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대한 통계 분석적 비교연구

        황철원 ( Cher Won Hw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수준을 통계적으로 비교분석 함으로써,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은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환경과목을 독립과목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대부분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통계분석 비교결과 첫째, 미국과 한국 모두 환경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교과서 수업과 더불어 환경에 대한 호기심을 양성하는 체험학습 및 기타 영상·컴퓨터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환경을 경험하는 기회와 그에 대한 포괄적인 배경을 제공하고, 다른 교과와 연결하여 이해시킴으로써, 미국지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만, 교과서 중심의 단순한 수업을 받고 있는 한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초·중·고 환경교육과정이 중핵 교육과정을 통한 통합적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rea, also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both Korean and American area in the statis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hows that Korean area conducts environmental education by adopting a separated education excepting the elementary school, while American area conducts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The results of statist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Korea and America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text book, but American area conduc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extbooks as well as experience study, video and computer classes. Secondly, the education of American area gives student high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classes by offering various experiences, comprehensive backgrounds of environment and many chances that make students understand environment with other subjects, while Korean education did not offer satisfaction to students because the classes are mainly composed of the textbook. As a result, the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for environment are estimated to be l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ie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Korea needs to be converted into the inter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근대교육사상에 비추어 본 환경확대법의 아이디어

        남호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a of the expanding framework as curriculum sequence in modern educational thought. The main themes of this idea are as follows. When we are sequencing curricular contents, the content should be displayed from the concrete, familiar and nearby to the abstract, strange and far. I discovered that these principles were represented from educational thought of Comenius, Rousseau, Pestalozzi and Herbartian ideas. Naturalistic approaches in educati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rect experience in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child. Naturalistic approaches have logics of curricular sequence which are the principle of expanding horizon and the active performance of field trip, direct observation in the everyday life of child. Meanwhile, Herbartian ideas on the expanding framework have components that are apperception, concentration centers and culture epoch theory.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both approach is that geography was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idea of the expanding framework was established from reasonable sequencing of educational content in the evolutional process of modern educational practice. 이 연구는 환경확대법의 아이디어가 근대교육사상 속에서 탄생하였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환경확대법은 학습자에게 교육내용을 계열화할 때, 구체에서 추상으로, 가까운 대상에서 먼 대상으로, 친숙한 것에서 낯선것으로 배열함을 말한다. 이러한 환경확대법의 원리가 코메니우스와 루소, 페스탈로치 그리고 헤르바르트 학파의 교육사상 속에서 발달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자연주의 교육사상가들은 학습자의 인식과정에서 야외답사와관찰 등 직접적인 경험을 중시하였고, 지평확대의 측면에서 교육내용을 배열하였다. 한편, 헤르바르트 학파의경우, 문화 단계 이론에 기초한 환경확대법을 정립하였는데, 통각이라는 표상의 연속성과 주제 중심의 접근을 추구하였다. 환경확대법의 두 가지 양상에 있어서 공통점은 지리 내용이 선호되었다는 점이다. 요컨대, 환경확대법은 근대교육사의 흐름 속에서 합리적인 교육실천의 원리로 체계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생태 학교 관련 사업의 국제적 동향

        조은정,김남수,이선경,김수연 한국환경교육학회 2006 環境 敎育 Vol.19 No.3

        Since 1985,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supported environment conservation model schools (ECMS) to promote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For driving ECMS to play a central role for sustainable schools in the community in Korea, international trends in foreign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s need to be analysed in addition to overall evaluations of the present status. Eco-school related initiatives as whole- school approaches in other countries include Eco-Schools, Green School, Enviro School, and Sustainable School, etc. and most of them are usually involved in international network such as ENSI(Environment and School Initiatives) and FEE(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which included available documents and reports of other countries from country reports, web-pages or official documents. Also, face- to-face or email interviews with personnels responsible for running such initiatives in a couple of countries were conducted. Implications for operating and supporting ECMS were provided based on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eco-school related initiatives of other countries, which included the main objective of initiatives, overall program direction, supporting methods, criteria for selection or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monitoring. 및 시사점본 연구는 국외 생태학교 관련 사업이 국내 환경보전시범학교 실시에 주는 시사점을 얻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운영 목적, 선발 방식, 운영 방식, 지원 방식, 평가 방식, 주요 장애 등에 주안점을 두어 국가별 특징과 국내 사례와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외국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의 통합을 꾀하거나 또는 환경교육의 방향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지향을 담아 재정향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은 국가 수준의 환경교육 전략에 이러한 내용을 담거나 또는 기존의 녹색학교, 생태 학교 등의 이름으로 지칭되던 학교 수준의 지원 사업을 지속가능한 학교 등의 이름으로 개칭하고 학교 내 환경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하고 있다. 학생 교육과 교사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해 학교와 학부모의 협력 관계가 요구되며 학생이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아를 확립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형성이 중요한데(Tett, 2004) 학교 전체 접근은 학교에 지역 사회와 학부모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유효한 방편이고 이를 통해 학교와 지역 사회를 지속가능한 형태로 변화시켜갈 수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이상과 같이 학교 환경교육에서 학교 전체 접근의 사례를 보여주는 국외 생태 학교들을 분석한 결과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측면에 대해서는 깊은 고찰과 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지원과 정보 공유 활성화 부분이다. 참여 학교에 대한 동기 부여와 지속성 확보를 위해 호주의 사례에서 소개된 환경 코디네이터 등의 인적 자원은 생태 학교에서 주도적 혹은 보조적 역할을 맡아 사업의 지속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외 사례의 경우, 생태 학교 운영에 들어가는 자금은 해당 학교가 지역 사회를 통해 자체적으로 마련하되 정부 주관 부처는 개별 학교 지원보다는 인프라가 되는 교사 교육, 교재 개발, 자료 공유, 관련 연구, 네트워크 형성 등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었다. 또 ENSI나 FEE 등의 국제 네트워크는 국제적인 경험들을 교환하고 전문적 연구 수행 및 인증 제도 운영으로 참가 학교들에게 동기 부여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 관련된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태학교나 환경보전시범학교와 같은 학교 전체 접근이 학교 환경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갖는 의미이다. 실제로 국외 사례의 경우는 학교 옥외 환경 녹색화나 행사 활동 등이 고립된 것이 아니라 교육 과정과 연계되어 있고 부모 및 지역 사회를 참여시키는 방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학교와 지역이 다 같이 변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학교 전체 접근은 옥외 환경 개선과 환경 보전 의식 함양이라는 기존의 교육 목표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도입하면서 학교 생활 전반에 걸친 쟁점에 관심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교사 주도보다는 전체 학교 구성원의 뒷받침과 의사 결정에의 참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환경교육이 교육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통합되면서 학교 개혁의 방편은 물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기여하는 방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마지막으로 강조할 부분은 교사의 역량과 실행연구에 관한 부분이다. 학교 환경교육의 수행 결과를 평가할 때 ENSI 네트워크에서는 교사의 실행 연구를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목포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정미라,나춘기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EE) in order to suggest ways for more effective EE. The study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sessed th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EE, the status of EE, and the demands for EE. The study involved the participation of 198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areas of Mokpo City and Muan Gu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a) almost all of participating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EE; (b) they favor an experience-centered type of EE and think that it needs cooperation from family and community to successfully achieve the goals of EE; (c) half of them have difficulty in finding a suitable teaching method for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and suffer from a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s well as heavy work burden in the practice of EE; (d) the overwhelming majority want to take part in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to share best practices for E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ticipating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 career and childrens’ age of undertaking class are most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teachers’ awareness and the implementation of EE.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could: (a) be the starting point for dialogue regarding EE both in content and in method and (b)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ile planning and formulating suitabl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based on prior demands of th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효과적인 유아환경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현장 정보를 얻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조사를 위해 목포시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 198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a) 대부분의 교사들은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b) 교사들은 체험중심 환경교육을 선호하였으며, 환경교육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지역사회의 협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c) 교사들은 환경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수방법을 찾는 것과 교육자료 및 참고자료 부족, 행․재정적 지원 부족, 업무부담 증가에 따른 준비시간 부족 등의 어려움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d) 대다수의 교사들은 연수 참여와 연수를 통한 환경교육 관련 성공적 실천사례 및 현장 적용 방법의 공유를 희망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의 배경변인 중 교육경력과 담당학급의 유아연령이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교육 실천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 유아환경교육의 내용과 방법 모색을 위한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으며, (b) 적합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환경지도 제작활동의 환경교육 및 지리교육적 함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네 환경지도 제작활동을 중심으로-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환경지도 제작활동에 대해 지리교육 및 환경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환경지도를 그리는 활동을 시행하였다. 환경지도의 주제는 동네의 환경과 관련하여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이있으며, 활동 전후 변화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동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지도그리기에 익숙해졌음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지도그리기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제작한 환경지도에서는 장소기반의 환경 문제 인식이 나타났지만, 지도 표현상의 특징을 살펴볼 때, 지도학습에서 지도 그리기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초등학생들이 환경지도에 기술한 동네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책은 구체적이었으나 환경의 의미를 협의로 해석하여 환경문제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으며, 차후 환경지도 제작에서 보다 다양한 환경관련 주제 발굴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In an attempt to seek the implication of environmental mapp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geographical teaching,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6th grade make environmental mapping on the topic of community environmental problems that the students expect to be improved. It is verified that th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of community environmental problems and become accustomed to map drawing through environmental mapping. However they have been in trouble with map drawing still. It is found out that the students are conscious of place based environmental problems in environmental map, even it is need to be trained of map drawing. The understanding and strategy to solve community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students in environmental map are concrete, but they are biased a little. It is needed to guide the consciousness and interest of students through digging out more diverse and wid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mes in environmental mapping.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이민부 ( Minboo Lee ),김걸 ( Kirl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UN 인간환경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1992년 브라질의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열린 UN 환경개발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주요 의제가 되었다. UN의 권고에 따라 2000년 9월 한국에서도 정부 주도의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격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사회통합, 환경보호, 경제성장`의 연계였다. 그 동안 한국 지리학자들이 수행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에 대한 연구 주제들은 주로 도시와 지역의 개발과 촌락의 보전에 대한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나 지속가능성의 현실적인 적용에 대한 비판을 보면, 경제성장을 우선시하고 환경이 부차적으로 인식되거나 개념 중심의 형식적인 구호가 될 가능성 높다는 점과 선진국 중심의 개념이라는 점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담론만을 다루었다는 점 등이다. 즉 이론적 담론에 머물러 실질적인 정책 실현으로 구체화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리교육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계성을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을 제시하는데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혹은 지속가능성교육은 지역, 공간, 장소를 주제로 하는 지리교육과 지리학에 매우 적합하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글로벌 지리(세계지리)와 국가지리(한국지리), 지역지리가 공간적으로 연결이 되면 더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낼 것이다.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first suggested at the UN Conference on Human and Environment(UNCHE) in Stockholm, Sweden in 1972. In 1992, the main agendum of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was sustainable development. On September in 2000, Korea had founded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PCSD)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as suggested by the UN. The concepts of PCSD were `social integ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The study topics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geographers have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regions, and the preservation of villages. Considering the criticism on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it may prioritize economic development and put the environment behind it or become a formal slogan, a concept for the advanced countries only, or Neoliberalist globalization discourse. These criticisms should be considered when realizing the relevan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ibliographical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education is very suitable for geography education focusing regions, spaces, and places.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global geography, national geography, and local geography are spatially connected.

      • KCI등재

        환경교육 의무화의 의의와 실행 방안

        이두곤 한국환경교육학회 2022 環境 敎育 Vol.35 No.4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compulsor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posed its implementation plan. To this e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limate crisis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cent IPCC reports on climate change, and the important concept of Green Transformation (GT), which was presented in the 5th National Comprehensive Plan for Environment (2020∼2040), was explored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T (EEGT) was reviewed to meet social requests in the climate crisis situation.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mandatory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ct was reviewed. In addition, as an implementation plan of making th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ompulsory, this research proposed that all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hould have Environmental Education (EE learning) based on a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plan on a school-by-school basis for more than one hour a week, or take environmental subjects in a broad sense in secondary and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basic concept of compulsory environmental education, its necessity,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본 연구는 환경교육 의무화의 의의와 그 실행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상황을 평가하고 환경교육법에 포함된 환경교육 의무화 관련 규정을 살펴보았으며, 기후위기 상황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청을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을 통해 녹색전환 개념을 중심으로 환경교육의 사회적 필요성을 분석 제시하였다. 그리고 환경교육 의무화의 실행 방안을 검토하여 구체적인 방안으로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모든 학생이 매주 1시간 이상 학교 단위로 체계적인 환경교육 계획에 의한 환경학습을 하게 하거나, 중등학교의 환경교과목 또는 넓은 의미의 환경교과(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교과의 융합선택 과목으로 제시된 ‘기후변화와 환경생태’ 또는 사회교과의 융합선택 과목인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세계’ 등)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기후위기 시대에 환경교육 의무화의 기본 개념과 그 필요성 및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이것이 중요한 환경교육 담론이 되어 이러한 방향의 환경교육 의무화 논의가 깊어지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장미정,임수정,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alyze different development periods and to deriv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Out of 789 published articles (since 1989) from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6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nine criteria: year of publication, author's affili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gent of education, educational goal, education target, place of education, and form of educat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that are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lower than general 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on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in educational program take up the majority whilst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has a relatively small portion. The research trend in educational agents and location of education i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relevan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Educational targets, on the other hand, have been simultaneously affected by changes in civi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school curriculum. In regard to the form of education criterion, non-formal education is shown as the majority. Lastly, the ratio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as been balanced in the recent year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remarkably outnumbered in the past. Overall, it is said that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developed with kee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changes, national/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as well as evolving school curriculum. In order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a complementary influence i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its research base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diverse values of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take place outside of the form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학회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사회 환경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환경교육의 시기별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현재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789편의 논문가운데,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 156편을 대상으로 9가지 영역별 분석(게재 연도, 저자 소속,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교육 주체, 교육 목표, 교육 대상, 교육 장소, 교육 형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은 일반 환경교육이나 학교 환경교육에 비해 편수가 적고, 프로그램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이론/철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와 교육 장소적 특성에 따른 연구동향에서는 환경교육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대상과 관련해서는 민간환경단체의 변화와 학교 교육과정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 형식과 관련해서는 비형식 교육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질적 연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으나 최근에는 양적 연구의 비율도 높아져 양적, 질적 연구 편수가 비슷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환경교육은 환경적/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가/지자체의 환경교육 정책 및 학교 교육과정 등의 정책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사회 환경교육이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도권 밖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교육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