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사회과 목표 설정 : 생태적 다중시민성

        심광택(Kwang Taek S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1

        사회과에서 학습자가 장소감과 정체성을 인식하는 과정은 훌륭한 시민이 되기 위한 동력원이다. 장소에 대한 감정을 회복해야 여유를 갖고 타인의 고통도 공감할 수 있고, 개인, 사회, 국가(민족), 지구 정체성을 인식해야 개인과 사회, 국가(민족)와 세계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시대의 다문화 사회에서 생태적 다중시민성은 학습자가 다규모적 장소감과 정체성을 인식하여, 개개인의 삶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형평성과 환경 정의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리킨다. 우리는 지속가능한 사회과 교육을 향해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한국 사회과 교육의 목표로서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Learners’ cognition of their sense of place and identities in social studies is the source of becoming good citizens. If learners recover their sense of place, they will empathize with others’ sufferings. If learners recognize their identities of individual, society, nation, and world, they will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the others.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in multicultural society of network stage help the learners bring up skills and attitudes based on cognition of multi-scalar sense of place and identities to practice social equity and environmental justice for ensuring lives of individuals and sustainable future of mankind. We need to reestablish subject objectives with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towards sustainable social studies.

      • KCI등재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보기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학교 지리의 위상은 한국, 중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한국 사회과에서 평가절하 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 지리는 시민성 교육과 관련하여 여러 나라에서 필수 교과로서 강조된다. 21세기 학교 지리의 역할은 민주 시민성, 다중 시민성, 생태 시민성 수준을 넘어 생태적 다중시민성 교육의 중핵으로 진화하고 있다. 4개 국가의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미래 교육````지속가능발전 교육````일상생활지리````생태적 다중시민성``관점에서 학습 내용(위치, 기후, 지형, 자원, 산업, 문화, 도시, 환경, 지역)과 학습 활동(지구의, 지리부도, 기후그래프, 사진, 주제도, 그래프, 인터넷, 지도·통계 자료, 사례 탐구)이 교과서에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재현되고 있다. 시민성 교육으로서 학교 지리의 유용성을 담보하기 위해, 첫째, 학습자가 인간과 환경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모색하는 학습 기회를 갖도록 하고, 둘째, 개개인의 삶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학습자가 다규모적 장소감과 정체성을 인식하고, 공간적 불평등과 환경 부정의에 도전하면서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기르도록하고, 셋째, 지리 교과서의 학습 내용 및 활동은 학습의 실용성을 전제로 간결성, 교육성, 효율성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어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osition of school geography is especially underestimated in Korean social studies among Korean, Chinese, Japanese, and Australian curriculums for middle school. But, school geography related with a citizenship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mandatory subject in many countries. The role of school geography for the 21st century has evolved into the core of educating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from each level of democratic, multiple, and ecological citizenshi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4 countries ``geography curriculums and textbooks analyses, learning contents (location, climate, landform, resources, industry, culture, city, environment, region) and activities (globe, atlas, climograph, photos, thematic maps, graphs, internet, maps and statistics, sample study) are represented with various spectra in the textbooks from the view of educ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eography of everyday life and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In order to guarantee the value of school geography as a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follow next proposals. First, it need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think of preferabl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ature. Second, i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for individual lives and sustainable future of mankind, which make them recognize multi-scalar sense of place and identities and challenge to solve spatial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injustice. Thir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in geography textbooks shall be dealt with critical examination in view of simplicity, educational value, and efficiency based on practicality of learning.

      • KCI등재

        촌락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 : 경상남도 촌락의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을 중심으로

        심광택(Kwang Taek Sim)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4

        본 논문은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의 관점에서 공간적 경계를 넘나들며 촌락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를 밝히고 있다. 촌락 공동체의 인구 특성과 농업 활동을 토대로 촌락사회의 미래를 예상하면, 거창군 위천면 황산마을과 합천군 초계면 하남마을에서는 앞으로 촌락 주민의 노령화가 심화되고, 농업 경영의 특성화 및 대규모화가 진행될 것이다. 외지인의 유입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합천군 덕곡면과 율지마을은 통영시 욕지면 유동마을에서 이주민과 토착민 간의 상호보완적 관계와 공동체 의식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촌락 공동체가 영역 자산을 활용하여 삶터(교육·문화 공간)와 일터(경제활동 공간)로서 촌락의 공간적 기능을 재생시키려는 노력이 사례 지역의 인구 감소와 초고령화 현상으로 시련을 맞이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hanges of social spatiality in rural areas as seen on a sloping scale in referenc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territorial assets. Guessing from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ies and farming activities in Hwangsan village of Uichon-Myeon, Geochang-Gun and Hanam village of Chogye-Myeon, Hapchon-Gun, it will become a society characterized by super-aged intensification and large-scale crop cultivation. Deokgok-Myeon and Yulji village of Hapchon-Gun are required to intake outside residents. They have to understand the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becom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residents and relocated people in Yudong village of Yokji-Myeon, Tonyoung-Si. Due to a decreasing population and the phenomena of the ‘super-aged’, the efforts to revive the spatial function as a living and working space while utilizing territorial assets could be challenged in these case study reg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지역 간 주제별 비교,관련,변화의 관점을 적용한 촌락 공간 학습: 사회과 기존 수업 모형의 한계 넘기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1

        이 논문은 초등 사회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기존 수업 모형의 한계를 지적하고, 지리 영역의 수업 계획에서 공간 학습의 논리를 제안하였다. 촌락 공간에 관한 교실 수업의 사례 연구는 학습자가 공간 학습의 과정에서 다중 시민성을 함양하고, 학습 동기와 고등사고 능력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사회와 공간 간의 관계를 추론하는 공간 학습의 과정은 교사용 지도서 내용 분석→수업 목표 설정→사례 지역 도입→학습 제재 선정→지역 규모 간 주제별 비교·관련·변화의 관점을 적용하는 데, 사회과 교수-학습법의 대안으로서도 의미를 갖는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e limits of existing instructional models which have been applied in primary social studies, and to propose the spatial learning logic in instructional planning of geography domain. A case study of classroom on rural area shows that learners can cultivate their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and improve their motivation and higher order think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spatial learning. Spatial learning can proceed with content analysis of teacher`s guide→establish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introduction of case region→selecting of learning materials→application of thematic comparison, relation, and change perspectives among regional scales. It means that spatial learning about reasoning of relationships between society and space can be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ethod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