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붓다론

        김형효(Hyong-hyo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09 불교와 사회 Vol.1 No.-

        이 글은 붓다를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에세이다. 물론 이 글이 의존하고 있는 철학적 사조는 존재론이고 해체주의적 경향을 말한다. 여기서 말한 존재론은 소유론에 대비한 존재론이고, 해체주의는 진리를 발견하고 구성하기 위한 기존의 철학 방법론적 사고방식에 대하여 완전히 전도된 입장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붓다론은 철학적 가치론을 옹호하기 위함이 아니다. 철학적으로 가치론은 늘 어떤 가치를 옹호하고 주장하기 위한 소유론의 일종이라고 읽어도 무방하겠다. 정신적 가치를 결정하여 그것을 옹립하고 옹호하는 것은 그 가치를 소유하려는 정신적 태도를 말한다. 우리가 도덕적 가치를 옹호하는 것은 그 가치의 소유를 의미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모든 가치론과 그 도덕론은 다 정신적 소유론의 입장과 유사하다. 그런 점에서 붓다는 인간에게 어떤 정신의 가치를 소유하라고 역설하는 그런 가치론을 주장하지 않았다고 불 수 있다. 그러므로 붓다의 교설은 어떤 가치로서 이 세상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그런 의미를 역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붓다의 사상은 세상을 새로운 가치의 발견으로 새 세상을 만들어야 하다는 당위의 설법이 아니고, 도덕윤리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거듭 주장하는 당연의 원칙을 설파하는 것도 아니다. 붓다의 주장은 세상을 도덕적으로 개조하자는 주장도 아니고, 타기해야 할 허위의식을 버려야 한다는 준칙을 세상에 반포하는 것도 아니다. 이런 모든 주장은 다 소유의식의 잔재에 해당한다. 붓다의 교설은 철두철미 존재론적 사고방식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론은 반(反)소유론적 마음의 태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재래의 가치철학은 이 가치의 소유에서 저 가치의 소유에로 소유개념의 이전을 의미하는 것에 불과하다 하겠다. 철학적 도덕론은 가치소유의 한 관점을 역설하는 소유론에 불과하다. 그런 소유론은 철학적 진리론의 한 장르로서의 구성주의의 세계관과 다르지 않다. 붓다의 가르침은 철두철미하게 존재론의 차원에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재래의 존재자적 형이상학의 차원으로 읽혀져서는 곤란하다. 존재자적 형이상학은 모든 존재를 명사적 존재자로 해석하여 동사적 행위와 같은 존재를 명사적이고 실체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로 여기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는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와 존재자를 엄밀히 구분하는 의미로 읽혀져야 한다. 존재는 존재자와 달리 의미의 가치 고유소를 지니고 있지 않다. 존재는 무(無)와 마찬가지로 자기 의미를 전혀 갖고 있지 않으나, 무(無)와의 직관적인 차이를 노정하는 기호일 뿐이다. 즉 기호는 자기 의미를 갖는 개념적 의미와 달라 단지 다른 기호와의 차이를 띨 뿐이다. 무(無)가 없으면, 존재는 이해되지 않는다. 존재가 없다면, 무(無)도 직관되지 않는다. 존재와 무(無)는 생멸의 행위와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존재는 무(無)와 같은 차원에서 순간적 행위라고 읽을 수밖에 없다. 존재는 실체로서 명사적 개념으로 잡히는 존재자와 달리 존재하려는 욕망의 순간적 표현과 같다. 붓다는 이 우주를 존재론적으로 관찰하였고, 그 우주의 존재론은 존재하려는 삼라만상의 욕망과 같다고 읽었다. 즉 삼라만상은 생멸하고, 그 생멸은 곧 공(空)으로부터 치솟는 공의 파도와 같다. 존재는 욕망의 치솟는 행위에 불과하다. 한국불교는 욕망을 너무 소유론적으로 읽는다. 이것은 시정되어야 한다. 삼라만상은 존재하려는 욕망을 선천적으로 띤다. 이것이 자연의 법이다. 욕망은 존재와 소유의 경계에 처해 있다. 붓다의 가르침은 욕망을 지능적 소유로 해석하려는 인간의 오랜 습관을 버리고, 본능적 자연의 존재방식으로 치환할 것을 요구하는 사상이다. This is a philosophical essay for understanding Buddha. The philosophical thought on which it is depending is deconstructive and ontological. Ontology talked here is contrary to possessionism (that is to say having), and deconstructionism signifies the attitude perfectly different and inversive from all kinds of philosophical mentality tenaciously conserved through its history. Philosophically my essay is not to defend any value whatever it is. As a matter of fact, the theory of value would be interpreted as a kind of having consciousness, because that theory is made for defending having and justifying it. For to stand for a certain spiritual position is to help occupying a place favorable for having the spiritual value. The case being so, all kinds of value and its morality represent the attitude to maintain positively their having in the deep bottom of the unconscious. So we can affirm that Buddha has not proclaimed to human being to have a certain value. At the same time, we can say he has not taught us to try to construct our world on our new ideas. Buddha's main teachings do not consist in the fact that we should remake the world by our new brilliant ideas. His affirming ideas neither consist in reconstructing the world on moral ideology, nor in abandoning false consciousness. All these correspond to some residues of having-consciousness. Buddha's mention corresponds essentially to the way of ontological thinking. This means an anti-having's mental attitude. Therefore traditional theory of value points out no more than a simple space-moving from having this side of value to having that side of value. We should like to say Buddha's teaching must be understood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This means that if we try to interpret metaphysically and ontologically his mention, we would not be able to attain him correctly. Ontological metaphysics consists in misunderstanding Being(Sein) as entities(Seiendes) in the Heidegger's sense of meaning. Ontological or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different from ontological thinking is like to think Being as something substantive or individualistic. Our affirmation should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Heidegger's philosophy. Being different from entities does never have any property of significance. Being as well as nothingness does not in the least have any meaning come from itself. But Being does show itself intuitively to be different from nothingness. Conceptually Being is not different from nothingness, because Being is conceptually at the same dimension as nothingness; they don't have any meaning. They are no more than the signs in semiotics. Sign does not have its own proper meaning on the contrary to the concept, but shows up difference only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signs. Without nothingness, Being cannot be understood. Likewise nothingness is not able to be intuitive without Being. Being and nothingness are not different from the acts coming out of life and death. Being as well as nothingness cannot be read otherwise than instantaneous acts. Being, apart from the substantive entities taken as concept, is like instantaneous expressions through which Being is desiring to show itself up into existence. Buddha has observed this cosmos ontologically, and his ontology has read Being like an immense filet de désirs which are eager to exist.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live and die; such living and dying are like waves existing from sunyata. Being is no more than act of desire existing from sunyata. Korean Buddhism is in general reading too much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This point of view should be revised.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show up apriori the desire eager to exist. It is the law of the universe. Desire exists between Being and having. The teaching of Buddha lets us abandon traditionally old-fashioned and accustomed way of thinking which has wanted to see and confine desire under the chain of having.

      • KCI등재

        소유의 존재론

        이성환(Lee, Sung-Hwan)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2 No.2

        근대가 형성될 때 소유는 정치-사회적 상황에서 결정적 의미를 갖는다. 소유는 자유가 드러나는 구체적 내용이다. 로크가, 명예혁명을 이론적으로 정당화는 하는 작업으로 쓴 통치론 은 그런 의미에서 중요하다. 왜냐하면 국가가 성립하는 근거를 자유와 소유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의 모든 자유주의 국가의 정당성은 대체로 통치론 에 빚지고 있다. 국가(사회) 유기체론도 통치론 의 반면(反面)이라 할 수 있다. 정치-사회 이론은 소유를 재산 혹은 재산권으로 다룬다. 그 이론은 소유의 침해를 자유의 침해라는 근거 위에서 설명한다. 여기에 소유에 관한 논쟁점이 있다. 자유에 관한 두 입장의 갈래도 그래서 생긴다. 우리는 소유에 관한 논의를 근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소유의 ‘존재’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나는 이 논문의 주제를 소유의 존재론적 토대를 살펴보는 것으로 잡았다. 사르트르의 ‘소유론’은 소유의 존재론적 토대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한 디딤돌이다. 사르트르는 삶을 존재욕구로 보고,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활동을 행위로, 존재 충족의 매개를 소유라 생각한다. 말하자면 그는 행위와 소유의 내적인 끈을 삶의 근간으로 본다. 사람의 존재는 행위로 드러나고, 삶의 존재를 채우는 소유를 통해 구체화되고, 성취된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이 내적인 끈의 사실성 위에 발 딛고 있다. 소유는 사람의 존재와 내밀한 관계에서 성립한다. 나는, 이를 살펴보는 것이 소유를 재산 혹은 재산권으로만 다루는 논쟁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Possession has a critical meaning in a social-political circumstance. It was especially true when the modern states were formed. Possession is an embodied freedom. J. Locke wrote The Second Treaties of Government in order to justify the Glorious Revolution. The book has a huge significance because he set the basis of states on freedom and possession in the book. All the free nations hereafter owe their legitimity to the book of Locke’s.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organism is the other side of Locke’s theory of states. The social-political theories identify possession as property or the right of ownership. The theories consider infringement of ownership as a breach of freedom. Here is a point of dispute on possession, from which two different ideas on freedom come. We need to go to the ontology of poss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 disputes. This paper will manifest the ontological basis of possession. Sartre’s concept of possession is an important scaffolding for the ontological basis of possession. Sartre takes the view that life is desires for being, action is activities to satisfy the desires, and possession is a medium that fulfills being. In other words, he regards the internal bond between action and possession as the base of our lives. Human being is expressed through action, and accomplished by possession filling human lives. Relations among human beings are on facticity of the internal bond. Possession is given through the inner relations with human beings. Scrutinizing the internal bond will give a new perspective to the idea that sees possession in terms of only property or the right of ownership.

      • KCI등재후보

        한국 도덕윤리의 기초정립을 향하여

        김형효(Kim, Hyong Hy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5

        도덕적 선은 엄숙한 당위의 명령이라기보다 오히려 인간의 본성이나 본능이 갈구하는 것으로 보야야만 선의 자발적 실현이 수월해진다. 본고는 그런 각도에서 선의 자발성의 가능한 길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인간의 능력은 지성과 지능에 바탕한 학습적 길과 선천적 자연적 본성과 본능에 기초한 능력의 두 가지로 나뉜다. 이것을 노자는 무위적 길이라고 불렀다. 더구나 하이데거가 서양 철학에서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를 강조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철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그것은 서양 철학이 철학사적으로 존재자적인 소유론의 범위를 벗어나서 존재론의 차원으로 진행하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동안 서양 철학사에서 등장한 모든 인식론과 도덕론이 소유론적 차원의 말임을 뜻한다. 그리고 역사의 진보라는 개념도 소유론적 차원의 말임을 뜻한다. 이것을 니이체(F.W. Nietzsche)의 개념에 따라 옮기면 모든 것이 역사에서 권력 의지로 평가된다. 그리고 데카르트(R. Descartes)의 사유도 결국 인식론적 소유의지의 천명에 다름 아니다. 이런 의지는 다른 말로 바꾸면 라캉(J. Lacan)이 말한 남근 중심주의의 재천명과 같다. 남근 중심주의 재천명은 서양에서 기독교적 신학의 부계 중심주의와 동양에서 유교의 부계 중심사상과 함께 맥을 통하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세계사에서 존재론적 사유를 처음으로 제창한 이는 노자(老子)이고 부계 중심주의에 항거한 최초의 철학자가 노자다. 노자는 수컷을 멀리하고 암컷을 철학적으로 찬양한 철학자다. 그에게 수컷은 영토적 종자적 소유의식의 화신과 같고, 암컷은 자궁적 공동 존재의 의미를 부여해 주는 공동 존재의식을 상징한다. 이런 공동 존재의식을 노자는 화광동진(和光同塵)이라고 불렀다. 이 암컷의 존재론의 차원에서 본다면, 니이체가 말한 소유론적 권력 의지도 힘의 의지로 변한다. 암컷의 존재론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sm)적인 사유의 본질과 서로 만난다. 암컷의 존재론은 수컷의 주장과 같은 도덕적 원리주의를 선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의와 같은 허구적 신화를 찾지도 않는다. 그리고 도덕적 선의 세계도 실천이성의 판단과 의지가 관여하는 곳이 아니고, 자연적 본성이 사랑하는 일일 뿐이다. 선은 자연적 본성의 경향이 지향하는 것으로서 자연 속에 존재하는 경향이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이익이다. 이익에로 향하고자 하는 마음이 곧 선이다. 그런데 그 이익은 데리다가 갈파한 바와 같이 일종의 이중적인 파르마콘이다. 이익의 약의 측면은 자리이타적(自利利他的)인 경향이고, 이익의 독은 이기배타적(利己排他的)인 성향이다. 이 이중성은 노자가 갈파한 현(玄)의 의미와 만난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은 이익처리의 방편론이 되어야 한다. 자리이타적 이익은 힘의 의지요, 신바람이 나는 에너지의 발양기운이요, 존재론적으로 아낌없이 주는 자연의 보시(布施)와 같다. 그에 반하여 이기배타적 이익은 권력 의지요, 소유론적 지배의지의 다른 이름이다. 선(善)행위는 자기의 기호를 성찰하고 그 기호에 따라 삶을 사는 것이다. 그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것이 도덕교육이다. 그것은 명분론에 얽매인 유교적 당위성이 아니다. Moral good is what comes out from human nature or instinct rather than what is ordered solemnly from moral obligation. This is an easy destination to moral goal. My article is a philosophical research to make us spontaneously act good. Human ability is divided in two ways; a way of learning aposteriori based upon intelligence, and another way comprehended apriori and based on human nature or instinct. The second way is called intransitive action by Lao-tse. Moreover, what Heidegger said o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entities(being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philosophy. It means that western philosophy is passing historically toward ontological realm over the possessive point of view. But, all the Kinds of epistemology and moral philosophy which appeared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re no more than of possessive dimension. And the concept of historical progress is no more than a possessive truth. Being transferred, according to Nietzsche’s terminology, is everything in history and is interpreted as will to power. The Cartesian way of thinking is also evaluated as an epistemological will to have. This will is no more than a reaffirmation of phallocentrism, in other words already mentioned by Lacan, a French Psychoanalyst. Historically tms phallocentrism is represented to have the same root as the Confucian Father’s authority and Christian God-father’s belief system. The case being so, it is Lao_tse who declared first the ontological thinking in the world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who stood up first against that Phallocentrism. Lao-tse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praised the female over the male. As for him the male stands for the incarnation of territorial and seedy possession, while the female is symbolized to bestow the meaning of Being-together formed in the common womb. Lao-tse points this community-consciousness as the mind in which man is both friendly to light and cohabitating with dust. Seen in the ontological world of the female, the Nietzschean will to power viewed from the possessive dimension shoud be changed into the ontological one. The female ontology is getting closer to the essence of the post-modern way of thinking. Female ontology does not choose the moral fundamentalism proposed by the male. It doesn’t look for fictitious myths such as justice. And moral good is no more suitable for the will ana judgment of practical reason, but and it is only the real effect human nature loves spontaneously. Good aims naturally at the lovable, it is the action present and vivid of our natural tendancy. It is a tendency which exists within real nature. It is benefit. The mind which is searching for benefit is, in a word, good. But benefit is double sided as a Derridean pharmakon. The good aspect of benefit is of altruistic tendancy, whereas its bad aspect is egoistic. This double aspect meets at the same point as the ambiguity(玄) which Lao-tse mentioned several times in his Tao-te-ching. Benefit in the sense of altruism is the Nietzschean will to power in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at word, a kind of elan vital in the Bergsonian sense of that word, can be interpreted as charity, as gift of nature shared without stinginess. On the contrary, egoistic benefit is just eager to possess, and is another name of the will to dominate. Good behavior consists in meditating one’s self-taste and in living one’s life according to ms taste. Moral education is helping to live one’s life according to his natural tendancy. It is never obligatory. And it is never Confucian.

      • 한·중 소유문과 존재문의 대조 분석

        왕파 ( Wang Bo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존재문과 소유문의 통사·의미적인 차이를 밝히기 위해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소유문과 존재문을 대조, 분석하였다. 존재와 소유의 차이는 주로 의미 차원의 문제이나 용언의 논항구조, 구문의 통사구조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존재문과 소유문의 차이를 NP1에 붙는 조사, NP1의 속성, NP2의 속성, NP1과 NP2의 선후 위치 등 네 가지 변수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있다’의 의미와 논항구조가 존재문과 소유문에 어떻게 투사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변수가 반영된 10가지 존재문의 통사구조와 9가지 소유문의 통사구조를 나열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런 작업을 통해서 한국어 존재문과 소유문의 통사·의미적인 차이와 각자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This paper is a contrastive analysis of existential sentences and possessive sent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syntactic differences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existential sentences and possessive sentences. The differences between existence and possession are mainly semantic questions. But the argument structures of verbs and the syntactic structures of constructions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it. So this paper used the postposition of NP1, the property of NP1, the property of NP2, the order of NP1 and NP2 to analysis the differences between existential sentences and possessive sentences. And investigated the projection of 'iisda''s argument structures to existential sentences and possessive sentences. Then fond out 10 types of existential sentence and 9 types of possessive sentence and analysed the features of them with the variables. Finally found out syntactic differences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existential sentences and possessive sentences and the features of them through these works.

      •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있다’의 근본의미

        구연상 ( Gu Yeon-sa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6 No.-

        우리는 “존재”라는 번역어가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근본 물음인 ‘있는 것으로서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뿐 아니라 하이데거의 근본 물음인 ‘있음의 의미(뜻하는 바)는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마름질하는 데 알맞지 않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에 대한 증거로 크게 세 가지 사례가 제시 되었다. 첫째, 만일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신 존재 증명’과 ‘신의 본질 해명’을 서술하기 위해 “존재”라는 번역어를 쓴다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있음의 사실’로부터 ‘가짐의 상태’를 거쳐 결국 ‘있는 실체’로 잘못 넘어가기 쉽다. 둘째, 토마스의 존재론적 차이는 ‘있는 것’이 있음을 ‘나누는 갖는 것’이라는 사실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존재”라는 낱말은 그 자체로 이러한 ‘나누어 가짐’을 나타낼 수 없고, “하다”라는 동사의 도움을 빌려야만 분사가 될 수 있다. 셋째,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은 ‘있는 것의 있음’과 ‘있음의 있는 것’ 사이의 공속적 관계를 올바로 파악하는 게 중요한데, “존재”라는 낱말은 이러한 관계를 담아내는 데 많은 장애 요소가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가 제시한 “sein”의 여러 보기 문장들을 우리말로 바꾸어 봄으로써 “존재”라는 번역어 대신 “있다”라는 우리말이 그 뜻과 쓰임새에서 보다 옳고 바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확신에 기초하여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 낱말인 “Sein”에 대한 우리말 번역어로 “있음”을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있다”라는 낱말의 근본 의미를 확정하기 위해 그 낱말의 어원적 의미들(가짐, 머묾, 차지함, 나타남)을 살폈고, 그 가운데 ‘나타남’이 다른 의미들에 비해 ‘가장 앞서고’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과감하게 확정했다. 우리는 이러한 확정의 올바름을 보이기 위해 “나무는 있다.”라는 글월을 분석했고, 그로써 “있다”의 근본 의미는 ‘나타남-이어나가기’임을 밝혀냈다. In this article, I pointed out the current translated word, ‘존재(Being)’ has a limit to clarify “What does ‘being’ mean as it is?”, which i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estern conventional metaphysics, as well as “What is the meaning of ‘Being’?”, the basic question of Martin Heidegger. I explained this by giving three specific examples. Firstly, using the word ‘존재 (Being)’ can be dangerous because it has a possibility for us to misinterpret ‘there is something’ as ‘something possesses something’ and as ‘something substantial exists’, when we use the term ‘존재(Being)’ to demonstrate the ‘ontological argument’ and the ‘existence of God’.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of Thomas Aquinas, it is considering ‘there is something’ as ‘sharing a state of being’ that makes the differences. The term ‘존재(Being)’ itself, however, is insufficient to express such a meaning in detail so it has to be changed into a participle form by the verb ‘하다(do)’. Thirdly, when it comes to Heidegger’s question of ‘Being’,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ommon properties between “Being of entity(Sein des Seienden)” and “Entity of Being(Seiendes des Seins)”. The term ‘존재(Being)’, however, has many limitations to be used for showing the relation clearly. For these reasons, then, I tried to illustrate that the term ‘존재(Be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urrent term ‘existence’ so as to convey the exact meaning of ‘Sein’, a keyword of Heidegger’s philosophy. To demonstrate this, I switched several sentences presented by Heidegger, in which ‘Sein’ was used, into Korean. Through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being(있다)’ should play a role as a substitute for ‘existence(존재)’, the term which is now being used as the translated word of ‘Sein’. Lastly, in order to ensure the basic meaning of ‘존재(Being)’, I explored some words such as having, remaining, occupying and appearing from the aspect of the etymological meanings. After that, I determined ‘appearing’ has the most initiative and ultimate feature of all. To verify the determination, I drew the fundamental meaning of ‘존재(Being)’ is ‘appearing and keeping connected’, from an example sentence, ‘A tree is.’

      • KCI등재

        인간과 디지털 존재의 관계

        박선희(Sun Hee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6 No.6

        인공지능 같은 디지털 존재가 일상에 스며드는 상황에서 기술공포와 기술숭배가 공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인공지능운영체계와의 사랑을 다룬 영화 〈그녀〉의 사례를 들어, 디지털 존재를 대상화하거나 경쟁상대로 보는 인간중심주의의 실체적 관점을 벗어나, 관계적 관점에서 인간과 디지털 존재의 존재양식에 대해 살펴보고, 관계의 물질성과 비소유성, 개체초월성의 차원에서 인간과 디지털 존재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인간-기계의 결합이 촉발시킨 포스트휴머니즘 논의와 기술적 대상의 생성·변환에 대해 사유하는 시몽동의 철학을 따라가면서 인간과 디지털 존재는 포스트휴먼으로서 유목적 주체성을 가지며, 인간ᐨ기계 앙상블로서 개체화된 관계적 실재임을 논의한다. 이러한 존재양식은 인간과 디지털 존재 의 관계를 규정하는바, 인간과 디지털 존재의 관계는 지각된 타자로서 커뮤니케이션하는 육화된 관계이고, 인간관계에 내재된 소유로서의 관계가 아닌 비배타적이고 비소유적인 관계이며, 양립불가능하고 불일치하는 긴장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생성과 변환을 겪는 개체초월적 관계임을 구명한다. 이러한 관계에 개입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편견을 짚어보고 인간과 디지털 존재가 공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Posthuma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calls for consideration of a relational ontology of human beings and digital beings. This paper reviews critical posthumanism and Simondon"s philosophy of technology in order to go beyond the anthropocentrism,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 an beings and digital beings in terms of materiality, non-possessiveness, and transindividuality of relations through the example of the movie 〈Her〉 which deals with love between human be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ng systems. Human beings and digital beings exist as posthuman nomadic subjects, relational existences, and human-machine ensembles. Human beings have an embodied relationship with digital beings as perceived others, make a non-exclusive and non-possessive relationship unlike a possessive human relationship, and transduce the relationships to resolve incompatible and inconsistent tensions with digital beings. The sociocultural prejudices to intervene i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possibilities for human beings and digital beings to co-evolve are discussed.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있다’의 근본의미

        구연상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6

        우리는 “존재”라는 번역어가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근본 물음인‘있는 것으로서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뿐 아니라 하이데거의 근본물음인 ‘있음의 의미(뜻하는 바)는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마름질하는 데알맞지 않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에 대한 증거로 크게 세 가지 사례가 제시되었다. 첫째, 만일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신 존재 증명’과 ‘신의 본질 해명’을 서술하기 위해 “존재”라는 번역어를 쓴다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있음의 사실’로부터 ‘가짐의 상태’를 거쳐 결국 ‘있는 실체’로 잘못 넘어가기 쉽다. 둘째, 토마스의 존재론적 차이는 ‘있는 것’이 있음을 ‘나누는 갖는것’이라는 사실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존재”라는 낱말은 그 자체로 이러한 ‘나누어 가짐’을 나타낼 수 없고, “하다”라는 동사의 도움을 빌려야만 분사가 될 수 있다. 셋째,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은 ‘있는 것의 있음’과 ‘있음의 있는 것’ 사이의 공속적 관계를 올바로 파악하는 게 중요한데, “존재”라는 낱말은 이러한 관계를 담아내는 데 많은 장애 요소가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가 제시한 “sein”의 여러 보기 문장들을 우리말로 바꾸어 봄으로써 “존재”라는 번역어 대신 “있다”라는 우리말이 그 뜻과 쓰임새에서 보다 옳고 바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확신에 기초하여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 낱말인 “Sein”에 대한 우리말 번역어로 “있음”을 선택하는 게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있다”라는 낱말의 근본의미를 확정하기 위해 그 낱말의 어원적 의미들(가짐, 머묾, 차지함, 나타남)을 살폈고, 그 가운데 ‘나타남’이 다른 의미들에 비해 ‘가장 앞서고’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과감하게 확정했다. 우리는 이러한 확정의 올바름을 보이기 위해 “나무는 있다.”라는 글월을 분석했고, 그로써 “있다”의 근본 의미는 ‘나타남-이어나가기’임을 밝혀냈다. In this article, I pointed out the current translated word, ‘존재(Being)’ has a limit to clarify “What does ‘being’ mean as it is?”, which i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estern conventional metaphysics, as well as “What is the meaning of ‘Being’?”, the basic question of Martin Heidegger. I explained this by giving three specific examples. Firstly, using the word ‘존재(Being)’ can be dangerous because it has a possibility for us to misinterpret ‘there is something’ as ‘something possesses something’ and as ‘something substantial exists’, when we use the term ‘존재(Being)’ to demonstrate the ‘ontological argument’ and the ‘existence of God’.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of Thomas Aquinas, it is considering ‘there is something’ as ‘sharing a state of being’ that makes the differences. The term ‘존재(Being)’ itself, however, is insufficient to express such a meaning in detail so it has to be changed into a participle form by the verb ‘하다(do)’. Thirdly, when it comes to Heidegger’s question of ‘Being’,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ommon properties between “Being of entity(Sein des Seienden)” and “Entity of Being(Seiendes des Seins)”. The term ‘존재(Being)’, however, has many limitations to be used for showing the relation clearly. For these reasons, then, I tried to illustrate that the term ‘존재(Be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urrent term ‘existence’ so as to convey the exact meaning of ‘Sein’, a keyword of Heidegger’s philosophy. To demonstrate this, I switched several sentences presented by Heidegger, in which ‘Sein’ was used, into Korean. Through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being(있다)’ should play a role as a substitute for ‘existence(존재)’, the term which is now being used as the translated word of ‘Sein’. Lastly, in order to ensure the basic meaning of ‘존재(Being)’, I explored some words such as having, remaining, occupying and appearing from the aspect of the etymological meanings. After that, I determined ‘appearing’ has the most initiative and ultimate feature of all. To verify the determination, I drew the fundamental meaning of ‘존재(Being)’ is ‘appearing and keeping connected’, from an example sentence, ‘A tree is.’

      • KCI등재

        어느 태권도 코치 삶의 소유와 존재

        박인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본 연구는 어느 태권도부 코치의 소유와 존재의 실존 양식을 살펴보고 삶의 지향점으로서 존재적 실존 양식의 형성 과정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의 현장 텍스트는 7차례에 걸쳐 진행된 면담자료이며, 면담자료는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분석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6개의 임시적 텍스트를 구성한 후 하나의 큰 이야기인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태권도 코치의 소유와 존재의 실존 양식은 돈, 태권도부, 그리고 선수를 대상으로 나타났다. 코치는 돈에 대해서 임금 체계의 안정을 원하는 소유적 실존 양식과 돈에 구속되지 않은 존재적 실존 양식을 보여주었다. 태권도부에 대해서는 태권도부 해단에 따른 명예의 손상을 두려워하는 소유적 실존 양식과 태권도를 아끼고 사랑하는 애착의 존재적 실존 양식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태권도 선수들에 대해서는 제자들의 사회적 지위 확보를 위하여 4년제 대학을 강조하는 소유적 실존 양식과 자신과 제자들에 대한 수준 높은 책임감의 존재적 실존 양식을 보여주었다. 존재적 실존 양식의 형성은 개인의 자신에 대한 만족 수준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성장 과정에서 높은 자존감 형성을 위한 칭찬, 격려, 공감,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 에리히 프롬 사상의 교육적 의미 -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

        김용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교육논총 Vol.36 No.2

        자아 상실은 현대인의 내적 공허감이나 쉴새없이 무엇인가를 소유해야만 하는 욕구 등에서 잘 나 타났다.아무 것도 시작할 수 없게 만드는 고통스러운 권태,내적인 무기력,자기 추진력의 상실과 그에 따른 의기소침 등이 그런 현상에 속한다.또 자기 자신과 홀로 대면하는 것을 몹시 꺼려하는 현대인의 두려움도 마찬가지로 존재 상실의 결과라 하겠다.어떤 형태로 표출되든지 간에 존재의 결핍은 창조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이 글의 목표는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 를 중심으로 소 유와 존재의 개념을 밝히고,‘소유적 실존 양식’과 ‘존재적 실존 양식’의 이해를 위해 두 실존양식 을 비교하여 프롬이 말하는 ‘실존적 욕구’가 왜 교육의 기준점이 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다.이 글은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 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이 글에서 이용한 텍스트는 차경화(2015)옮김, 소유냐 존재냐 임을 밝혀 둔다.

      • KCI등재

        삶의 태도변화 : 소유론에서 존재론으로

        박혜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3 생명연구 Vol.30 No.-

        오늘날 우리는 존재론적 위기에 처해 생명이 좌초되는 현상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사회적 경쟁구조가 충돌의 위험을 수반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굶어죽는 사람도 발생하고 자살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게 할 수는 없으므로 변화가 필요하다. 철학이 그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하는데 변화의 시도는 인간의 실존양식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들 대부분의 실존양식은 소유론적이다. 내가 보기에 소유론적 실존양식은 생명력 고갈과 관계되고 존재론적 실존양식은 생명력 고양과 관계된다. 더욱더 중요한 것은 우리의 실존양식이 미래세대의 존속문제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인간이 존재론적 실존양식으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를 노자와 「계사전」 그리고 『태일생수를 전거로 삼아 전개했다. 노자의 유무상생, 「계사전」의 음양의 법칙, 『태일생수』의 일결일영의 법칙은 우리가 존재법칙의 반쪽만 실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다. 소유론적 실존양식은 우리 스스로 관계적 맥락을 파괴하고 존재기반을 무너뜨리는 방식이다. 그것은 또 이 세계에서 ‘생성 변화의 물결’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생명위기를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다. 따라서 해법은 우리의 실존양식의 변화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In today’s world, the phenomenon of stranded life caused from ontological crisis is frequently observed. Our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brings about catastrophic results;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 who die from hunger and by suicide. This situation cannot be tolerated. Change is needed. Philosophy should play a foundational role in initiating such a change. The attempt of change must begin from humans’ modes of existence. What is taken by majority of people today is possessive mode of existence, which is correlated to depletion of life. On the other hand, ontological mode of existence is correlated to vitality of life. What is important to point out in this context is that our mode of existence is interrelated to existential problem of future generation. This implies that future continuation is dependent on our modes of existence. In this article, I am going to argue that we should move on to ontological mode of existence from possessive mode of existence. This argument will be supported by the water’s mode of existence in three classical pieces of Lao-tzu, ‘the Commentary on the Apprehended Phrases’ and ‘The Great One Gave Birth to Water’. Lao-tzu’s ‘being and non-being beget each other’,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of ‘the Commentary on the Appended Phrases’ and “‘the principles of filling and clearance’ of ‘The Great One Gave Birth to Water’” provoke us to realise that we are pursuing only half of the modes of existence. Possessive mode of existence is a trivial manner that ruins our relational context and existential foundations on our own. It is also the main cause of life crisis as it would not allow ‘wave of change generation’ to operate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