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글로벌화 전략 연구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걸,Kim, Kirl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5

        1995년부터 추진한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으로 국가공간정보인프라의 활용수준은 높아졌으나, 국내시장 규모의 한계와 대기업의 시장진출에 대한 법률적 규제로 인해 한국의 공간정보 시장은 산업경쟁력 측면에서 정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과열된 국내의 레드오션 시장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공간정보의 블루오션 시장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해외 공간정보 시장은 2015년까지 연평균 10.5% 성장하고 150조원(1,25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아시아의 공간정보 시장은 커다란 성장 잠재력을 가지며, 한국에게는 새롭게 부상하는 블루오션 시장이 되고 있다. 핀란드, 독일, 스웨덴, 일본 등의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므로 선진국과 발을 맞추기 위해서 신흥공간정보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새로운 글로벌화 전략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공간정보에 대한 강점-약점-기회-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현황을 고찰하며, 한국 공간정보의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화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K-FBI 글로벌화 전략은 지식 플랫폼 구축전략, 신개척지 전략, 기본 공간정보 공략 전략, 현지 맞춤형 내재화 전략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향후 K-FBI 글로벌화 전략에 기반한 공간정보 로드맵의 수립과 시행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roject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ince 1995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Korean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based on them has also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limit to domestic market size and the legal regulation on prohibition of large sized companies' expansion into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markets, Korean spatial information markets are tied up in term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ose problems and evade the domestic red oceans, it is necessary to find new one in overseas' blue ocean markets. It is estimated that overseas spatial information market will be grown to 125 billion-dollar size and the annual growth rate of it will be reached to 10.5% until 2015. Thus, Asian spatial information market has a huge growth potential and it is newly rising blue oceans for Korea. Advanced countries such as Finland, Germany, Sweden, and Japan have already expanded their market size into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To step with advanced countries, it is time to set up the new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newly industrializing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T of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investigate the status on spatial information of Asian developing countries, and suggest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them. The globalization strategy can be labelled as K-FBI composed of 4 domains such as Knowledge sharing platform, Frontier, Back to the basic, and Internalization. In near future, the establishment and performance of road map based on the strategy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spatial information companies' advance into Asian developing countries.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 연구 -캄보디아와 아부다비 에미리트를 중심으로-

        김걸,정진도,이재용,Kim, Kirl,Jeong, Jin Do,Lee, Jae Y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공간정보 환경이 최근 플랫폼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정보 인프라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가인 캄보디아와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공간정보 인프라 현황을 구성요소별로 비교하여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캄보디아는 해외 원조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개발도상국이며,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풍부한 오일머니의 자금력으로 해외 선진기술과 고급 인력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신흥선진국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국가별 공간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캄보디아 모델과 아부다비 모델이라는 수출 모델을 정립하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수출 방식과 해외 진출 전략 및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environment in geospatial information has conversed into the plaform. The platform based geospatial information contributes to save time and cost as well as maintain the consistency and stability i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The Republic of Korea is now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spatial open platform called as the V-World(Virtual World), and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its abroad ex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the abroad export strategy by country of spatial open platform by comparing the cases of developing country, the Kingdom of Cambodia and newly developed country, the Emirate of Abu Dhabi, The Kingdom of Cambodia depends on foreign aids to develop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the Emirate of Abu Dhabi is inducing an advanced technology and high human power from overseas based on abundant oil money. This study establishes the abroad export strategy based on two country models such as Cambodia and Abu Dhabi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in geospatial information, and suggests the ways of abroad export and the methods on fund raising for spatial open platform.

      • 한국-아부다비 공간정보 격차분석을 통한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발전 방안 연구

        김걸,Kim, Kir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3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문화권 중에서 급속한 경제적 번영을 이룩하여 신흥선진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석유경제에서 비석유경제로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 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 환경변화로 인해 도출되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정보의 구축을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공간정보는 아부다비에서 블루오션 시장으로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으며, 도시건설의 기본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인프라의 기반이 한국에 비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공간정보인프라의 주요 요소인 조직체계와 법률 제정이 미흡하고 공간정보 산업의 해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특징을 가진다. 세계의 다국적 기업이 장악한 아부다비의 공간정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현황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한 틈새시장 진출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성요소에 대한 현황분석을 한국의 경험에 기반하여 고찰한다. 공간정보인프라 구성요소별로 한국과 아부다비 간의 공간정보 격차를 분석하고 아부다비의 단기 장기 공간정보인프라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중동의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와 한국 간 공간정보인프라에 대한 격차분석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중동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The Emirate of Abu Dhabi is swiftly rising into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by achieving economic prosperity among the Islamic cultural regions of Middle East and North Africa(MENA). Abu Dhabi Emirate is performing the conversion from oil economy to non-oil economy and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policy. However, there are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Abu Dhabi. In order to solve the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changes in society and environment, Abu Dhabi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triggering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is regarded as a basic infrastructure for urban construction and enlarged as a blue ocean market in Abu Dhabi. However, the base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Abu Dhabi is not well managed in comparison to that of Korea. Especially, Abu Dhabi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it depends on foreign multinational companies and it does not have its own systemic organization and law system. To advance into Abu Dhabi spatial data market under-controlled by global vend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Abu Dhabi and required to establish the advance methods into niche markets by considering priority order of spatial inform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ap of spatial information between Abu Dhabi and Korea and suggest the short and long term development methods for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Abu Dhabi. The results of gap analyses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companies' advance into MEN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논문 :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 모색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3

        1992년부터 우리 정부가 동해(East Sea) 명칭의 세계 확산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여전히 적지 않은 동해 명칭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동해를 외국인이 쉽게 인지하고 우리 동해의 정체성을 제고하는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첫째, 동해(East Sea) 명칭이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배경에 관하여 살펴본다. 둘째, 기존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이 중국 동지나해(東海, Donghai, East China Sea)와 베트남 동해(Bi^en D^ong, East Sea)의 명칭과 차별성이 없음을 밝히고, 북한(조선동해, East Sea of Korea) 명칭과의 단일화 논의 시작이 필요함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동해 명칭의 실행가능한 발전적 대안으로 한국해(Sea of Korea)나 한국동해(East Sea of Korea)의 명칭 사용을 제시한다. 향후, 남북 간 동해 명칭에 관한 협의는 남북통일을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put much time and cost on global spread of labeling the East Sea since 1992, there are so many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naming on the East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in domestic and overseas. It is time to raise the identity of the East Sea and make foreigners understood the name of the East Sea eas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ansive alternative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naming of the East Sea of Republic of Korea. Firstly, it investigates the background established and labelled the East Sea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Secondly, it looks into a fact that the existing name of the East Sea is not different from the East China Sea(Donghai) and the East Sea of Vietnam(Bi^en D^ong) and critically argues the necessity of the start on the naming unification between the East Sea of Korea of North Korea and the East Sea of Korea. Thirdly, it suggests the usage of the Sea of Korea or the East Sea of Korea as the feasible expansive alternatives on the East Sea of Korea. In the near future, the consensus on the East Sea label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ill be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for reunification.

      • KCI등재

        논문 : 두바이의 도시공간구조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3

        서남아시아에 위치한 두바이는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의 7개 토후국 중 하나이다. 두바이는 중동과 북아프 리카, 유럽 및 아시아를 연결하는 국제적인 금융, 부동산, 물류, 관광산업의 경제적 허브 역할을 담당하며 급속히 성장해 왔다. 2008년 말 미국에서 촉발된 금융위기로 두바이의 성장이 둔화되기도 하였지만, 두바이는 이슬람 도 시 전통과 선진 도시계획이 접목되면서 포스트모던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가진 자의 폐쇄적 공동체와 가지 지 못한 자인 외국인 노동자의 저급주거지 형성에 따른 주거지 분화가 확연히 드러나는 이원도시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신흥선진국으로 성장하고 있는 아랍에미리트의 경제 중심지인 두바이의 도시공간 구조와 지대별 경관을 고찰하는 데 있다. 두바이는 무역과 문화 및 자연환경으로 상징되는 전통적인 이슬람의 도 시구조와 선진 도시계획의 구조적 융합이 도시경관에서 뚜렷이 나타나는 스펙터클의 도시이다. 따라서, 제3세계 국가의 도시 중 하나인 중동의 경제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는 두바이의 도시공간구조를 연구하는 것은 급속히 성장 하는 이슬람권의 저개발 국가가 겪을 성공과 위기요인을 도출하는 데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Dubai is one of seven Emirate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located in South and West Asia. It has played an economic hub role inter-connecting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 Europe, and Asia in the fields of international finance, real estate, logistics, and tourism industries and has grown swiftly. Although Dubai has experienced the decline caused by the financial crisis triggered in the U.S.A., it has grown into a post-modern city by combining the Islamic city tradition and the advanced urban planning. Dubai also has a dual city characteristics revealing obvious residential differentiation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the gated communities for the haves and the deteriorated foreign labors` enclaves for the have-n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landscape by zone of Dubai. Dubai is a spectacle city that shows the structural fusion between the traditional Islamic city structure and the advanced urban planning and that symbolizes trade,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Thus, it will be useful in that this study can elicit the factors of success and crisis targeting o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of an Islamic region experiencing rapid growth.

      • KCI등재

        서울시 빈곤층의 공간분포패턴 변화분석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1

        2014년 송파구 세 모녀의 자살 사건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빈곤층 삶의 곤궁이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바 있다. 또한, 새로 분양된 아파트 단지의 분양세대와 임대세대의 반목으로 공동시설을 이용하지 못해 사회·경제적 계층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사회적 갈등의 증폭과 획일화된 복지정책으로 인해 상대적 빈곤층에 대한 복지 사각지대를 양산시켜 공간적 갈등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빈곤의 공간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빈곤층의 주거입지와 공간분포패턴을 탐색·분석하여 공간맞춤형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주거지 분화에 따른 공간적 갈등은 도시지리의 주요 주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대표적 빈곤층인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공간적 분포패턴 변화를 2006년, 2010년, 2015년의 세 시기를 기준으로 시계열 분석하고, 빈곤층의 주거지 분화를 도시공간구조의 관점에서 고찰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지리적 탐색과 분석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서울시 빈곤층의 공간적 분포와 주거지 분화의 지리적 분포패턴이 분석되고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마련의 시사점이 도출될 것이다. A media reported the suicide of a mother and two daughters of Songpagu in 2014 and the report made people shocked by revealing the destitution of life of poor classes. Antagonism between owners and renters of new apartments has triggered social and economic class conflicts. Such serial incidents increased the social and spatial conflict by producing shadow zone of relative poor class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space of poverty, it is essential to search the poor classes`residential loc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provide spatial welfare service for them. Spatial conflicts caused by resident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are a major theme of urban ge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t time series of 2006, 2010, and 2016, investigate the residential differentiation of the poor class in the perspectiv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make a base of searching and analyzing the social welfare shadow zone. This study will elicit the implications on solution of proper welfare service for the poor classes.

      • KCI등재

        아부다비의 도시공간구조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1

        The city of Abu Dhabi is the capital and the second one in terms of population size of the UAE. When compared to the city of Dubai achieved swift urban area expansion, Abu Dhabi is the next door in terms of the trend of urban growth and size. But, it has played an important national hub of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leisure industries based on the petroleum found in 1958. Especially, Abu Dhabi has strengthened its financial function by inducing the oil money of MENA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confined by economic regulation on the Islamic world triggered in 9.11 terrorism in the U.S.A. Although Dubai has experienced the decline caused by the financial crisis triggered in the U.S.A in the end of 2008, Abu Dhabi, a big brother of the UAE, has grown over 8% through the conversion into non-oil economy and with abundance of oil money. Furthermore, it has become both the environment-friendly low carbon and eco city(Masdar city) by reflecting the experience of ecological destruction of Dubai and the cultural and leisure city by inducing famous world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landscape by land use zone of Abu Dhabi. Abu Dhabi has grown into a post-modern city by combining the Islamic city tradition of Al Ain created from the Oasis and the advanced urban planning. It also has a dual city characteristics revealing obvious residential differentiation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the gated communities for the haves and the deteriorated foreign labors`enclaves for the have-nots. Thus, it will be useful in that this study can elicit the factors of success and failure targeting o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of an Islamic region experiencing a swift economic growth.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