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魯迅思想的人類性特點與民族性特徵

        裵仁秀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7 No.-

        魯迅은 1936년 1월, 역사소설집인 ≪故事新編≫을 발표하였다. 이 소설집은 역대로 전해지는 神話와 傳說들을 빌어 오늘을 풍자하고 있는데 이러한 창작방식은 그가 보여준 기존의 틀을 완전히 부수고 새롭게 시도한 방식이라 하겠다. 그가 神話와 傳說을 소재로 택한 이유는 그 작품들 속에는 민족성의 특징뿐만 아니라 인류성의 특징을 잘 표현해주는 풍부한 人類文化母題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魯迅은 ≪故事新編≫을 통하여 인류전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문제들을 많이 다루었던 것이다. 魯迅 思想과 思惟의 뚜렷한 특징 중의 하나는 바로 인류 전체를 향한 넓고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위대한 시대의 선각자 魯迅 思想을 말할 때 일부는 정치적 시각으로 평가되어지고 있고 또 문화적으로는 반전통주의자라는 오해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본고는 이러한 시각에서 탈피하여 그가 인류 보편의 문제를 통하여 중국만이 아닌 인류전체를 아우르는 넓고 深度있는 思想과 思考를 가진 사람임을 확인하고, 민족의 전통사상을 부정하는 反傳統의 반역자가 아니라 民族固有의 血脈을 계승하고 추구하는 思想家임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西方文化를 섭취하고 참조하면서도 민족의 뿌리 깊은 전통을 승화시켜 시대의 선각자로서의 역할을 다한 그는 그의 ≪故事新編≫을 통하여 자신의 현실체험에다 인류문화와 민족문화를 융화시켜 바로故事를新編하는 창작 자세와 전통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미래를 열고자 했던 사상가의 모습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 내용이라 하겠다. To study ≪Gu Shi Xin Bian≫ from the anthropological and ethnological perspective, one must be aware that Lu Xun’s thinking has both an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 and an ethnical feature: the former proves that his thinking had a coverage of the whole human race, while the latter shows that he had his literary creativity deeply rooted in the Chinese culture. The combination of the two aspects in his thinking has found expression in the writing of ≪Gu Shi Xin Bian≫. This dissertation raises the motifs in ≪Gu Shi Xin Bian≫ that are embedded in human culture, and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collection and the motifs. It is stated in the dissertation that the anthropological and ethnological perspective makes possible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collection’s advanced anthropological and ethnological implications, so that we can make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u Shi Xin Bian≫ and the other two collections, and probe into the uniqueness of ≪Gu Shi Xin Bian≫ that remains unimitated and unparalleled in the 20th-century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루쉰(魯迅)식 새로운 허구적 글쓰기의 시작: 『고사신편(故事新編)』의 『보천(補天)』 창작배경을 중심으로

        김선영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2

        Through the novel 『BuTian』 which is list the first in the 『GuShiXinBian』,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Luxun’s new fictional writing method which is to accord the historicity in novel. For this, mainly considering his particular period when he write the novel named 『BuTian』, look into the Luxun’s critical view of ‘re-evaluation of National Treasury’ which vigorously carried out among the academics. By the re-depiction of mythology, ridding from the obsession of the ‘origin’, he showed the new literary method of handling the classics. It became the effective way to make made the classics not simply remained as the classic itself but to get the new practical meaning. In the other word, story spontaneously historicized, story got the procedure of transforming to new history itself. Through this, Luxunian fictional writing pose at the middle of fiction and history, performs an intermediate role; this method used not only at 『GuShiXinBia n』, also the most works after 1922. As a result, even though Luxun didn’t write his own autobiography, still the many other works are verifying the usage of fictional writing as means of consisting his autobiography substitutingly. 본문은 『고사신편(故事新編)』의 첫 번째 소설로 수록되어있는 『보천(補 天)』을 통하여 루쉰(魯迅)이 시도했던 역사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허구적 글쓰기 방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로 루쉰이 소설을 창작했을 때의특수한 시간적 배경을 고려, 특히 그가 당시 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던 ‘국고정리(國故整理)’에 대해 가지고 있던 비판적 시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는이에 저항하기 위하여 신화(神話)의 ‘재서술’을 통한 ‘기원’에 집착하지 않는고전의 새로운 운용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곧 고사(故事) 스스로가 새로운역사로 전변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루쉰식 허구적 글쓰기는 ‘허구’와 ‘역사’의 중간에 자리 잡고 ‘중간물(中間物)’ 적인 임무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글쓰기 방식은 비단 『고사신편』 뿐만 아니라 魯迅의 1922년 이후의 글쓰기 전반에서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루쉰은 스스로 ‘자전(自傳)’을 쓰지는 않았지만, 그의 다른 작품들이 대신해서 그의 자서전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본인의 허구적 글쓰기의 효용을 증명하게 되었다.

      • KCI등재

        패러디에 감춰진 시대적 진실– 魯迅「理水」論

        이준식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81 No.-

        ‘Lishui理水’ is based on a scrappy documents of Chinese ancient history called ‘Yu’s flood control’. ‘Lishui’ is a satirical novel in that it includes various contemporary elements such as characters and events of the day. The main reason why the author adopts this method is not simply to reproduce or evaluate history but to maximize the effects of reality satire through the humorous satire method. Previous studies on ‘Gushi Xinpian故事新編’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the Genre identity, sculpture technique, and the subject matter.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literary and social meaning of ‘Lishui’ in more depth by re-examining the theme theory. 「理水」는 작가가 ‘禹의 치수’라는 단편적 역사 기록에 근거했으되, 줄거리 구성에 있어서는 당대의 인물이나 사건 등 다양한 현대적 요소를 임의로 가공하여 창작한 풍자 소설이다. 작가가 이런 방식을 채택한 주요 의도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재현하거나 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라, 해학적 풍자 방식을 통해 현실풍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였다.『故事新編』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보면, 주로 장르 정체성의 문제, 서사 기법의 문제, 주제의 문제를 둘러싼 쟁론이 대부분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쟁론을「이수」에 한정하여 분석하되, 특히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었던 주제론을 재점검함으로써, 이 작품의 문학적, 사회적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패러디에 감춰진 시대적 진실 ― 노신(魯迅) 「이수(理水)」논(論)

        이준식 ( Lee Joon-sik ) 한국중국학회 2017 中國學報 Vol.81 No.-

        「理水」는 작가가 `禹의 치수`라는 단편적 역사 기록에 근거했으되, 줄거리 구성에 있어서는 당대의 인물이나 사건 등 다양한 현대적 요소를 임의로 가공하여 창작한 풍자 소설이다. 작가가 이런 방식을 채택한 주요 의도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재현하거나 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라, 해학적 풍자방식을 통해 현실풍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였다. 『故事新編』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보면, 주로 장르 정체성의 문제, 서사 기법의 문제, 주제의 문제를 둘러싼 쟁론이 대부분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쟁론을 「이수」에 한정하여 분석하되, 특히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었던 주제론을 재점검함으로써, 이 작품의 문학적, 사회적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Lishui理水` is based on a scrappy documents of Chinese ancient history called `Yu`s flood control`. `Lishui` is a satirical novel in that it includes various contemporary elements such as characters and events of the day. The main reason why the author adopts this method is not simply to reproduce or evaluate history but to maximize the effects of reality satire through the humorous satire method. Previous studies on `Gushi Xinpian故事新編`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the Genre identity, sculpture technique, and the subject matter.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literary and social meaning of `Lishui` in more depth by re-examining the theme theory.

      • KCI등재

        ≪故事新编≫의 창작 기법 연구

        배인수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4

        Lu Xun(魯迅) published a collection of three novels in his lifetime, including ≪Nahan≫(呐喊), ≪Fanghuang≫(彷徨), ≪Gushixinbian≫(故事新編) and so on. Among them, ≪Gushixinbian≫ is his third novel, which contains eight historical novels written between 1922 and 1935. The two novels of ≪Nahan≫, ≪Fanghuang≫are distinctly different in character compared to ≪Gushixinbian≫. The two novels are consistent realistic works of realism. Lu Xun recalled his past and the past of the nation through ≪Gushixinbian≫ and from the sediment of the national culture, he sought the means and method of creating new things. In the ≪Gushixinbian≫, the management of the method of creation was based on a realistic method, that reflects and depicts the nature of the nature of the real life, on top of that, along the ideal of the artist, description was idealized which was used the romantic technique to emphasize and clarify the features, based on these two methods, ≪Gushixinbian≫ altered the mind of the reader by entrusting the form of his life to the body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work and fusing the method of expressionism which shows the depth of the soul. ≪Gushixinbian≫opened up a new chapter in managing historical stories and ancient legends and created new ways of expression. These eight novels have features that have satirized the present through their historical facts, but have similarities. In other words, historical facts were selected, and attached new contents by linking the theme. Lu Xun reaped outstanding artistic effect by utilizing this much creativity artistic expression method extensively in ≪Gushixinbian≫, created a type of historical novel that can not be imitated and duplicated in this period of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 魯迅의 무의식과 관련하여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8 No.-

        이 논문은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를 시도한다. 이러한 작업의 목적은 魯迅의 소설 창작 행위를 이성의 영역인 의식적 차원만이 아니라 감성의 영역인 무의식적 차원까지 고찰하고, 작품 자체에 대한 감상 및 작가에 대한 이해의 폭을 좀 더 넓혀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2장에서는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를 위해 우선 달의 상징체계를 살펴보았다. 달은 ‘太陰’ 상징체계로서 여성 원리 및 죽음-재생의 순환을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삼는다. 달은 인류의 역사에서 감성의 항진 및 무의식의 심연과도 깊이 연관된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달과 광기의 관계, 달과 서정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3장에서는 魯迅의 작품집 《吶喊》, 《彷徨》, 《故事新編》에서 달 이미지가 등장하는 소설들을 선별하여 분석했다. <奔月>, <肥皁>, <藥>에서는 太陰의 여성 원칙이 표현되어 있음을 논의했고, <狂人日記>, <白光>, <弟兄>에서는 달이 광기와 본능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음을 밝혔으며, <故鄕>, <社戱>, <孤獨者>에서는 달이 향수와 고독의 감성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고찰했다. 4장에서는 작품 속 달의 형상화가 魯迅의 무의식적 글쓰기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魯迅의 창작 행위를 상호텍스트 원리에 기댄 ‘팔랭프세스트(palimpsestes)’ 글쓰기로 보고, 그것이 매개하는 ‘심층적 기억’을 달의 상징체계와 관련하여 논의했다. 또한, 魯迅의 창작 행위를 무의식적 층위에서 고찰했다. 라캉(J. Lacan)은 ‘나는 내가 생각하지 않는 곳에 존재한다’라고 언명했다. ‘대타자(Other)’의 담론인 무의식은 魯迅의 유년 시절의 주변 환경과 직결되며, ‘심층적 기억’을 형성한다. 이미지에 대한 애착 및 도교, 비주류에 대한 관심은 魯迅의 무의식적 지향을 참조하며, 그것은 글쓰기를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그의 소설 속 달의 이미지는 魯迅의 의식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무의식의 차원에서도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융(C. G. Jung)의 ‘그림자(shadow)’ 개념을 이용해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가 ‘그림자의 자각’과 관련이 있음을 논의했다. 특히 <弟兄> 작품을 창작하면서 魯迅이 자신의 그림자를 의식에 통합하는 과정인 ‘개성화(individualization)’를 성취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은 그간 魯迅 텍스트를 이해해온 주된 방식인 이데올로기적 접근이 아닌, 상징적 독해라는 관점에서 魯迅 및 魯迅 문학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논의가 그간의 魯迅 문학 연구가 결락해온 부분에 대한 補論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read the moon imagery in Lu Xun(魯迅)’s novel, to which the lunar symbol system is related.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not only to consider conscious aspect with reason, but also to ponder unconscious aspect with emotion of Lu Xun, which will broaden the scope of the esthetic appreciation of the literary work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uthor. In chapter 2, I investigated the lunar symbol system to apprehend the moon imagery in Lu Xun’s novel. The moon has Tai-Yin(太陰) symbol system, which typically operates the feminine principle, Eros and the repetition of life and death. In the history of mankind, the moon is deeply involved with acceleration of sensibility and abyss of the unconscious. I specially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the moon and a lunatic, the relation of the moon and sensibility. In chapter 3, I examined the moon imagery in the novels, The Call(吶喊), Paces back and forth(彷徨), Old Tales Retold(故事新編). By doing this, I argued these contents: in The Flight to the Moon(奔月), Soap(肥皁), Medicine(藥), the female principle of Tai-Yin was obviously demonstrated; in A Madman’s Diary(狂人日記), White Light(白光), Brothers(弟兄), the moon became a trigger for the revelation of lunacy and instinct; in Hometown(故鄕), Village Theatrical Performance(社戱), A Solitary Man(孤獨者), the moon represented emotions of nostalgia and loneliness. In chapter 4, I reviewed how the moon imagery in Lu Xun’s novel referred to his unconscious creation. Firstly, I argued that Lu Xun’s literary creation displayed the palimpsestic writing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by which his deep memories were mediated in relation to the lunar symbol system. Secondly, I illuminated that the literary creation by Lu Xun was closely related to his unconscious aspect. Jacques Lacan said “I think where I am not, therefore I am where I do not think.”, the converse of “Cogito, ergo sum(I think, therefore I am).”. Lu Xun’s unconscious, the discourse of the Other,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ulture in his childhood, which also formed his deep memories. His unconscious was linked to attachment for images and interest in Taoism, minority thing, therefore the orientation of his unconscious was revealed through his writing.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I illuminated that the moon imagery in his novel was utilized not only in conscious aspect but also in unconscious aspect. Lastly, I investigated that the moon imagery in his novel referred to “the encounter with the shadow” by using the Jungian shadow concept. Especially, I identified that the shadow of Lu Xun was embodied in his conscious life i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by writing Brothers(弟兄).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of Lu Xun and his literary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ymbolic read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way to analyze them by ideological approach, largely existing before.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take a definite role in establishing a way of looking in order for diversified interpretation of Lu Xun and his literary creation.

      • KCI등재

        系譜學的 側面에서 接近한 伯夷ㆍ叔齊 故事 硏究

        김민호 한국중국소설학회 2002 中國小說論叢 Vol.16 No.-

        本論文考察有關節義的象徵伯夷和叔齊的故事. 依據『史記ㆍ伯夷列傳』, 伯夷ㆍ叔齊反對周武王伐殷紂王的理由在于周武王“父死不葬, 爰及干戈”, 還有“以臣弑君”. 所以“武王已平殷亂, 天下宗周, 而伯夷ㆍ叔齊恥之, 義不食周粟, 隱於首陽山, 采薇而食之. 及餓且死.” 我們知道因上述的節義而稱頌伯夷ㆍ叔齊的情況了. 可是『史記』以前出版的『呂氏春秋』却强調, 伯夷ㆍ叔齊離開周武王的理由在于“上謀而行貨, 阻丘而保威也. 割牲而盟以爲信, 因四內與共頭以明行, 揚夢以說衆, 殺伐以要利, 以此紹殷, 是以亂易暴也.” 還有淸初艾納居士的『豆棚閑話』描寫叔齊變節, 魯迅在他的『故事新編ㆍ采薇』嘲弄伯夷ㆍ叔齊. 本論文考察爲什마發生這樣的情況.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