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옥자〉에 나타난 생태학과 에코페미니즘

        진은경(Chin, Eun-Kyung),안상원(Ann, Sang-won)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3

        이 연구는 봉준호 감독의 〈옥자〉에 나타난 생태학과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옥자〉는 주인공인 소녀, ‘미자’와 슈퍼 돼지인 ‘옥자’를 중심으로 종을 뛰어넘는 연대와 우정, 그리고 사랑의 의미는 사건과 공간의 상징화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미자’는 남성과 여성이 혼재된 혹은 통합된 양성성을 가진다. ‘옥자’는 미자의 가족처럼 서로를 위하는 공동체 관계이다. 이들이 가진 자연과 동물들에 대한 존경과 더불어 사랑과 애정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이 영화는 인간의 관점이 아닌 돼지 ‘옥자’의 관점에서 생명의 원천이며 근원인 자연으로 인간이 회귀해야 함을 표현하고 있다. 〈옥자〉는 서구 문명의 근간인 인간중심주의에서 심층생태학적으로 혹은 자연 중심주의로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예시해준다. 이 영화는 인간의 관점이 아닌 동물이 속한 자연의 관점의 영화이다. 이는 자연과 인간은 동격이거나 아니면 자연을 인간만큼 소중한 존재로 승격시킴으로써 기존의 관습적 생각을 해체시키고 전복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 영화는 자연과 함께 공유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삶이 만족스럽고 충족 되어지는 삶의 최종점임을 보여준다. 자연중심적인 발상을 통하여 자연은 인간과 더불어 상생할 수 있는 공동체적 삶의 터전이다. ‘미자’와 ‘옥자가 사는 산골과 모험의 뉴욕은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이분법적 공간이다. 이는 상징권력에 대한 거부로서의 에코토피아를 보여준다. 뉴욕은 거대자본주의와 결탁한 신제국주의라는 상징공간이다. 이윽고 미자, 옥자, 새끼돼지는 산골마을로 돌아온다. 그들이 사는 산골마을은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에코토피아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영화 〈옥자〉는 자연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여성의 역할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남성과 여성, 인간과 인간이 함께 공존할 수 있다는 생태중심적인 비전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ecology and eco-feminism as depicted in Okja, a film directed by Bong Joon Ho. The plot develops as it explores the species-transcendent connection, friendship, and love between Mija, the movie’s heroine and Okja, the genetically enhanced “Super-Pig”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through symbolization of events and space. Mija is assigned an androgynous identity in which masculinity and femininity coexist. The bond that the beast has with the child can be described as that of the most tightly-knit community in which the former is considered by the latter as part of her family. It effectively demonstrates the respect as well the love and affection both of the characters have for Mother Nature and all of its creatures. That the mankind must return to nature, which is the source and origin of all life, is the message conveyed by the film, presente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but rather from that of Okja the Super-Pig. Okja is an example of the rapid shift in contemporary narratives toward a paradigm that is more ecologically conscious or eco-centric while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of anthropocentrism. The exposition of the story occurs from the viewpoint of nature and its creatures rather than that of man. It is an endeavor to dismantle the traditional and existing notions about nature and man by creating an allegory in which the two are one and the same, or at least the former’s importance is raised to an equal level with the latter. The film shows a communal lifestyle where one does not exploit but lives in harmony with nature and presents it as the final goal to be reached as one strives to live a life of contentment and fulfillment. Eco-centric thinking makes it possible to conceive nature as the time-space for a communal life where man and nature can coexist. The home village of Mija and Okja in the mountains and the megalopolis that is New York are the dichotomy of space that represents Utopia and Dystopia respectively, which introduces Ecotopia as that which rejects symbolic power. New York is a symbolic space that represents Neo-imperialism that has colluded with Mega-capitalism. The two protagonists, the female child and her animal companion eventually return to their home village in the valleys, a place that symbolizes an ecotopia where man and beasts can form a conjoint community. By showcasing a new role for the female gender, which is to spearhead the movement that calls for mankind’s return to nature, Okja envisions a possible eco-centric future where man and nature, both genders of male and female, and all members of mankind can live together peacefully.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소설에서의 ‘강’과 ‘영혼’의 서사적 의미 - 윤정모의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노라 옥자 켈러의『종군위안부』, 김숨의 『흐르는 편지』를 중심으로

        이숙(Lee sook)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79

        이 글은 일본군 ‘위안부’의 자닝한 삶을 재현한 소설인 윤정모의「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1982)와 노라 옥자 켈러의 『종군위안부』(1997)와 김숨의『흐르는 편지』(2018)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살펴본 글이다. 세 작품은 1인칭 화자가 주인공 또는 인물로서 비중 있게 등장하고 ‘강’과 ‘영혼’과 같은 공통된 모티프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있다. 서사적 공간으로서 ‘강’은 죽음과 태어남이라는 생애사적 사건이 벌어지는 현장이자 정화와 재생의 장소로서의 상징성을 지닌다. 죽음과 태어남의 과정 속에서 ‘영혼’은 그 본질을 탐색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유의미한 모티프다. 세 편의 소설은 역사적 비극의 공간에서 ‘모성’의 서사를 보여준다. 실제 증언을 바탕으로 소설로 형상화된 이들 서사에서 모성은 다층적으로 재현되며 자매애와 민족애와 같은 고통의 교감과 연대가 드러난다. 서사 속에서는 불교, 기독교, 유교, 무속 신앙 등의 종교적 믿음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이런 종교적 믿음과, 강요되거나 내면화된 혈연중심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정조 이데올로기,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서사 내용을 구성한다. 신의 존재와 인간의 죄(전생의 업보), 전생에 대해 끊임없이 종교적인 물음을 던지는 인물들의 심리 기저에는 폭력적 현실 세계에서 벗어나 자신의 육체에 징벌처럼 가해진 고통을 견디고 현생과 내생의 구원을 희구하는 처절하면서도 숭고한 갈망이 자리한다. ‘강’은 이러한 갈망이 구현되는 정화와 치유, 회생과 재생, 구원의 장소성을 지니는 서사 공간이다. 세 작품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과 기록에 새겨진 트라우마를 서사로 재현함으로써 이를 텍스트적으로 치유하는 윤리적 차원의 실천을 보여준다. 또한 영혼과 육체를 둘러싼 삶과 죽음이라는 화두를 끄집어내어 실존적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답을 궁구함으로써 철학적 실천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novels reproducing the pathetic and miserable lif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Yun Jeong-mo’s 「Your Ma’s Name Was Chosun Whore (Emiireumeun Josenppiyeotda)」(1982),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en』(1997), and Kim Sum’s 『The Flowing Letter』(2018) in intertextual aspects. These three works are correlated in that the first-person narrator appears as either a main character or an important character and common motives are found such as the ‘river’ and ‘spirit’. The narrative space of the ‘river’ has its symbolicity as a field where lifetime events like death or birth take place or as a place of purification and reproduction. In the process of death and birth, ‘spirit’ forms a significant motif playing roles in allowing us to explore the essence. The three novels contain the narrative of ‘maternal instinct’ in the space of historic tragedy. In their narrative embodied as novels based on actual testimonies, maternal instinct is reproduced in multilayered aspects, and through sisterhood and patriotism, the communion and solidarity of pain are revealed. Within the narrative, religious belief including Buddhism, Christianity, Confucianism, or shamanism is manifested in various ways. This religious belief (faith), either forced or internalized blood-based patriarchal ideology, fidelity ideology, and nationalistic ideology are also combined partially to comprise the narrative contents. On the psychological base of these characters that continue to raise religious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of God, the sin of mankind (karma from former life), or previous life, there is desperate and lofty longing hoping to escape from the real world of violence, overcome the pain given to their body like some kind of punishment, and become saved from this time and the life to come. The ‘river’ is narrative space equipped with the placeness of purification and healing, revival and regeneration, and also salvation where such longing is realized. Reproducing the trauma carved in the testimonies and records of victims,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s a narrative, the three works show ethical practice realizing text-based healing. Also, they perform philosophical practice bringing up the topics of life and death lying around the spirit and the body and seeking answers to existential questions they present.

      • KCI등재

        『종군위안부』에 나타난 고통과 기억의 의미

        변화영(Byun, Hwa-yeong)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1

        노라 옥자 켈러는 1.5세대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이다. 1997년에 발표된 『종군위안부』는 작가의 삶의 터전인 하와이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에 구체적인 공간 묘사는 모녀관계에 있는 아키코와 베카의 이야기에 사실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자서전적인 성격을 갖게 한다.『종군위안부』는 크게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축은 한국계 미국인으로서의 <베카>의 이야기이고 다른 한 축은 종군위안부이자 디아스포라로서의 <아키코> 의 이야기이다. 교호적인 이중 서술 구성은 ‘죽음과 탄생’을 통해 단단히 얽혀 있는데, 이 구성은 갈등관계에 있는 모녀가 화해하는 과정을 드러내는 중요한 소설적 장치이다. 첫 장인 1장과 마무리 장인 18장에 <베카>가 서술주체로 나서고 그 안에서 <아키코>와 <베카>가 교호적으로 서술주체로 등장하는 서사적 배치는 아키코의 사회적 고통들을 드러내면서 화해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하나의 전략에 해당된다. 김순효-아키코-브레들리 아키코라는 삼중의 이름이 나타내듯 일본 제국주의 사회에서 종군위안부 아키코는 여성/조선인/피지배자/수인(환자)이라는 위치에 있는 다중적 고통의 피해자였으며 미국 이주사회에서는 열등한/동양인/여성/소수자로서 갖가지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이름 없이 죽은 종군위안부들의 흔적과 목소리까지 담아낸『종군위안부』가 무엇보다도 의미 있는 것은 국민국가의 틀 속에 있는 ‘우리’의 특권이 종군위안부의 고통과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의 기억이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의 기억과 연대해야 한다는 사실을 숙고하게 했다는 점이다. 요컨대『종군위안부』는 ‘우리’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통과 기억을 연대하는 집합적 기억의 통로가 되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the meaning of social suffering which expressed in the novel Comfort Woman, written by Nora Okja Keller. She is one and half generation of Korean-American immigrant. In this novel, which based upon the narrative and oral testimony of the comport women, she explores the multi layers of social suffering through the memories of Akiko and Beccah, on the one hand, and investigates the lost voices or without voices of the comfort women. The novel constructed with two parts at large, one is the stories of Beccah(who is daughter), and the other is those of Akiko(mother, former comfort woman). Alternated with these two stories, the novel made up by duplexed composition tied with the death and birth of the members of family. The author includes in this novel the voices of the comfort women who lost their own voices, through the past and voice of Kim Sunhyo-Akiko-Bradely Akiko. That is, she was a victim of multi-layered suffering as a woman, people of Joseon, subordinate, prisoner or patient during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she had been suffered and endured because of her position as inferiority, Asian, woman, minority within American society. By telling her/their own past and history, the novel attempts to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generations, further the victims and perpetrators and/or the witnesses and bystanders. The author insists in this novel, Comfort Woman, ultimately ‘our’ privilege within the nation-state connects with the social suffering of ‘comfort women’, so ‘our’ memory must be banded together with theirs.

      • KCI등재
      • KCI등재

        How Folk tales Function in Heniz Insu Fenkle’s Memories of My Ghost Brother and Nora Okja Keller’s Fox Girl

        Joohyun Park(박주현) 한국아메리카학회 2011 美國學論集 Vol.43 No.1

        하인즈 인수 핑클의 『내 귀신 형의 기억』(1996)과 노라 옥자 켈러의 『여우 소녀』(2002) 는 한국 기지촌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핑클과 켈러는 한국 전통 민화인 구미호 이야기를 차용하여 자신들의 소설 속에 삽입함으로서 구미호 이미지와 기지촌 여성들의 이미지를 연계하여 소설을 풀어간다. 흥미로운 것은 이 두 작품이 같은 뿌리에서 뻗어 나온 민화를 차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민화를 소설 속 이야기꾼이 어떤 의도로, 어떤 형태로 청자에게 전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메시지를 담게 된다는 점이다. 즉, 같은 구미호의 이야기라도 변주에 따라 가부장적일수도, 혹은 여성에게 가부장적인 사회를 비꼬아 비판하는 전복적인 것이 될 수 있다. 핑클의 소설에서 이야기꾼인 형부는, 구미호를 이유 없이 사람들을 잡아먹는 악한 존재로 그린다. 이러한 서술은 당시 팽배했던 남성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그대로 나타낸다. 남성들의 입장에서 구미호는, 남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신의 욕망을 좇아 거리로 나와 사람들을 위협하는 존재이다. 형부의 구미호 민담은 이야기 속의 남편처럼 자신의 권위와 사회의 안녕을 위협하는 여성을 제거하고자 하는 욕망으로부터 비롯된다. 즉, 핑클은 형부가 들려주는 민담을 통해, 한국 전쟁 이후 무기력하게 자신들의 주도권을 빼앗기고 불안감을 느꼈을 한국 남성들의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켈러가 여우 이야기를 차용하는 방식은 보다 복잡하다. 『여우 소녀』에서 켈러는 여성 이야기꾼 덕희를 통해 구미호 이야기의 여성 판을 들려주며, 민화라는 공간이 사회적인 억압에 의해 목소리를 잃었던 이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펼 수 있는 새로운 발화의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덕희의 이야기 속에서 구미호는 연인이었던 남성이 훔쳐간 ‘지혜의 구슬’을 찾기 위해서 남성들을 따라다니는 존재이다. 이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피해자이며 그녀가 사람의 형상을 띠는 것은 생존 전략이다. 구슬을 찾기 위해서는 여성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와 흡사하게, 기지촌 안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구미호의 탈을 쓸 수밖에 없었다. 켈러의 소설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구미호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덕희가 구미호의 여정이 시작된 이유를 설명했다면, 켈러는 현대판 구미호라고 볼 수 있는 숙이와 현진의 고된 삶을 그림으로서 그 후속 이야기를 쓰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같은 시공간에 대하여 같은 민화를 차용하여 쓰고 있는 두 작가 중에서 보다 전복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켈러라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이 전복성은 민화의 차용을 넘어 선 민화 다시 쓰기를 통하여 얻어낸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옥자>(2017)에서 자본주의 육식 문화 재현과 그 비판

        장미화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봉준호의 2017년 영화 <옥자>는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를 활용해 실사와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새로운 시각 효과를 선보였다. 이 영화에서 슈퍼 돼지 옥자의 재현은 동시대 신자유주의가 가성비 높은 육류를 개발하기 위해 동물을 비도덕적으로 착취하는 면을 고발한다. 비인간적인 존재로서 동물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감정과 고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가상 배우 옥자의 고통은동물의 권리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고 있다. 이 영화는 오늘날의 음식 문화에서 육식 위주의 서구 문화가 가진 비도덕적인 면을 자본가 루시, 낸시와 한국의 소녀 미자의 대립 구도로 나타내고 서사적으로 자본주의가 생산한공간들을 경유한다. 이에 한국의 강원도 산골이 판타지적인 공간으로 나타나면서 서양의 음식 문화에 대한 대안적인 문화가 제시된다. 영화의 초반에 강원도 산골에서 옥자와 미자의 일상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재현된다. 이 공간은 서구 육식 문화와는 다른 동물에 대한 관점을 나타낸다. 이 논문은 <옥자>의 공간과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실사 이미지가 합성된 영화 속의 옥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영화적 재현에서 주장하는 동물의 권리에 대해서 도덕적인 차원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물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해도 인간이 동물을 잔혹하게 도살하는 방식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다. 시작과 끝에서 반복되는 공간은 그러한 육식 소비문화가 야기하는 불안 심리를 반영한다. 이 영화에서 공간의 순환성은 프로이트적인 반복 강박을 드러낸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의 유토피아란 불가능하다는 데에서 오는 불안을반영한다. Bong Junho's 2017 film <Ok ja> utilized 3D animation images to present visual effect that combines live action image and animation image. The reappearance of Okja, the super pig in this film, accuses contemporary neoliberalism of immoral exploitation of animals to develop cost-effective meat. As non-human beings, animals are portrayed as having emotions and suffering just like humans. The suffering of Ok ja, a virtual actress expressed in 3D animated images, calls attention to animal rights. In today's food culture, the immoral side of meat-oriented Western culture is presented as a confrontational composition between the capitalists Lucy and Nancy and the Korean girl Mija, and narratively passes through the spaces produced by capitalism. As a result, Korea's Gangwon-do mountain valley appears as a fantasy space and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culture to Western food culture. At the beginning of the film, Okja and Mija's daily life in the mountains of Gangwon-do is reproduced as a space where humans and nature live in harmony. This space represents a different perspective on animals than Western meat-eating culture. This article analyzes the space of <Ok ja> and representation of Okj a’s character in the movie, which is a combination of animated and real images, and examines the rights of animals claimed in such cinematic representations from a moral point of view. In conclusion, even though animals can be used for the benefit of humans, it is morally wrong for humans to brutally slaughter animals. The space repeated at the beginning and ending reflects the anxiety caused by such a meat consumption culture. This circularity of space in film reveals Freudian ‘obsession with repetition’. It reflects the anxiety that comes from the impossibility of a utopia for humans and nature.

      • KCI등재

        생태학 관점의 비판적 언어인식을 위한 매체 수용의 학습 활동 설계 -영화 <옥자>의 생태언어학적 비평을 바탕으로-

        김규훈 ( Kim Kyoo-hoon ),이원영 ( Lee Won-young ),김효연 ( Kim Hyo-ye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edia acceptance learning activit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foster thei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n particular, we sought to compose a learning activit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at focuses on ecological topics that are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this end, it conceptualizes critical language awarenes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imed-at competencies through ecological learning activities aimed to cultivat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More concretely, it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ecological topics and looks carefully at sustainability literacy in ecolinguistics to specify the nature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fter this, students make ecolinguistic critiques of the movie Okja. Through this process of critique, the elements of the content of the learning activity involving Okja could be set. On a basis of these content elements, this study designed a learning activity for Okja fo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he chain of argumentation in this study serves to suggest an authentic educational method fo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whose meaning lies in induc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e come aware of the world through language.

      • KCI등재후보

        봉준호의 영화 세계에서 〈옥자〉의 의미 고찰

        강성률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9

        This paper started with a simple question of why there were not many discussions about Okja among Bong Joon-ho's films. To solve this problem, I first analyzed what unique characteristics Okja has among Bong's films, and then what Okja has in common with them. Wh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 films, Okja has the following points in common with his other films: it has a story of searching for something, a strong and caring female image, an alternative family in the end, and a representation of not only capital/class but an unequal world/violent structure, which Bong has consistently represented. In addition, it seems that it has many similarities in terms of various settings and scenes when compared with The Host. But it is clear that Okja is a unique movie compared with Bong's other films: it has a happy ending, a young girl as the main character, strong cartoon elements, and a strong allegory tendency. Although Okja is a unique movie in Bong's filmography, it does not prove to be a completely new practice in film. It is, nevertheless, enough to say that Okja fulfills Bong Joon-ho's style in several ways.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으로 읽어본 <옥자>

        박부순 미래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영문학 Vol.25 No.3

        The study is to look at ways to overcome the current human crisis by reading the film Okja from an ecofeminist perspective. As a process for this, the connection between women and nature in patriarchal society, the dismantling on dual structure of domination/subjugation, and the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through Okja were investigated. In the first part, the men and material civilization, the symbol of Mirando Corporation/New York, were explained how to suppress women and nature, the symbol of Mija and Okja/mountain village in Gangwon-do. In the second part, the process of dissolving and subversion the dual structure in which the patriarchal system used women's oppression as the fundamental model was depicted. In the final part, the process of harmony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even between humans and nature, was explored through the friendship, love, and care of Mija and Okja.

      • KCI등재

        Analyze the Narrative Mode of Bong Joon-ho's Film Through “Okja”

        가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5

        Bong Joon-ho is one of the most famous Korea film director. His films just like the type of anti-Hollywood movie that operates in the Hollywood system. It has the qualities and maturity of the film industry as well as the genre of narrative surface. It also stands in the cultural reflection and the "author movie" position to attack the type pattern, transcending traditional genre films to get a unique personal style. Regardless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monster type film--"The Host", a horror suspense film from the real serial killing case--"Memories of Murder", or "Mother" that has returned to the talk of human nature, Bong Joon-ho has always had an ability of "picturizing" the social issues. In terms of narrative mode, Bong Joon-ho makes reference to the element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films and Hollywood film narrative structure of "three-act structure" , not blindly copy, but broke through the routine and made bold innovation, and successfully labeled all the films directed as "Bong Joon-ho’s films" on this basis.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subject selection,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for the movie "Okja" , explored Bong Joon-ho's film for the use and surpass of Hollywood movie narra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