugboat and guided the envoy’s ship to the seaport after the envoys arrived at Tsushima Island. The ships in line front and back communicated with the cannon and firing arrow during the navigation in night time. There were cases of sailing in the night by lighting the lamp.

      • KCI등재

        통신사 사행원들의 일본에 대한 인식 -『海行摠載』에 실린 사행록들의 부정적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이재훈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2 일본사상 Vol.0 No.22

        So far, when we explain about Tongsinsa, the negative image which is based on Imjin-war has been attended. This manuscript gives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time about 150 years between 1st Tongsinsa and 11th Tongsinsa, and also contemplated about the alteration of recognition about Japan through several pieces of from the Hehengchongjae. As a result, the description about Imjin-war shows a steady falling tendency as increasing the order. Moreover, the expressions that seemed to come from Imjin-war such as ‘Enemy Japanese’ or ‘Brutal and Pugnacious Japanese' did not show up that much compared to other negative expressions from different scenes, for example, when they had problem with the people of Tsushima and when they went against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Furthermore, the expressions which was considered as they result from Imjin-war, the character differs from the earlier ones. As we can confirm from the the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appearance and time of the word "Enemy" means that the negative recognition about Japanese which was formed by Imjin-war has considerably decreased from the early Tongsinsa. Because of such reasons, I came to the view that the discription of the culture of entertainment and the positive expression about Japanese has appeared in the records of Tongsinsa. 今まで通信使について説明する場合、文禄・慶長の役に起因する否定的なイメージが強かったようである。本稿では1次回と11次回には150余年の時間が存在することに着目し、『海行摠載』の中の一部の使行録のみを対象にし、日本に対する認識の変化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その結果、文禄・慶長の役に関する記述は次数が増えるにつれ減りつつあり、文禄・慶長の役に起因したとされる表現(かたきの日本人像・残酷で好戦的な日本人像)は、他の場合に現れる否定的な表現(対馬人とのトラブルの場合・性理学の理念に反する場合)に比べると、数的にも次数的にも少なかった。それだけではなく、文禄・慶長の役に起因したとされる表現の中で、前期のものと後期のものとはその性格を異にしていたのである。これは当時、朝鮮王朝実録に記された「かたき」の場合と同じく、文禄・慶長の役に起因した日本に対する否定的なイメージがだいぶ衰えていたとも言えよう。その結果、全部とは言えないものの、所々で日本への肯定的な表現も見られているし、使行の中での遊びの文化とも言えるものが読み取れるようになったと思うの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