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과 수입액에 세계금융위기가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4

        이 연구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 시발전인 1998년 8월 3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 105개의 자료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발 후인 2007년 5월 3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105개의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를 사용하여 금융위기 전후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의 상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은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이 있고 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 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의 상관계수는 금융위기 전후로 0.896612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에서 0.673477로 다소 약화된 양(+)의 상관관계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둘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의 원시계열 상태에서의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에서는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 모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 공적분 검정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섯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금융위기 이후로 대일본 수입액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between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We examine the interdependence of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for 105 monthly data from August 1998 to April 2007. We employ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Engle and Granger(1987) pointed out that a linear combination of two ro more non-stationary series may be stationary. If such a stationary linear combination exists, the non-stationary time series are said to be cointegrated. The stationary linear combination is called the cointegrating equation and may be interpreted a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purpose of the cointegration test is to determine whether a group of non-stationary series are cointegrated or not. The vector autoregression(VARs) is commonly used for forecasting systems of interrelated time series and for analyzing the dynamic impact of random disturbances on the system of variables. The VAR approach sidesteps the need for structural modeling by treating every endogenous variable in the system as a function of the lagged values of all of the endogenous variables in the system.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has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we find that while the effect from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s relatively strong after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 KCI등재

        근대기 일본 “중세(中世)문학”의 형상 창출 연구 -“일본문학사”와 “일본사”의 대조를 통해-

        엄인경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중세’나 ‘중세문학’을 둘러싸고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부터 제국주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암흑’의 시대에서 ‘풍윤’의 시대로 가치가 전도되는 현상을 고찰한 것이다. 다시 말해 중세라는 시대나 중세문학에 대한 이미지 변화 사이에 내재된 문학사적, 시대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찾아 이러한 논리 파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일본문학사 기술과 일본문학의 정전(正典) 연구와 관련이 깊지만 이러한 연구는 문학사의 총론을 근대국민국가 비판이라는 문맥에 환원시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논의의 시기도 1890년에서 1900년대 초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각론의 경우에는 현재 일반화된 일본 고전의 대표작들을 근대의 시대적 문맥 속에서 정전으로 인식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본문학사’나 ‘정전’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 시대적 편중 현상을 뛰어 넘어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서 패전에 이르기까지 대량으로 간행되었던 ‘일본문학사’와 ‘일본사’를 통해 ‘중세’와 ‘중세문학’의 형상이 어떻게 창출되고 변용되었는지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중세’및 ‘중세문학’ 이미지가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 부정적이고 가치폄하적인 평가에서 1930,40년대 긍정적 인 입장으로 전환된 논리를 시대적 콘텍스트 속에서 도출함으로써 일본문학사의 논리 파탄과 그 요인을 규명해 보았다. ‘중세’, ‘중세문학’의 이미지의 변용에는 문학성 자체의 문제 보다는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국민국가 형성기의 천황제 가족주의국가와 연동된 근대국민국가 이데올로기에서 오히려 일본이 동양의 전통문화의 계승자로서 일본문학의 연속성을 강조해야 하는 제국일본 문학의 재구축이라는 시대적 요청 때문이었고, 이로 인해 ‘일본문학사’가 가지고 있는 논리의 파탄과 근대국민국가의 모순을 내재한 일본의 중세문학사를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e west, where the modern academic studies began, ``The Middle Ages`` has the opposite images of the brilliant and positive images. The Middle Ages, between the glorious ancient civilization and the Renaissance, has the images of the darkness, so the Middle Ages could be called the Dark Ages, and it could be also ``the Death`` Ages because the Renaissance means a revival. Under the influence of this western perception, the early publications of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briskly since the 1890s in Japan, shows that the Japanese middle ages also has the negative images as the Dark Ages in the history, academy, and literature. This negative and self-depreciativ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built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ation-state, however, are not consistent up to now. The shift of the perception of the Middle Ages was made not after war (after 1945) but from 1930s to 1940s when Japan`s militarism reached its climax and Japan was at the 15-year war. By this time,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was changed to the fairly positive viewpoint. In this thesis, to go over the existing disproportionate studi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Armistice``, I grasped how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had created and changed through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Japanese History`` published from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ation-state to the defeat, and through this study, by understanding the logic of shifting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in the periodical context, I grasped how the logic of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ent into the rupture and what the causes were.

      • KCI등재

        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 ‒ 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 ‒

        이토 히로코,박신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급속히 진전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서 역사 속에서 소수 민족으로 살아온 일본인처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재한 일본인 처의 고령화로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남길 수 있는 시간은 한계가 있기에 현 시기에 일본인 처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한일본인처가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경주 나자레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한일본인처의 삶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한일본인처의 삶은 여성으로서 겪었던 이산의 경험, 현모양처로서의 삶의 유지, 경계인으로서의 삶, 그리고 고향지향성을 지난 디아스포라의 삶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제 식민지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하고 한국으로 건너온 일본인처들은 현재 시점에서 보면 국제결혼이민자의 한 종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제대로 된 지원이나 대우를 못 받으면서 ‘잊혀진 국제 미아’로 살아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그녀들의 삶을 특성과 맞물려 한국에서 살고 있는 그녀들의 문제를 간과한 채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국사회에 들어와 있는 소수자인 이주민의 역사를 고려하지 않은 단기적이며 단편적인 정책 지원에 머루를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spora lives of Japanese wife lived in the minor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time to leave to hear their voices directly to the aging of Japanese wives is limited. Thus, the study of the Japanese wives in the current period is historically meaningful work. As a result of having an oral history of the second raw data with the selected Japanese Wives in Gyengju Nazareth Center to determine their diasporic characteristics, its found that they could have a discrete experience, the maintenance of life as good wife and wise mother, boundary maintenance and homeland orientation. In addition, Japanese wives who were married to Korean m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looking at the moment a kind of marriage immigrants, while receiving not properly supported and they are living as forgotten international missi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without solving the problem of the Japanese wives,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short-term and fragmentary support.

      • KCI등재

        일본 내 한국어교육의 질적 발전 연구-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중심으로-

        오문경,이경수,문희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qualitativel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the teachers in the ways to strengthen Japan’s uniqueness and localiz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is driv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positioned as a qualification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Japan and around the worl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quir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and requires localization based on Japan’s uniquen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Korean teachers’ competenc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and analyzed various data to derive the necessity of obtaining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at Japanese universities. Also,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residing in Japan to acquire qualifica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is, measures to increase field expertise in Japan, methods to strengthen loc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pproaches to humanize existing Korean teachers are present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prospective teachers residing abroad, including in Japan, will be able to provide proto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obt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일본의 특수성과 현지화를 강화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는 한국어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을 견인하고 있으며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교원의 전문성을 담보하는 자격으로 자리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양적 발전과 더불어 질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본의 특수성에 입각한 현지화가 필요하다. 한국어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 교사 역량 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주목하여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여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대한 발전방향 즉, 일본에서의 현장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교육 내용의 현지화 강화 방안, 기존 한국어 교사의 인적 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일본을 위시하여 국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들이 한국어교원 자격을 취득하는 데 있어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 교양 일본어학습에 관한 기초조사 ‒ 서울소재 S대학의 교양 일본어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배경 및 일본어학습에 관한 신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양 일본어 수강생의 과반수 이상은 이미 일본어를 배운 경험이 있는 학습자로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어서 일본어를 배운다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2) 현재 자신의 일본어 능력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하]라고 답했으며 일본어학습 최종목표에 관해서는 여행을 갔을 때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혹은 일상회화가 가능해 질까지 일본어를 배우고 싶다는 학습자가 가장 많았다. 3) 교양 일본어 수강생들은 언어의 4기능 가운데 말하기-듣기-읽기-쓰기 순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 [기초일본어1] 수업은 말하기, 듣기 중심의 회화 수업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는 수강생이 가장 많았다. 4)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는 많은 학생들은 일본어를 그다지 어려운 언어는 아니며 자신이 일본어 습득에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어를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 만큼 매일 꾸준히 공부한다면 2년 이내에 일본어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5) 일본어를 일본에서 공부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 비율은 높지 않았으며 나아가 일본어를 공부하는데 일본인교사 및 일본인 친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의 비율 역시 높지 않았다. 6) 일본어학습에 있어서 어휘 습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수강생이 많았으며 일본어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많이 반복하고 많이 연습하는 것/음성파일을 듣고 연습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s a liberal arts course at a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ir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learning Japanes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of learning Japanese before,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started to learn Japanese as they were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was the highest. 2)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level of their Japanese language skills was low. To the question about their final goal of learning Japane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learn Japanese until they can feel comfortable when traveling to Japan or have a daily conversation in Japanese was the highest. 3)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speaking among 4 language skills is most important, followed by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hoped the “Basic Japanese 1” class was a conversation class focusing on speaking and listening was the highest. 4) Most of the students viewed that Japanese is not a language that is difficult to learn. They also thought that if they continued to study Japanese everyday even without any special talent for learning Japanese, they could improve their Japanese skills in 2 years as long as they wanted to be good at Japanese. 5) The share of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y should study Japanese in Japan was not high, and the share of those who thought that they need Japanese teachers or friends to study Japanese was also not high. 6) Many students viewed that vocabulary acquisition is important to learn the language, and that it is important to repeat and practice a lot, and listen to audio files and practice in learning Japanese.

      • KCI등재

        독도 「고유영토론」에 관한 일본의 국제법적 연구 논거 비판

        송휘영 ( Song Hwi-yo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71

        일본 외무성의 주장을 보면, ⓐ 예로부터 일본은 독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은 인식하지 못하였다. ⓑ 일본은 17세기 중반에 독도의 영유권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 1905년 각의결정을 통해 독도의 영유 의사를 재확인하였다. ⓓ 한국은 ‘이승만 라인’(평화선)에 의해 독도를 불법점거하고 있으며 일본은 이를 국제사법재판소에 부탁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한국이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리는 일본의 초중고 사회과 교과서에 그대로 반영되어 ‘다케시마는 17세기에 영유권이 확립된 일본 고유의 영토’이며,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고, 이에 일본은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독도 영유권 주장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 주장의 논리는 ‘고유의 영토’인 독도를 1905년에 일본영토로 편입하여 이 고유영토를 ‘재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 「무주지선점」의 논리를 앞세우던 것에서 ‘권원의 대체’라고 말을 바꾸어 새롭게 「고유영토론」의 논리를 재포장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와 관련한 츠카모토 다카시(塚本孝)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카이가 “리양코섬=독도를 조선영토라고 사고하고 있었다”는 것을 착각 또는 오해라고 하고 있으나, 해도와 수로지를 통해 나카이는 정확히 판단하고 있었다. 둘째, 1905년 이전 메이지 일본 정부는 태정관지령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의 판도 밖이며 조선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었다는 한국 정부의 주장에 대해 여전히 「죽도외일도」가 울릉도와 또하나의 울릉도라는 ‘1도설’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명백한 사료의 왜곡해석이다. 셋째, 당시 외교권이 박탈되어 군사적 강압 하에서 한국정부에 의한 어떤 반응이 없었다는 것으로 ‘무주지’를 합법적으로 편입하여 ‘평온하고도 계속적인 행정권을 행사’했다고도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1905년 이전 관찬문서, 해도 및 수로지 등에서는 독도를 일본영토에서 취급하지 않고 있으므로 ‘고유영토’를 근대국제법 논리에 의해 영토편입을 하여 영유의사를 ‘재확인’했다는 것은 성립될 수 없다. According to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laim, ⓐ Japan recognized Dokdo from history but Korea did not recognize it. ⓑ Japan established the sovereignty of Dokdo in the mid-17th century. And, ⓒ through the decision of Japan Cabinet in 1905, the intention of Dokdo territorial right was reaffirmed. ⓓ Korea is illegally occupying Dokdo by Lee Seung-man Line [Peace Line], and Japan is proposing to ask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but Korea refuses it. This logic is reflected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apan, and Takeshima is a territory unique to Japan where sovereignty was established in the 17th century. It is composed of the basic frame of the claim that Korea is illegally occupying the island, and Japan is trying to solve in the peaceful solution. The logic of this Japanese claim is that Dokdo, the ‘Inherent territory’, was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territory in 1905 and ‘reconfirmed’ this unique territory. This is just a repackaging of the logic of the ‘Inherent Territory’ by changing the word ‘substitution of title’ from the logic of ‘Terra Nulius’ in the past. The results of a critical review of Takashi Tsukamoto’s claim related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Nakai was mistaken or misunderstood that “Liancourt Rocks = Dokdo was thought of as the Korea territory,” but Nakai was accurately judging the fact through the marine and waterways maps. Second, the Japanese government of Meiji before 1905 still claims that Ulleungdo and Dokdo were outside the Japanese territory and considered the territory of Joseon through the Dajokan Order by Japan. But Japan still claims “Takeshima-hoka-itto[Takeshima and one island] was Ulleungdo and another Ulleungdo. However, this is a distorted interpretation of clear historical materials. Third, it is that Korean government under military coercion because the diplomatic power was deprived at the time, and that it was not exercised in ‘peaceful and continuous administrative power” and the insistence Japan government legally incorporated the ‘Terra Nulius island’ was not meet to any of the fact. In addition, since Dokdo is not treated in the Japanese territory in the official documents, maps, and waterways before 1905, which can not be established that the ‘inherent territory’ was incorporated to the territory by the logic of modern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근대일본에서의 생명보험시장 탄생 - 문화적 저항과 수용 -

        이윤호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에서는 문화의 두 가지 패러다임, 즉 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의미시스템으로서의 문화와 전략적 레퍼토리로서 문화개념을 적용하여 19세기 근대일본에서의 생명보험의 탄생과 전개과정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세기 후반의 근대일본에서 일본의 전통문화와 양립할 수 없는 생명보험시장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이러한 문화적 장벽이 일본적 생명보험시장의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문화와 생명보험의 논리가 양립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생명보험 시장의 탄생은 순조로웠고 급성장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생명보험시장은 처음에 예상했던 것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즉, 위험관리 수단이 아니라 금전관리 수단을 제공하는 시장으로 출현하였다. 여기서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경제적 관행에 대한 문화적 장벽을 우회하기 위하여 문화적 도구상자의 동원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저항을 구성하는 공유가치와 그러한 저항을 우회하기 위한 문화적 도구상자라는 이중적 과정이 새롭게 탄생되는 시장의 경로와 특징을 형성하게 된다. This study applied together two different paradigms of culture–a shared meaning system and a repertoire of strategies–to understand the emergence of a life insurance market in late 19th century Japan. It examined how a Japanese life insurance market is emerging in the presence of incompatible shared values and ideas acting as cultural barriers, and how these cultural barriers shape the formation of the market in late 19th century. The findings reveal a soft landing and burgeoning modern Japanese life insurance market despite local cultural logics incompatible with the logic of life insurance. This modern Japanese life insurance market, however , has developed along a different trajectory from what might be expected. It first emerged as a money management, rather than a risk management, market. I argue that the very cultural barriers that compose the local resistance to a new economic practice also necessitate the mobilization of the cultural tool-kit to circumvent this resistance. These dual processes, shared ideas composing the resistance and the cultural tool-kit circumventing the resistance, shape the trajectory and characteristics of an emergent market.

      • KCI등재

        한・일 주식시장에 비트코인의 가격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임태순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5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of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We used 417 weekly data of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the bitcoin price from October 23, 2010 to October 13, 2018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indicators of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In this study PP(Phillips and Perron) tests, ADF(Augmented Dickey-Fuller and tests, co ̵integration test,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and autoregressive model (VAR), impulse response analysis, Granger causality test were employed.. We employ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the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the cointegration test of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were performed.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Engle and Granger (1987) pointed out that a linear combination of two or more non-stationary series may be stationary. We try to analyze the mutual influence and the causality between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We wish to analyze the extent of cross-influence. We emplo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An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aw time series data of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has unit roots. Secondly, first differential data of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has no unit roots. Thir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among the stock prices index in the Korea and Japan and Bitcoin price.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Bitcoin price and the Kospi is (+) 0.817725,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Bitcoin price and the Nikkei is (+) 0.624216,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Kospi and the Nikkei is (+) 0.689228.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의 시계열 자료간의 관계 분석으로 연관성 및 상호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이다. 한국과 일본의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의 시계열 자료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2010년 10월 23일부터 2018년 10월 13일까지 417개의 한일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론은 한국과 일본의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의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 여부 판정으로 단위근 검정과 한국과 일본의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의 시계열 자료 변수들간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관계 존재 여부 알아보기 위하여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을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의 시계열 자료 변수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VAR모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인과관계(Granger인과관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 주간자료의 수준변수인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일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 주간자료의 제1차 로그차분시계열자료인 차분변수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는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일 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 주간자료의 제1차 로그차분시계열자료인 차분변수 간에는 모두 공적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주가지수의 변화와 비트코인가격의 변화에 대한 각각 Granger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의 주가지수의 변화는 비트코인가격의 변화에 Granger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주가지수와 일본주가지수의 상관계수는 0.689228이고, 한국주가지수와 비트코인가격의 상관계수는 0.817725이고, 비트코인가격과 일본주가지수의 상관계수는 0.624216로 나타나 일본 보다 한국이 비트코인가격과의 상관관계가 더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일본(日本)에 대한 심리적(心理的) 거리(距離), 적개심(敵愾心)이 일본제품(日本製品) 이미지 및 구매의도(購買意圖)에 미치는 영향(影響)

        남상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3

        본 연구는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적개심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해 한국소비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일본제품을 선호하고 구매함에 있어서 한국소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들을 종합하여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구조방정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본 제품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적개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일본 제품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일본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일본 제품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마케팅전략에서 다양한 형태로 반영 내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인식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침략, 식민지배 등 부정적인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적개심 요인이 일본제품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구성개념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기업이 한국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한국소비자들의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적개심을 우호적으로 조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국제마케팅전략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how Korean consumers recognize, prefer, and purchase Japanese product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psychic distance and animosity against Japan in Korea. It was hypothesiz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precedent researches, and putting these hypotheses, the general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ng model. Here is the summar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psychic distance affected the product image of Japan, but the psychic distance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the animosity. Furthermore, the animosity against Japan had negative effects on Japanese product image, and this negative image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that consumers did not prefer to buy Japanese products when they have hostility against Japan. This research affects the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in various ways, but there still are not enough studies about this subjec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would be the fact that it investigated the psychic distance and the animosity against Japan in Korea based on the tragic history of imperialistic invasion and colonization, and the effect of those negative emotions in Korea on Japanes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It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hese concepts. Moreover, this research provides the implication for Japanese enterprises to set their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in Korea to soothe Koreans` hostility against Japan in order to target the Korean market.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여성과 일본유학에 관한 고찰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일제 강점기 초기에는 이전 시기에 있었던 근대에 대한 동경과 선망이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일본 유학생들의 활동을 통해서 일본에서 받아들인 근대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 역시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기에 급급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강점기 조선에 이입된 근대는 전통적 일본이 아닌 서구식 근대 일본이었다. 1920년대 조선의 많은 신여성들이 일본 유학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신여성 운동 역시 조선의 신여성 운동에 끼친 영향은 상당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의 신여성 운동에 경제적으로 상류층 여성이 참가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의 신여성 운동도 일본에 유학한 소수의 엘리트 여성그룹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신여성들의 해외유학은 일본유학에 그치지 않고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서구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들 신여성들은 봉건적인 구습을 과감히 타파하고 그 당시 사회가 요구하는 여권신장 운동, 남녀평등을 위한 여성해방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여성으로 정의되었다. 신여성은 시부모에게 잘 봉양하고 남편에게는 절대 복종하는 현모양처의 입장에서 자유평등과 자유연애를 주장하는 여성상, 즉 여권존중과 여성독립 등을 외치는 새로운 여성상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이전의 봉건적인 시대와는 전혀 다르게 사회적인 역할도 강조되었다. 여성의 사회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점은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시작되는 어머니, 아내, 며느리와 같은 가족 공동체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개별적인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서로 독립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을 찾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Korea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first came to experience Japan’s modernity thanks to the socioculturally vigorous activities of those previously educated in Japan who, while studying there, had then been influenced considerably by Japan’s yearning and envy for modernist movement that started to emerge from Europe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However, given such a situation that Japan was also quite busy adopting in a passive manner a plethora of Western/European culture and values, the modernity infused into colonial Korea turned out to be that of westernized modern Japan, not of the traditional one. Considering that a majority of the Korean New Women (Sin yosong) in the 1920s experienced studying abroad in Japan, the New Women’s movement in Japan must have made an considerable impact on the equivalent one in colonial Korea. It can thus be assumed that a select group of elite women educated in Japan played a leading role in colonial Korea’s New Women’s movement, just as active participants in Japan’s New Women’s movement consisted mainly of women of the upper and upper-middle classes. And with the passing of time did the New Women’s preferred study-abroad destinations become gradually - though very occasionally - expanded into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some in Europe, away from Japan as the hitherto all-time popular destination for them to study abroad. The “New Women” in this period were defined as those willing to challenge feudalistic, male-dominated traditions and customs of the past, there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imed at promoting women’s rights demanded by the then society and gender equality. And this new definition of women enabled the discourse on a newer concept or image of women to emerge naturally in this period, that is, the image of those who admirably uphold freedom, equality and free love into which it developed from that of traditional hyonmoyangcho (wise mother and good wife) socially demanded to look after her in-laws and continue to stay subservient to her husband. It was therefore a newer social role that became more and more stressed to women in this new period, completely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at socioculturally demanded to them in the previous “old and traditional” period. Which also means that they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individually as an independent entity formed in multifarious day-to-day relationships with other similar entities, away from the idea of them perceived collectively as part of the family-centered “depdendent” traditional relationships they formed with the male as mothers, wives and daughter- in-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